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848A -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848A
KR20150069848A KR1020130156483A KR20130156483A KR20150069848A KR 20150069848 A KR20150069848 A KR 20150069848A KR 1020130156483 A KR1020130156483 A KR 1020130156483A KR 20130156483 A KR20130156483 A KR 20130156483A KR 20150069848 A KR20150069848 A KR 2015006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pair
parts
heaters
ji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완
성시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848A/ko
Publication of KR2015006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는,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부품이 각각 안착되는 상부 및 하부 지그를 포함하는 지그부; 상기 안착된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각각 가열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를 포함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이동시키는 히터 이동부;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부의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 및 상기 지그부의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상기 한 쌍의 부품을 융착시키는 지그 진동부를 포함 한다.

Description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USING PARTS USING HEATING AND VIBRATION}
본 발명은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하고자 하는 차량용 부품에서 융착 부위를 가열한 후, 상기 융착 부위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동 융착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그 기동성과 유용성이 향상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인 제품이 되었으며,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미도시)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폐공간을 이루는 렌즈(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내부에 빛을 발광하는 광원(미도시)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는 진동 융착기(미도시)에 의해 진동 융착된다. 여기에서, 진동 융착이란 접합하고자 하는 분리된 제품에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고, 접합하고자 하는 제품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촉면을 가압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미세한 진동을 가하여 그 접촉 부위를 융착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진동 융착의 경우, 진동에 의해 제품의 외관 품질이 고르지 않고, 제품의 표면에 Burr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60168호 (2011.06.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합하고자 하는 차량용 부품에서 융착 부위를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용융된 융착 부위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동을 가해 융착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는,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부품이 각각 안착되는 상부 및 하부 지그를 포함하는 지그부; 상기 안착된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각각 가열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를 포함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이동시키는 히터 이동부;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부의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 및 상기 지그부의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상기 한 쌍의 부품을 융착시키는 지그 진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부품은,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위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고정하는 히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이동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터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 모터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 모터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은, 서로 융착되는 한 쌍의 부품이 상부 및 하부 지그에 각각 안착되는 단계; 상부 및 하부 히터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로 각각 접근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가 가열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가 서로 접촉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융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지그에 차량용 램프의 렌즈가 안착되며, 상기 하부 지그에 상기 차량용 램프의하우징이 안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함께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의 융착 부위가 가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귀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함께 원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하고자 하는 차량용 부품에서 융착 부위를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용융된 융착 부위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동을 가해 융착함으로써, 제품의 외관 품질이 고르지 않고, 제품의 표면에 Burr 불량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도 1의 부품 융착 장치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의 블록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는,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부품이 각각 안착되는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를 포함하는 지그부(110), 상기 안착된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각각 가열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포함하는 히터부(120), 상기 히터부(120)의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이동시키는 히터 이동부(130),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부(110)의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140), 및 상기 지그부(110)의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상기 한 쌍의 부품을 융착시키는 지그 진동부(15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부품은 차량용 부품이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특히,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부품은 차량용 부품 중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부(110)는 상부 지그(111) 및 하부 지그(11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그(111) 및 하부 지그(112)에 서로 접합하고자 하는 각 부품이 안착된다. 예를 들어, 상부 지그(111)에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11)가 안착되고, 하부 지그(112)에는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12)이 안착될 수 있다.
