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94B1 -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94B1
KR101744594B1 KR1020150083828A KR20150083828A KR101744594B1 KR 101744594 B1 KR101744594 B1 KR 101744594B1 KR 1020150083828 A KR1020150083828 A KR 1020150083828A KR 20150083828 A KR20150083828 A KR 20150083828A KR 101744594 B1 KR101744594 B1 KR 10174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
skin
peptide
aging
a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293A (ko
Inventor
이정복
박선민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5008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에고치 유래의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에고치 단백질로부터 분리 및 정제한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UVB 조사로 인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wnt와 같은 피부세포 방어기전을 활성화시키며, 염증관련 인자인 iNOS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하며, 진피 총 콜라겐 함량의 90%를 차지하는 타입 I 콜라겐(collagen-I)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자외선으로 인한 노화, 산화 및 염증을 방어 및 개선하기 위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derived silk cocoon or its derivatives with an anti-aging,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본 발명은 누에고치 유래의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노화로 인한 활성산소종, 산화물질, 및 염증 유발 인자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분해기전은 억제하면서 세포손상 방어기전은 활성화시키는 누에고치 단백질로부터 분리 및 정제한 Gly-Ser-Gly-Ala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biotin)-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내인적인 노화)와 햇볕에 노출되는 부위에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와 연대학적 노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광노화(광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광노화에서는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며 두꺼워지는 반면 연대학적 노화에서는 오히려 피부가 얇고 매끄러워진다. 이 밖에도 광노화에서는 연대학적 노화와는 다르게 깊은 주름이 생기고 이완, 얼룩진 과색소 침착과 저색소 침착, 모세 혈관 확장, 자반, 가성반흔 등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연대학적 노화와 광노화는 여러 가지 임상 양상의 차이가 있다.
햇빛에 의한 손상은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광노화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은 자외선이다. 자외선은 그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 B, C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UV-A(320-400 nm)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미약하여 UV-B보다는 피부에 해가 적지만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기미나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고 피부 노화를 심화시킬 뿐 아니라, 심한 경우 피부암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UV-C(200-280 nm)는 X선과 근접한 파장을 가진 광선으로 발암성이 매우 높지만 오존층에 의해 모두 차단되므로 별도로 차단해야 할 필요는 없다. UV-B(280-320 nm)는 인체에 가장 쉽고 빠르게 영향을 나타내어 피부손상에 관여하며 건조 및 피부홍반, 색소침착, 표피비후 등의 현상과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 기전의 불균형 유발을 통해 피부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효소 등을 손상시킴으로써 염증반응과 피부암 및 광노화를 심화시켜 피부손상을 초래한다. 특히 UV-B 노출에 의해 생성이 유도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광노화 주요원인 중 하나로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를 자극하여 DNA와 지질 및 단백질과 같은 생체분자에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을 통한 피부조직 손상을 야기한다. 또한 활성산소종은 표피 각질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자극으로 활성화 단백질(activator protein-1, AP-1) 및 핵인자 카파 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의 전사인자를 활성화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토록 하여 콜라겐 분해효소들(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증가된 콜라겐 분해효소들(MMPs)은 피부의 콜라겐을 분해한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진피층의 경우 90%를 차지하고 있고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 노출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들(MMPs)의 발현증가에 따른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 노화와 주름형성을 유발한다. 따라서 체내에서는 활성산소에 의해 생성 및 활성화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과 산화효소에 대한 방어로 카탈라아제(catalase, CAT),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및 글루타티온 S-전달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가 작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어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UV-B 조사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가 종양괴사인자-알파(tumou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β, IL-1β), IL-6, IL-10 와 IL-8을 세포 외로 분비하도록 자극하여 염증을 유도한다. 특히 TNF-α는 초기 자극에 대한 중요한 염증 유발인자로서 염증반응을 유도해 유도형 NO 생성효소(inducible NO synthase, iNOS) 발현이 증가시키고 iNOS에 의해 생성된 염증매개 물질인 NO는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피부세포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한편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활성 펩타이드 관련 선행특허로는 오리피부 젤라틴 유래의 항산화 활성 펩타이드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한국등록특허 제1,4858,92호, 굴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5603호, 항노화 기능을 갖는 해파리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011726호, 누에고치 실크 펩타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또는 보습 효과를 갖는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한국등록특허 제1,230,935호 등이 있다. 또한 합성 펩타이드 관련 선행특허로는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및 항염 효능이 있는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한국등록특허 제1,342,485호, 상처 또는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부재생용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 한국등록특허 제1,355,385호 등이 있다.
