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127B1 -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127B1
KR101743127B1 KR1020150180992A KR20150180992A KR101743127B1 KR 101743127 B1 KR101743127 B1 KR 101743127B1 KR 1020150180992 A KR1020150180992 A KR 1020150180992A KR 20150180992 A KR20150180992 A KR 20150180992A KR 101743127 B1 KR101743127 B1 KR 10174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upper frame
roof
ventilation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조덕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형
조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조덕현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15018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 경로를 확보하도록 지붕이 설치된 골조의 양측벽에 배기 루버(louver)를 없애면서 형성되는 배기 통로; 및 상기 골조 양측벽에서 이격 배치된 배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비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비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벽에 배기 루버를 없애 개구 공간을 형성한 골조 양쪽과 이와 이격 배치된 배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비 유입 방지부재가 배치되어 배기 루버를 없애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해 배기 경로를 확보 가능하면서 비의 유입을 방지하므로 배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과 이격된 하측에 환기팬을 구비하므로 환기가 안되거나 여름과 같이 배기를 많이 요구하는 경우 강제 배기가 가능하고, 환기팬의 상측에 배기 유도부를 구비하므로 바람 방향을 유도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 유입 방지부재의 단면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고, 배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 단부가 상부 골조의 양측벽 안쪽까지 연장되도록 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하면서 배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EXHAUST GAS INCREASE DEVICE OF VENTILATION TYPE ROOF MONITOR}
본 발명은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육관 내지 공장 등의 대형 시설물은 그 용도의 특성에 따른 각종 분진 및 가스 등이 발생 되어 실내 공기가 쉽게 오염된다. 오염된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대형시설물들은 통풍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대형 시설물에 적용되는 통풍장치는 크게 강제통풍수단과 자연통풍수단으로 구분되는데, 자연통풍수단은 재차 루프타입(Roof-Type)과 그릴타입(Grll-Type) 및 댐퍼타입(Damper-Type) 통풍장치로 구분된다.
이러한 통풍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668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316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668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316호에 개시된 배기량이 조절되는 환기장치 및 루프 모니터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6684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배기량이 조절되는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배기량이 조절되는 환기장치(100)는 건물의 상부에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12)를 형성하고, 상부에 경사지붕을 구비한 환기공간(111)의 양측으로 외기가 외기공급부(117)로 흡입되어 배출구(118)로 배출되는 측벽으로 연통되도록 상부에 측부차단구(115)를 구비한 측부배출구(114)를 복수로 형성한 환기부(110)와, 상기 환기부(110)의 환기공간 중앙으로 댐퍼안치부(123)에 유입을 개폐하는 조절댐퍼(121)를 형성하며, 조절댐퍼(121)의 중앙으로 회전되는 회전힌지를 형성한 조절부(120)와, 상기 조절부(120)의 조절댐퍼(121)에 상부 일측으로 결합힌지로 결합된 작동로드를 구비한 작동구(131)를 형성하고, 작동구(131)의 타측에 구비된 지지힌지로 환기공간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도록 형성하며, 작동구(131)에 일측으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5)를 형성하여 제어부의 설정각도로 조절댐퍼(121)를 회전하도록 형성한 작동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배기량이 조절되는 환기장치는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측부배출구(114)에 설정 간격마다 측부차단구(115)가 상하로 배치되는데 빗물 유입 방지 효율을 향상되지만 다단의 측부차단구(115)에 의해 환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316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루프 모니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루프 모니터는 개구부(13)와 통풍구(14)를 구비한 지지프레임(1)의 상부로 서브프레임(2)에 의해 고정된 박공지붕(21)을 형성하고, 이 서브프레임(2)의 단부로 측벽(3)을 설치하여 구성한 루프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14)는 자동개폐조절장치(4)로서 피니언기어(411)를 갖는 동력모터(41)와, 상기 피니언기어(411)에 랙기어(421)로서 치합되며 회전동력을 직선동력으로 변환되게 하는 메인샤프트(42)와, 이 메인샤프트(42)상에 힌지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43)와, 이러한 링크부재(43)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동작용에 의해 상기 통풍구(14)를 개폐단속하는 다수개의 루버(44)를 구비하여서 형성됨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루프 모니터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통풍구(14)를 개폐단속하는 다수개의 루버(44)에 의해 환기 효율이 저하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668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3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측벽에 배기 루버를 없애 개구 공간을 형성한 골조 양쪽과 이와 이격 배치된 배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비 유입 방지부재가 배치되어 배기 루버를 없애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해 배기 경로를 확보 가능하면서 비의 유입을 방지하므로 배기 효율을 증대시키는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붕과 이격된 하측에 환기팬을 구비하므로 환기가 안되거나 여름과 같이 배기를 많이 요구하는 경우 강제 배기가 가능하고, 환기팬의 상측에 배기 유도부를 구비하므로 바람 방향을 유도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 유입 방지부재의 단면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고, 배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 단부가 상부 골조의 양측벽 안쪽까지 연장되도록 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하면서 배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기 경로를 확보하도록 지붕이 설치된 상부 골조의 양측벽에 배기 루버(louver)를 없애면서 형성되는 배기 통로; 및 상기 상부 골조의 양측벽에서 이격 배치된 배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비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비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붕과 이격된 하측에 강제 배기를 위한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팬의 상측에 내부 공기의 배기 방향을 유도하는 배기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 유도부는 상부 골조의 바닥면 또는 상기 상부 골조의 천장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골조의 양측벽 