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66B1 -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 Google Patents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66B1
KR102128366B1 KR1020180042735A KR20180042735A KR102128366B1 KR 102128366 B1 KR102128366 B1 KR 102128366B1 KR 1020180042735 A KR1020180042735 A KR 1020180042735A KR 20180042735 A KR20180042735 A KR 20180042735A KR 102128366 B1 KR102128366 B1 KR 10212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ate
roof
closing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374A (ko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니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니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니터리
Priority to KR102018004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2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provided with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붕의 개구부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골조과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 상부에서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의 공간을 복수의 유입 공간으로 구획 및 분리하는 복수의 지지수단; 상기 지붕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채광판;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채광판의 일단을 수용하면서 수직골조의 측면으로 유도된 실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 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판; 상기 수직골조의 하부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날개판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개방 부위와 타측 개방 부위를 각각 밀폐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Versatile roof monitor for ventila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순환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육관 내지 공장 등의 대형 시설물은 그 용도의 특성에 따른 각종 분진 및 가스 등이 발생되어 실내 공기가 쉽게 오염된다. 오염된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형 시설물들은 통풍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대형 시설물에 적용되는 통풍장치는 크게 강제통풍수단과 자연통풍수단으로 구분되는데, 자연통풍수단은 재차 루프타입(Roof-Type)과 그릴타입(Grll-Type) 및 댐퍼타입(Damper-Type) 통풍장치로 구분된다.
이중, 상기 루프타입 통풍장치(이하, "지붕 모니터"라 칭함)는 건물의 지붕보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직사각틀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기초 골격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과 측면에 각각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개구부와 스커트 지붕을 갖는 통풍구를 형성한다.
또한, 그 상부면으로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로 서브프레임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박공지붕을 형성하며, 이 박공지붕을 지지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측단부에 지지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성부를 수용하여 보호되도록 한 절곡된 형상의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지붕 모니터는 개구부로 유입되는 건물 내부의 오염 공기가 대류작용에 의해 통풍구로 배기됨에 따라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지붕 모니터의 경우 개구부의 유입 통로에 비하여 측부에 형성된 통풍구의 배기 통로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바, 유입 공기량을 배기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원활한 환풍이 이루어지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특히 현장의 구조에 따라 배기 통로가 작은 지붕 모니터와 배기 통로가 큰 지붕 모니터를 병합하여 운용할 경우, 종류별로 지붕 모니터를 설계해야함은 물론 제작 공정이 불필요하게 소요됨에 따라 시공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시공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846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의 개구부 구조에 맞춤형으로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되어 기성품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이하 '지붕 모니터'라고 칭함)는, 지붕의 개구부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골조과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 상부에서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의 공간을 복수의 유입 공간으로 구획 및 분리하는 복수의 지지수단; 상기 지붕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채광판;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채광판의 일단을 수용하면서 수직골조의 측면으로 유도된 실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 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판; 상기 수직골조의 하부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날개판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개방 부위와 타측 개방 부위를 각각 밀폐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선택된 하나의 유입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환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풍기가 설치되는 선택된 하나의 유입 공간에는 상기 유입 공간의 상부에서 'V'자 형상으로 한 쌍의 경사면을 갖는 공기유도부가 상기 환풍기를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환풍기가 구비되지 않은 유입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 공간을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댐퍼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 간에 배기 공간보다 낮은 위치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하나의 지지수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안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하나의 지지수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에 구비된 베어링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 및 일단이 상기 수직골조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에 힌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폐판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댐퍼수단은, 하나의 개폐판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개폐판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틈새 마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틈새 마감판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실린더가 결합되는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마감판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실린더가 결합되지 않은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마감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날개판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 공간에서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지붕골조는,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위가 양 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날개판은, 상기 지붕골조의 연장부위가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는 지붕의 개구부 구조에 맞춤형으로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되어 기성품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개구부의 구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품을 설계 및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시간의 단축과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모니터의 설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연속동 구조의 건물에 적용되는 지붕 모니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에 환풍기와 공기유도부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에 댐퍼수단이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댐퍼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댐퍼수단의 설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에 결합되어 건물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지붕 모니터(3)에 관한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3)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어 지붕(1)의 경사면 내지 지붕(1)의 용마루를 기준으로 경사면에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붕 모니터(3)는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지붕(1)의 중도리에 일정 간격을 따라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건물 내부의 오염된 공기 등이 대류 현상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중도리란 지붕(1)을 지지하는 하지 구조물로서 지붕(1)의 보통 서까래를 지지하는 수평의 큰 각재 맞배지붕에서 상부 및 하부 서까래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골조 부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모니터(3)는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공장 등의 건물에는 독립동이 아닌 연속동으로 설계된다.
