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34B1 - 단열용 조립식 패널 - Google Patents

단열용 조립식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34B1
KR101743634B1 KR1020140092833A KR20140092833A KR101743634B1 KR 101743634 B1 KR101743634 B1 KR 101743634B1 KR 1020140092833 A KR1020140092833 A KR 1020140092833A KR 20140092833 A KR20140092833 A KR 20140092833A KR 101743634 B1 KR101743634 B1 KR 10174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ishing
panels
pai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542A (ko
Inventor
박철균
Original Assignee
(주)에코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메이텍 filed Critical (주)에코메이텍
Priority to KR102014009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impregnat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단열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패널의 양면인 한 쌍의 패널; 상기 한 쌍의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한 쌍의 패널의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복수의 패널 마감재; 및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재를 포함하여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구현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에는 패널의 분할 시 상기 패널 마감재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마감부를 마련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해주며,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용 조립식 패널{Prefabricated panels for thermal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단열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은 열을 차단하는 의미로서, 열의 유동에 대해 높은 저항력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열을 위해 단열재를 제작하고, 제작된 단열재를 마감재와 결합하여 단열 패널을 완성한다.
단열 패널은 일반 건축물, 집, 사무소 등 많은 부분에서 단열을 위해 사용되며, 특히 냉동·냉장 설비에서는 필수적으로 단열 패널이 이용된다.
육류 및 육가공 기타 저온에서의 보관이 필요로 하는 식품들은 냉동 및 냉장고에서 변질을 방지한다. 보통가정의 경우는 냉장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대형 음식점 또는 중간 유통, 보관업체에서는 대형화된 냉장, 냉동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냉장, 냉동 설비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단열 패널을 여러 개의 박스형태로 조립하고, 그 내부에 냉동 챔버를 형성한다.
냉장, 냉동 설비에 적용된 단열 패널에 대한 종래 기술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678416호(2007.02.02. 공고)는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로서,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 그 일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타 측면에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양면에 접합되는 패널 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고정부재의 돌출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에 제1경사면과 밀착되게 형성된 제2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체결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제작된 단열 패널은 패널들 간의 조립을 위해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돌출부 및 체결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부를 통해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충분한 기밀구조를 확보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68014호(2000.02.15. 공고)는 냉동 캐비닛용 냉동 패널로서, 상·하부 패널 부재의 테두리부에는 발포 성형된 고정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단열재가 발포 형성되고, 고정부재에는 서로 다른 냉동 패널과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 및 체결 홈이 형성되어 여러 개가 박스 형태로 결합되어 내부에 냉동 챔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로 제작된 냉동 패널은 단열 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허문헌 3>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37928호(2008.01.08. 공고)는 냉장, 냉동용 패널 조립체로서, HIPS(High Impact Polystyrene)로 베이스부를 형성하여 강도가 증가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수지제의 밀폐 부재를 형성하여 밀폐성이 향상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678416호(2007.02.0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68014호(2000.02.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37928호(2008.01.08.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단열패널은 철로 만들어진 시트형태의 외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 사이를 폴리우레탄으로 충전한 형태이므로, 패널의 두께가 두껍고, 무거워 설치가 불편하고, 냉동 및 냉장고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폴리우레탄은 건축용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Styrofoam) 대비 30% 정도 단열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패널의 제품 두께인 150mm 또는 200mm인 제품은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양으로 인해 무거워 1인이 작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같은 용적의 건물에 있어 패널의 두께로 인해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단점도 유발한다. 따라서 경량이면서도 단열효과가 우수한 단열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패널의 중간 중간에 마감부를 두어,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편리성을 도모해주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은 조립식 패널의 양면인 한 쌍의 패널; 상기 한 쌍의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한 쌍의 패널의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복수의 패널 마감재;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은 패널의 분할 시 상기 패널 마감재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패널은 가장 자리에 상기 패널 마감재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인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패널은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되는 단열재를 지지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은 상기 단열재를 삽입시켜 고정하며, 상기 한 쌍의 패널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은 상기 한 쌍의 패널을 외부에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모서리 마감재는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모서리를 덮는 마감부; 상기 마감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높인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패널의 중간 중간에 마감부를 두어,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시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및 냉장 창고용 패널에 적용하는 단열재를 다층박막을 적층한 단열재로 대체함으로써 단열 패널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부재 및 간격 유지기를 통해 제품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식 패널의 모서리 마감재를 조립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패널의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단열재의 단면도, 도 4b는 도 1의 단열재의 평면도,
도 5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 마감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서리 마감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의 단열재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1의 단열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 마감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서리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은 양면에 한 쌍의 패널(110)(120)이 마련된다. 여기서 한 쌍의 패널(110)(12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 것으로 가정한다. 한 쌍의 패널(110)(120)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패널(1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110)의 내측에는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되는 단열재(130)를 지지하는 결합 부재(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 부재(111)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110)은 패널의 분할 시 상기 패널 마감재(151 ~ 154)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마감부(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마감부(112)는 적당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나의 패널(110)은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되는 데, 실제 사용시 공간대비 패널이 너무 크거나 작아서 하나의 패널이나 복수의 패널을 그대로 결합해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패널(110)은 패널을 분할하여 사용할 때, 절단된 부분에 그대로 패널 마감재(151 ~154)를 사용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보조 마감부(112)를 마련하였다.