하단에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측면이 라운딩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배기 가이드 부재는 상단 단부가 상부 골조의 양측벽 안쪽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골조의 내부에 회전되면서 폐쇄 또는 개방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벽에 배기 루버를 없애 개구 공간을 형성한 골조 양쪽과 이와 이격 배치된 배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비 유입 방지부재가 배치되어 배기 루버를 없애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해 배기 경로를 확보 가능하면서 비의 유입을 방지하므로 배기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과 이격된 하측에 환기팬을 구비하므로 환기가 안되거나 여름과 같이 배기를 많이 요구하는 경우 강제 배기가 가능하고, 환기팬의 상측에 배기 유도부를 구비하므로 바람 방향을 유도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 유입 방지부재의 단면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고, 배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 단부가 상부 골조의 양측벽 안쪽까지 연장되도록 하므로 누수 현상을 방지하면서 배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배기량이 조절되는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루프 모니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110), 환기팬(120), 배기 유도부(130),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 및 댐퍼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가 설치되는 환기용 모니터(10)에 대하 구조를 설명하면 건물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받침 골조(12)와, 상기 받침 골조(12)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골조(14) 등으로 구성된 골조에 설치되어 환기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골조는 받침 골조(12)의 상면 양쪽에 상부 골조(14)가 직립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골조(14)의 상단에 지붕(16)이 마감 설치되며, 상기 상부 골조(14)의 이격된 양측벽에 배기 가이드 부재(1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붕(16)과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18)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배기 가이드 부재(18)는 상부 골조(14)의 양쪽에서 연장된 연장부(14a)에 의해 각각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실내에서 골조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이다. 이때,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18)는 단면 형상이 대칭된 원호 형태 등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바깥쪽에는 파형 강판(18a)이 설치된다. 상기 파형 강판(18a)은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18)를 덮어 골조가 외풍이나 빗물 등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파형 강판(18a)은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사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내부 및 외부로 출입하여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배기 통로(100)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상부 골조(14)의 양측벽에 설정 간격을 갖도록 종 방향으로 배치된 배기 루버(louver)를 없애면서 형성된 공간으로, 공장 등의 건물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에서 간섭 없게 배기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상부 골조(14)의 양쪽에서 연장된 연장부(14a) 상에 상단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어 배기 통로(100)를 통해 배기되게 하면서 비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물이다.
즉,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지붕(16)과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사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배기 통로(100)로 비가 유입되는 걸 방지하게 된다.
환기팬(120)은 지붕(16)과 이격된 하측인 받침 골조(12)의 천장 저면에 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환기팬(120)은 건축물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상승 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건축물 실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고자 할 때에는 역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배기 유도부(130)는 지붕(16)과 이격된 하측인 받침 골조(12)의 상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실내 공기가 지붕(16)과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기의 배출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배기 유도부(130)는 경사진 평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면 또는 절곡 형태 등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배기 유도부(130)는 상부 골조(14)의 바닥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부 골조(14)의 천장 저면인 지붕(16)의 하측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 유도부(130)가 상부 골조(14)의 천장 저면에 설치되는 경우, "V"자형상, 하방 볼록형상 및 "V"자형이면서 양단 저면이 곡면 형성되는 형상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는 상부 골조(14)의 양측벽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비의 유입을 보조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물로, 상기 상부 골조(14)의 양측벽에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결되면서 재차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댐퍼부(150)는 회전 과정에서 상부 골조(14)의 내부 공간을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부 골조(14)의 하단 중심에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공장 등의 내부에서는 오염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장 내에서 오염된 공기가 발생 되지 않을 경우, 상기 댐퍼부(150)는, 상부 골조(14) 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의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댐퍼부(150)는 상부 골조(14) 상에서 개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부(140)는 상부 골조(14)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댐퍼 개폐 구동부(152)에 의해 개폐 여부 및 개폐량 조절 등이 가능하며, 일예로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상부 골조(14)의 양측벽에 설정 간격을 갖도록 종 방향으로 배치된 배기 루버(louver)를 생략하면서 형성된 배기 통로(100)에 의해 공장 등의 건물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과정에서 간섭 없게 배기 경로를 확보하여 배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지붕(16)과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사이 중 상부 골조(14)의 연장부(14a)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배기 통로(100)를 통해 비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붕(16)과 이격된 하측인 받침 골조(12)의 천장 저면에 환기팬(120)을 설치하여 건물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할 수 있으므로 배기 효율 역시 증대하는 요소가 된다.
