KR101746097B1 -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097B1
KR101746097B1 KR1020160107522A KR20160107522A KR101746097B1 KR 101746097 B1 KR101746097 B1 KR 101746097B1 KR 1020160107522 A KR1020160107522 A KR 1020160107522A KR 20160107522 A KR20160107522 A KR 20160107522A KR 101746097 B1 KR101746097 B1 KR 101746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block
unit
caisson
bloc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유주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0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09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유주, 김상기 filed Critical (주)유주
Priority to RU2019103959A priority patent/RU2710433C1/ru
Priority to SG11201901219TA priority patent/SG11201901219TA/en
Priority to BR112019002871-4A priority patent/BR112019002871B1/pt
Priority to AU2016420308A priority patent/AU2016420308B2/en
Priority to CN201680088617.0A priority patent/CN109642402B/zh
Priority to PCT/KR2016/010058 priority patent/WO2018038305A1/ko
Priority to CA3034799A priority patent/CA3034799A1/en
Priority to US16/327,113 priority patent/US10533297B2/en
Priority to EP16914284.1A priority patent/EP35056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097B1/ko
Priority to PH12019500299A priority patent/PH12019500299A1/en
Priority to ZA2019/00942A priority patent/ZA201900942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9Granu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슨 블록이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아울러 복수의 케이슨 블록이 사석 채움과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매우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과 이에 의하여 시공된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CONSTRUCTION METHOD FOR CAISSON BLOCK AND STRUCTURE OF CAISSON BLOCKS}
본 발명은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슨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항만은 선박의 출입, 사람의 승. 하선, 화물의 하역. 보관 및 처리 등을 위한 시설이 구비된 것을 말하며, 이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항내의 정온도를 확보해야 한다. 상기 정온도를 확보하기 위해 방파제 시설이 필요하며, 화물의 하역과 사람의 승,하선을 위해 선박 접안용 안벽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을 통칭하여 소파구조물이라 한다.
도 25는 종래의 방파제를 도시화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해저면에 사석을 축조하고 그 사석 경사면을 피복석이나 기타 소파블럭으로 피복한 형태의 경사식 방파제이다. 종래의 방파제는 파력이 크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6 및 도 27은 종래의 안벽용 케이슨의 사시도 및 이를 이용한 안벽의 평면도을 도시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초지반 위에 사석 등에 의한 기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수의 케이슨을 설치한 후, 케이슨의 내부에 모래 또는 사석 등을 채움으로써 벽체의 안정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케이슨 구조는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함으로써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대형 파랑에도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케이슨으로 방파제를 쌓는 방법은 케이슨의 자중을 확보하기 위해서 케이슨 자체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운반상의 제약과 거치나 제작을 하기 위한 제작장의 확보가 문제점이었다.
이와 같은 대형 케이슨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케이슨 블록을 수심에 따라 여러 단으로 쌓아 올려 케이슨 구조체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형 케이슨 블록에 의하여 케이슨 구조체를 형성할 경우 소형 케이슨 블록간의 결합 구조가 약하여 대형 케이슨과 동일한 정도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소형 케이슨 블록을 수중에서 다른 소형 케이슨 블록에 맞추어 정확하게 안치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소형 케이슨 블록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 이는 케이슨 구조체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서 소형 케이슨 블록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중에서 소형 케이슨 블록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 안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수중에서 잠수부가 소형 케이슨 블록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여 이를 크레인 기사에게 알려야 하나, 수중에서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소형 케이슨 블록의 정확한 위치를 인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나아가 소형 케이슨 블록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 경우에도 이를 크레인 기사에게 정확히 설명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092호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2014. 9.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2013. 1. 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805호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2014. 1. 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케이슨 블록이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아울러 복수의 케이슨 블록이 사석 채움과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매우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과 이에 의하여 시공된 케이슨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상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제1단위 격실을 구비하되, 상기 제1단위 격실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닫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용 제1단위 격실과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을 제작하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 제작 단계, 수평상으로 연속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제2단위 격실을 구비하는 복수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제작하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 제작 단계, 상기 복수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 형성 단계, 상기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들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하되,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은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 또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은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제1단위 격실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 설치 단계,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한 후, 상기 사석용 제1단위 격실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상부에 사석을 투입하여 상기 사석용 제1단위 격실부터 상기 상부로 노출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까지 수직하게 사석을 채우는 사석 채움 단계,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한 후,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의 하부 및 측부를 방수막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위 격실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기 제2단위 격실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위 격실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 설치 단계는, 상기 제2단위 격실에 대응되는 횡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몸통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가장자리에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된 캡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 가이드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준비하는 설치용 가이드 부재 준비 단계,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을 설치 대상인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인양한 후,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삽입 안내부를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제1단위 격실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에 삽입하여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이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제1단위 격실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 또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상부에 거치하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 거치 단계,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거치 후 상기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하는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 거치 단계와 상기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설치용 가이드 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설치 가이드 기둥이 서로 간의 수평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매달리는 수평 간격 유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바닥용 케이슨 블록에 형성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상기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길이인 것 ;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상기의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케이슨 블록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슨 블록이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아울러 복수의 케이슨 블록이 사석 채움과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매우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과 이에 의하여 시공된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C 기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치용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도 5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에 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사시도,