일 예로 상기 지붕 모니터(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건물 내에 지붕 골조가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붕 모니터(3)가 건물 지붕(1)의 골조에 맞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설치되어 건물 내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오염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건물 내로 송풍되는 급기에 의해 각 지붕 모니터(3)로 유동되는 공기는 균일하게 배기되지 못하고 중앙부 부근으로 갈수록 정체하게 된다. 즉, 양단부에 설치되는 지붕 모니터(3)에서 최대의 배기효과가 나타나고 중앙부의 지붕 모니터(3)에서는 거의 환기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연속동 건물에 있어 지붕 모니터(3)를 복수로 설치하는 경우, 건물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배기 효율이 좋은 다시 말해 지붕(1)의 개구부(2)의 폭을 크게 하고 개구부(2)의 폭에 유동적으로 지붕 모니터(3)는 설치함으로써 각 동별로 환기 및 배기량의 평균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3)는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지붕(1)의 중도리에 일정 간격을 따라 결합되며 건물 내부 공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되어 배기될 수 있도록 유입 공간(11)과 배기 공간(12)을 각각 형성하는 지지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0)은 지붕(1)의 개구부(2)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지붕(1)의 중도리에 일정 간격을 따라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골조(100)과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100) 상부에서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지붕골조(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수단(10)은 건물의 규모와 설계 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의 공간을 복수의 유입 공간(11)으로 분할 및 구획한다.
즉 하나의 지지수단(10)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10) 사이에는 각기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가 각 공간별로 배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10)의 수직골조(100)는 기존 제품과는 달리 기제작되는 방식이 아닌 현장의 개구부(2)의 폭에 대응하여 각각의 수직골조(100)를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확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동 건물에 있어 배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건물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개구부(2)의 폭을 크게 하면서 개구부(2)의 폭에 적합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설계를 통해 제작되는 지붕 모니터 제품을 이용하면서 현장에 적합하게 배기 용량을 설정하여 장착함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품을 설계 및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이점에 의해 제작 단가를 절감하고 시공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3)는 상기 지붕골조(11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수단(10)을 따라 장착되는 채광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광판(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골조(110)의 상부에 이격 되며 상기 이격 공간에는 앵글과 같은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여 상기 채광판(50)이 상기 지붕골조(11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채광판(50)은 그 단면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수직골조(100)의 폭보다 길게 구성되어 채광판(50)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지지수단(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지붕 모니터(3)의 상부를 채광판(50)이 밀폐함에 따라 유동하는 건물 내의 공기가 상기 수직골조(100)의 양측면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채광판(50)은 외부에서 조사되는 태양열을 건물 내부로 전달하여 실내 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건물 내, 외부의 온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대류 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채광판(50)은 외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건물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투명 소재의 유리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 FRP)로 형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지붕(1)의 경사면에 설치됨에 따라 빗물 내지 눈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부면에 접한 빗물 내지 눈을 중력에 의해 지붕(1) 등에 형성되는 홈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채광판(50)는 그 단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수로가 구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요철 형상의 채광판(50)은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빗물이 상기 채광판(50)으로 흐르는 경우 빗물을 각각의 수로로 분산시켜 원활하게 지붕 모니터(3)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3)는 상기 지지수단(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판(40)과, 상기 지지수단(10)의 하부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20) 및 상기 날개판(4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판(40)은 상기 수직골조(10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채광판(50)의 일단을 수용하면서 수직골조(100)의 측면으로 유도된 실내 공기가 배기될 수 있는 배기 공간(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날개판(40)은 우천 시, 흐르는 빗물이 원활하게 지붕(1)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더불어 그 하부면도 상기 날개판(40)의 상부면과 대칭되도록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붕골조(110)는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10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위(111)가 양 단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날개판(40)은 상기 수직골조(110)의 측면의 일 결합부위에 더하여 상기 지붕골조(110)의 연장부위(111)가 일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건물의 지붕(1)에 부착되는 외장패널 대신 중도리에 접하면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L'자 형상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수직골조(100)의 하부 측면과 지붕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10)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평판 형상으로 상기 지지수단(10)의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지지수단(10)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눈, 비 또는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상기 날개판(4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날개판(4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지지수단(10)을 따라 장착되어 연속된 날개판(40) 간에 형성되는 노출부위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인접하게 되는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3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서 지붕 모니터(3) 내부와 연통될 수 있는 측면통로를 형성된다.
