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79B1 -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79B1
KR101744279B1 KR1020160020604A KR20160020604A KR101744279B1 KR 101744279 B1 KR101744279 B1 KR 101744279B1 KR 1020160020604 A KR1020160020604 A KR 1020160020604A KR 20160020604 A KR20160020604 A KR 20160020604A KR 101744279 B1 KR101744279 B1 KR 10174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oor
vehicle
sensing
sens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식
신정민
Original Assignee
(주)아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아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16002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하측에 장착된 보조 발판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차체 패널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도어암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센싱 대상체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상기 보조 발판의 인출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상기 보조 발판의 인입을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의 인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보조발판의 인출입 시에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차량에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종에 대해 저비용으로 장착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uxiliary scaffol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하측에 구비된 보조 발판의 인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용 통학버스, 학원차량 등과 같은 다인승 차량은 차체의 바닥이 지면에서 높아 어린이들이나 장애인, 노약자의 승하차 시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의 도어 하측에 보조발판을 추가로 설치한 후 차량 정차 시에 보조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여, 어린이나 노약자가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조발판은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으로 동작하거나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형태 등이 있다. 스위치 조작 방식의 경우 운전자가 보조발판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을 출발시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돌출된 보조 발판이 보행자나 주변 시설물(ex, 보도블럭)과 추돌하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는 방식의 경우 차체와 도어가 맞물리는 위치에서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감지하는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차체에서 도어가 떨어진 것이 감지되면 보조발판을 외부로 인출하고 반대로 도어가 완전히 닫혀 차체에 도어가 맞물린 것이 감지되면 보조발판을 내부로 인입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경우 차체에 도어가 맞물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이후부터 보조발판이 인입되기 시작하므로, 운전자의 부주의로 도어가 닫힌 즉시 차량을 바로 출발시킨 경우 인입이 완료되지 못하고 여전히 돌출된 보조발판이 보행자나 주변 시설물과 추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0509719호(2005.08.2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조발판의 인출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안전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하측에 장착된 보조 발판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차체 패널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도어암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센싱 대상체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상기 보조 발판의 인출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상기 보조 발판의 인입을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발판의 인출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인출을 계속 진행하여 완전한 인출을 유도하고, 상기 인입을 개시한 이후 제1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인입을 계속 진행하여 완전한 인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1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가 다시 폐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출을 중단하는 동시에 상기 인입을 개시하고, 상기 인입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1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가 다시 개방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입을 중단하는 동시에 상기 인출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을 개시한 후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상기 보조 발판에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출을 일시 중단하되, 이후에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일시 중단을 해제한 후 잔여한 인출 동작을 이어서 진행하여 완전한 인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는, 상기 센싱 대상체의 자성을 센싱하는 마그네틱 센서, 상기 센싱 대상체의 물리적 접촉을 센싱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적외선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의 반사파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광 센서, 초음파 신호의 반사파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의 인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보조발판의 인출입 시에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차량에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종에 대해 저비용으로 장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암과 레일홈 간의 결합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어린이용 통학차량, 학원차량 등과 같은 다인승 차량의 도어 하측에 위치한 보조 발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도어의 하측에 센싱 대상체를 장착하고 도어와 마주보는 차체 패널 부위에 센서 모듈을 장착하여 도어의 이동 위치에 따른 센싱 대상체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보조 발판의 인입과 인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100)은 센싱 대상체(110), 센서 모듈(120), 그리고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센싱 대상체(110)는 도어(10)의 하단부에 장착된 도어암(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암(30)은 실질적으로 도어(10)의 안쪽 부위에 위치하므로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어(10)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체 패널에 형성된 레일홈(4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물론 레일홈(40) 이외에도 차체 패널 부위에 적용이 가능하다.