도 12는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인양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에 거치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15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으로부터 크레인 인양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의하여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케이슨 블록 구조체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5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이 설치되어 케이슨 블록 구조체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케이슨 블록 구조체에 사석 및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과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 중인 상태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의하여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횡단면도,
도 24는 도 23 이후 사석 채움 및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방파제를 도시화한 것,
도 26는 종래의 안벽용 케이슨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안벽용 케이슨을 이용하여 구축된 안벽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1. 바닥용 케이슨 블록 제작 단계 및 상부용 케이슨 블록 제작 단계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은 수평상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제1단위 격실(11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은 24개(6x4)의 수평상으로 연속되는 제1단위 격실(111)을 구비하고 있다.
제1단위 격실(111)은 다시 사석용 제1단위 격실(112)과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로 구분될 수 있다.
사석용 제1단위 격실(112)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닫힌 형태이다. 대부분의 제1단위 격실(111)은 사석용 제1단위 격실(112)에 해당하며, 본 실시예에서 20개의 사석요 제1단위 격실(112)이 형성된다.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은 사석용 제1단위 격실(112)과 마찬가지로 하부가 닫힌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하부를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면, 후술하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에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과 그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쉽게 배출될 수 있어 방수막으로 감싸인 상하방향 철근부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생한다.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일부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는 사석용/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2, 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사석용/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2, 113)의 횡단면 형태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하나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 내에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L1)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수평방향 중심까지의 거리(L2)의 2배 길이이다(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형태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이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에 의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는 이를 인양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된다.
본 발명자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할 수 있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를 제시하였으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기술이 본 바닥용 케이슨 블록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는 본 명세서에 일체화되는 것으로 본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인양 및 거치를 위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 대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에 종래의 기술로 기재되어 있는 인양고리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닥용 케이슨 블록에 마련되는 인양할 수 있는 수단은 다양한 방식이 응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C 기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은 수평상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제2단위 격실(12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은 24개(6x4)의 수평상으로 연속되는 제2단위 격실(121)을 구비하고 있다.
제2단위 격실(121)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제2단위 격실(1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제2단위 격실(121)의 일부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에는 상하가 개방된 제2단위 격실(121)만이 형성되며, 또한 제2단위 격실(121)의 횡단면 형태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에는 이를 인양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된다. 이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2. 설치용 가이드 부재 준비 단계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치용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도 5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는 수평 간격 유지대(210)와, 그 양단부에 매달린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이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평 간격 유지대(210)의 길이 변경에 의하여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 간의 수평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은 안내 몸통부(221)를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캡부(222)와,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 안내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 몸통부(2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이다.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의 횡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의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이라면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이 되며,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의 횡단면 형태가 원형이라면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가 원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의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이므로 안내 몸통부(221)의 횡단면 형태는 사각형이 된다.
안내 몸통부(221)의 상부에 캡부(222)가 형성된다. 캡부(222)는 그 가장자리에 걸림턱부(2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몸통부(221)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에 삽입하면 캡부(222)의 걸림턱부(222a)가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상면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안내 몸통부(221)의 하부에 삽입 안내부(223)가 형성된다. 삽입 안내부(223)는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삽입 안내부(223)의 형태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에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에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캡부(222)는 캡부 연결 부재(230)를 매개로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매달리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 형태는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한편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결합된 복수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 형성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L1)과 동일하다.
즉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L1과 동일하며, L2의 2배이다.