히터부(120)는 상부 히터(121) 및 하부 히터(122)를 포함하며, 상부 히터(121)는 상부 지그(111)에 안착되는 부품을 가열하고, 하부 히터(122)는 하부 지그(112)에 안착되는 부품을 가열한다. 여기에서, 히터부(120)의 상부 히터(121) 및 하부 히터(122)는 각각 적외선(IR)을 방출하여 상부 지그(111) 및 하부 지그(112)에 안착되어 있는 한 쌍의 부품을 가열한다. 또한, 히터부(12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히터(121) 및 하부 히터(122)가 위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고정 지지하는 히터 베이스(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히터 베이스(125)와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 사이에 각각 로드(127)가 위치하고, 상기 로드(127)에 의해 상기 히터 베이스(125)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로드(127)는 신축 가능한 자바라 형상이거나,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실린더, 피스톤 등일 수 있다.
히터 이동부(130)는 히터부의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히터 이동부(13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터(131)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 모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이동 모터(131)에 의해 히터 베이스(125)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히터 베이스(125)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또한, 수직 이동 모터(132)에 의해 히터 베이스(125)에 연결된 로드(127)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드(127)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 모터(131)는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고, 수직 이동 모터(132)는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지그 이동부(140)는 지그부(110)의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에 안착된 한 쌍의 부품의 융착 부위를 서로 접촉시킨다. 여기에서, 하부 지그(112)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부 지그(111)가 하강할 수도 있고, 또는 동시에 상부 지그(111)가 하강하고 하부 지그(112)가 상승할 수도 있다.
지그 진동부(150)는 지그부(110)의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에 안착되어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부품을 서로 융착시킨다. 여기에서, 지그 진동부(150)에 의해, 상부 지그(111)를 진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하부 지그(112)를 진동시킬 수도 있고, 또는 동시에 상부 지그(111) 및 하부 지그(112)를 진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지그 진동부(150)에 의해 지그부(110)의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가 좌우, 즉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작업 프로세스를 상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i는 도 1의 부품 융착 장치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히터부(120)로 융착 부위를 가열하기 전에, 지그부(110)에 서로 융착되는 한 쌍의 부품을 안착시킨다. 예를 들어, 상부 지그(111)에는 차량용 램프의 렌즈(11)가 안착될 수 있고, 하부 지그(112)에는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12)이 안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히터 이동부(130)에 의해 히터부(120)가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히터 이동부(130)의 수평 이동 모터(131)가 히터 베이스(125)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히터 이동부(13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로 접근한다. 구체적으로, 히터 이동부(130)의 수직 이동 모터(132)가 로드(127)를 각각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각각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로 접근하게 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각각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에 안착된 렌즈(11) 및 하우징(12)을 개별적으로 가열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는 적외선(IR)을 이용하여 렌즈(11)의 융착 부위(a1, a2)와 하우징(12)의 융착 부위(b1, b2)를 가열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에 의해 렌즈(11)의 융착 부위(a1, a2)와 하우징(12)의 융착 부위(b1, b2) 가열이 완료되면,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는 다시 히터 베이스(125) 측으로 각각 이동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히터 베이스(125)가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부(12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3g를 참조하면, 진동 융착을 위해, 하부 지그(112)가 상승하여 렌즈(11)의 융착 부위(a1, a2)와 하우징(12)의 융착 부위(b1, b2)가 서로 접촉한다. 물론, 상부 지그(111)가 하강할 수도 있고, 상부 지그(111)의 하강 및 하부 지그(112)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h를 참조하면, 상부 지그(111)가 좌우로 진동하여 렌즈(11)와 하우징(12)의 접촉 부위(a1, b1), 및 렌즈(11)와 하우징(12)의 접촉 부위 (a2, b2)가 서로 융착된다. 물론, 하부 지그(112)가 좌우로 진동할 수도 있고, 상부 지그(111) 및 하부 지그(112)의 진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i를 참조하면, 진동 융착이 완료되면, 상승하였던 하부 지그(112)가 반대로 하강하여 완성품(10)이 생산된다. 물론, 상부 지그(111)가 상승할 수도 있고, 상부 지그(111)의 상승 및 하부 지그(112)의 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의 블록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은, 서로 융착되는 한 쌍의 부품이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에 각각 안착되며(S10),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로 각각 접근하고(S20),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가 가열된 후(S30),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원위치로 복귀된다(S40). 그런 후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가 서로 접촉되며(S50),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융착된다(S60).
이때, S10 단계에서, 상부 지그(111)에 차량용 램프의 렌즈(11)가 안착되며, 하부 지그(112)에 상기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12)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S20 단계에서,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함께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후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또한, S30 단계에서,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각각 적외선을 방출하여 한 쌍의 부품의 융착 부위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S40 단계에서,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각각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121, 122)가 함께 원위치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또한, S50 단계에서, 상부 지그(111)에 차량용 램프의 렌즈(11)가 안착되고, 하부 지그(112)에 상기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12)이 안착된 경우, 렌즈(11)와 하우징(12)의 접촉에 의해 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S60 단계에서, 상부 및 하부 지그(111, 112)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는 경우, 수평 방향으로 진동이 이루어져 가열로 용융된 접촉 부위가 융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진동 융착 전에 융착 부위의 가열함으로써, 완성품(10)의 Burr 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지그부
120: 히터부
130: 히터 이동부
140: 지그 이동부
150: 지그 진동부

