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106B1 -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106B1
KR102373106B1 KR1020217000693A KR20217000693A KR102373106B1 KR 102373106 B1 KR102373106 B1 KR 102373106B1 KR 1020217000693 A KR1020217000693 A KR 1020217000693A KR 20217000693 A KR20217000693 A KR 20217000693A KR 102373106 B1 KR102373106 B1 KR 10237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lid
container
outer bod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아
김창호
전혜림
고은별
백경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12Infrared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태양에서, 단열 용기는 제1 접합 영역이 형성된 외부 용기; 제2 접합 영역이 형성된 내부 용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정의되는 단열재 배치 영역; 및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단열재와 외부 용기 또는 내부 용기의 내면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발달하고 언택트(untact) 산업, K 푸드(K-food) 산업 또는 마케팅이 주목받게 됨에 따라, 상품을 보관 또는 운송하기 위한 용기의 단열 성능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 또는 냉동 식품과 같은 상품을,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구매자에게 배송 또는 보관하기 위해, 단열 성능이 우수한 용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의약품의 경우 온도 변화에 특히 민감하며, 그 운송 거리가 국가 간에 걸칠 정도로 길다. 이러한 의약품의 운송 과정에서, 외부 환경(예를 들어, 용기가 아스팔트 도로로 운송되는 환경, 냉동 냉장 창고로 운송되는 환경, 비행기, 선박, 트럭 등으로 운송되는 환경,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창고에서 보관되는 환경, 다양한 기후 환경 등)의 변화로 인해 용기의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의약품을 비롯한 제품의 상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손상 또는 변형에 대해 강인한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 성능 및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한 손상 또는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개선한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열 용기의 품질 및 제조 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청정 진동 기술을 이용한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는, 제1 접합 영역이 형성된 외부 용기; 제2 접합 영역이 형성된 내부 용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정의되는 단열재 배치 영역; 및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단열재와 외부 용기 또는 내부 용기의 내면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는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내부 용기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 및 내부 용기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이격 영역은, 단열재 배치 영역과 외부 용기의 내면 사이에 정의되는 제1 이격 영역 및 단열재 배치 영역과 내부 용기의 내면 사이에 정의되는 제2 이격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는 제1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고,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재 배치 영역은 주 단열재를 배치하기 위한 주 단열재 배치 영역 및 보조 단열재를 배치하기 위한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는 제1 접합 영역 및 제2 접합 영역에 대한 적외선 진동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외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외부 뚜껑을 포함하고 내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내부 뚜껑을 포함하거나, 외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외부 바디를 포함하고 내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내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내부 바디 상에 형성되는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외부 바디 및 내부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냉매 배치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외부 바디 상에 형성되는 추가 바닥면 체결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 용기는, 외부 바디 및 내부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데이터 로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은, 제1 접합 영역이 정의된 외부 용기를 성형하는 단계; 제2 접합 영역이 정의된 내부 용기를 성형하는 단계;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내부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적외선 진동 융착을 수행하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접합하는 단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제1 접합 영역 및 제2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단계;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고정하는 단계;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서로 가압하는 단계;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마찰 및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가압을 유지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외부 용기를 성형하는 단계는,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열재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에 의해 외부 용기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내부 용기를 성형하는 단계는, 내부 용기의 내면 상에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열재는 제2 단열재 지지 리브에 의해 내부 용기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외부 용기를 성형하는 단계는,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내부 용기를 성형하는 단계는, 내부 용기의 내면 상에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열재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에 의해 외부 용기의 내면과 이격되고, 제2 단열재 지지 리브에 의해 내부 용기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재는 주 단열재 및 보조 단열재를 포함하고,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주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외부 용기의 내면 상에 보조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외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외부 뚜껑을 포함하고 내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내부 뚜껑을 포함하거나, 외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외부 바디를 포함하고 내부 용기는 단열 용기의 내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외부 바디와 내부 바디에 의해 정의되는 5면에 맞도록 접힌 구조를 갖는 단일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따르면,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한 손상 또는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약품, 과일, 수산물 등 신선 식품의 운송 또는 보관에 있어서 온도 유지 효과가 탁월하여 폐기율 및 감모율을 낮추고 선도 유지를 할 수 있으며,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다층 구조로 인해 단열 용기의 단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접합 구조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를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차단 및 보호할 수 있으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제조 시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폐기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또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접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청정 진동 기술을 이용함에 따라, 단열 용기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용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제조 용이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열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냉매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추가 바닥면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고, 도 9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티로폼 대비 진공단열재의 전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 내지 13은 진공단열재를 적용한 용기와 그렇지 않은 용기의 단열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와 스티로폼 박스의 적재 높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는 제1 접합 영역이 형성된 외부 용기, 제2 접합 영역이 형성된 내부 용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에 정의되는 단열재 배치 영역 및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단열재와 외부 용기 또는 내부 용기의 내면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을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거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과 상기 기재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열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본체(100) 및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물품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뚜껑(300)은 본체(100)에 체결되어 본체(100)의 물품 수용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단열 용기(1)는 본체(100)에 수용되는 물품에 대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열 손실 또는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를 본체(100) 또는 뚜껑(300) 내에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진공단열재(200)를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외부 바디(110) 및 내부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는 서로 겹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는 본체(100)의 상부 모서리 부분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외부 바디(110) 중 상부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1 접합 영역이 형성되고, 내부 바디(120) 중 상부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접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을 맞닿게 한 후, 이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를 접합 결합할 수 있다. 