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679B1 - 보온 용기 - Google Patents

보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679B1
KR101560679B1 KR1020140137997A KR20140137997A KR101560679B1 KR 101560679 B1 KR101560679 B1 KR 101560679B1 KR 1020140137997 A KR1020140137997 A KR 1020140137997A KR 20140137997 A KR20140137997 A KR 20140137997A KR 101560679 B1 KR101560679 B1 KR 10156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lid
sealing r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양원
Original Assignee
강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양원 filed Critical 강양원
Priority to KR102014013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 대상물이 본체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내부용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는 진공상태 또는 단열가스가 채워진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용기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덮개부와, 상기 외측덮개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측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는 진공상태 또는 단열가스가 채워지고, 상기 내측덮개부는 본체를 향하여 돌출된 내측바닥부와 상기 내측바닥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내측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측면부에는 상기 내부용기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 용기{A Heat Reserving Pot}
본 발명은 밥, 국과 같은 뜨거운 음식물이나 차가운 음료등을 담아 둘 수 있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보온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5리터 이상 50리터 이하의 대용량 보온 용기에 있어서 덮개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부를 진공상태로 하거나 단열가스를 채워 보온 효과를 강화한 보온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보온 용기는 밥, 국등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음료를 차갑게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보온 용기는 음식물등을 수용하는 본체와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덮개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은 진공상태로 구성되어 내부용기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덮개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등의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덮개를 열지 않고도 보온 용기 내부의 음료등을 따를 수 있도록 개패가능한 유통구가 덮개 일측에 만들어지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0-005052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426028호
이러한 종래의 보온 용기는 진공상태가 형성된 본체가 열이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더라도, 덮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열이 많아 장시간 보온·보냉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온 용기의 덮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열을 차단하여 장시간 보온·보냉을 유지할 수 있는 보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 대상물이 본체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내부용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는 진공상태 또는 단열가스가 채워진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용기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덮개부와, 상기 외측덮개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측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는 진공상태 또는 단열가스가 채워지고, 상기 내측덮개부는 본체를 향하여 돌출된 내측바닥부와 상기 내측바닥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내측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측면부에는 상기 내부용기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대용량의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폭이 높이보다 크고, 상기 내부용기의 내적은 적어도 5리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상기 실링링에 결합되어, 외부공기를 보온용기 내부가 보온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개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실링링이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의 상기 이격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내용물의 무게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본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뿐만 아니라 덮개에 형성되는 중공부도 진공상태이거나 단열가스가 채워져 있어 보온 용기 전체표면을 따라서 유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장시간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는 사용자가 실링링에 결합된 개방부재를 누를때 실링링과 내부용기 사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이 만들어지므로,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 바닥의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 바닥의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에 있어서 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에 있어서 실링링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의 실링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1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밥, 국, 물 등 보온·보냉을 유지하고자 하는 내용물(300)을 수용하는 본체(100)와 본체(100)로부터 내용물(300)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덮개(2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내부용기(110)와 이 내부용기(11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부용기(120)로 구성된다.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사이의 이격공간(S1)은 진공상태로 이루어지거나 질소와 같은 단열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300)이 가지고 있는 열이 보온 용기(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내부용기(110)의 바깥면과 외부용기(120)의 안쪽면은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은도금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대용량에 적합하도록 내부용기(110)의 내적은 적어도 5리터 이상 50리터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적어도 10인 이상의 성인이 취식할 수 있을 정도의 밥, 국등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리터 이상의 대용량을 수용할 때 보온 용기(10)가 넘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이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본체(100)의 폭이(W)이 높이(H)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대용량의 내용물(300)을 수용했을때 내부용기(110)가 변형되지 않고 그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사이에는 서포터(130)가 개재될 수 있다. 서포터(130)는 내부용기(110)나 외부용기(120)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 지거나, 또는 내부용기(110)나 외부용기(120)와 다른 재질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가 스테인레스로 만들어 질 때 서포터(130)도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이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서포터(130)는 내용물(300)이 담긴 내부용기(1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도2와 같은 "벌집"형태나 도3과 같은 "H"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용기(120)의 바닥면 일측에는 이격공간(S1)을 진공상태를 만들기 위한 배기에 사용되거나 단열가스 주입에 사용되는 제1주입구(121)가 형성된다. 제1주입구(121)는 중앙에 미세한 통기홀(12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진공 배기나 단열가스 주입이 완료되면 실리콘등이 채워져 이 통기홀(121a)을 막아주게 된다.
