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14B1 -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14B1
KR101907114B1 KR1020170065352A KR20170065352A KR101907114B1 KR 101907114 B1 KR101907114 B1 KR 101907114B1 KR 1020170065352 A KR1020170065352 A KR 1020170065352A KR 20170065352 A KR20170065352 A KR 20170065352A KR 101907114 B1 KR101907114 B1 KR 10190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passenger
vehicle door
externa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6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2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ic or capacitive fiel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S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실시예들은 승객, 승객의 옷자락 또는 승객의 소지품이 차량도어에 끼인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우 도어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최근에는 어린이 보호차량, 승합차, 통학버스 또는 시내버스 등의 차량에서 이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도어에 끼이거나 걸림으로써 발생하는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의 원인은 차량의 문 틈에 옷가지 등이 끼이거나 걸린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이 이동하면, 사람이 차량 쪽으로 끌려 들어가게 되면서 일어나고, 일반적으로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차량이나 전동차의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되는 경우에, 승객의 옷가지나 신체의 일부가 끼인 상태에서 차량이나 전동차가 움직이게 되면 큰 사고를 면하기 어렵다.
그래서, 전철의 경우 도어 사이에 물체가 끼인 것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토크센서, 터치센서, 영상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도어 사이에 물체가 끼인 것을 감지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경우 신뢰성이 떨어져 빈번히 차량이 제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승객, 승객의 옷자락 또는 승객의 소지품이 차량도어에 끼인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상기 승객이 안전하도록 하는 차량제어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승객, 승객의 옷자락 또는 승객의 소지품이 차량도어에 끼인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상기 승객이 안전하도록 하는 차량제어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부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100)는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10)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20) 및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100)의 감지부(110)는 미리 설정된 해당위치에서 차량도어의 감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도어가 열림상태인지 비열림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해당위치는 차량도어가 닫히는 경우 차량도어가 감지되는 반면, 차량도어가 열리는 경우 차량도어가 비감지되는 위치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차량도어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센서, 초음파센서 또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물체의 감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2를 더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감지부(110)는 차량필러(210, 220 및 230)에 설치되어 차량도어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차량도어에 설치되어 차량필러(210, 220 및 23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끼인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송신되는 신호는 초음파신호, 레이더신호 또는 광신호 등의 신호일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일 측면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감지부(110)는 타측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100)의 판단부(120)는 감지된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영역에서 차량도어의 열림이 비감지되면,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 영역은 승객이 하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좌석의 착석여부를 더 감지하고, 판단부(120)는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착석된 것으로 감지된 좌석에서 비착석으로 재감지되면,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좌석의 착석여부를 더 감지하고, 판단부(120)는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착석으로 감지된 좌석의 개수가 감소되면,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다른 일 예 및 또 다른 일 예에서, 감지부(110)는 좌석에서 착석시 압력이 인가되는 위치에 설치된 압력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착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또는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상황은 하차한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0)가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량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승객은 안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가 알람을 발생시킴은 운전자에게 상황을 인지시켜 주행하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가 차량이 임계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은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승객이 걷거나 뜀으로써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감지부(110)는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제어부(130)는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3을 더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더 참조하며, 감지부(110)는 제1영역(310a, 310b), 제2영역(320a, 320b) 및 제3영역(330a, 330b)에 위치하는 외부물체를 감시하도록 차량의 측면 각각에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레이더센서를 포함하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의 감지각에 따라 일 측면에 설치되는 센서의 수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3개의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며 미리 설정된 제1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물체가 더 감지되면,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거리는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낄 수 있는 거리로서, 제1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물체를 더 감지함으로써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에 낀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며 미리 설정된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외부물체가 더 감지되면,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거리변화량은 주변시설물과 승객을 구별할 수 거리변화량으로서,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외부물체인지를 더 감지함으로써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에 낀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는 외부물체가 더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특정시간 동안 상기 외부물체가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느리게 또는 움직이지 않은 승객을 고려한 것으로서, 특정시간 동안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는 외부물체가 승객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제어부(130)의 동작은 특정시간 동안 지연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0)는 특정시간 동안 상기 외부물체가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특정시각에 상기 외부물체가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움직임)으로 판단하면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제어장치는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경우, 상기 승객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차량제어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인 차량제어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S500)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S510) 감지단계(S400)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410) 및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S530 단계에서 YES)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S540 단계에서 YES),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S550) 제어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감지단계(S400)는 미리 설정된 해당위치에서 차량도어의 감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도어가 열림상태인지 비열림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해당위치는 차량도어가 닫히는 경우 차량도어가 감지되는 반면, 차량도어가 열리는 경우 차량도어가 비감지되는 위치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차량도어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센서, 초음파센서 또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단계(S400)는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물체의 감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감지단계(S400)는 차량필러에 설치되어 차량도어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차량도어에 설치되어 차량필러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끼인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송신되는 신호는 초음파신호, 레이더신호 또는 광신호 등의 신호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판단단계(S410)는 감지된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판단단계(S410)는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영역에서 차량도어의 열림이 비감지되면,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 영역은 승객이 하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를 들어, 감지단계(S400)는 좌석의 착석여부를 더 감지하고, 판단단계(S410)는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착석된 것으로 감지된 좌석에서 비착석으로 재감지되면,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를 들어, 감지단계(S400)는 좌석의 착석여부를 더 감지하고, 판단단계(S410)는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착석으로 감지된 좌석의 개수가 감소되면,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다른 일 예 및 또 다른 일 예에서, 감지단계(S400)는 좌석에서 착석시 압력이 인가되는 위치에 설치된 압력센서가 출력한 신호에 기초하여 착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제어단계(S420)는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상황은 하차한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어단계(S420)에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량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승객이 안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어단계(S420)가 알람을 발생시킴은 운전자에게 상황을 인지시켜 주행하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제어단계(S420)가 차량이 임계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은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승객이 걷거나 뜀으로써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감지단계(S400)는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제어단계(S420)는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 및 다른 일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감지단계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고(S500)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S510),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더 감지할 수 있다(S600). 일 예를 들어, 차량외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외부물체를 감시하도록 차량의 측면 각각에 설치된 센서(레이더센서, 초음파센서 등)가 출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판단단계가 차량도어의 열림 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이후,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제어단계가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S530 단계에서 YES),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S540 단계에서 YES), 제1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물체가 감지되면(S610a 단계에서 YES),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50).