제1 접합 영역은 도 3에서 C1으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고, 제2 접합 영역은 도 3에서 C2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설계 목적에 따라 세부적인 위치 또는 면적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가 접합 결합됨에 따라,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 사이에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으며, 진공단열재(200)가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접합 결합 구조는,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를 외부로부터 차단 및 보호할 수 있다.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은 도 3에서 S1으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는,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에 의해 정의되는 5면에 맞도록 접힌 구조를 갖는 단일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5면 각각에 판상형 구조의 단열재가 5개로 형성되는 것과 다르게, 본체(100)의 측부 모서리 부분과 하부 모서리 부분까지 단열재로 감싸도록 단일 단열재를 5면에 맞도록 접어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단일 단열재를 5면에 맞도록 접는 방식은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본체(100)는 진공단열재(200) 대신 임의의 종류의 단열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 Styrene), XPS(eXtruded Poly Styrene), 글라스울,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단열재 등 임의의 종류의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은 주 단열재(진공단열재(200))를 배치하기 위한 제1 주 단열재 배치 영역 및 보조 단열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1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에 주 단열재에 추가로 보조 단열재를 배치함으로써, 본체(100)의 단열 성능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제1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은 제1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특정 위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임의의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에는 주 단열재(진공단열재(200))만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에는 주 단열재(진공단열재(200)) 및 보조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주 단열재와 보조 단열재의 배치는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보조 단열재는, 주 단열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진공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종류의 단열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뚜껑(300) 역시 그 내부에 진공단열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300)은 역시 외부 뚜껑(310) 및 내부 뚜껑(3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은 서로 겹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은 뚜껑(300)의 테두리 부분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외부 뚜껑(310) 중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3 접합 영역이 형성되고, 내부 뚜껑(320) 중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4 접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접합 영역과 제4 접합 영역을 맞닿게 한 후, 이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을 접합 결합할 수 있다. 제3 접합 영역은 도 3에서 C3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고, 제4 접합 영역은 도 3에서 C4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설계 목적에 따라 세부적인 위치 또는 면적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이 접합 결합됨에 따라,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 사이에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으며, 진공단열재(202)가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의 접합 결합 구조는,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2)를 외부로부터 차단 및 보호할 수 있다.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2)는 판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은 도 3에서 S2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2)는,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에 의해 정의되는 1면에 맞도록 판상형 구조를 갖는 단일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단열재(202)는 뚜껑(300)의 상면의 형상과 유사하도록,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뚜껑(300)의 대부분의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진공단열재(202)는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5로부터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 사이에 뚜껑(300)과 그 상면의 형상이 유사하도록 제2 단열재 배치 영역(S2)이 정의되고 해당 영역에 판상형의 진공단열재(202)가 배치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물론, 진공단열재(202)은 다른 다양항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뚜껑(300)은 진공단열재(202) 대신 임의의 종류의 단열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뚜껑(300)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 Styrene), XPS(eXtruded Poly Styrene), 글라스울,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단열재 등 임의의 종류의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은 주 단열재(진공단열재(202))를 배치하기 위한 제2 주 단열재 배치 영역 및 보조 단열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2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 주 단열재에 추가로 보조 단열재를 배치함으로써, 뚜껑(300)의 단열 성능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제2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은 제2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특정 위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임의의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는 주 단열재(진공단열재(202))만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에는 주 단열재(진공단열재(202)) 및 보조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 단열재 배치 영역 내에서 주 단열재와 보조 단열재의 배치는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보조 단열재는, 주 단열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진공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종류의 단열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외부 용기"는 외부 바디(110) 또는 외부 뚜껑(310)을 모두 지칭할 수 있으며, "내부 용기"는 내부 바디(120) 또는 내부 뚜껑(320)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 용기(110, 310)는 외부 바디(110) 및 외부 뚜껑(3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용기(120, 320)는 내부 바디(120) 및 내부 뚜껑(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단열 용기(1)는 본체(100)와 뚜껑(300) 사이에 실리콘 가이드(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가이드(302)는 본체(100)와 뚜껑(300)을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하여, 단열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단열 용기(1)의 본체(100) 및 뚜껑(300)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체(100) 및 뚜껑(300)을 열전도도가 낮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함에 따라, 소재 자체로부터 기인하는 단열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PC(polycarbonat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는 단일 