더욱이, 지붕(16)과 이격된 하측인 받침 골조(12)의 상면에 배기 유도부(130)를 설치하여 건물의 실내 공기가 지붕(16)과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기의 배출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댐퍼부(150)와 댐퍼 개폐 구동부(152)에 의해 상부 골조(14)의 내부 공간을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110), 환기팬(120), 배기 유도부(130),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 및 댐퍼부(15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는 지붕 대신 파형 강판(16a)이 설치되어 지붕을 생략하여도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과, 배기 유도부(130)의 양쪽 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점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절곡부는 상부 골조(14)를 따라 상승하는 기체가 배기 유도부(130)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막 역할을 하게 되어, 기체가 상기 상부 골조(14)의 내부에서 머무르거나 맴돌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110'), 환기팬(120), 배기 유도부(130),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 및 댐퍼부(15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는 상부 골조(14)의 외측에 상기 상부 골조(14)와 이격된 상태로 외측 골조(14a)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골조(14a)의 외측 양쪽에 배기 가이드 부재(18)가 설치되는 점과, 상기 외측 골조(14a)와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18)를 연결하는 수평 방향의 골조 상에 비 유입 방지부재(110')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점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한 쌍이 경사지면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비가 배기 통로(100) 내부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는 상부 골조(14)의 양측벽 중간단에 각각 구비되며, 양측벽 하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110), 환기팬(120), 배기 유도부(130) 및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가 제1 실시예에서 고정형이라고 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상부 골조(14)의 양쪽에서 연장된 연장부(14a) 상에 회전 구동부(112)가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가 상기 회전 구동부(112)를 통해 회전 동작이 가능하므로 회전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평상시에는 개방률을 크게 하고, 비가 오는 날에는 개방률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구동부(112)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모터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110), 환기팬(120), 배기 유도부(130) 및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가 제1 실시예에서 고정형이라고 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형태로 절첩이 가능하면서 내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2단으로 링크 연결되는 선단에 전후 이동 구동부(114)에 의해 접혔고 펼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선단이 전후 이동 구동부(114)의 로드 끝단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링크(110a)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고, 후단은 상부 골조(14)의 양쪽에서 연장된 연장부(14a) 상에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110)는 전후 이동 구동부(114)에 의해 절첩이 가능하므로 비 오는 날에는 상기 전후 이동 구동부(114)의 로드가 전진하면서 펼쳐지고, 맑은 날에는 상기 로드가 후진하면서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후 이동 구동부(114)는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210), 환기팬(220), 배기 유도부(230) 및 댐퍼부(25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는 상부 골조(14)의 상단에 지붕(16)이 마감 설치되 대신 파형 강판(16a)이 설치되어 지붕을 생략하여도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과, 배기 유도부(130)의 양쪽 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점 그리고 비 유입 방지부재(210)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높이(외륜)가 증대되는 점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댐퍼부(250)는 생략 가능하다.