항노화를 위한 대표적인 피부 주름 개선 물질로 알려진 레티놀, 레티노이드 및 그 유도체들의 경우 콜라겐 분해효소(MMP-1)를 억제해 콜라겐 손실을 방지하여 내인성 및 광노화를 방지하고 회복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홍반, 가려움, 건선 등의 국소적 피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피부 염증 또는 트러블에는 아직까지 안정성에 논란이 되고 있는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의 합성 물질 또는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등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노화는 생명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고, 외견으로 노화 정도를 가늠할 때 가장 일반적인 기준이 되는 것이 피부 양상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나아지고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 노화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물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천연 유래 펩타이드 또는 합성 펩타이드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용화된 예는 많지 않아 보다 다양한 기술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4858,92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560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11726호 한국등록특허 제1,230,935호 한국등록특허 제1,342,4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누에고치 유래의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에고치 단백질로부터 분리 및 정제한 Gly-Ser-Gly-Ala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비오틴-Gly-Ser-Gly-Ala이 UVB 조사로 인한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TGF-β 또는 wnt와 같은 피부세포 방어기전을 활성화시키며, 염증관련 인자인 iNOS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하며, 진피 총 콜라겐 함량의 90%를 차지하는 타입 1 콜라겐(collagen-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누에고치 유래의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에고치 단백질로부터 분리 및 정제한 Gly-Ser-Gly-Ala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비오틴-Gly-Ser-Gly-Ala는 광노화에 따른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 및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항산화 효과, TGF-β 또는 wnt와 같은 피부세포 방어기전을 활성화시키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하며, 진피 총 콜라겐 함량의 90%를 차지하는 타입 1 콜라겐(collage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항노화 효과 및 염증관련 인자인 iNOS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항염 효과를 나타내므로 누에고치 유래의 Gly-Ser-Gly-Ala 펩타이드 및 비오틴-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개선, 또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 또는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는 천연물질로서 합성 펩타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100 μM 농도에서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경우 광노화를 유도하는 UVB 조사 정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control): DMSO, 실험군: GSGA, 비교군: PAL 및 BIO).
도 2는 1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50 μM 및 100 μM 농도로 각각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경우에 따른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확인을 위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지표물질인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control): DMSO, 실험군 GSGA, PAL 및 BIO).
도 3은 1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50 μM 및 100 μM 농도로 각각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경우에 따른 활성산소종(ROS)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control): DMSO, 실험군: GSGA, PAL 및 BIO).
도 4는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100 μM 농도로 펩타이드 처리 시 TGF-β 신호전달 저해제 유무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control): DMSO, 실험군: GSGA, BIO).
도 5는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100 μM 농도로 펩타이드 처리 시 wnt 신호전달 저해제 유무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control): DMSO, 실험군: GSGA, BIO).
도 6은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100 μM 농도로 펩타이드 처리 시 wnt 신호전달 저해제 유무에 따른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확인을 위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지표물질인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control): DMSO, 실험군: GSGA, BIO).