소재만을 채택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소재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단열 용기(1)에 진공단열재(200, 202)가 사용되는 경우, 진공단열재(200, 202)는 심재, 외피재 및 흡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외부로의 열 손실 또는 유입을 줄이기 위한 재료로, 낮은 열전도도를 갖도록 제조되며, 보냉제, 보온재, 단열재, 내화 단열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진공단열재는 단열 성능을 갖는 심재를, 가스투과율이 낮은 가스차단 필름으로 구성된 외피재로 감싸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단열재보다 확연히 낮은 열전도도를 실현한 것으로, 그 우수한 단열 성능으로 인해 보냉 및 보온과 같은 단열이 필요한 다양한 환경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진공 단열재는 냉장고, 자동 판매기, 보냉차, 건축 자재, 배관 설비 등 단열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심재로는, 유기 섬유, 무기 섬유, 분말, 발포 단열재와 같은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외피재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면 임의의 소재를 사용한 심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심재는 단일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혼합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단일 층 구조를 갖도록 제조되거나 적층 구조를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외피재는 심재를 진공 포장하기 위해 심재를 감싸는 봉지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름, 금속 배리어층 및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재는 필름의 형태로 제조되어 가스 및 수분 투과를 방지하여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심재를 보호 및 실링하며, 열 복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외피재는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비닐-알코올(PVOH), 산화 그래핀(PVA/GO), 폴리 락트산(PLA) 및 나일론(nyl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고, 금속층으로서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으로 형성되는 알루미늄 박 또는 동 박(copper foil)을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외피재 내에 심재와 함께 배치되는 흡착재는 진공단열재 내부의 가스 및 수분을 흡착하여 내부 진공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흡착재로서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탄, 지르코늄, 바륨화합물, 리튬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 칼슘 화합물, 예컨대, 산화칼슘(CaO) 등 흡습 역할을 하는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파우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진공단열재의 외피재는 일반적으로 얇은 두께의 박판(예를 들어, 8 um 수준의 알루미늄 박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피재가 손상되는 경우 손상 부위를 통해 가스 및 수분이 통과할 우려가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의 본체(100) 및 뚜껑(300)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를 손상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여 단열 효과를 보장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되었다. 단열 용기(1)가 진공단열재 이외의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열재의 손상은 단열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는데, 단열 용기(1)의 구조는 이러한 경우에도 단열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진공단열재 자체로 인해 획득할 수 있는 단열 효과와 별개로, 용기 자체의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단열 효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세척 및 다회성 사용이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발포 단열재를 사용한 기존의 단열 용기의 경우 외압 또는 외력에 의한 손상에 취약하여 작은 크랙(crack)에 의해서도 열전도도가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주로 일회용 사용이기 때문에 환경 문제와도 관련이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진공단열재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 및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되는 과정에서, 청정 진동 기술(Clean Vibration Technology, CVT)을 사용하여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용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제조 용이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바디(110) 중 상부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1 접합 영역이 형성되고, 내부 바디(120) 중 상부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접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을 맞닿게 한 후, 이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를 접합 결합할 수 있고, 외부 뚜껑(310) 중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3 접합 영역이 형성되고, 내부 뚜껑(320) 중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4 접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접합 영역과 제4 접합 영역을 맞닿게 한 후, 이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을 접합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융착 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플라스틱 융착 기술로, 열판 융착 또는 진동 융착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열판 융착은, 상, 하 지그(jig)에 고정된 융착물을 재질의 용융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로 가열된 열판으로 가압하여 가열, 연화 및 용융을 거친 후 융착부 부위가 충분히 녹았을 때 열판을 제거하고 상호 가압한 후 굳을 때까지 냉각시키는 융착 방식이며, 진동 융착은 열가소성 수지의 제품 간에 가압을 하면서 상부 지그의 좌우 진동을 통해 접촉 부위에서 발생되는 마찰열로 수지를 용융 시키고 충분한 용융 후 지속적인 가압과 냉각으로 융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열판 융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 전도체가 제품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융착이 진행되므로, 융착 표면이 훼손되거나, 이에 따른 접합 강도의 저하가 있을 수 있고, 가압에 의한 전도열에 의해 융착부를 용융함에 따라 융착부에 대한 지지력 확보가 필요하므로 설계의 자유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융착 후 외부로 용융물이 새어 나와 생기는 버(burr) 또는 보푸라기(fluff)를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융착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융 후 모재 외측으로 용융물이 돌출될 수는 있다는 문제가 있어서, 열판 융착 또는 진동 융착 방식으로 단열 용기(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내구성이 높지 않고 외관 품질이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는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에 대한 적외선 진동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은 제3 접합 영역과 제4 접합 영역에 대한 적외선 진동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즉, 단열 용기(1)의 제조 방법은, 제1 접합 영역이 정의된 외부 바디(110)를 성형하는 단계; 제2 접합 영역이 정의된 내부 바디(120)를 성형하는 단계; 외부 바디(110)의 내면 상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외부 바디(110)의 내면 상에 내부 바디(120)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적외선 진동 융착을 수행하여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하는 단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제1 접합 영역 및 제2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단계;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를 고정하는 단계; 외부 바디(110) 및 내부 바디(120)를 서로 가압하는 단계; 외부 바디(110) 및 내부 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마찰 및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가압을 유지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열 용기(1)의 제조 방법은, 제3 접합 영역이 정의된 외부 뚜껑(310)을 성형하는 단계; 제4 접합 영역이 정의된 내부 뚜껑(320)을 성형하는 단계; 외부 뚜껑(310)의 내면 상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외부 뚜껑(310)의 내면 상에 내부 뚜껑(32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적외선 진동 융착을 수행하여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하는 단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제3 접합 영역 및 제4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단계; 제3 접합 영역과 제4 접합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을 고정하는 단계; 외부 뚜껑(310) 및 내부 뚜껑(320)을 서로 가압하는 단계; 외부 뚜껑(310) 및 내부 뚜껑(320)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마찰 및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가압을 유지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진동 융착은 적외선 램프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제품의 결합면에 조사하여 제품의 결합면를 예열한 후 결합하는 방법으로, 적외선이 제품의 결합면에 조사되며 적외선을 받은 제품의 결합면은 적외선에 의하여 예열 되면서 용융되고, 적외선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로 예열된 제품의 결합면을 상/하 작동테이블과 진동 테이블을 이용하여 압착 결합하는 방식이다.