레일홈(40)은 도어(1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도록 차체 패널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레일링 구조는 기존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단한 구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암과 레일홈 간의 결합을 예시한 도면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한 구조는 반드시 도 3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과 같이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 대응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암(30)은 일단부가 도어(10)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차체 패널의 레일홈(4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10)를 슬라이딩 개폐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암(30)의 상면에 센싱 대상체(1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레일홈(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얇은 막대 형상의 센서 모듈(120)이 설치된다. 센싱 대상체(110)는 도어암(30)의 상면 이외에도 측면 등에 설치 가능하며, 상면 중에도 도시된 것과 다른 상면 부위에 설치 가능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모듈(120)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 센서(122)를 구비하며 막대와 같은 바(bar) 형상을 가진다. 센서 모듈(120)은 바 형상의 모듈로 제작 가능하므로, 단일의 형태로 다양한 차종 및 기타 자동문에 쉽게 설치 및 응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범용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센서 간의 거리 조절은 거리 요소의 설계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
센서 모듈(120)에 포함된 제1 및 제2 센서(122)는 센싱 대상체(110)의 자성을 센싱하는 마그네틱 센서(ex, 홀센서, 마그네틱 스위치), 센싱 대상체(110)의 물리적 접촉을 센싱하는 마이크로 스위치(ex, 리미트 스위치), 적외선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의 반사파를 통하여 센싱 대상체(110)의 접근을 감지하는 광 센서(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신호의 반사파를 통하여 센싱 대상체(110)의 접근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20)이 마그네틱 센서인 경우, 센싱 대상체(110)는 자성 감지가 가능한 자성체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센서 모듈(120)이 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경우에는 센서가 송출한 신호(적외선, 레이저, 초음파)에 대한 반사파를 이용하여,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장애물(센싱 대상체(110) 또는 도어암 부위)을 센싱하는 방법으로 센싱 대상체(110)를 감지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센싱 대상체(110)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 가능하며 설정 거리 이내의 장애물로 인식되도록 주변의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120)이 마이크로 스위치인 경우에는 도어의 이동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에 대한 센싱 대상체(110)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센싱 대상체(110)를 감지하도록 구현된다. 그밖에도 센싱 대상체(110)는 다른 성질의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센서 모듈(120)은 그에 대응하는 다른 종류의 센서로 변경될 수 있다.
센서 모듈(120)은 각각의 센서(121,122) 이외에도 센싱 값을 처리하는 회로와 정보 송수신을 위한 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0)은 차체에서 레일홈(4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부위을 따라 장착되어 도어(1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2)를 통하여 센싱 대상체(110)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싱 대상체(110)가 자성체인 경우, 각 센서(121,122)는 마그네틱 센서로 구현되며 자력이 임계 값 이상 또는 기준 범위 이내로 센싱되면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밖에도, 각 센서(121,122)는 광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센싱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장애물이 센싱되면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120)이 레일홈(40)을 따라 장착된다는 것은 레일홈(40)의 내부 홈 부위, 외부 표면 부위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레일홈(40)의 위치에 상당하는(대응하는) 차체 부위 상에 레일홈(40)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 모듈(120)에서, 제1 센서(121)는 차량의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센서(122)는 차량의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의 상태에서 도어(10)가 우측으로 열리기 시작하면 제1 센서(121)에서 센싱 대상체(110)가 먼저 감지가 된 이후 도어(10)가 완전히 개방되기 직전에 제2 센서(122)에서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된다.
반대로, 도 2의 상태에서 도어(10)가 좌측으로 닫히기 시작하면 제2 센서(122)에서 센싱 대상체(110)가 먼저 감지가 된 이후 도어(10)가 거의 폐쇄되기 직전에 제1 센서(121)에서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된다.
이러한 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센서(121)의 경우 도어(10)의 개방 시작 시점의 감지에 활용될 수 있고 제2 센서(122)의 경우 도어(10)의 폐쇄 시작 시점의 감지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원리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센서(121)를 통하여 도어(10)의 개방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출을 개시할 수 있고, 또한 제2 센서(122)를 통하여 도어(10)의 폐쇄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입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서의 감지를 통하여 인지되는 도어(10)의 개폐 시작 시점과 연동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출입을 제어한다. 즉, 도어(10)의 개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보조 발판(20)을 인출하기 시작하므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기 전에 이미 보조 발판(20)의 인출이 진행된다. 또한, 도어(10)의 폐쇄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보조 발판(20)을 인입하기 시작하므로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이미 보조 발판(20)의 인입이 진행된다.