도 7은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GSGA 펩타이드 처리 유무에 따른 TGF-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GSGA 펩타이드 처리 유무에 따른 MMP-1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GSGA 펩타이드 처리 유무에 따른 타입 I 콜라겐(collagen-I)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GSGA 펩타이드 처리 유무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GSGA 펩타이드 처리 유무에 따른 iNOS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1.0 MED UVB 조사로 광노화를 유도한 세포에 GSGA 펩타이드 처리 유무에 따른 SOD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비오틴-GSGA 펩타이드의 합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누에고치로부터 분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은 200 μM 미만의 농도로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으며,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이 200 μM 이상의 농도로 함유되는 경우 세포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노화, 항산화, 피부미백용,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광노화 보다 구체적으로 UV에 의한 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UVB에 의한 노화, 산화 또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누에고치로부터 분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은 200 μM 미만의 농도로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으며,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이 200 μM 이상의 농도로 함유되는 경우 세포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항산화, 피부미백용,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광노화 보다 구체적으로 UV에 의한 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UVB에 의한 노화, 산화 또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 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은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누에고치 유래의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a) 누에고치를 물로 세척하여 수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수불용성인 피브로인을 수득하는 단계; (b) LiBr처리하여 수용성 피브로인을 수득하는 단계; (c) 알라닌, 리신 및 티로신 말단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및 (d) Gly-Ser-Gly-Ala 형태의 펩타이드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ly-Ser-Gly-Ala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a)에서 누에고치를 분쇄하고, 알칼리성 용액에 넣고 끓인 후 물로 세척하여 수용성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성 용액의 일 예로 Na2CO3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b)에서 9 내지 10 M 보다 구체적으로 9.3 M의 LiBr 용액에서 40 내지 90 ℃,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80 ℃, 보다 구체적으로 60 내지 75 ℃,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70 ℃의 온도조건에서 1 내지 5 시간,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4 시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2시간 30분 동안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처리할 때 수불용성 피브로인을 수용성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율을 높여 수용성 피브로인을 최대로 수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c)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는 식물성 효소인 브로멜라인(bromelain)일 수 있다. 브로멜라인을 사용하는 경우 파인애플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적정량 사용 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단백질 분해효율이 높아 단시간에 수용성 피브로인을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c)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pH 4 내지 5, 보다 구체적으로 pH 4.5 조건에서 처리할 수 있고 온도조건은 40 내지 50 ℃, 보다 구체적으로 45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처리할 때 지나친 분해를 방지하는 범위에서 분해율이 최대가 되어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단시간에 최대로 수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비오틴-GSGA는 서열이 길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액상에서의 합성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축합제를 이용하여 Boc-보호된 아미노산들을 단계적으로 축합하여 누에고치의 펩타이드를 고순도로 합성할 수 있다. H-Gly-Ser-Gly-Ala-OH 및 비오틴-Gly-Ser-Gly-Ala-OH의 합성과정에 사용되는 반응물질 및 생성물에 대한 정보는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누에고치 유래의 Gly - Ser - Gly - Ala 펩타이드 제조
1) 누에고치로부터 피브로인(fibroin) 수득
수용성인 세리신(sericine) 단백질과 수불용성인 피브로인(fibroin) 단백질로 구성이 되어있는 누에고치로부터 피브로인을 수득하기 위하여 건조 누에고치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0.02 M Na2CO3 용액에서 20분간 끓인 후 정제수를 이용해 반복적으로 세척하여 물에 녹는 세리신 단백질을 먼저 제거해 피브로인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2) 수용성 피브로인 수득
불수용성인 피브로인을 수용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1)에서 수득한 피브로인을 70 ℃에서 2.5 시간 동안 9.3 M LiBr 용액으로 처리하여 수용성 형태로 만든 후 LiBr은 반투막을 이용하여 3일 동안 6시간 마다 물을 갈아줌으로써 제거한 다음 5 내지 10 ℃, 90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해 건조시켜 수용성 피브로인을 수득하였다. LiBr을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용해성 실크 펩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LiBr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아미노산 서열이 긴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70% 알코올 용액에 동량의 MgCl26H2O을 첨가하여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의 10 w/v% 이하가 되도록 실크 파우더를 가한다. 투석방법으로 염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다.
3) 수용성 피브로인으로부터 Gly-Ser-Gly-Ala 펩타이드 분리
상기 2)에서 수득한 건조된 수용성 피브로인에 알라닌(Ala), 리신(Lys), 티로신(Tyr)의 말단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식물성 효소인 브로멜라인(bromelain, 2400 GDU/g)을 45 ℃ (pH=4.5)에서 약 6시간 동안 처리하여 글리신(Gly)-세린(Ser)-글리신(Gly)-알라닌(Ala)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테트라 펩타이드(tetra peptide)를 수득하였다.