적외선 진동 융착은, 첫째로, 단순 진동 융착 시 발생하는 용융물 돌출의 문제를 해결하여 제품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고, 둘째로, 열판 융착의 경우 열의 전도에 의존하는 직접가열 방식인 반면, 적외선 융착은 열의 전도, 대류뿐만 아니라 매질없이 공간을 통과하여 전달하는 복사열의 복합적인 열전달을 이용하므로 열판 융착보다 플라스틱 부재를 빨리 가열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셋째로, 전기소모량이 비교적 적다. 또한, 진동 융착 시, 용접시 발생하는 버가 용접부에서 이탈하여 제품 내부로 흘러 들어갈 경우 외관 불량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열 용기(1)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용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제조 용이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외부 용기(110, 310)를 내부 용기(120, 320)에 융착하는 과정에서 외부 용기(110, 310)와 내부 용기(120, 320)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이로 인해 외부 용기(110, 310)와 내부 용기(120, 320)의 접합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용융물이 단열 용기(1) 외부로 나와 버 또는 보푸라기가 형성되어 단열 용기(1)의 외관 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따르면, 단열 용기(1) 제조 시 융착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소모량을 낮추어 효율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단열 용기(1)의 제조 방법의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외부 용기(110, 310)의 내면 상에 주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외부 용기(110, 310)의 내면 상에 보조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단열 용기(1)의 제조 방법의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에 의해 정의되는 5면에 맞도록 접힌 구조를 갖는 단일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단열 용기(1)의 구조에 대해 더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가 접합 결합됨에 따라,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 사이에 제1 단열재 배치 영역(S1)이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단열재 배치 영역(S1)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는,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에 의해 정의되는 5면에 맞도록 접힌 단일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1장의 진공단열재를 접어서 5면을 모두 덮도록 배치함으로써, 각 면에 판상형 진공단열재를 개별적으로 삽입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개별적으로 삽입된 각각의 진공단열재들 사이의 간극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 높은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 사이의 제1 단열재 배치 영역(S1)에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됨으로써,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2중 플라스틱 소재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단열 효과와, 진공단열재(200) 자체로 인한 단열 효과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이 접합 결합됨에 따라,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 사이에 제2 단열재 배치 영역(S2)이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 사이의 제2 단열재 배치 영역(S2)에 진공단열재(202)가 배치됨으로써,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의 2중 플라스틱 소재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단열 효과와, 진공단열재(202) 자체로 인한 단열 효과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와 뚜껑(300) 사이의 실리콘 가이드(302)는 본체(100)와 뚜껑(300)을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하여, 전술한 단열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실리콘 가이드(302)가 내부 뚜껑(32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리콘 가이드(302)는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임의의 형상 또는 배치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부 뚜껑(320)은 내부 바디(120)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뚜껑(310)이 외부 바디(110)에 잠금장치(130)로 체결되도록 하여, 단열 효과를 추가로 강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단면도에서 A로 표시한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용기(1)의 본체(100)에는, 제1 단열재 배치 영역(S1) 내에서 진공단열재(200)와 외부 바디(110) 또는 내부 바디(120)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S3, S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단열재(200)와 외부 바디(110) 사이에 이격 영역(S3)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진공단열재(200)는 외부 바디(110)의 내면에 안착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와 같은 구조물에 의해, 외부 바디(110)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는 외부 바디(110)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이격 영역(S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2중 플라스틱 소재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단열 효과 및 진공단열재(200) 자체로 인한 단열 효과에, 이격 영역(S3)에 형성된 공기 층에 의해 열 손실 또는 열 유입이 추가로 저지되는 단열 효과까지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진공단열재(200)와 내부 바디(120) 사이에 이격 영역(S4)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진공단열재(200)는 내부 바디(120)의 내면에 안착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와 같은 구조물에 의해, 내부 바디(120)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는 내부 바디(120)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이격 영역(S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2중 플라스틱 소재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단열 효과 및 진공단열재(1) 자체로 인한 단열 효과에, 이격 영역(S4)에 형성된 공기 층에 의해 열 손실 또는 열 유입이 추가로 저지되는 단열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진공단열재(200)와 외부 바디(110) 사이의 이격 영역(S3)과, 진공단열재(200)와 내부 바디(120) 사이의 이격 영역(S4)이 모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이격 영역(S3)과 이격 영역(S4)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도록 단열 용기(1)가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단열재 지지 리브(L1, L2)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설계 목적에 따라 세부적인 위치 또는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열재 지지 리브(L1, L2)는 외부 바디(110)의 모서리에서 진공단열재(200)가 접히는 부분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단열재 지지 리브(L1, L2)의 형성 위치 및 방향은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영역(S3) 내에 형성되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는 외부 바디(110) 중 도 4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밑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는 외부 바디(11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해당 모서리의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가 