특히,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210)는 상부 골조(14)와 이격된 양측벽에 설치된 곡선 형상의 배기 가이드 부재(18) 형상과 동일형상 또는 축소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높이(외륜)가 증대되므로 이격된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상단 간격이 제1 내지 제5 실시예 대비 좁아 상부 골조(14)의 양측벽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비 유입 방지부재(210)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므로 배기량이 최대이면서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2는 받침 골조이고, 18a는 파형 강판이고, 220은 환기팬이고, 250은 댐퍼부이며 252는 댐퍼 개폐 구동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는 배기 통로(100), 비 유입 방지부재(310), 환기팬(320), 배기 유도부(330) 및 댐퍼부(35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는 상부 골조(14)의 상단에 지붕(16)이 마감 설치되는 점과, 배기 유도부(130)의 양쪽 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점 그리고 비 유입 방지부재(310)의 단면 형상에서 상단이 절곡 형성된 점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310)는 상부 골조(14)와 이격된 양측벽에 설치된 상하단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 절곡되고 그 사이는 직립 형태로 연결된 배기 가이드 부재(18)의 상단 형상과 동일형상 또는 축소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댐퍼부(350)는 생략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2는 받침 골조이고, 18a는 파형 강판이고, 320은 환기팬이고, 350은 댐퍼부이며 352는 댐퍼 개폐 구동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배기 통로
110, 100', 210, 310: 비 유입 방지부재
120, 220, 320: 환기팬
130, 230, 330: 배기 유도부
140, 140':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

Claims (9)

  1. 배기 경로가 확보된 연장부가 마련된 지붕이 있는 상부 골조의 하부에 있는 상부 양쪽 측벽에 위치하며, 배기 루버(louver) 없이 상기 배기 경로에 연결된 배기 통로가 있는 배기 통로부;
    상기 상부 골조의 양쪽 측벽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붕에 연결되는 한 쌍의 배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 경로를 통한 비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기 지붕의 연장부에 위치한 비 유입 방지부재; 및
    상기 상부 골조의 양쪽 측벽 하부에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상부 골조의 측벽 하부 외측으로 빗물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비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는, 상단이 상기 지붕의 중앙 위쪽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배기 가이드 부재 사이로 유입된 빗물은 그 표면을 타고 지붕의 바깥쪽으로 흘러내리며,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는, 상부 골조의 양쪽에서 연장된 상기 지붕 하부의 연장부 상에 설치되되,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배기 경로의 개방률을 크게 하여 배기가 잘되도록 세워지며, 비가 오는 날에는 상기 배기 경로를 통해 비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기 지붕 표면의 상부 선단과 상기 배기 가이드 부재의 내벽부에 인접하거나 접촉되며,
    상기 지붕과 이격된 상기 상부 골조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골조의 상기 배기 통로와 배기 경로로 건물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하는 환기팬;
    상기 건물 내부 공기의 배기 방향을 상기 배기 통로 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환기팬의 상측에서 천장 중앙 하부에 위치하는 배기 유도부; 및
    상기 상부 골조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 골조의 내부 공간에 대한 상하 유동 경로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에는 상기 상부 골조의 내벽에 설치되며 실린더 구조를 갖는 개폐 구동부가 연결되는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측면이 라운딩 형성되는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 유입 방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배기 가이드 부재는 상단 단부가 상부 골조의 양측벽 안쪽까지 연장되는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9. 삭제
KR1020150180992A 2015-12-17 2015-12-17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KR10174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92A KR101743127B1 (ko) 2015-12-17 2015-12-17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92A KR101743127B1 (ko) 2015-12-17 2015-12-17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127B1 true KR101743127B1 (ko) 2017-06-15

Family

ID=5921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92A KR101743127B1 (ko) 2015-12-17 2015-12-17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74A (ko) *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모니터리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2181356B1 (ko) * 2019-08-08 2020-11-23 이영희 배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88B1 (ko) * 2009-03-05 2009-10-22 주식회사 훼이스 지능형 배기 장치
KR101183593B1 (ko) * 2011-07-08 2012-09-19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환기용 모니터
KR101414506B1 (ko) * 2013-12-06 2014-07-07 주식회사 모니터리 확장형 지붕 모니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88B1 (ko) * 2009-03-05 2009-10-22 주식회사 훼이스 지능형 배기 장치
KR101183593B1 (ko) * 2011-07-08 2012-09-19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환기용 모니터
KR101414506B1 (ko) * 2013-12-06 2014-07-07 주식회사 모니터리 확장형 지붕 모니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74A (ko) *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모니터리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2128366B1 (ko) 2018-04-12 2020-06-30 주식회사 모니터리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2181356B1 (ko) * 2019-08-08 2020-11-23 이영희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062B1 (ko)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JP2005105732A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20140011457A (ko) 선박의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1951569B1 (ko) 무덕트형 공기청정 환기장치
CN103459934B (zh) 空调室内机
KR101585567B1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CA3086491A1 (en) Greenhouse
KR20180080415A (ko) 환기장치
KR101743127B1 (ko)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KR101201894B1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JP2006349318A (ja) 空調設備
JP4792348B2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KR102039879B1 (ko)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KR200390377Y1 (ko)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20070095575A (ko) 창문형 공조장치
CN105371458B (zh) 一种嵌入式空调
KR101932513B1 (ko) 건축물의 실내공기 배출용 환풍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환풍장치
KR200424327Y1 (ko) 환기장치
JP201011260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450285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507794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10108105A (ko) 역풍방지를 위한 환기시스템
JP4852258B2 (ja) 住宅換気構造
JP200711386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