비오틴- GSGA 의 제조
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추출법, DNA재조합법, 화학적 합성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추출법과 DNA재조합법은 얻고자 하는 펩타이드 화합물의 수득률이 낮으며, 최종 생산된 펩타이드 화합물의 순도가 낮고 정제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1) 실크단백질은 동일한 아미노산의 반복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브로멜라인 효소처리를 처리하면 비교적 높은 수율 (35%)의 H-Gly-Ser-Gly-Ala-OH (GSGA)의 테트라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 역상(Reverse phase)-HPLC를 하여 GSGA를 정제한 후, 비오틴-NHS를 이용하여 GSGA (pH=8)에서 결합시켜 얻을 수 있다.
2) 고순도의 GSGA 혹은 기능적인 목적으로 비오틴이 결합된 형태(biotin-GSGA-GSGA)를 얻기 위해서는 화학적 합성법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합성법은 용액 상에서 진행되는 액체상법과 메리필드(Merrifield) 혹은 왕 레진(Wang resine)과 같은 중합지지체를 이용한 SPPS를 이용할 수 있다.
비오틴-GSGA는 서열이 길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액상에서의 합성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축합제(커플링 시약 ; DCC, HOBT)를 이용하여 Boc-보호된 아미노산들을 단계적으로 축합하여 누에고치의 펩타이드를 고순도로 합성할 수 있다. H-Gly-Ser-Gly-Ala-OH 및 비오틴-Gly-Ser-Gly-Ala-OH의 합성과정에 사용되는 반응물질 및 생성물에 대한 정보는 다음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H-Gly-Ser-Gly-Ala-OH (GSGA, 9) 및 비오틴-Gly-Ser-Gly-Ala-OH (Bio-GSGA, 10)의 합성
반응 물질 1 반응 물질 2 요약된 반응식 생성물
Boc-Gly-OH (1) H-Ala-OBz (2) 1) HOBT in DCC
2) TFA
H-Gly-Ala-OBz (3)
Boc-Ser-OH (4) H-Gly-Ala-OBz (3) 1) HOBT in DCC
2) TFA
H-Ser-Gly-Ala-OBz (5)
Boc-Gly-OH (1) H-Ser-Gly-Ala-OBz (5) 1) HOBT in DCC
2) TFA
H-Gly-Ser-Gly-Ala-OBz (6)
Biotin-Gly-OH (7) H-Ser-Gly-Ala-OBz (5) 1) HOBT in DCC Biotin-Gly-Ser-Gly-Ala-OBz (8)
H-Gly-Ser-Gly-Ala-OBz (6) Pd-C, H2 H-Gly-Ser-Gly-Ala-OH (9)
Biotin-Gly-Ser-Gly-Ala-OBz (8) Pd-C, H2 Biotin-Gly-Ser-Gly-Ala-OH (10)
2-2: SPPS를 이용한 비오틴-GSGA 합성법
SPPS를 이용하여 펩타이드를 합성할 때, 아미노산의 N-말단으로 Boc- 혹은 fmoc-을 이용한다. Boc-라벨된 아미노산에 메리필드 레진(Merrifield resin) 혹은 왕 레진(Wang resin)을 이용하여 비오틴-GSGA 펩타이드를 쉽게 합성할 수 있다.
BIO-GSGA의 합성과정을 도13에 나타냈다.
[ 실험예 ]
실험군으로 이용된 펩타이드( GSGA )
모든 실험에서 사용된 GSGA 펩타이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글리신(Gly)-세린(Ser)-글리신(Gly)-알라닌(Ala)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테트라 펩타이드(tetra peptide)를 사용하였다.