해당 모서리의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외부 바디(11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a)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되, 외부 바디(11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a)의 외면과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바디(110)의 내면은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a)를 마주보는 면을 말하며, 외피재(220a)의 외면은 외부 바디(110)의 내면을 마주보는 면을 말한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예로, 이격 영역(S3) 내에 형성되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는 외부 바디(110) 중 도 4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옆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 4에서,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가 밑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 또는 옆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외부 바디(11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a)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되, 외부 바디(11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a)의 외면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격 영역(S3) 내에 형성되는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의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예를 들어, 이격 영역(S4) 내에 형성되는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 역시 내부 바디(120) 중 도 4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밑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는 내부 바디(12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해당 모서리의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가 해당 모서리의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내부 바디(12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b)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되, 내부 바디(12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b)의 외면과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바디(120)의 내면은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b)를 마주보는 면을 말하며, 외피재(220b)의 외면은 내부 바디(120)의 내면을 마주보는 면을 말한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예로, 이격 영역(S4) 내에 형성되는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는 내부 바디(120) 중 도 4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옆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 4에서,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가 밑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 또는 옆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내부 바디(12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b)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되, 내부 바디(120)의 내면과 진공단열재(200)의 외피재(220b)의 외면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격 영역(S4) 내에 형성되는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의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바디(110), 제1 이격 영역(S3), 진공단열재(200)를 이루는 외피재(220a), 심재(210) 및 외피재(220b), 제2 이격 영역(S4) 및 내부 바디(120)의 7중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외부 바디(110) 및 내부 바디(120)의 내면 상에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 및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외부 바디(110), 이격 영역(S3), 진공단열재(200)를 이루는 외피재(220a), 심재(210) 및 외피재(220b) 및 내부 바디(120)의 6중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외부 바디(110)의 내면 상에 제1 단열재 지지 리브(L1)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외부 바디(110), 진공단열재(200)를 이루는 외피재(220a), 심재(210) 및 외피재(220b), 이격 영역(S4) 및 내부 바디(120)의 6중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내부 바디(120)의 내면 상에 제2 단열재 지지 리브(L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단열 용기(1)의 뚜껑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외부 뚜껑(310), 진공단열재(202)를 이루는 외피재(222a), 심재(212) 및 외피재(222b), 내부 뚜껑(320),외부 뚜껑(310)과 진공단열재(202)의 외피재(222a)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S5) 및 진공단열재(202)의 외피재(222b)와 내부 뚜껑(320)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S5)의 7중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외부 뚜껑(310) 및 내부 뚜껑(320)의 내면 상에 제3 단열재 지지 리브(L3) 및 제4 단열재 지지 리브(L4)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재 지지 리브(L3, L4)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열재 지지 리브(L1, L2)에 대한 내용을 그대로 또는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외부 뚜껑(310), 이격 영역(S5), 진공단열재(202)를 이루는 외피재(222a), 심재(212) 및 외피재(222b) 및 내부 뚜껑(320)의 6중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외부 뚜껑(310)의 내면 상에 단열재 지지 리브(L3)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외부 뚜껑(310), 진공단열재(202)를 이루는 외피재(222a), 심재(212) 및 외피재(222b), 이격 영역(S6) 및 내부 뚜껑(320)의 6중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내부 뚜껑(320)의 내면 상에 단열재 지지 리브(L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태양에 따르면, 열전도도가 낮은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 용기(110, 310), 이격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 층, 진공단열재의 외피재 및 심재, 그리고 열전도도가 낮은 플라스틱 소재의 내부 용기(120, 320)의 여러 층을 조합하여 형성한 다층 구조로 단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C-C'선은 B-B'선에 직교하는 것으로, 도 3 대비 단열 용기(1)의 다른 각도에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외부 바디(110)와 내부 바디(120)의 접합 결합 구조와 외부 뚜껑(310)과 내부 뚜껑(320)의 접합 결합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내부 바디(120) 상에 형성되는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 분리 구조는 내부 바디(12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40)과, 복수의 홈(140) 중 일부에 끼워져 물품 수용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분리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는 분리판(400)을 양쪽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내부 바디(12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홈(14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의 (b)는 분리판(400)이 복수의 홈 중 중앙에 배치된 한 쌍의 홈에 끼워진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열 