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79B1 -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 Google Patents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79B1
KR102039879B1 KR1020180001863A KR20180001863A KR102039879B1 KR 102039879 B1 KR102039879 B1 KR 102039879B1 KR 1020180001863 A KR1020180001863 A KR 1020180001863A KR 20180001863 A KR20180001863 A KR 20180001863A KR 102039879 B1 KR102039879 B1 KR 10203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house body
frame structure
ring mechanism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885A (ko
Inventor
신영복
박수용
원종혁
Original Assignee
신영복
박수용
원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복, 박수용, 원종혁 filed Critical 신영복
Priority to KR102018000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02P60/1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비가림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비가림 하우스는 프레임용 파이프를 터널 구조로 배치하여 지반에 고정하고, 프레임용 파이프의 상부에 투명한 비닐을 씌운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각종 과일이나 야채류와 같은 작물을 계절에 따라 조기 출하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화훼재배, 또는 건조시설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온실효과에 의해 겨울에도 각종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사계절 내내 생산성과 고품질의 작물 재배가 가능하여 각종 작물 재배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가림 하우스 내에서 각종 작물들이 적절하게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가림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환기하고, 내부의 공기의 적정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비가림 하우스는 차가운 기온이나 바람, 눈 등을 차단하는 간이시설물로서 기본적인 환기구조를 갖는데, 종래 대표적인 환기방법으로는 창문을 열어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창으로부터는 실외공기가 유입되고, 정반대측 창으로는 실내의 오염공기를 배출하여 교환시키는 풍력환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풍력환기는 바람이 있을 때는 문제가 없으나, 바람은 시시각각으로 강도와 풍향이 변하므로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하기가 어려웠고, 실외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따위의 이물이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들어와 실내가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풍력환기와 함께 자연환기에 속하는 중력환기가 알려져 있는데 환기통에 의한 환기는 중력환기의 예로서, 실내의 온도가 외부보다 높을 때는 그 속의 따뜻한 공기는 외부의 찬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흘러 환기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력환기 또한 실내외의 온도차가 계절에 따라 상이하므로 언제나 일정한 환기량을 기대할 수 없었다.
즉, 동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커서 환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하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냉방시 오히려 실내온도가 실외보다 낮아 환기가 불안정하고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풍력환기, 중력환기와 같은 자연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바로 팬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환기를 시키는 기계식 환기방식이다.
이러한 기계식 환기방식은 흡기입구, 흡기출구, 배기입구 및 배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각각 흡기입구와 배기입구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흡입한 후 흡기출구와 배기출구로 각각 토출시키는 흡기팬 및 배기팬과,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공기의 열을 교환시키는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은 건축물의 벽에 설치되고, 열교환기는 내부로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됨이 없이 열을 교환한 뒤 각각 흡기출구와 배기출구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흡기팬과 배기팬을 작동시키면, 흡기팬과 배기팬의 작용으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흡기입구와 배기입구를 통하여 하우징으로 각각 흡입되는바,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을 교환한 뒤 흡기출구와 배기출구를 통하여 각각 실내와 실외로 토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환기방식은 흡기팬과 배기팬으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환기하는 방식이므로 자연환기에 비하여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소음발생과 에너지 소비가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자연환기를 더 선호하는 현 시대적 흐름에 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171673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환기구의 개방상태에 자연환기가 가능하여 다양한 작물의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우천시 개방된 환기구를 통하여 빗물이 하우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연환기가 가능한 비가림 하우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2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1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1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바는 상기 제2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1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1절곡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3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2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바는 상기 제3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2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2절곡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제1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접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하거나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제3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연결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폐부는 상기 보조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추어 상기 수평강재와 경첩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차단부와, 상기 보조차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 또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고정설치되는 보조도르레와, 상기 제3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3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차단부는 제1,2고정공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강재와 경첨부재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연결체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1고정공에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곡선재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2고정공에 양단이 삽입되는 직선재 및 상기 곡선재와 직선재를 덮는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하우스본체는 상기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1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1연장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3하우스본체는 상기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2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아치강재와 제2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이며,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아치강재와 제3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상단에 구비된 힌지축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살균제거하는 공간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살균부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제3탱크와, 상기 제1,2 및 3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차아염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PH5.1 ~ 5.9의 잔류염소가 중화된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HOCL) 살균액을 제조하는 혼합반응기 및 상기 혼합반응기와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살균액을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1,2 및 본체하우스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면서 서로 인접하는 본체하우스의 경계영역에 천정높이차에 의해서 제1,2환기구를 형성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편, 상측 제1,2환기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간에서 대류에 의한 자연적인 환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온도조절이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작물에 대한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므로 현실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2) 중력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제1,2 및 3하우스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환기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소비가 없어 친환경적인 재배시설물을 구축할 수 있다.