실험예1 : Gly - Ser - Gly - Ala 펩타이드(이하, GSGA)의 UVB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효과
HACAT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 X 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SIGMA, USA)가 첨가된 무혈청 저농도 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PAL, BIO)를 각각 농도별(20 μM, 50 μM, 100 μM, 200 μM)로 첨가하여 세포에 처리한 다음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이 지난 뒤 UVB를 각각 0 MED, 0.5 MED, 1 MED, 2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12시간 후 배지는 제거한 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용액(1 mg/ml)을 넣고 3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SIGMA, USA) 100 μL를 넣어 녹을 수 있도록 10분간 방치 뒤 ELISA(VersaMaxTM,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서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따라서 각 웰에 존재하는 생존 수와 비례한다. 측정 시 공시료는 DMSO로 하였고, 세포의 생존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5057131670-pat00001
그 결과, 실험군인 GSGA 및 비교군인 PAL 및 BIO 펩타이드 모두 효과적으로 광노화로 인한 세포 사멸을 대조군 (DMSO)에 비해 억제하였는데 특히 1 MED 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세포 사멸이 증가하였고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3가지 펩타이드들이 모두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1 MED 조사 시에는 GSGA가 다른 펩타이들과는 큰 차이로 세포 사멸을 가장 억제하였고 2 MED에서는 BIO가 세포 사멸을 가장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SGA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결과적으로 GSGA가 거의 모든 자외선 조사도에서 가장 적합한 세포 생존률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험한 세 가지의 펩타이드 중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광노화에 의한 세포사멸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펩타이드는 GSGA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험예2 : GSGA 펩타이드의 UVB 조사에 의한 지질과산화물( lipid peroxide ) 생성 억제효과
HACAT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4 X 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SIGMA, USA)가 첨가된 무혈청 저농도 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PAL, BIO)를 각각 농도별(50 μM, 100 μM)로 첨가하여 세포에 처리한 다음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이 지난 뒤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TBARS 방법으로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후 PBS(pH 7.4)로 세포를 모아 세포 처리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한 마이크로 퓨즈 튜브(micro fuse tube)에 넣고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에 0.38% TBA(2-Thiobarbituric acid, SIGMA, USA) + 15% TCA(Trichloroacetic acid, SAMCHUN) / 0.25N HCl를 1:1로 희석한 용액을 첨가한 후 100 ℃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준 후 충분히 식힌 뒤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해 ELISA를 이용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양에 따라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이 차이가 있으므로, 세포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단백질 분석(Protein assay)을 이용하여 세포 양을 측정하여 보정해 주었으며 지질과산화물은 지질과산화물의 기준물질인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를 측정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50 μM에서는 세 가지 펩타이드 중에서 BIO와 GSGA만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100 μM의 농도에서는 대조군(DMSO)에 비해 3가지 펩타이드 모두 지질과산화물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SGA를 처리한 경우 지질과산화물 함량이 가장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한 세 가지의 펩타이드 중 가장 효과적으로 광산화에 의한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펩타이드는 GSGA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3 : GSGA 펩타이드의 UVB 조사에 의한 활성산소종 ( ROS ) 생성 억제효과
HACAT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SIGMA, USA)가 첨가된 무혈청 저농도 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PAL, BIO)를 각각 농도별(50 μM, 100 μM)로 첨가하여 세포에 처리한 다음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 뒤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멸균된 PBS (pH 7.4)로 24 웰 플레이트의 웰을 2회 세척한 후 0.2% NBT 용액 0.2 mL를 첨가하여 5% CO2 배양기에서 90분간 반응시키고, 100% 아세트산(acetic acid) 50 u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여 생성된 짙은 파란색 포르마잔(formazan)을 ELSI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OS는 짙은 파란색 포르마잔(formazan)으로 측정하고 이것을 대조군에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펩타이드는 50 및 100 μM 농도에서 대조군(DMSO)에 비해 모두 ROS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인 GSGA 및 비교군인 BIO를 처리한 경우 PAL을 처리하는 것보다 현저하게 ROS 함량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GSGA를 처리한 경우 ROS의 함량이 가장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한 세 가지의 펩타이드 중 가장 효과적으로 광산화에 의한 ROS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펩타이드는 GSGA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험예4 : GSGA 펩타이드의 TGF -β 기전 활성 효과 확인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고농도 포도당 DMEM 배지로 부숴 10 cm2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1 X 106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가 첨가된 무혈청 저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 TGF-β 신호전달 저해제인 SB431542를 DMSO에 녹인 10 μM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방치한 후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BIO) 농도가 각각 100 μM이 되게 하여 바꾸어준 뒤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 뒤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실험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MTT를 이용해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GF-β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100 μM 농도로 BIO 및 GSGA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 되었으며, TGF-β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한 경우에도 세포 생존율이 증가되었으나 저해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낮게 증가되었다. 또한 모든 경우에서 GSGA가 BIO보다 세포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실험예5 : GSGA 펩타이드의 wnt 기전 활성 효과 확인