한편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에 의하여 크레인의 인양부(301)에 연결되는 구조이며, 아울러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에 의하여 수평 간격 유지대(210)의 수평 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3.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 형성 단계
도 10은 도 1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에 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1100)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1100)를 형성한다.
각각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는 복수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L1)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서 서로 인접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2 x L2)과 동일하다.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설치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 또는 인양고리부재를 이용하며, 이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에 이미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4. 상부용 케이슨 블록 거치 단계
도 12는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인양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에 거치하는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다.
먼저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의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에 삽입한다.
이때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캡부(222)는 캡부 연결 부재(230)를 매개로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매달린 형태이며,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삽입 안내부(223)는 하부가 비교적 뾰족한 형태이므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제2단위 격실(121)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에 장착한 후,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인양한다.
즉 크레인의 인양부(301)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인양고리부재(미도시)에 결합한 후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도 12와 같은 상태로 인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이 인양되면,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걸림턱부(222a)가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안내 몸통부(221)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에 위치되며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삽입 안내부(223)는 설치 대상인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2에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은 수평 간격 유지대(210)에 매달린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설치 가이드 기둥(220)은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에 걸린 상태로 안착되어 있을 뿐이며, 수평 간격 유지대(210)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상면에 안치되는 상태가 된다. 즉 캡부 연결 부재(230)와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은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인양하면 캡부 연결 부재(230)와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은 팽팽한 상태가 아니라 처지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인양한 후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1100)의 상부에 도 13 및 도 14와 같이 거치한다.
즉 설치 가이드 기둥(220)의 삽입 안내부(223)는 하부가 비교적 뾰족한 형태이므로, 설치 가이드 기둥(220)을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1100)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설치 가이드 기둥(220)이 먼저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이 정확한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이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제1단위 격실(111)의 직상부에 위치되면서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이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1100)의 상부에 거치된다.
본 설명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상부에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거치하는 상태를 설명하였지만,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상부에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거치하는 상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즉 도 14에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평면상 위치는 하부에 배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평면상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제1단위 격실(111)의 직상부에 위치된다. 즉 상부에 위치한 단위 격실은 하부에 위치한 단위 격실의 직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상부에 다른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설치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복수의 케이슨 블록(110, 120)이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면서 구조적인 결합도를 높이며, 또한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단위 격실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사석 또는 콘크리트 등에 의하여 구조적인 결합도를 높이게 된다.
5.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
도 15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으로부터 크레인 인양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의하여 설치용 가이드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케이슨 블록 구조체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4와 같이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이 거치된 후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는 크레인 연결 케이블(240)에 의하여 크레인의 인양부(30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의 인양부(301)가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하면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 또한 인양부(301)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 및 회수된 설치용 가이드 부재(200)는, 다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기 위하여 다시 이용된다.
즉 4의 단계 및 5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매우 많은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설치하여 도 18과 같은 3단으로 이루어진 케이슨 블록 구조체(10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5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이 설치되어 케이슨 블록 구조체(1000)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6. 사석 채움 단계
도 18의 상태가 완료된 후, 도 19와 같이 사석용 제1단위 격실(112)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로 노출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의 상부에 사석을 투입하여, 사석용 제1단위 격실(112)부터 상부로 노출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까지 사석(1020)을 수직하게 채운다.
도 19는 도 18의 케이슨 블록 구조체(1000)에 사석 및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한편 본 사석 채움 단계는 후술하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및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 이후에 시행될 수도 있다.
7.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도 18의 상태가 완료된 후, 도 19와 같이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로 노출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의 제2단위 격실(121)을 통하여 상하방향 철근부(1011)를 삽입하게 된다.
도 19는 도 18의 케이슨 블록 구조체(1000)에 사석 및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하방향 철근부(1011)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철근의 조립에 의하여 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로 노출된 제2단위 격실(121)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게 되며,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을 기준으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마다 상하방향 철근부(1011)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011)를 삽입하면, 도 19와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011)는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단위 격실(12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하방향 철근부(1011)를 삽입할 때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단위 격실(121)의 내부에 물이 존재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방향 철근부(1011)의 하부 및 측부를 방수막(1012)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하방향 철근부(1011)를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011)가 방수막(1012)과 함께 삽입되므로, 상하방향 철근부(1011)가 해수 또는 염분 성분과 접할 위험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다.
또한 상하방향 철근부(1011)가 방수막(1012)과 함께 삽입될 때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단위 격실(121)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하방향 철근부(1011)와 방수막(101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였다.