또한, 상기 패널(110)의 가장 자리는 패널 마감재(151 ~ 154)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인 마감부(113)가 구비된다. 여기서 메인 마감부(113)와 보조 마감부(112)는 그 형상이나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한 쌍의 패널(110)(120)의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130)가 개재된다. 단열재(130)는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접착된 플라스틱 박막 필름,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플라스틱 재질의 망사(그물망)를 복수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망사는 교호로 적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재(130)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단열재(130)를 한 쌍의 패널(110)(120) 사이에 개재하기 위해서 단열재(130)를 삽입시켜 고정하며, 한 쌍의 패널(110)(120)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기(140)를 이용하여, 단열재(130)를 한 쌍의 패널(110)(120) 사이에 개재한다. 간격 유지기(140)의 재질도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나, 패널(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패널(110)(120)의 각 가장 자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널 마감재(151 ~ 154)를 이용하여 마감한다. 여기서 패널(110)은 사각형태이므로, 패널 마감재도 4개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패널 마감재와 패널 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서리 마감재(160)를 이용하여 마감한다. 모서리 마감재(160)는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모서리를 덮는 마감부(161); 상기 마감부(16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162)(163)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은 상기 한 쌍의 패널(110)(120)을 외부에서 덮는 커버(171)(172)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171)(172)의 재질도 다양한 재질로 사용 가능하나, 무게나 강도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패널(110)(120)은 단열재(130)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다. 여기서 두께는 전체적인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의 무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패널(110)의 내측에는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되는 단열재(130)를 지지하는 구멍이 형성된 결합 부재(111)가 구비되며, 이러한 결합 부재(111)에 간격 유지기(140)를 결합한다. 상기 결합 부재(111)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간격 유지기(140)를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한다. 상기 간격 유지기(140)의 양단은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110)의 결합 부재(111)에 간격 유지기(14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도 4a와 같은 단열재(130)를 간격 유지기(140)에 삽입한다. 여기서 단열재(13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 유지기(140)에 삽입하기 위한 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35)의 위치는 패널(110)의 결합 부재(111)에 대응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열재(130)는 열전도도가 낮은 플라스틱 필름(132)과 내부의 공기층 형성을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망사(그물망)(133)를 교호하여 다층으로 적층하고, 최상부에는 부직포(134)를 적층 한다.
그리고 단열재(130)의 맨 하부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부직포(13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에는 각각 알루미늄(131)이 소정 두께로 증착 또는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열재(13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알루미늄 증착 또는 접착된 면이 하면에 위치하고, 부직포(134)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알루미늄 증착 또는 접착된 면이 상기 부직포(134)와 마주보게 위치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단열재(130)는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접착된 플라스틱 필름(132) 상에 열전도도가 낮은 망사(133)를 적층하고, 그 위에 다시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하고, 그 위에 망사를 적층하는 것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열재(130)는 최하부 및 최상부에 위치하는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접착된 플라스틱 필름을 제외하고, 중간에 적층되는 플라스틱 필름에는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접착되지 않은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유지기(140)에 단열재(130)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다른 패널(120)의 결합부재를 상기 간격 유지기(140)의 일단에 삽입하여 기초 패널을 완성한다.
기초 패널을 완성한 후, 기초 패널의 양면에 각각 커버(171)(172)를 덮는다. 여기서 커버(171)(172)의 재질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기초 패널에 커버(171)(172)를 덮은 후, 가장자리에 도 6과 같은 패널 마감재(151 ~ 154)를 삽입하여 가장자리를 마감한다. 여기서 기초 패널은 사각형태이므로 4개의 가장자리가 있으며, 각각의 가장자리마다 패널 마감재를 삽입하여 가장자리를 마감한다. 패널 마감재(151 ~ 154)는 가장자리에 삽입하여 기초 패널과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 구조를 이용한다. 걸림 구조는 통상의 2개의 패널을 삽입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끼움 홈을 이용하여 기초 패널을 이루는 상·하 패널을 각각의 끼움 홈에 끼워서 결합한다.
기초 패널의 각각의 가장 자리를 패널 마감재(151 ~154)를 이용하여 마감하면, 기초 패널의 각 모서리가 남게 된다. 이러한 모서리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모서리 마감재(160)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마감한다. 예컨대, 모서리 마감재(160)에 형성된 마감부(16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부(162)(163)를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밀착되게 결합한다.
이로써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완성된 조립식 패널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을 일부 분할한 경우, 그 분할면도 패널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을 해야한다.
이때 패널 마감재로 용이하게 마감을 하기 위해서, 패널의 분할 시 패널 마감재(151 ~ 154)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마감부(112)를 각각의 패널(110)(120)에 마련하였다. 이러한 보조 마감부(112)는 적당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나의 패널(110)은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되는 데, 실제 사용시 공간대비 패널이 너무 크거나 작아서 하나의 패널이나 복수의 패널을 그대로 결합해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패널(110)은 패널을 분할하여 사용할 때, 절단된 부분에 그대로 패널 마감재(151 ~154)를 사용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보조 마감부(112)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보조 마감부(112)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조립식 패널을 절단하고, 그 절단면에 바로 패널 마감재를 삽입하여 절단면 가장자리를 마감한다. 이러면 용이하게 분할된 패널을 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크기에 맞게 단열용 조립식 패널(100)의 크기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재로 알루미늄 등이 증착된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과 망사가 적층되어 형성된 단열재를 사용하고, 이를 조립식 형태로 결합하여 최종 단열용 조립식 패널을 제작함으로써, 기존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단열패널에 비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면서도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패널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냉동 식품이나 농산물을 장기 저장하기 위한 건축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00: 단열용 조립식 패널
110, 120: 패널
111: 결합 부재
112: 보조 마감부
113: 메인 마감부
130: 단열재
140: 간격 유지기
151 ~ 154: 패널 마감재
160: 모서리 마감재
161: 마감부
162, 163: 제1 및 제2 결합부
171, 172: 커버

