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801B1 - 유리온실 - Google Patents

유리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801B1
KR101422801B1 KR1020120089155A KR20120089155A KR101422801B1 KR 101422801 B1 KR101422801 B1 KR 101422801B1 KR 1020120089155 A KR1020120089155 A KR 1020120089155A KR 20120089155 A KR20120089155 A KR 20120089155A KR 101422801 B1 KR101422801 B1 KR 10142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ve
frame
glass
gaske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693A (ko
Inventor
이형식
최현식
Original Assignee
이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식 filed Critical 이형식
Priority to KR102012008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8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리온실은 지붕과 측벽의 사이각이 임의의 사이각을 형성시키더라도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이 상대 회전되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온실의 처마를 마감하는 설치 자유도가 대폭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을 간소화하여 설치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온실{Glasshouse}
본 발명은 유리온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온실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를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고, 유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개스킷을 끼워 넣어 시공방법이 간편한 유리온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온실은 각종 식물이나 작물에 인위적인 성장조건을 제공하면서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 빛의 투과가 용이한 유리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 구조물상에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유리온실의 경우 크게는 상기 온실의 측벽수단과 지붕수단 및 상기 지붕수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개폐되는 천창수단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붕수단은 그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용마루부재의 측방하부로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서까래부재에 의해 판유리를 설치하고, 상기 천창수단은 용마루부재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천창회전재와 하부의 천창마감재 사이로 서까래부재에 의해 판유리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측벽수단은 수직재에 의해 판유리를 결합한 상태로 설치하여 유리온실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유리온실에서 상기 판유리를 고정 설치하는 종래의 서까래 유리고정장치는 알류미늄커버에 의해 피스로 고정하는 방식과 고무재커버로 직접 고정하는 방식을 각각 사용하여 상호 호환성을 갖지 못해 사용상의 제약을 받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알류미늄커버를 피스로 고정하는 방식의 경우 단순히 서까래의 중앙으로 형성된 체결홈과 알류미늄커버를 피스로 체결하게 되므로 상기 피스가 체결공으로부터 용이하게 풀리게 되고, 이와 같이 피스가 풀리게 되는 경우 커버 또는 판유리가 분리되거나 결합부위의 틈새발생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리 온실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를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고, 유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개스킷을 끼워 넣어 시공방법이 간편한 유리온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리온실에 있어서, 상기 유리온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붕지지프레임(10);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유리온실의 측벽을 이루는 측벽지지프레임(15);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유리(22)(24) 사이를 밀폐시키는 평면밀폐유닛(100); 상기 평면밀폐유닛(100)과 결합되고,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 및 측벽지지프레임(15)의 상대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어 연결되며, 상기 유리온실 내부로 습기 또는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처마밀폐모듈(90)을 포함하는 유리온실을 제공한다.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은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이 고정되는 처마바디(91);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마커버(92); 고정부재(36)를 통해 상기 처마바디(91)에 결합되는 아우터프레임(70); 상기 처마커버(92)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개스킷(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마바디(91)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처마바디(91)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을 지지하는 처마지지부재(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 및 처마바디(91)를 차폐시키는 처마개스킷(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유리가 연결될 때, 상기 삽입개스킷(52) 하나 만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상기 처마커버(92)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은 상기 유리 내부의 결로를 모아 이동시키는 결로안내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처마바디(91)는 상기 결로안내홈(55)을 따라 유동된 결로를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 측으로 배출시키는 처마배출홀(9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은 상기 처마바디(91)에서 배출된 결로를 상기 유리온실 외부로 배출시키는 측벽배출홀(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처마커버(92)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개스킷바디(52a);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프레임(70)에 끼움 고정되는 삽입끼움부(52b);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에 형성되고 상기 처마커버(92)에 밀착되는 접촉부(52c); 상기 접촉부(52c)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개스킷(52)의 후퇴 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후퇴방지부(52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온실은 삽입개스킷(52)이 유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유리온실의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온실은 하나의 삽입개스킷(52)을 이용하여 평면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유리 사이를 밀폐시키기 때문에 이음새로 인한 습기침투 및 열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온실은 평면밀폐유닛(100)에서 발생된 결로를 모아 유리온실 외부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온실은 지붕과 측벽의 사이각이 임의의 사이각을 형성시키더라도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이 상대 회전되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온실의 처마를 마감하는 설치 자유도가 대폭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을 간소화하여 설치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온실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리온실 결합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평면밀폐유닛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처마밀폐모듈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1의 C 부분의 유리온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온실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리온실 결합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평면밀폐유닛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처마밀폐모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온실은 다수개의 유리를 평면적으로 연결시켜 측벽 및 지붕을 형성시키게 되고, 도시된 유리의 결합구조는 유리온실을 지지하는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내외측의 공기소통을 차단시키고, 내부에서 발생된 결로를 모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한다.