만일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하부가 개방되지 않는다면,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단위 격실(121)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게 되며, 아울러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의 경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극히 어렵게 되어, 이는 후술하는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가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에 밀착되어 형성되지 않을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 파이프 등을 임시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철근부(1011)가 방수막(1012)과 함께 삽입되도록 하고, 내부의 물은 배수 파이프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면 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도 있지만, 상하방향 철근부(1011)와 방수막(1012)의 하강 압력에 의하여 물이 자연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물이 배출된 후 배수 파이프는 제거된다.
8.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
도 20은 도 19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의 상태 이후에, 도 20과 같이 상하방향 철근부(1011)가 삽입된 제2단위 격실(121)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단위 격실(121)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101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1010)에 의하여 케이슨 블록 구조체(1000)가 매우 강력한 힘으로 서로 결속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높아, 대형 태풍 등에 의한 파랑에도 본 구조물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시공 방법에 의하여 구축된 케이슨 블록 구조체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과 상부용 케이슨 블록이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면서 사석 채움과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에 의하여 견고히 결합된다.
또한 본 시공 방법은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설치시 매우 쉽게 상부용 케이슨 블록이 하부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 또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위치에 맞게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슨 블록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그 시공 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슨 블록의 정확한 시공은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을 설치 중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의하여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횡단면도이며,도 24는 도 23 이후 사석 채움 및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a, 120b)을 도 21과 같은 방식으로 거치하여 도 22와 같은 케이슨 블록 구조체(1000)를 형성한다.
도 2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113)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후 도 24와 같이 앞서 설명한 시공 방식에 따라 사석(1020)을 채우고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1010)를 형성한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것이며, 바닥용 케이슨 블록(110)과 상부용 케이슨 블록(120a, 120b)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바닥용 케이슨 블록 111 : 제1단위 격실
112 : 사석용 제1단위 격실 113 :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
120 : 상부용 케이슨 블록 121 : 제2단위 격실
200 : 설치용 가이드 부재 210 : 수평 간격 유지대
220 : 설치 가이드 기둥 221 : 안내 몸통부
222 : 캡부 222a : 걸림턱부
223 : 삽입 안내부
230 : 캡부 연결 부재
240 : 크레인 연결 케이블
301 : 크레인의 인양부
1000 : 케이슨 블록 구조체
1010 :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1011 : 상하방향 철근부
1012 : 방수막
1020 : 사석
1100 :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

Claims (5)

  1. 수평상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제1단위 격실을 구비하되, 상기 제1단위 격실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닫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용 제1단위 격실과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을 제작하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 제작 단계,
    수평상으로 연속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제2단위 격실을 구비하는 복수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제작하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 제작 단계,
    상기 복수의 바닥용 케이슨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를 형성하는 바닥용 케이슨 블록 구조체 형성 단계,
    상기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들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하되,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은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 또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은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제1단위 격실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 설치 단계,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한 후, 상기 사석용 제1단위 격실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상부에 사석을 투입하여 상기 사석용 제1단위 격실부터 상기 상부로 노출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까지 수직하게 사석을 채우는 사석 채움 단계,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설치한 후,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의 하부 및 측부를 방수막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위 격실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 단계,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기 제2단위 격실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하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위 격실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 설치 단계는,
    상기 제2단위 격실에 대응되는 횡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몸통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가장자리에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된 캡부와, 상기 안내 몸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부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 가이드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준비하는 설치용 가이드 부재 준비 단계,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을 설치 대상인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인양한 후,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삽입 안내부를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제1단위 격실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에 삽입하여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이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제1단위 격실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제2단위 격실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을 하부에 설치된 바닥용 케이슨 블록 또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상부에 거치하는 상부용 케이슨 블록 거치 단계,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의 거치 후 상기 설치용 가이드 부재를 상기 설치 대상인 상부용 케이슨 블록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하는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상부용 케이슨 블록 거치 단계와 상기 설치용 가이드 부재 분리 단계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설치용 가이드 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가이드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설치 가이드 기둥이 서로 간의 수평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매달리는 수평 간격 유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바닥용 케이슨 블록에 형성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용 제1단위 격실의 수평방향 중심간의 간격은 상기 바닥용 케이슨 블록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상하방향 안내홈의 수평방향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길이인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케이슨 블록 구조체.