외부용기(120) 아래에는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여 보온용기(10)를 사용할때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해주는 받침대(140)가 구성된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덮개(200)와 회동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를 이루는 본체레일(140)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레일(140)은 외부용기(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00)는 원형의 덮개부(210)와 그 외주를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측면부(220)으로 구성된다. 측면부(220) 내측에는 본체(100)과 회동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 형태의 덮개레일(230)이 형성된다. 덮개레일(230)은 측면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본체(100)와 덮개(200)가 회동결합에 의한 닫힘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뿐만 아니라 3~4개소 또는 그 이상 개소에서 걸쇠를 이용하는 닫힘구조나 그외 도시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닫힘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덮개부(210)는 보온 용기의 외면을 이루게 되는 외측덮개부(211)와 본체(100)의 상부 안쪽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내측덮개부(212)로 구성된다. 내측덮개부(212)는 본체(100) 내부를 향하는 원형의 내측바닥부(212a)와 내측바닥부(212a) 둘레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내측측면부(212b)로 구성된다. 외측덮개부(211)와 내측덮개부(212) 사이 공간에는 중공부(S2)가 형성된다. 외측덮개부(211)와 내측덮개부(212)는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공부(S2)는 진공상태를 이루거나 질소와 같은 단열가스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덮개부(211) 일측에는 중공부(S2)를 진공상태를 만들기 위한 배기에 사용되거나 단열가스 주입에 사용되는 제2주입구(214)가 형성된다. 제2주입구(214)는 중앙에 미세한 통기홀(21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진공 배기나 단열가스 주입이 완료되면 실리콘등이 채워져 이 통기홀(214a)을 막아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본체(100)에 형성된 이격공간(S1) 뿐만 아니라 덮개(200)에 형성된 중공부(S2)도 진공상태이거나 단열가스로 채워져 있어 보온 용기(10)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고 장시간 보온력을 유지할 수 있다.
내측덮개부(212)의 내측측면부(212b)는 본체(100) 상단 안쪽으로 삽입된다. 내측측면부(212b) 외주면에는 본체(100) 상단 내측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해주는 실링링(sealing ring, R1)이 구성된다. 실링링(R1)은 탄성을 갖는 물질로써 고무, 실리콘, 연성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 안쪽 공간에 내용물(300)을 채울때는 덮개(200) 내측바닥부(212a)와의 사이에 공간이 남지 않도록 꽉 채울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S3)이 생길 정도로 여유를 두고 채우게 된다. 이 여유공간(S3)은 내부공기로 채워지는데 덮개(200)를 덮고 장시간 흐르면 내부공기가 가열·냉각됨에 따라서 보온 용기(10) 외부의 대기압과 압력차이가 발생된다. 보온 용기(10) 내외부간의 압력차이가 발생하면 덮개(200)를 열기위해 강한 힘을 가해 돌려주어야만 하고, 압력차이가 커질 수록 더욱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도4 및 도5는 본체(100)와 덮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A'부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도1과 도4를 참조하면 보온 용기(10) 내외부간에 압력차이가 발생했을 때, 덮개(200)를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링링(R1)의 한쪽에는 개방부재(213)가 결합된다. 개방부재(213)는 하단부가 실링링(R1)에 결합되어 있고, 상단부는 덮개부(210)에 형성된 노출홀(210h)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개방부재(213) 상단부는 노출길이(L) 만큼 외부로 돌출된다.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덮개(200)를 열기전 개방부재(213)의 노출된 상단부를 눌러주면 개방부재(213)가 결합된 실링링(R1) 부위가 변형되면서 실링링(R1)과 내부용기(110) 사이에 틈(S4)이 생기고, 이 틈(S4)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보온 용기(10) 내부 여유공간(S3)으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보온 용기(10) 내외부간의 압력차이가 제거되어 덮개(200)를 열기가 용이해진다. 사용자가 개방부재(213)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실링링(R1)의 탄성에 의해 개방부재(213)는 도4와 같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사용자가 개방부재(213)를 눌러 실링링(R1)을 변형시켰을 때, 실링링(R1)과 내부용기(110)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을 정도의 아주 작은 틈(S4)만 확보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개방부재(213) 상단의 노출길이(L)도 그에 맞게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는 필요에 따라 기밀 유지를 강화하기 위해 제1실링링(R1a)과 제2실링링(R1b) 2개로 구성되는 실링링(R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외 다른 부분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용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1) 뿐만 아니라 덮개(200)에 형성되는 중공부(S2)도 진공상태이거나 단열가스가 채워져 있어 보온 용기(10) 전체표면을 따라서 유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장시간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10)는 사용자가 실링링(R1)에 결합된 개방부재(213)를 누를때 실링링(R1)과 내부용기(110) 사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S4)이 만들어지므로, 덮개(20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대체할 수 있는 사항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 : 보온 용기 100 : 본체
110 : 내부용기 120 : 외부용기
130 : 서포터 200 : 덮개
210 : 덮개부 211 : 외측덮개부
212 : 내측덮개부 220 : 측면부
300 : 대상물 R1 : 실링링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
    대상물이 본체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내부용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는 진공상태 또는 단열가스가 채워진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용기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덮개부와, 상기 외측덮개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측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는 진공상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열가스가 채워지고,
    상기 내측덮개부는 본체를 향하여 돌출된 내측바닥부와 상기 내측바닥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내측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측면부에는 상기 내부용기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링과, 상기 실링링에 결합되어 외부공기가 보온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보온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링은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된 보온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의 상기 이격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보온 용기.