Claims (6)

  1. 조립식 패널의 양면인 한 쌍의 패널;
    상기 한 쌍의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한 쌍의 패널의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복수의 패널 마감재; 및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은 가장 자리에 상기 패널 마감재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인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은 패널의 분할 시 상기 패널 마감재와 결합하여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교호로 적층된 복수의 플라스틱 필름과 플라스틱 망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에서 최하부의 플라스틱 필름과 최상부의 플라스틱 필름에는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은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며, 삽입되는 단열재를 지지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삽입시켜 고정하며, 상기 한 쌍의 패널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을 외부에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재는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모서리를 덮는 마감부; 상기 마감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 마감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조립식 패널.


KR1020140092833A 2014-07-22 2014-07-22 단열용 조립식 패널 KR10174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33A KR101743634B1 (ko) 2014-07-22 2014-07-22 단열용 조립식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33A KR101743634B1 (ko) 2014-07-22 2014-07-22 단열용 조립식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42A KR20160011542A (ko) 2016-02-01
KR101743634B1 true KR101743634B1 (ko) 2017-06-07

Family

ID=5535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833A KR101743634B1 (ko) 2014-07-22 2014-07-22 단열용 조립식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956B1 (ko) 2021-07-15 2022-02-18 (주)티엔팀버 조립식 단열 패널
KR102373106B1 (ko) * 2020-09-14 2022-03-11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992B1 (ko) * 2016-02-05 2016-10-06 이청용 조립식 경량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658Y1 (ko) * 2002-09-07 2002-12-05 진 정 절단이 용이한 마루 바닥재
KR200391703Y1 (ko) * 2005-05-09 2005-08-08 조은판넬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13231274A (ja) * 2012-04-27 2013-11-14 Hoshizaki Electric Co Ltd プレハブ式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014Y1 (ko) 1999-08-27 2000-02-15 주식회사삼원기연 냉동 캐비넷용 냉동 패널
KR100678416B1 (ko) 2006-10-16 2007-02-02 주식회사삼원기연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
KR200437928Y1 (ko) 2007-09-21 2008-01-08 주식회사 유티알 냉장, 냉동용 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658Y1 (ko) * 2002-09-07 2002-12-05 진 정 절단이 용이한 마루 바닥재
KR200391703Y1 (ko) * 2005-05-09 2005-08-08 조은판넬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13231274A (ja) * 2012-04-27 2013-11-14 Hoshizaki Electric Co Ltd プレハブ式貯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106B1 (ko) * 2020-09-14 2022-03-11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364956B1 (ko) 2021-07-15 2022-02-18 (주)티엔팀버 조립식 단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42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8671A1 (en) Gas barrier for vacuum insulation
KR101743634B1 (ko) 단열용 조립식 패널
JP5494762B2 (ja) 断熱強化構造および断熱強化構造の施工方法
JPH09101080A (ja) 特に冷蔵庫及び同類の家庭電気機器のための改良された容器区画室
JP2005345025A (ja) 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22569B2 (en) Vacuum insulated door construction
MX2014006569A (es) Serie de panel de aislamiento para pared.
JP2009092222A (ja) 真空断熱パネルと保温箱
JP2008185220A (ja) 真空断熱材
US20070267420A1 (en) Insulated container including ultraviolet and/or infrared blocking films
JP2010047902A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TWI727629B (zh) 冰箱
US9687089B2 (en) Insulated foam panels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s
JP2016037791A (ja) 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の製造方法並びに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
US20080136302A1 (en) Interlocking Wall Sections for Refrigerated Enclosures
JP6014358B2 (ja) プレハブ式貯蔵庫
KR101486044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JP3219140U (ja) 折り畳み式断熱パネル
KR101955682B1 (ko) 복합 단열판재
JP2018105041A (ja) 外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80001315A (ko) 복합단열재
KR20160061249A (ko) 진공단열패널 및 진공단열패널을 사용한 냉장고
KR101135512B1 (ko) 냉동탑차용 진공 냉동패널 및 냉동박스
EP3620084B1 (en) Refrigerated display counter with improved insulation system
JP2018151112A (ja) 組立式断熱箱体および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