KR1020160107522A 2016-08-24 2016-08-24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KR10174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22A KR101746097B1 (ko) 2016-08-24 2016-08-24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SG11201901219TA SG11201901219TA (en) 2016-08-24 2016-09-08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BR112019002871-4A BR112019002871B1 (pt) 2016-08-24 2016-09-08 Método de construção de bloco de caixão, e, estrutura de bloco de caixão
AU2016420308A AU2016420308B2 (en) 2016-08-24 2016-09-08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RU2019103959A RU2710433C1 (ru) 2016-08-24 2016-09-08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кессонных блоков и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кессонных блоков
CN201680088617.0A CN109642402B (zh) 2016-08-24 2016-09-08 沉箱块建造方法和沉箱块结构
PCT/KR2016/010058 WO2018038305A1 (ko) 2016-08-24 2016-09-08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CA3034799A CA3034799A1 (en) 2016-08-24 2016-09-08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US16/327,113 US10533297B2 (en) 2016-08-24 2016-09-08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EP16914284.1A EP3505683B1 (en) 2016-08-24 2016-09-08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PH12019500299A PH12019500299A1 (en) 2016-08-24 2019-02-13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ZA2019/00942A ZA201900942B (en) 2016-08-24 2019-02-13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22A KR101746097B1 (ko) 2016-08-24 2016-08-24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097B1 true KR101746097B1 (ko) 2017-06-13

Family

ID=5921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522A KR101746097B1 (ko) 2016-08-24 2016-08-24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533297B2 (ko)
EP (1) EP3505683B1 (ko)
KR (1) KR101746097B1 (ko)
CN (1) CN109642402B (ko)
AU (1) AU2016420308B2 (ko)
BR (1) BR112019002871B1 (ko)
CA (1) CA3034799A1 (ko)
PH (1) PH12019500299A1 (ko)
RU (1) RU2710433C1 (ko)
SG (1) SG11201901219TA (ko)
WO (1) WO2018038305A1 (ko)
ZA (1) ZA20190094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25A1 (ko) * 2017-07-21 2019-01-24 김상기 콘크리트 팩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과 이를 통해 시공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WO2019139296A1 (ko) * 2018-01-10 2019-07-18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2182027A1 (ko) * 2021-02-25 2022-09-01 (주)유주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512405B1 (ko) 2022-07-25 2023-03-22 주식회사 선라이즈파크 케이슨 블록 결합 공법에 의한 케이슨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8546A (zh) * 2019-11-01 2020-03-13 天津大学 吸力桶与圆沉箱整体预制式离岸深水码头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1720A (ja) * 2002-06-28 2005-10-20 ボッコティ,パオロ ケーソン防波堤に組み込まれた振動水柱型波エネルギー変換装置
KR101355805B1 (ko) *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1495313B1 (ko) 2014-10-16 2015-02-27 (유) 이도건설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58A (en) * 1895-09-24 Jetty
US3431734A (en) * 1966-06-13 1969-03-11 Giuseppe Vattuone Totally or partially prefabricated structure bar-dam for the protection of harbors
US4175888A (en) * 1978-06-12 1979-11-27 Iida Kensetsu Co., Ltd. Block for constructing breakwater
FR2557172B1 (fr) * 1983-12-23 1987-04-24 Aubert J Structure de genie civil prefabriquee, application a la construction d'un ouvrage et ouvrage en resultant
CA1251650A (en) * 1986-05-09 1989-03-28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Societe Canadienne Des Brevets Et D'exploitation Limitee Stability optimized perforated breakwaters
US5129756A (en) * 1987-07-24 1992-07-14 Wheeler Jack L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astal erosion control using massive sea block system
SU1721169A1 (ru) * 1988-11-02 1992-03-23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о-Изыскательский 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ор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а "Союзморниипроект" Сборное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US5087150A (en) * 1989-10-12 1992-02-11 Mccreary Donald R Method of constructing a seawall reinforcement or jetty structure
JP2810582B2 (ja) * 1992-02-26 1998-10-15 株式会社大林組 横積みされた板状部材の搬送方法