3)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물을 혼합한 차아염소산수를 분무하여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꽃가루, 스모그 분진 및 미세먼지를 포집 제거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CO2)를 같이 혼합하여 분무함으로써 잔류염소도 중화시킬 수 있어 재배작물의 성장조건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2a 와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서 외피재를 제거한 상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제1,2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제1,2개폐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제3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의 내부에 제1,2환기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100)는 도 1 과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높이가 서로 상이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치형 단면구조를 갖는 제1,2 및 3하우스본체(10,20,30) 및 전,후면부(40,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스본체(10)는 지면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길이중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11)와 이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직선강재(1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하우스본체(10)의 제1프레임구조체 외부면에는 투명한 소재의 비닐이나 부직포와 같은 외피재를 덮어 외관을 마무리한다.
상기 제2하우스본체(20)는 지면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길이중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21)와 이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직선강재(22)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재로 외면이 덮어지는 제2하우스본체(20)의 제2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의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와 제2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와 제2하우스본체(20)사이에는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스본체(30)는 지면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길이중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31)와 이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3직선강재(32)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부재로 외면이 덮어지는 제3하우스본체(30)의 제3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의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3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와 제3하우스본체(30)사이에는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제1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후단의 제1아치강재(11)와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선단의 제2아치강재(21)는 동일한 지면에서 수직한 양단이 서로 겹쳐져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제1환기구(A)의 개구크기는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와 제2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를 가변시키는 것에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후단의 제2아치강재(21)와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제3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선단의 제3아치강재(31)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지면에서 수직한 양단이 서로 겹쳐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크기는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3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및 3아치강재(11,21,31)의 길이중간에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아치부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2환기구의 개구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스본체(10), 제2하우스본체(20) 및 제3하우스본체(30)의 형성길이(A,B,C)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40)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44)를 갖추어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도록 외피재가 씌어진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면부(50)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54)를 갖추어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30)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도록 외피재가 씌어진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와 제2하우스본체(20)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차단판(2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차단판(25)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23a,23b)는 상기 제2아치강재(21)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도르레(25a)에 감기어 안내이동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23a,23b)의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1작동부(28)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감기는 휠을 회전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와 제3하우스본체(30)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부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차단판(3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차단판(35)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33a,33b)는 상기 제3아치강재(31)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도르레(35a)에 감기어 안내이동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33a,33b)의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2작동부(38)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작동부에도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감기는 휠을 회전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1,2작동부의 핸들조작에 의해서 휠에 감겨진 제1,2견인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2차단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구된 제1,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개폐부에는 상기 제1,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서 상하이동되는 제1,2차단판(25,35)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1,2안내바(24,3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바(24)는 상기 제2아치강재(21)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제1수직바(24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바(24a)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제1환기구의 개방시 하강대기하는 제1차단판(25)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1절곡바(2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바(34)는 상기 제3아치강재(31)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제2수직바(34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바(34a)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제2환기구의 개방시 하강대기하는 제2차단판(35)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2절곡바(3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정높이가 가장 낮은 제1하우스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부에는 도 5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치강재(11)의 길이중간에 형성되는 아치부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수평강재(11a)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환기구는 천정높이가 가장 높은 제3하우스본체(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후면부에도 상기 제3아치강재(31)의 길이중간에 형성되는 아치부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다른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개폐부는 상기 보조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추어 상기 수평강재(11a)와 