용기(1)는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냉동 제품과 냉장 제품과 같이 요구되는 보관 온도가 상이한 제품들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가 물품 수용 공간 전체에 비해 상당히 작은 경우,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이용하여 물품 수용 공간의 일부분에만 물품을 적재함으로써, 운송 과정에서 제품이 용기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어 제품 손상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냉매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외부 바디(110) 및 내부 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냉매 배치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 배치 영역에 냉매를 탑재함으로써, 단열 용기(1) 내에서 온도 분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용기 내에서 온도 분배가 불균일할수록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열기에 대한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에, 단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점을 개선한 것이다. 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PCM(Phase Change Material) 냉매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냉각 작용을 충분히 일으킬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냉매 배치 영역은 단열 용기(1) 내에서의 대류를 촉진할 수 있는 단열 용기(1)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배치 영역은 뚜껑(300)의 내측 면, 즉, 내부 뚜껑(320) 상에 정의될 수 있다. 내부 뚜껑(320) 상에 정의되는 냉매 배치 영역에 냉매가 배치되고, 냉매를 고정하기 위해 패브릭(fabric) 소재의 그물망(144)을 고정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프레임(142)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뚜껑(320) 상에는 프레임(142)을 내부 뚜껑(320)에 결합 고정하기 결합 고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고정 구조로 돌출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42)은 돌출부(146)를 통해 내부 뚜껑(320)에 결합 고정되어, 내부 뚜껑(320)과 그물망(144) 사이에 배치되는 냉매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냉매 배치 영역에 냉매를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142) 및 그물망(144) 구조가 아닌 임의의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고, 프레임(142)을 내부 뚜껑(320)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구조 역시 돌출부(146)가 아닌 임의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 배치 영역은 본체(200)의 내측 면, 즉, 내부 바디(120) 상에 정의될 수도 있다. 내부 바디(120)의 5면 중 적어도 1면 상에 정의되는 냉매 배치 영역에 냉매가 배치되고, 냉매를 고정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즉, 냉매 배치 영역은 뚜껑(300)의 내측 1면 및 본체(200)의 내측 5면 중 적어도 1면에 정의될 수 있고, 냉매 배치 영역에 냉매가 배치됨으로써, 단열 용기(1) 내에서 온도 분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냉매는 경우에 따라 단열 용기(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매 배치 영역은 뚜껑(300)의 외측 1면 및 본체(200)의 외측 5면 중 적어도 1면에 정의될 수 있고, 해당 냉매 배치 영역에 냉매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의 추가 바닥면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고, 도 9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외부 바디(110) 상에 형성되는 추가 바닥면 체결 영역(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바닥면 체결 영역(150)은 추가 바닥면(500)을 외부 바디(110)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나 개수 등은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 바닥면 체결 영역(150)에 대응되도록 추가 바닥면(500)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추가 바닥면 돌출부(510) 역시, 그 형상이나 개수 등은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바닥면(500)은 필요에 따라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바디(110)로부터 제거되거나,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바디(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대량의 단열 용기(1)들을 이동시키는 상황에서는 추가 바닥면(500)을 외부 바디(110)로부터 제거하여, 단열 용기(1)가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단열 용기(1)들을 수직으로 적재하여 보관하는 상황에서는 추가 바닥면(500)을 외부 바디(110)에 결합시켜, 추가 바닥면(500)의 하부에 돌출된 다리부가 아래에 배치되는 다른 단열 용기의 뚜껑에 맞춤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단열 용기(1)는 데이터 로거를 탑재하여 단열 용기(1) 내의 온도 및 습도, 단열 용기(1)의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로거는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센서, 이외 수집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필요한 다양한 센서들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 용기(1)의 운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한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충격량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는 경우, 데이터 로거에 충격량을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로거는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예컨대 MCU(Micro Controller Unit),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 또는 스토리지 장치, 배터리,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로거는 수집된 데이터 또는 수집된 데이터에 관련된 메타 정보 등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칩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로거는 수집된 데이터 또는 수집된 데이터에 관련된 메타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에 의해 수집된 정보로부터, 단열 용기(1) 내에서 물품이 보관되는 상황 또는 물품이 적재된 단열 용기(1)가 운송 또는 이송 중인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데이터 로거는 단열 용기(1)의 전면부에 탑재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로거의 크기, 무게, 형상, 활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단열 용기(1)의 외부 또는 내부를 비롯한 임의의 위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따르면,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한 손상 또는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약품, 과일, 수산물 등 신선 식품의 운송 또는 보관에 있어서 온도 유지 효과가 탁월하여 폐기율 및 감모율을 낮추고 선도 유지를 할 수 있으며,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다층 구조로 인해 단열 용기의 단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접합 구조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를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차단 및 보호할 수 있으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제조 시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폐기시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또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접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청정 진동 기술을 이용함에 따라, 단열 용기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용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제조 용이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0은 스티로폼 대비 진공단열재의 전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는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를 적용한 용기와, 발포 폴리스티렌(일반적인 스티로폼)을 적용한 용기의 열 전도율을 측정하여 단열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을 위해,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를 용기의 6면에 부착하였고, 비슷한 규격의 스티로폼 박스에 대해 비교하였다. 용기 내부 온도를 약 7 ℃로 시작하였으며, 초기 외부 온도를 약 23 ℃로 조정하고, 2시간 이후에 약 35 ℃로 약 1시간 유지 후 다시 약 30 ℃로 6 시간 정도 유지하였다. 이 때, 단열재 표면의 온도가 10 ℃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21002698170-pct00001