특히, 도어 폐쇄 동작의 경우,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이전부터 이미 보조 발판(20)의 인입이 진행되므로 도어 닫힘 도중 또는 닫힘 직후에 차량의 급출발이 있더라도 주변의 보행자나 시설물이 보조 발판(20)과 추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보조 발판의 인입이 시작되므로, 이후에 차량 급출발 시 여전히 돌출된 보조 발판 부위가 보행자나 주변 시설물과 추돌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운전자의 과실로 인하여 도어가 닫히는 도중이나 닫힌 직후 바로 차량을 출발시킨다 하더라도 보조 발판이 대부분 또는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 발판(20)의 인출입을 제어하는 구성은 더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한 추가적인 기능을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보조 발판(20)의 인출을 개시한 이후 제2 센서(122)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진행 중인 인출을 계속 진행하여 보조 발판(20)의 완전한 인출을 유도한다. 또한, 보조 발판(20)의 인입을 개시한 이후 제1 센서(121)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진행 중인 인입을 계속 진행하여 보조 발판(20)의 완전한 인입을 유도한다.
그 밖에도, 제어부(130)는 도어의 개폐 과정에 있어 반대 행위가 포착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어(10)를 절반 정도 열다가 도중에 닫는 경우 혹은 도어(10)를 절반 정도 닫다가 도중에 여는 경우, 기존의 보조 발판(20)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의 진행을 중단시킨 후, 그 반대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도어(10)의 개방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출을 개시한 이후, 제2 센서(122)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되기도 이전에 제1 센서(121)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면, 도어(10)가 다시 폐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인출 동작을 중단하는 동시에 인입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어(10)의 폐쇄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입을 개시한 이후, 제1 센서(121)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되기도 이전에 제2 센서(122)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면, 도어(10)가 다시 개방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인입 동작을 중단하는 동시에 인출 동작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10)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출입을 제어하되 센싱 대상체(110)가 두 개의 센서(121,122)를 통하여 순차로 감지되지 않고 한 개의 센서에서 시간 간격을 가지고 반복 감지될 경우에는 초기와 반대되는 의도임을 포착하여 보조 발판(20)을 즉시 반대 방향으로 제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다.
물론, 그 밖에도, 제어부(130)는 도어(10)의 개방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출을 개시한 이후, 제2 센서(122)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가 감지된 다음, 다시 제1 센서(121)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도어(10)가 다시 폐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인출 동작을 중단하는 동시에 인입 동작을 개시한다. 그 반대의 동작도 동일한 원리로 수행하면 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보조 발판(20)이 유기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즉, 도어(10)를 거의 닫은 상태이긴 하지만 완전히 닫지는 않은 상태에서 다시 문을 여는 것이 포착되면, 들어가고 있던 보조 발판(20)을 다시 나오게 할 수 있고, 반대로 도어(10)를 거의 오픈한 상태이긴 하지만 완전이 오픈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문을 닫는 것이 포착되면, 외부로 나오고 있던 보조 발판(20)을 다시 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120)은 두 개의 센서(121,122)를 가진 구성을 가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은 양측의 두 센서(121,12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추가로 설정 간격으로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가변하는 센싱 대상체(110)의 이동 위치를 더욱 높은 해상도로 단계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조 발판(20)의 제어 정밀성을 높일 수도 있다.
그밖에도, 제어부(130)는 보조 발판(20)의 인출 시에 전방에 장애물이 포착되면 보조 발판(20)의 인출을 일시 중단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도어(10)의 개방 시작에 따라 보조 발판(20)을 인출을 개시한 이후, 제2 센서(122)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보조 발판(20)에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발판(20)의 인출 동작을 일시 중단하고 대기한다.
보조 발판(20)의 전방에 장애물(사람, 보도블럭, 주변 시설물)이 인접하게 존재할 경우, 보조 발판(20)의 인출을 일시 중단하여, 사람의 경우 충격에서 보호하고 장애물의 경우 손괴를 방지하며 보조 발판(20)의 경우 무리한 힘이 더이상 가해지지 않게 하여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한다.