Claims (12)

  1.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부품이 각각 안착되는 상부 및 하부 지그를 포함하는 지그부;
    상기 안착된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각각 가열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를 포함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이동시키는 히터 이동부;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를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부의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 및
    상기 지그부의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켜 상기 한 쌍의 부품을 융착시키는 지그 진동부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품은,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위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고정하는 히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이동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터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 모터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모터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 모터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8. 서로 융착되는 한 쌍의 부품이 상부 및 하부 지그에 각각 안착되는 단계;
    상부 및 하부 히터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로 각각 접근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가 가열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의 각 융착 부위가 서로 접촉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이 융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지그에 차량용 램프의 렌즈가 안착되며, 상기 하부 지그에 상기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이 안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함께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한 쌍의 부품의 융착 부위가 가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지그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히터가 함께 원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방법.
KR1020130156483A 2013-12-16 2013-12-16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KR20150069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83A KR20150069848A (ko) 2013-12-16 2013-12-16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83A KR20150069848A (ko) 2013-12-16 2013-12-16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48A true KR20150069848A (ko) 2015-06-24

Family

ID=5351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483A KR20150069848A (ko) 2013-12-16 2013-12-16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291B1 (ko) * 2015-09-18 2016-07-08 백종식 입체 수지라벨을 갖는 팬티용 허리밴드의 제조방법 및 그 허리밴드
KR102373106B1 (ko) * 2020-09-14 2022-03-11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291B1 (ko) * 2015-09-18 2016-07-08 백종식 입체 수지라벨을 갖는 팬티용 허리밴드의 제조방법 및 그 허리밴드
KR102373106B1 (ko) * 2020-09-14 2022-03-11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WO2022055047A1 (ko) * 2020-09-14 2022-03-17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단열 용기 및 단열 용기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5781B2 (ja) レーザーシンクロ溶接プロセスと装置
KR101018452B1 (ko) 자동차 범퍼 생산장치
JP6073643B2 (ja) 車両用ランプとその製造方法
JPH11348132A (ja) レ−ザ溶着方法及びレ−ザ溶接装置
KR20150069848A (ko) 가열 및 진동을 이용한 부품 융착 장치 및 방법
KR101805016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융착설비 및 그 방법
KR101606670B1 (ko) 레이저 융착방식으로 결합되는 moc 액츄에이터
US20110024038A1 (en) Resin component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welding resin components
KR101802834B1 (ko) 플라스틱 용접 장치를 위한 플라스틱 예열 장치, 플라스틱 용접 장치, 및 요소를 위한 예열 방법
KR101020368B1 (ko) 부자 용착기
US9703129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WO2018181073A1 (ja) 接合システム及び接合方法
CN203994711U (zh) 车灯灯体预热装置
KR20200070469A (ko) 플라스틱 연료탱크와 플라스틱 부품 결합용 열융착장치
JP2004050835A (ja) レーザ放射線を用いてプラスチック構成部材を接合するための方法
JP2016074211A (ja) プラスチック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溶着方法
KR20160063097A (ko) 차량용 내장재의 융착 장치
CN107379557B (zh) 焊接构件的方法和装置
KR101669755B1 (ko) 부재 부착 장치
US68812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n air bag cover assembly including a switch
KR102146488B1 (ko) 열풍융착장치
JP2017047617A (ja) 振動溶着方法および振動溶着装置
CN207808519U (zh) 尾灯用振动摩擦焊接机
JP6518936B2 (ja) 部品実装装置
JP6029207B2 (ja) 予備加熱振動溶着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