KR1020140137997A 2014-10-14 2014-10-14 보온 용기 KR101560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997A KR101560679B1 (ko) 2014-10-14 2014-10-14 보온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997A KR101560679B1 (ko) 2014-10-14 2014-10-14 보온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679B1 true KR101560679B1 (ko) 2015-10-15

Family

ID=5435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997A KR101560679B1 (ko) 2014-10-14 2014-10-14 보온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6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52B1 (ko) * 2018-08-17 2019-10-15 김시영 진공효율이 우수하고 뚜껑회전이 용이한 대형 보온용기 구조체
KR20200035640A (ko) * 2018-09-27 2020-04-06 (주)세원물산 Rtm 공정용 진공 및 수지 주입 보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성형용 rtm 복합 금형 시스템
CN112173444A (zh) * 2020-09-03 2021-01-05 安徽鑫泉米业股份有限公司 一种防潮防虫的大米存储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73106B1 (ko) * 2020-09-14 2022-03-11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1857A (ja) * 2008-02-29 2009-09-10 Thermos Kk 蓋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1857A (ja) * 2008-02-29 2009-09-10 Thermos Kk 蓋付き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52B1 (ko) * 2018-08-17 2019-10-15 김시영 진공효율이 우수하고 뚜껑회전이 용이한 대형 보온용기 구조체
KR20200035640A (ko) * 2018-09-27 2020-04-06 (주)세원물산 Rtm 공정용 진공 및 수지 주입 보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성형용 rtm 복합 금형 시스템
KR102102765B1 (ko) 2018-09-27 2020-04-21 (주)세원물산 Rtm 공정용 진공 및 수지 주입 보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성형용 rtm 복합 금형 시스템
CN112173444A (zh) * 2020-09-03 2021-01-05 安徽鑫泉米业股份有限公司 一种防潮防虫的大米存储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73106B1 (ko) * 2020-09-14 2022-03-11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679B1 (ko) 보온 용기
US9254063B2 (en) Double walled insulated container with rechargeable vacuum
US11786061B2 (en) Insulated food and beverage container
AU2013202070A1 (en) Food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removable inner container and insulating outer sleeve
US20180194537A1 (en) Thermal and cold insulation bottle structure
JP5258371B2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TW429300B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ing for temperature sensitive products
JP2019038560A (ja) 断熱容器
TWI608977B (zh) Insulation container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US11234544B2 (en) Insulated cup holder
US20070256449A1 (en) Multi-chamber receptacle for maintaining temperature of contents
US20200367678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US20220106102A1 (en) Vacuum insulated storage containers
TW200303180A (en) Heat-insulating cooker
KR102384317B1 (ko) 히터가 구비된 보온병
JP2005312498A (ja) ステンレス製真空二重容器を用いた断熱容器
CN204232987U (zh) 保温容器
CN213721554U (zh) 一种可控温水壶
KR101822520B1 (ko) 보온 용기
JP3185084U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KR102637986B1 (ko) 냉각 특성이 향상된 컵
CN206443529U (zh) 一种多层多阶自暖摇摇水杯
JP2016069006A (ja) 携帯用飲料容器
KR101467669B1 (ko) 분리 가능한 내측 용기와 단열 외측 슬리브를 가지는 음식물 운반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