1) 세포 생존율 확인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고농도 포도당 DMEM 배지로 부숴 10 cm2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1 X 106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가 첨가된 무혈청 저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 배지에 wnt 신호전달 저해제인 SB431542를 DMSO에 녹인 10 μM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방치한 후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BIO) 농도가 각각 100 μM이 되게 하여 바꾸어준 뒤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 뒤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실험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MTT를 이용해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wnt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100 μM 농도로 BIO 및 GSGA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GSGA를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 보다 2배 이상 증가되어 BIO 보다 더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nt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 생존율 증가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SGA의 경우 BIO를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 생존율 증가가 더욱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SGA 펩타이드는 wnt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 세포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켰으나 저해제를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wnt 신호전달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2) 지질과산화물( lipid peroxide ) 생성 변화 확인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고농도 포도당 DMEM 배지로 부숴 10 cm2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1 X 106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가 첨가된 무혈청 저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 wnt 신호전달 저해제인 SB431542를 DMSO에 녹인 10 μM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방치한 후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BIO) 농도가 각각 100 μM이 되게 하여 바꾸어준 뒤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 뒤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실험예2에서와 동일한 TBARS방법으로 지질과산화물의 기준물질인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를 측정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wnt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100 μM 농도로 BIO 및 GSGA를 처리하였을 때 지질과산화물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GSGA를 처리한 경우 BIO 보다 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nt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감소가 극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SGA 펩타이드는 wnt 신호전달 저해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했으나 저해제를 처리한 경우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wnt 신호전달의 지질과산화물 생성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6 : 광산화로 인한 피부세포 파괴 또는 보호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대한 GSGA 펩타이드의 효과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고농도 포도당 DMEM 배지로 부숴 10 cm2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1 X 106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DMEM 배지는 제거한 뒤 5% BSA가 첨가된 무혈청 저포도당(free serum low glucose) DMEM(Gibco, USA)배지에서 1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방치한 후 대조군으로 DMSO를 첨가하고, 실험 및 비교군으로 펩타이드(GSGA, BIO) 농도가 각각 100 μM이 되게 하여 바꾸어준 뒤 10 시간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켜 주었고 10시간 뒤 UVB를 1 MED로 조사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멸균된 PBS (pH 7.4)로 접시를 2회 세척한 다음 PBS를 제거하고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Life Technologies, Rockville, MD, USA)으로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는 람다 850 분광광도계(Perkin Elmer, Waltham, MA, USA)로 정량하였고, cDNA는 추출된 1 μg의 RNA로부터 합성되었다. 역전사효소 키트를 사용하여 각 cDNA를 제조하여 실시간 PCR에 사용하였다. 특정 유전자에 대한 동량의 cDNA 및 프라이머를 SYBR 그린믹스(Bio-Rad, Richmond, CA)와 혼합하고 실시간 PCR 기구를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열 사이클 조건은 55 ℃에서 2분, 95 ℃에서 10분, 94 ℃에서 20초, 65 ℃에서 30초, 22 ℃에서 20초로 40 사이클 하였다. 염증 및 관절연골 퇴화 관련 유전자 측정을 위하여 유도성 NO합성효소 iNOS, 종양괴사 인자 TNF-α, 콜라겐분해효소 MPP-1,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OD, TGF-β, 타입 I 콜라겐(collagen-I), 및 b-actin 유전자들을 검지하기 위한 프라이머들이 사용되었다. 각 샘플의 CT(cycle of threshold)를 측정하였다. 미지 샘플의 유전자 발현 수준은 상대CT 정량법(comparative CT method)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ΔCT는 다음식으로 계산하였다. ΔCT = CT (표적 유전자) - CT (내인성 참조 유전자, b-actin) 발현 시 상대적 폴드-변화는 ΔΔCt = Cttreatment - Ctcontrol 식으로 계산하였다. 결과는 2-ΔΔC T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TGF-β의 경우 GSGA 펩타이드 처리에 의한 발현 변화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7).