상기 측면통로는 지붕 모니터(3)의 측면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지붕 모니터(3) 내부의 공기가 활발히 순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기 공간(12)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지붕 모니터(3) 내부의 공기 순환이 활성화됨에 따라 건물 내부로부터 지붕 모니터(3)로 유동되는 공기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모니터(3)는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10)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개방 부위와 타측 개방 부위를 각각 밀폐하는 전면커버(60) 및 후면커버(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60) 및 후면커버(70)는 지붕 모니터(3)의 최 전단과 최 후단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수단(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 및 상부 하우징(30)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20)과 상부 하우징(30)의 일부를 함께 수용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수단(10)과 날개판(40)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위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3)는 상기 날개판(40)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 공간(12)에서 상기 수직골조(100)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수직골조(100)의 측면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도판(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판(80)은 평판 구조로 상기 날개판(40)의 배기 공간(12)에 의해 개방된 상부로부터 빗물이 지지수단(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하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에 의해 빗물을 하부 방향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판(80)의 끝단은 하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유도되는 빗물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하부 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되는 수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모니터(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한 쌍의 지지수단(1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 공간(11)에는 하나 이상의 환풍기(9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환풍기(90)는 건물의 구조에 따라 자연 급기가 곤란하여 원활한 배기 작용이 어려운 경우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환풍기(90)를 작동시킴에 따라 강제 급기가 이루어지게 하여 건물의 오염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환풍기(90)의 갯수 및 배치 구조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환풍기(9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수단(10) 사이에는 상기 유입 공간(11)의 상부에서 'V'자 형상으로 한 쌍의 경사면(910)을 갖는 공기유도부(91)가 상기 환풍기(90)를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부(91)는 하부의 유입 공간(11)로부터 유입되는 건물의 실내 공기를 상기 날개판(40)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 공간(12) 방향으로 배기함에 있어 환풍기(90)를 통해 상향하는 공기가 각각의 경사면(910)을 따라 상기 배기 공간(12)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모니터(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붕(1)의 일정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수단(10)에 기해 지붕 모니터(3)의 내부 공간은 상기 지지수단(10)을 기점으로 복수로 유입 공간(11)으로 분리 및 구획되며 공기의 순환 및 배출이 각각의 유입 공간(11)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각 공간 즉 환풍기(90)가 구비되지 않은 유입 공간(11)에는 상기 유입 공간(11)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공기의 순환 및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댐퍼 수단(9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댐퍼 수단(9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수단(10)의 한 쌍의 수직골조(100) 간에 배기 공간(12)보다 낮은 위치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베어링(921)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920)과, 하나의 지지수단(10)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10)의 지지프레임(920) 사이에 안치되는 개폐판(930)과, 상기 개폐판(93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하나의 지지수단(10)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10)에 구비된 베어링(921)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930)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940) 및 일단이 상기 수직골조(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개폐판(930)의 일측 상부면에 힌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폐판(930)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9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수단(92)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관리자에 의해 조작 및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유압실린더(950)의 신장 또는 압축 작용에 의해 상기 개폐판(930)이 각 유입 공간(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환경에 적합하게 유동적으로 지붕 모니터(3)를 적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수단(92)은 상기 개구부(2)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100) 간의 폭도 증대됨에 따라 유입 공간(11)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수단(92)을 적어도 둘 이상 설치할 수 있으며, 댐퍼수단(92)의 개폐판(93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920), 회전축(940), 유압실린더(950)의 구조 역시 변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댐퍼수단(92)이 설치된 경우, 상기 댐퍼수단(92)은 하나의 개폐판(930)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개폐판(930) 사이의 틈새 공간을 마감하는 틈새 마감판(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판(930)은 하나의 지지수단(10)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10)의 지지프레임(920) 사이에 안치되므로 상호 인접한 개폐판(930) 사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920)의 폭 만큼의 틈새가 형성되므로 상기 개폐판(930)을 이용하여 유입 공간(11)를 밀폐하여도 상기 틈새를 통해 실내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틈새 마감판(96)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940)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실린더(950)가 결합되는 개폐판(930)의 일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930)의 일측 상부면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마감판(960) 및 상기 회전축(940)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실린더(950)가 결합되지 않은 개폐판(930)의 타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930)의 타측 상부면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920)에 결합되는 제 2마감판(97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950)와 연계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판(930)은 상기 유압실린더(950)의 압축 작동에 의해 개폐판(930)의 일측이 상기 유압실린더(950)를 향하여 상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반대로 개폐판(930)의 타측은 유압실린더(950)와 멀어지게 하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 1마감판(960)은 상기 개폐판(930)의 일측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연동하도록 하는 것이며, 제 2마감판(970)은 상기 개폐판(930)과 분리되게 상기 지지프레임(920)에 고정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마감판(970)의 경우 개폐판(93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지지프레임(920)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개폐판(930)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지지프레임(920)에 결합되는 결합면(971)과 상기 결합면(971)으로부터 상기 개폐판(930)의 폭만큼 높은 위치에서 개폐판(930)의 타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930)의 타측 상부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마감면(9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댐퍼수단(92)는 상기 지지수단(10) 또는 인접하는 타 지지수단(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930)이 회동될 때 정위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980)가 더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980)는 상기 개폐판(930)이 상기 유입 공간(11)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개페판(930)의 기설정된 회전방향으로부터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위치면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 : 지붕 2 : 개구부