위 표 1 및 도 10의 10 ℃ 도달시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를 적용한 용기의 단열 성능이 약 2~3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스티로폼의 열 전도율은 약 0.043 W/mk이며,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의 열 전도율은 약 0.0019 W/mk으로, 약 20 배 이상의 열 전도율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로폼은 온도변화가 진공단열재가 포함된 용기에 비해 초반에 급격하게 상승하였으며, 이로부터 짧은 운송시간이 걸리는 물품의 배송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 훨씬 온도 보존이 용이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도 11 내지 13은 진공단열재를 적용한 용기와 그렇지 않은 용기의 단열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용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공단열재를 적용하지 않은 플라스틱 용기와 진공단열재를 총 6면에 적용한 용기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부에 햄을 넣었으며, 냉장제품의 상한 온도인 약 8 ℃에 도달하는 시간과 시간당 온도 상승률을 측정하였다. 외부 온도 조건은 25 ℃였다.
[표 2]
Figure 112021002698170-pct00002
위 표 2 및 도 11 내지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를 적용한 용기 바닥을 비교해보면, 약 8 ℃ 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9시간이 소요된 반면, 진공단열재를 적용하지 않은 용기 바닥의 경우 약 20분만 소요되어, 진공단열재에 의한 단열효과가 약 27배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내부 햄의 경우 약 2.5배, 용기 내부의 경우 약 4배 정도의 단열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3
도 14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와 스티로폼 박스의 적재 높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가 외부 용기, 내부 용기, 이격 영역 등을 포함함에 의해 적층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보관용이성이 감소하는지를 확인해보았다. 공함의 뚜껑을 제외한 단일 용기의 높이가 약 81.4 cm이고, 뚜껑을 포함한 경우 약 99.5 cm인 용기를 7단 높이로 적층한 결과를 아래 표 3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21002698170-pct00003
표 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용기의 적재높이는 스티로폼 용기 대비 20 cm 이상 차이가 났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용기는 물량대비 적재 높이가 낮아 공간 활용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뚜껑을 제외한 단열 용기를 적층한 경우 상부 바디가 하부 커버에 물리는 방식을 나타냄으로 적재시 안정감이 우수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단열 용기로서,
    외부 바디 및 외부 뚜껑;
    상기 외부 바디와 접합되는 내부 바디 및 상기 외부 뚜껑과 접합되는 내부 뚜껑;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 사이에 정의되는 제1 단열재 배치 영역; 및
    상기 외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 사이에 정의되는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은, 단열재,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중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단열재 지지 리브 및 상기 내부 바디의 내면 중 모서리에 형성된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외피재로서 심재를 감싸는 가스 차단 필름을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이고,
    상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 및 상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및 상기 내부 바디의 내면 모두와 이격되도록 상기 진공단열재를 지지하여,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진공단열재 사이 및 상기 내부 바디와 상기 진공단열재 사이에 공기 층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바디, 상기 내부 바디, 상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 및 상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모두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 용기는, 상기 외부 바디,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사이의 이격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 층,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상기 심재,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상기 내부 바디와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사이의 이격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 층 및 상기 내부 바디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단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는 상기 외부 바디의 모서리에서 상기 단열재가 접히는 부분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단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상기 내부 바디의 모서리에서 상기 단열재가 접히는 부분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단열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는 상기 외부 바디의 모서리에서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단열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상기 내부 바디의 모서리에서 상기 내부 바디의 내면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단열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재 배치 영역은 제1 주 단열재 배치 영역 및 제1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단열재 배치 영역은 제2 주 단열재 배치 영역 및 제2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을 포함하는, 단열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 그리고 상기 외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은 적외선 진동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단열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디 상에 형성되는 내부공간 분리 구조를 더 포함하는 단열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디 및 상기 내부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냉매 배치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열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디 상에 형성되는 추가 바닥면 체결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열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디 및 상기 내부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데이터 로거를 더 포함하는 단열 용기.