경첩부재(15c)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차단부(45)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차단부(45)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견인와이어(45b)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제1직선강재 또는 제3프레임구조체의 제3직선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보조도르레(45a)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견인와이어(45b)의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3작동부(45c)에 연결되고, 상기 제3작동부에는 상기 제3견인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감기는 휠을 회전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3작동부의 핸들조작에 의해서 휠에 감겨진 제3견인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보조차단부를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개구된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차단부(45)는 제1,2고정공(15a,15b)을 일면에 함몰형성하여 상기 수평강재(11a)와 경첩부재(15c)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연결체(15)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15)의 각 제1고정공(15a)에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곡선재(45d)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15)의 각 제2고정공(15b)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직선재(45e)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재(45d)와 직선재(45e)를 덮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의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스본체(20)는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제1환기구를 통하여 우천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아치강재(21)의 길이중앙인 천정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1연장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스본체(30)는 제1하우스본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아치강재(31)의 길이중앙인 천정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2연장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26)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제1아치강재와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바(26b)와 연결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26a)을 하부면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장부(36)는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의 제2아치강재(21)와 상기 제3하우스본체(30)의 제3아치강재(31)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바(36b)와 연결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36a)을 하부면에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26)와 제2연장부(36)는 상기 제2,3하우스본체(20,30)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곡률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환기구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서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판상의 제1,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제1아치강재(11)를 천정높이가 높은 제2하우스본체의 내측에 중첩배치되도록 일정길이 진입시켜 설치하고,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아치강재(21)를 천정높이가 높은 제3하우스본체의 내측에 중첩배치되도록 일정길이 진입시켜 설치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개방된 제1,2환기구를 통하여 하우스본체내부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시에 개방되고 제1,2 및 3 하우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공기배출시에 차단되는 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42)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댐퍼판(46)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판(46)의 상단에 구비된 힌지축(46a)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4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는 상기 후면부에도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댐퍼부에 의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서 상기 댐퍼판(46)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방됨으로써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제1,2환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면서 내부공기가 상승되면, 대류현상에 의해서 상승되는 내부공기는 개방된 제1,2환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40)에 구비되는 댐퍼부는 외부공기가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될때 개방되고, 상기 후면부(50)에 구비되는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에 구비되는 댐퍼부와는 반대로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공기가 내부유입되면서 댐퍼판이 내측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전면부의 개구부에는 양압이 형성되고,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공기가 외부배출되면서 댐퍼판이 외측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후면부의 개구부에는 음압이 형성되면, 풍압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실내외 온도차(동절기에는 온도차이가 크지만 하절기에는 온도차이가 작다)에 관계없이 연중으로 자연적으로 환기를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10,20,3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살균제거하는 공간살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살균부는 일정량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62)를 포함하고, 일정량의 물(H2O)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63)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제3탱크(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및 3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치아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PH5.1 ~ 5.9의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HOCL)살균액을 제조하는 혼합반응기(61)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반응기(61)와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살균액을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10,20,30)의 내부공간에서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6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65)은 상기 제1,2 및 3하우스본체(10,20,30)의 제1,2 및 3직선강재(12,22,32)를 따라 설치되는 살균액 공급라인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액 공급라인은 상기 제1,2환기구의 양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2차단판의 양측단과 겹쳐지는 고정판(27,37)에 관통형성된 관통공(27a,37a)을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혼합반응기에서 살균액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간의 반응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2NaCLO + H2O + Co2 = 2HCLO + CLO + 2Na + Co3 + H
염소계 소독제의 살균력은 차아염소산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산성영역에서는 염소가스, 약산성 영역에서는 차아염소산, 알카리 영역에서는 차아염소산 이온으로 변경됩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노즐(65)을 통하여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10,20,30)의 내부공간에서 분무형태로 분사되는 살균액에 의해서 비가림 하우스내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영양을 줄 수 있는 잔류염소를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에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인 살균액을 분무함으로써 자연환기에 따른 대류의 이동시 실외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물론 작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이물질을 비중차에 의하여 침강시킴은 물론 비가림 하우스 내부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살균액을 노즐에 공급하는 살균액공급라인은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갖고 있는 부식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팜메이드 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살균액을 분사하는 노즐은 공급되는 살균액을 분무상태로 분무할 수 있도록 진동자를 갖는 분무장치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및 진동자는 하스텔로이 및 써스 316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제1하우스본체