3 : 본 발명의 지붕 모니터
10 : 지지수단 20 : 하부하우징
30 : 상부하우징 40 : 날개판
50 : 채광판 60 : 전면커버
70 : 후면커버 80 : 공기유도판
90 : 환풍기 91 : 공기유도부
92 : 댐퍼수단 96 : 틈새마감판

Claims (7)

  1. 지붕의 개구부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골조과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 상부에서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장착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의 공간을 복수의 유입 공간으로 구획 및 분리하는 복수의 지지수단;
    상기 지붕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채광판;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채광판의 일단을 수용하면서 수직골조의 측면으로 유도된 실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 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판;
    상기 수직골조의 하부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날개판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따라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개방 부위와 타측 개방 부위를 각각 밀폐하는 밀폐커버;
    선택된 하나의 유입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환풍기; 및
    상기 환풍기가 구비되지 않은 유입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 공간을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댐퍼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 간에 배기 공간보다 낮은 위치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하나의 지지수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안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하나의 지지수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에 구비된 베어링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수직골조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에 힌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폐판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하나의 개폐판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개폐판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틈새 마감판를 포함하며,
    상기 틈새 마감판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실린더가 결합되는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마감판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실린더가 결합되지 않은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개폐판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상기 개폐판의 폭만큼 높은 위치에서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과 인접한 타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마감면으로 구성되는 제 2마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가 설치되는 선택된 하나의 유입 공간에는 상기 유입 공간의 상부에서 'V'자 형상으로 한 쌍의 경사면을 갖는 공기유도부가 상기 환풍기를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 공간에서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수직골조의 측면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골조는,
    상기 한 쌍의 수직골조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위가 양 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날개판은,
    상기 지붕골조의 연장부위가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20180042735A 2018-04-12 2018-04-12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212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35A KR102128366B1 (ko) 2018-04-12 2018-04-12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35A KR102128366B1 (ko) 2018-04-12 2018-04-12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74A KR20190119374A (ko) 2019-10-22
KR102128366B1 true KR102128366B1 (ko) 2020-06-30

Family

ID=6842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35A KR102128366B1 (ko) 2018-04-12 2018-04-12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3936A (zh) * 2021-05-08 2021-08-24 山东英信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翻转天窗及微模块数据中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10A (ja) * 2001-04-12 2002-10-23 Ohbayashi Corp 5方向切替バルブ
KR100990428B1 (ko) * 2010-03-08 2010-10-29 이영석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1743127B1 (ko) 2015-12-17 2017-06-15 김주형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66B1 (ko) 2002-10-09 2004-07-07 이영희 인터넷학습시스템 및 그 학습방법
KR20160069205A (ko) * 2014-12-08 2016-06-16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10A (ja) * 2001-04-12 2002-10-23 Ohbayashi Corp 5方向切替バルブ
KR100990428B1 (ko) * 2010-03-08 2010-10-29 이영석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1743127B1 (ko) 2015-12-17 2017-06-15 김주형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74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913B1 (ko) 스마트 버섯재배사
JP2005105732A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102260055B1 (ko) 배수 기능이 구비된 천장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구조
KR100990428B1 (ko)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1414506B1 (ko) 확장형 지붕 모니터
KR102128366B1 (ko) 범용성을 갖는 환기용 지붕 모니터
EA010557B1 (ru) Рам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конных, дверных или фасадных элементов
EP0869229A2 (en) Lighting device
KR102128367B1 (ko)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2342043B1 (ko) 환기용 지붕 모니터
KR102128368B1 (ko) 배기 효율이 향상된 지붕 모니터
KR101183593B1 (ko) 환기용 모니터
US20080057851A1 (en) Method for restricting heat transmission through a wall opening and air curtain
KR200398799Y1 (ko) 루프 환기 제어장치
KR100990711B1 (ko) 하우스용 판넬
KR102197170B1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KR101122584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하는 창호시스템
US925252A (en) Ventilator.
JP5066353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7045710B2 (ja) 輻射熱利用建築物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KR101913626B1 (ko) 고온건조기후형 저에너지건축물
JP6810478B2 (ja) 屋根融雪システム
CN211903241U (zh) 导流排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