  12.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접합 영역이 정의된 외부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
    제2 접합 영역이 정의된 내부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상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바디의 상기 내면 상에 상기 내부 바디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적외선 진동 융착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중 모서리에 제1 단열재 지지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바디의 내면 중 모서리에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외피재로서 심재를 감싸는 가스 차단 필름을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이고,
    상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 및 상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및 상기 내부 바디의 내면 모두와 이격되도록 상기 진공단열재를 지지하여,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진공단열재 사이 및 상기 내부 바디와 상기 진공단열재 사이에 공기 층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바디, 상기 내부 바디, 상기 제1 단열재 지지 리브 및 상기 제2 단열재 지지 리브는 모두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 용기는, 상기 외부 바디,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사이의 이격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 층,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상기 심재,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상기 내부 바디와 상기 가스 차단 필름 사이의 이격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 층 및 상기 내부 바디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를 접합하는 단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접합 영역 및 상기 제2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바디 및 상기 내부 바디를 서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바디 및 상기 내부 바디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마찰 및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압을 유지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3 접합 영역이 정의된 외부 뚜껑을 성형하는 단계;
    제4 접합 영역이 정의된 내부 뚜껑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 사이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적외선 진동 융착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을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을 접합하는 단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접합 영역 및 상기 제3 접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3 접합 영역과 상기 제4 접합 영역이 서로 접촉하도록 상기 외부 뚜껑과 상기 내부 뚜껑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을 서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마찰 및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압을 유지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주 단열재 및 보조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상에 상기 주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바디의 내면 상에 상기 보조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바디와 상기 내부 바디에 의해 정의되는 5면에 맞도록 접힌 구조를 갖는 단일 단열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에, 상기 제1 주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된 단열재와 상이한 종류의 단열재가 배치되거나,
    상기 제2 보조 단열재 배치 영역에, 상기 제2 주 단열재 배치 영역에 배치된 단열재와 상이한 종류의 단열재가 배치되는, 단열 용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열재는, 상기 주 단열재와 상이한 종류의 단열재인,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217000693A 2020-09-14 2020-12-31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373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8001 2020-09-14
KR1020200118001 2020-09-14
PCT/KR2020/019506 WO2022055047A1 (ko) 2020-09-14 2020-12-31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106B1 true KR102373106B1 (ko) 2022-03-11

Family

ID=8063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693A KR102373106B1 (ko) 2020-09-14 2020-12-31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3106B1 (ko)
WO (1) WO202205504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006B1 (ko) * 1998-03-05 2001-04-16 쓰치야 히로오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단열뚜껑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40107336A (ko) * 2011-12-05 2014-09-04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벽 단열 패널
KR20150069848A (ko) * 2013-12-16 2015-06-24 에스엘 주식회사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KR101560679B1 (ko) * 2014-10-14 2015-10-15 강양원 보온 용기
KR101743634B1 (ko) * 2014-07-22 2017-06-07 (주)에코메이텍 단열용 조립식 패널
KR101981688B1 (ko) *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102107549B1 (ko) * 2019-01-07 2020-05-07 에임트 주식회사 진공단열재를 내장한 단열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039B2 (ja) * 1997-10-23 2008-08-20 Jfeコンテイナー株式会社 断熱容器
WO2014163274A1 (ko) * 2013-04-02 2014-10-09 오씨아이 주식회사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006B1 (ko) * 1998-03-05 2001-04-16 쓰치야 히로오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단열뚜껑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40107336A (ko) * 2011-12-05 2014-09-04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벽 단열 패널
KR20150069848A (ko) * 2013-12-16 2015-06-24 에스엘 주식회사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KR101743634B1 (ko) * 2014-07-22 2017-06-07 (주)에코메이텍 단열용 조립식 패널
KR101560679B1 (ko) * 2014-10-14 2015-10-15 강양원 보온 용기
KR101981688B1 (ko) *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102107549B1 (ko) * 2019-01-07 2020-05-07 에임트 주식회사 진공단열재를 내장한 단열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047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6149B2 (ja) 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042182A (ko)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284556A1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JP2004516199A (ja) 輸送コンテナ用の膨張可能な断熱性ライナー
KR101788653B1 (ko) 마이크로캡슐 상변화 물질과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단열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키지,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롤 컨테이너 커버
JP2001287291A (ja) 断熱材および断熱部材
KR102557078B1 (ko) 온도민감성 화물 수송용 접이식 파레트 컨테이너
KR101519521B1 (ko) 보냉용 포장 박스
US20140134302A1 (en) Damage Resistant Package
JP2008185220A (ja) 真空断熱材
JP2007239771A (ja) 真空断熱材とそれを用いた断熱箱体
JP5571610B2 (ja)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KR102373106B1 (ko)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JP2007321925A (ja) 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6077B1 (ko) 보냉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박스
US20130031874A1 (en) Cold chain packaging
KR102435794B1 (ko) 단열 용기
KR20220048357A (ko)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는 신선제품 운송 시스템
WO2021165698A1 (en) Thermal buffer assembly for a shipping package
JP2015001290A (ja) 真空断熱材及び冷蔵庫
JP2016089962A (ja) 真空断熱材及びこの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
JP3991597B2 (ja) 真空断熱材ユニット、および断熱パネル
US20240025624A1 (en) Expandable polylactic acid-based thermal packaging and methods thereof
US20240025622A1 (en) Advanced mono-material expandable polylactic acid-based thermal and protective packaging and methods thereof
KR102107425B1 (ko) 레이저를 사용한 pet 소재의 보냉 용기용 단열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