11 : 제1아치강재
12 : 제1직선강재
20 : 제2하우스본체
21 : 제2아치강재
22 : 제2직선강재
25 : 제1차단판
26 : 제2연장부
30 : 제3하우스본체
31 : 제3아치강재
32 : 제3직선강재
35 : 제2차단판
36 : 제2연장부
40 : 전면부
44 : 전면도어
50 : 후면부
55 : 후면도어
60 : 공간살균부
61 : 혼합반응기
62,63,64 : 제1,2 및 3저장탱크
65 : 노즐

Claims (12)

  1. 삭제
  2.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2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1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1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바는 상기 제2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1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1절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4.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3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2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바는 상기 제3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2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2절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6.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제1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접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하거나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제3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연결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폐부는 상기 보조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추어 상기 수평강재와 경첩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차단부와, 상기 보조차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 또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고정설치되는 보조도르레와, 상기 제3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3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단부는 제1,2고정공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강재와 경첨부재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연결체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1고정공에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곡선재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2고정공에 양단이 삽입되는 직선재 및 상기 곡선재와 직선재를 덮는 외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9.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스본체는 상기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1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1연장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3하우스본체는 상기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2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아치강재와 제2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이며,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아치강재와 제3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11.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상단에 구비된 힌지축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12.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살균제거하는 공간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살균부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제3탱크와, 상기 제1,2 및 3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차아염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PH5.1 ~ 5.9의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HOCL) 살균액을 제조하는 혼합반응기 및 상기 혼합반응기와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살균액을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KR1020180001863A 2018-01-05 2018-01-05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KR10203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63A KR102039879B1 (ko) 2018-01-05 2018-01-05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63A KR102039879B1 (ko) 2018-01-05 2018-01-05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85A KR20190083885A (ko) 2019-07-15
KR102039879B1 true KR102039879B1 (ko) 2019-11-04

Family

ID=6725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63A KR102039879B1 (ko) 2018-01-05 2018-01-05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540A (ko) 2021-04-29 2022-11-07 강성원 비가림 하우스용 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679B1 (ko) * 2020-10-21 2023-11-15 권수현 내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자동 제어 가변성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2599719B1 (ko) * 2020-12-24 2023-11-08 농업회사법인㈜수산복해 아쿠아 플라즈마 공법을 이용하여 유해균을 억제하는 수경재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00Y1 (ko) * 2007-04-20 2008-04-08 (주)현대금속농공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JP2011201838A (ja) * 2010-03-26 2011-10-13 Es Technology Kk 植物の防疫方法および防疫装置
JP2015133913A (ja) * 2014-01-16 2015-07-27 東都興業株式会社 通風換気構造温室のすきま風防止構造
KR101911027B1 (ko) 2017-05-12 2018-10-24 권수현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87B1 (ko) * 2007-02-07 2008-08-18 이기훈 개폐가능한 지붕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KR101422801B1 (ko) * 2012-08-14 2014-07-23 이형식 유리온실
KR20180024272A (ko) * 2016-08-29 2018-03-08 남상철 작물 재배용 하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00Y1 (ko) * 2007-04-20 2008-04-08 (주)현대금속농공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JP2011201838A (ja) * 2010-03-26 2011-10-13 Es Technology Kk 植物の防疫方法および防疫装置
JP2015133913A (ja) * 2014-01-16 2015-07-27 東都興業株式会社 通風換気構造温室のすきま風防止構造
KR101911027B1 (ko) 2017-05-12 2018-10-24 권수현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540A (ko) 2021-04-29 2022-11-07 강성원 비가림 하우스용 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85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879B1 (ko)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KR101881299B1 (ko) 반밀폐형 스마트팜 유리온실
AU2014213537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ES2436111T5 (es) Invernadero y sistem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clima en invernaderos
US9010019B2 (en) Plant air purificatio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JP5515118B2 (ja) 植物育成用施設
EP3347653B1 (en) Module of ventilation and biological pur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air to an environment, and relevant method
KR20060132074A (ko)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JP4818222B2 (ja) 植物生育設備
KR101682901B1 (ko) 버섯재배사용 환기장치
KR100729180B1 (ko) 가스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CN110214598A (zh) 阳光节能型植物工厂
CN208338567U (zh) 一种湿度可调的洁净养猪房
KR101743127B1 (ko)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JP5974481B2 (ja) 栽培施設
CA2592674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06468B1 (ko) 기화식 가습 타워
CN212993366U (zh) 一种种植双层幕墙
JP3183679B2 (ja) しいたけ栽培用ハウス装置
KR20230158895A (ko) 증발냉각 기능을 구비한 온실 재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실 재배 방법
KR20120100117A (ko) 친환경 에너지 건축물의 급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