장애물의 존재 여부는 보조 발판(20)에 별도의 센서(ex, 외력 감지 센서, 압력 센서) 등을 장착하고 제어부(130)는 해당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밖에도 외력이나 충돌 감지가 가능한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 존재 여부는 보조 발판(20)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전류 증가량을 감시하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보조 발판(20)의 일시 정지 이후, 다시 제2 센서(122)를 통한 센싱 대상체(110)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일시 중단을 해제한 후 잔여한 인출 동작을 이어서 진행하여 완전한 인출을 유도한다.
종래의 경우, 도어(10)의 개방과 즉시 즉, 차체에서 도어(10)가 떨어진 것이 감지되는 즉시 보조 발판(20)이 인출되도록 구성되는데, 만일 도중에 보조 발판(20)이 일시 정지한다 하더라도 추후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고 멈춤 상태로 존재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어(10)의 개방 중에 보조 발판(20)의 인출이 일시 정지되더라도, 도어(10)가 거의 모두 개방된 시점이 오면 이를 감지하여 기존의 상태에 이어서 완전히 인출되도록 함에 따라 승하차 시에 전혀 문제가 없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보조 발판의 인출입을 기존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보조발판의 인출입 시에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도어 20: 보조 발판
30: 도어암 40: 레일홈
100: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110: 센싱 대상체
120: 센서 모듈 121: 제1 센서
122: 제2 센서 130: 제어부

Claims (6)

  1. 차량의 도어 하측에 장착된 보조 발판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차체 패널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도어암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센싱 대상체;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상기 보조 발판의 인출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 시작 시점을 인지하여 상기 보조 발판의 인입을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발판의 인출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인출을 계속 진행하여 완전한 인출을 유도하되,
    상기 인출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 이전에 상기 제1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가 다시 폐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출을 중단하는 동시에 상기 인입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발판의 인입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1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인입을 계속 진행하여 완전한 인입을 유도하되,
    상기 인입을 개시한 이후 상기 제1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 이전에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재차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가 다시 개방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입을 중단하는 동시에 상기 인출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는,
    상기 센싱 대상체의 자성을 센싱하는 마그네틱 센서, 적외선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의 반사파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광 센서, 초음파 신호의 반사파를 통하여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현되는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을 개시한 후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상기 보조 발판에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출을 일시 중단하되,
    이후에 상기 제2 센서를 통한 상기 센싱 대상체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일시 중단을 해제한 후 잔여한 인출 동작을 이어서 진행하여 완전한 인출을 유도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20604A 2016-02-22 2016-02-22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KR10174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04A KR101744279B1 (ko) 2016-02-22 2016-02-22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04A KR101744279B1 (ko) 2016-02-22 2016-02-22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79B1 true KR101744279B1 (ko) 2017-06-08

Family

ID=5922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604A KR101744279B1 (ko) 2016-02-22 2016-02-22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030B1 (ko) * 2018-06-19 2018-11-21 이윤창 고소 작업차의 안전 발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8220A (ja) 2011-07-27 2013-02-07 Hino Motors Ltd 車両用格納式乗降ステップの制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8220A (ja) 2011-07-27 2013-02-07 Hino Motors Ltd 車両用格納式乗降ステップの制御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030B1 (ko) * 2018-06-19 2018-11-21 이윤창 고소 작업차의 안전 발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4978B2 (en) Power do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8979440B (zh) 一种汽车车门的控制方法及系统
KR101533483B1 (ko) 차량의 폐쇄 요소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4430663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
CN106143320B (zh) 一种车辆电动踏板控制方法及系统
KR20130068538A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
KR102456762B1 (ko) 자동차 잠금 조립체
KR101924806B1 (ko)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US9015993B2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n electric window lifter
KR101379828B1 (ko) 차량 또는 차량의 주위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장치
KR20120020746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44279B1 (ko) 차량의 보조발판 제어 시스템
KR101457071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자동 개폐 장치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517687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79417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CN110626276A (zh) 车载电动踏板智能控制电路及方法
JPH0693277B2 (ja) 価値ある紙類を引出しそして預入れるための装置
KR100762789B1 (ko)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JP5397675B2 (ja) ドア開閉装置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32730B1 (ko) 주차차량 자동 이동제어시스템
KR20190059645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07114B1 (ko)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KR20120129594A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