상기 제1거리는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낄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물체를 더 감지함으로써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에 낀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감지단계가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고(S500)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S510),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더 감지할 수 있다(S600).
이후,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판단단계가 차량도어의 열림 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이후,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제어단계가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S530 단계에서 YES),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S540 단계에서 YES), 제2거리 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외부물체가 감지되면(S610b 단계에서 YES),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50).
만약, 제2거리 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외부물체가 비감지되면(S610b 단계에서 NO), 제어부가 특정시간 동안 상기 외부물체가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되면(S610c에서 YES),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이와 달리, 특정시간 동안 상기 외부물체가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특정시각에, 상기 외부물체가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움직임, S610c에서 NO), 제어부는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50).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은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승객의 옷자락 또는 소지품이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 경우, 상기 승객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S60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승객이 하차된 것으로 판단되면(S530 단계에서 YES) 동작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차량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 차량제어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 차량을 정차시키는 제어 및 차량을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시키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차한 승객과 고정된 시설물을 구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는 제2거리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제어 수행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물체의 존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외부물체가 상기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물체를 상기 하차한 승객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영역에서 상기 차량도어의 열림이 비감지되면, 상기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착석여부를 더 감지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착석된 것으로 감지된 좌석에서 비착석으로 재감지되면, 상기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착석여부를 더 감지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차량도어의 열림이 감지되고 착석된 것으로 감지된 좌석의 개수가 감소되면, 상기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물체가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특정시간 동안 상기 외부물체가 상기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는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시간 동안 상기 외부물체가 상기 제2거리변화량 미만으로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물체를 상기 하차한 승객으로판단하여 상기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1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물체가 더 감지되면, 상기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장치.
  11. 차량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도어와 차량필러 사이에 끼인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차량도어의 열림여부에 기초하여 승객의 하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끼인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알람이 발생하도록 제어하거나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차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단계는,
    차량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물체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하차한 승객과 고정된 시설물을 구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는 제2거리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제어 수행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물체의 존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외부물체가 상기 제2거리변화량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물체를 상기 하차한 승객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제어방법.
    포함하는 차량제어방법.
KR1020170065352A 2017-05-26 2017-05-26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KR10190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352A KR101907114B1 (ko) 2017-05-26 2017-05-26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352A KR101907114B1 (ko) 2017-05-26 2017-05-26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14B1 true KR101907114B1 (ko) 2018-12-05

Family

ID=6474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352A KR101907114B1 (ko) 2017-05-26 2017-05-26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402A (ja) * 2013-02-27 2014-09-08 Aisin Seiki Co Ltd シート乗員判定装置
KR101487165B1 (ko) * 2013-07-26 2015-01-28 아진산업(주) 차량 승객을 위한 승하차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402A (ja) * 2013-02-27 2014-09-08 Aisin Seiki Co Ltd シート乗員判定装置
KR101487165B1 (ko) * 2013-07-26 2015-01-28 아진산업(주) 차량 승객을 위한 승하차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4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t retraction during an autonomous driving mode
KR20170069215A (ko) 통신 소자 및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JP5949660B2 (ja) ドライバ確認装置
US627011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at occupancy recognition in a motor vehicle
US11365580B2 (en) Method and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vehicle adjusting part with output status information
WO2017172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ing a door of a vehicle
KR101836805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907114B1 (ko)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KR20070089407A (ko) 차량 도어 오픈 시 측면 충돌 방지 장치
CN110027975A (zh) 门操作控制器
KR20150052953A (ko)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190136166A (ko) 탑승자 신체 돌출 감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36332B1 (ko)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33748A (ko) 무게센서 및 전기장센서를 이용한 승객분류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443745B1 (ko) 차량의 윈도우 안전 제어 시스템
KR20180093751A (ko)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084574B1 (ko) 방치 차량에서의 어린이 질식 사망사고 방지장치
JP6465298B2 (ja) 車両の自動開制御装置
KR101237734B1 (ko) 도어 끼임 경보장치
KR102297067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102425632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TWI592322B (zh) 車輛車門開啓警示系統以及車輛車門開啓警示方法
KR20120129594A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