타입 I 콜라겐(collagen-I)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경우 GSGA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발현이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도 8) 반면 타입 I 콜라겐(collagen-I)의 발현량은 GSGA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9).
UV 조사로 인해 생성되는 염증관련 인자인 종양괴사인자-알파(tumour necrosis factor-α, TNF-α)의 경우 GSGA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발현이 8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10), 염증매개 물질인 NO를 생성하는 iNOS의 발현도 GSGA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여 극히 미비한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1).
UV 조사로 인해 생기는 산화스트레스를 제거하는 효소들 중 하나인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의 경우 GSGA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발현이 약 5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2).
<110> LEE, Jung Bok <120>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derived silk cocoon or its derivatives with an anti-aging,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130> p2015-110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lkworm <400> 1 Gly Ser Gly Ala 1

Claims (10)

  1.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biotin)-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누에고치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에 의한 피부 노화, 피부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Gly-Ser-Gly-Ala의 펩타이드, 또는 비오틴-Gly-Ser-Gly-Ala을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ly-Ser-Gly-Ala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누에고치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에 의한 피부노화, 산화 또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83828A 2015-06-15 2015-06-15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44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28A KR101744594B1 (ko) 2015-06-15 2015-06-15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28A KR101744594B1 (ko) 2015-06-15 2015-06-15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293A KR20160147293A (ko) 2016-12-23
KR101744594B1 true KR101744594B1 (ko) 2017-06-08

Family

ID=5773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828A KR101744594B1 (ko) 2015-06-15 2015-06-15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0021A1 (ko) * 2017-02-28 2018-09-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9956B1 (ko) * 2018-02-28 2019-0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3424B1 (ko) * 2019-03-15 2021-01-15 (주)진셀팜 Zdhhc13 유래 생리활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26B1 (ko) * 2020-09-21 2021-08-17 자안바이오 주식회사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00B1 (ko) * 2020-09-21 2021-08-17 자안바이오 주식회사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15B1 (ko) * 2020-09-21 2021-08-17 자안바이오 주식회사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506021B1 (ko) * 2020-11-27 2023-03-06 웰펩 주식회사 항산화 활성 및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4163500B (zh) * 2021-11-12 2024-02-09 广东海洋大学 一种牡蛎蛋白源抗皮肤光老化活性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085268B (zh) * 2021-11-12 2024-02-09 广东海洋大学 一种牡蛎蛋白源抗皮肤光老化八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478699A (zh) * 2022-01-19 2022-05-13 广东海洋大学 一种改善认知功能障碍的牡蛎活性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533208B1 (ko) * 2022-05-06 2023-05-15 한도숙 노화방지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35B1 (ko) 2006-10-31 2013-02-07 (주)아모레퍼시픽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30015603A (ko) 2011-08-04 2013-02-14 박시향 굴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2485B1 (ko) 2012-02-29 2013-12-17 미원상사주식회사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85892B1 (ko) 2012-12-26 2015-01-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피부 젤라틴 유래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KR101527280B1 (ko) 2013-07-23 2015-06-0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항노화 기능을 갖는 해파리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 Function. Vol. 6, No. 5, pp. 1470-1479 (2015.03.27. 온라인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293A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594B1 (ko)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640801B1 (ko) 수생 동물로부터의 콜라겐 추출물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74601A1 (ko) 피부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138312B1 (ko)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2488B1 (ko) 테트라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889322B1 (ko) 주름 개선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093252B1 (ko) 4-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지는 신규의 신나모일 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1577B1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8498A (ko)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088055A (ko)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262B1 (ko) 셀라지넬라 로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4915B1 (ko) 칼로일-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8055939A (zh) 具有抗老化活性的肽及其用途
KR20180080736A (ko) 당나귀 사골 저분자 젤라틴 펩타이드를 활용한 피부 광노화 방지 및 주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6123B1 (ko) 주름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U2017399481B2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KR102447998B1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42681B1 (ko)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8986A (ko)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Type-1 procollagen 합성 증가 효능을 가지는 신소재 펩타이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06094B1 (ko) 견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155579B2 (en) Biomimetic peptides derived from biological source and their uses in retarding aging and improving skin
KR102133102B1 (ko) 동애등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8697B1 (ko) 피부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0745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