KR100350096B1 (ko) * 1999-11-04 2002-08-22 원 회 양 연약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US20020098041A1 (en) * 2001-01-22 2002-07-25 Chi-Kuang Chang Method for making a breakwater
US6491473B2 (en) * 2001-02-05 2002-12-10 Sidney E. Veazey Precast modular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US20030138296A1 (en) * 2002-01-24 2003-07-24 O'hare Christopher F. Method for assembling artificial reef modular units
KR200272975Y1 (ko) * 2002-01-31 2002-04-20 원 회 양 다공법이 혼용된 중력식 안벽구조
KR100650540B1 (ko) * 2005-04-13 2006-12-01 주식회사 한길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친수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819624B1 (ko) * 2006-03-03 2008-04-04 정혜진 수밀형 오픈케이슨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기초공법
KR20110002998A (ko) * 2009-07-03 2011-01-11 부림산업(주) 유압잭 인장 시스템을 이용한 교각기초 케이슨 설치구조
KR101234042B1 (ko) * 2010-08-03 2013-02-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3-01-10 김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US20140183122A1 (en) * 2011-09-06 2014-07-03 Electric Waves, S.L. Caisson Breakwater Module
KR101352461B1 (ko) * 2012-02-15 2014-01-17 이승준 케이슨 블록 구조물
KR101448092B1 (ko) * 2012-11-02 2014-10-08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KR101475443B1 (ko) * 2013-06-11 2014-12-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50141225A (ko) * 2014-06-09 2015-12-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CN204626333U (zh) * 2015-05-20 2015-09-09 李清华 一种新型便捷式防洪堤结构
CN104963311A (zh) * 2015-07-15 2015-10-07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型钢抗震方块码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1720A (ja) * 2002-06-28 2005-10-20 ボッコティ,パオロ ケーソン防波堤に組み込まれた振動水柱型波エネルギー変換装置
KR101355805B1 (ko) *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1495313B1 (ko) 2014-10-16 2015-02-27 (유) 이도건설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25A1 (ko) * 2017-07-21 2019-01-24 김상기 콘크리트 팩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과 이를 통해 시공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WO2019139296A1 (ko) * 2018-01-10 2019-07-18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2182027A1 (ko) * 2021-02-25 2022-09-01 (주)유주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512405B1 (ko) 2022-07-25 2023-03-22 주식회사 선라이즈파크 케이슨 블록 결합 공법에 의한 케이슨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901219TA (en) 2019-03-28
CA3034799A1 (en) 2018-03-01
AU2016420308A1 (en) 2019-03-07
PH12019500299A1 (en) 2019-10-28
US20190218740A1 (en) 2019-07-18
RU2710433C1 (ru) 2019-12-26
EP3505683B1 (en) 2022-06-22
BR112019002871A2 (pt) 2019-05-14
EP3505683A1 (en) 2019-07-03
EP3505683A4 (en) 2020-04-29
US10533297B2 (en) 2020-01-14
CN109642402B (zh) 2021-03-26
CN109642402A (zh) 2019-04-16
AU2016420308B2 (en) 2020-06-04
BR112019002871B1 (pt) 2022-09-06
WO2018038305A1 (ko) 2018-03-01
ZA201900942B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097B1 (ko)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US3247672A (en) Underwater well head encasement structure
US4701075A (en) Reinforced concrete offshore platform
EP3505685B1 (en)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crete block structure
JP4409357B2 (ja) 水中基礎の構築工法
KR101234042B1 (ko)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JP3713263B2 (ja) パイル基礎を用いる防波堤構造物
US3618327A (en) Caisson structure and pier construction methods
US4232491A (en) Swimming pool deck
KR101635900B1 (ko)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
KR100906113B1 (ko) 전면 소파블럭을 이용한 케이슨식 방파제체
JPS6358965B2 (ko)
WO2020188127A1 (es) Método de instalación de estructura marítima offshore y estructura marítima offshore
JPS63181804A (ja) 消波堤とその構築方法
KR100627628B1 (ko) 케이슨을 이용한 심해 항만의 연속구조물 시공법
IL268914B (en) Marine construction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JP2001214419A (ja) ケーソンによる海洋構造物の設置工法
JP2001214454A (ja) 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水上製作方法及びその装置
JP4109586B2 (ja) 仮設橋脚ユニットとそのユニットを用いる仮設橋脚の施工方法
JP5588929B2 (ja) 海洋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海洋構造物
JPS598835A (ja) 根入れ式鋼板セル・ケ−ソン工法
JP2001214418A (ja) 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水上製作設置方法
JP2000212969A (ja) ハニカム構造のケ―ソン基礎
JPH11245884A (ja) 浮体構造物
JPS6314927A (ja) コンクリ−ト構造物等の進水方法および分離型作業台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