특히 이후에 설명하는 유리온실의 결합구조는 측벽(2)과 지붕(1)이 경사지게 연결되는 B 부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온실의 결합구조는 유리온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붕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유리온실의 측벽을 이루는 측벽지지프레임(15)과,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 및 측벽지지프레임(15)의 상대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어 연결되고 상기 유리온실 내부로 습기 또는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처마밀폐모듈(90)과,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유리(22)(24) 사이를 밀폐시키는 평면밀폐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유리온실의 하중을 지탱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은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을 통해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은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이 연결되고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이 설치되는 각도에 대응하여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시키도록 회전중심을 형성시키는 하중지지부(16)와,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의 처마커버(92)의 회전중심을 형성시키는 커버지지부(17)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은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측면이 대향되게 배치된 유리(22)(24)와, 상기 유리(22)(24)를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30)과, 상기 고정모듈(30) 및 상기 유리(22)(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22)(24)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상기 유리온실의 내외측을 밀폐시켜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개스킷모듈(50)을 포함한다.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은 상기 유리온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유리(22)(24)는 상기 유리온실의 외벽을 형성시키기 위해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리온실의 지붕 또는 측벽을 형성시킨다.
상기 고정모듈(30)은 상기 유리온실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리(22)(24)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22)(24)를 지지하고,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는 이너프레임(60)과, 상기 유리(22)(24)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프레임(60)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22)(24)를 상기 이너프레임(60) 측으로 가압하는 아우터프레임(70)과,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아우터프레임(7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6)와,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아우터프레임(70)을 지지하는 서포터(38)를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모듈(50)은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개스킷(52)과, 상기 유리(22)(24) 및 이너프레임(60)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개스킷(54)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프레임(60)은 볼트(61) 및 너트(63)를 통해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측이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고 상측이 상기 개스킷모듈(50)을 통해 상기 유리(22)(24)를 지지한다.
상기 이너프레임(60)은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이너바디(62)와, 상기 이너바디(62)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61)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64)와, 상기 개스킷모듈(50)이 끼워져 고정되는 개스킷고정부(65)와, 상기 고정부재(36)가 결합되는 고정부재결합부(66)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삽입부(64)는 볼트의 헤드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고정부(65)는 끼움개스킷(54)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스킷홈(65a)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은 상기 유리(22)(24)의 상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바디(72)와, 상기 아우터바디(72)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개스킷(5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스킷고정부(75)가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고정부(75)는 홈형태로 형성된 개스킷홈(75a)이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홈(75a)은 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은 상기 고정부재(36)가 체결되어 관통되는 것으로서, 하측으로 오목한 요(凹)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74)을 차페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커버(76)가 별도로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38)는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아우터프레임(70)의 결합 시 상기 개스킷모듈(50)이 소정 압력으로 압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프레임(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터(38)는 서포터바디(38a)와, 상기 서포터바디(38a)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결합부(66)에 삽입 고정되는 서포터삽입부(38b)와, 상기 서포터바디(38a)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개스킷(54)을 상기 이너프레임(60)에 고정시키는 개스킷고정부(38c)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삽입부(38b)는 상기 고정부재결합부(66)에 끼움 고정된 후, 상기 고정부재(36)에 의해 상기 이너프레임(60)에 체결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6)는 상기 요홈(74) 및 서포터(38)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프레임(60)의 고정부재결합부(66)에 체결 결합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38)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프레임(60)에 끼움 고정된 후 상기 아우프레임(7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프레임(70)에 끼움고정 된 후 상기 이너프레임(60)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서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면서 상기 고정부재(36)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38)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너프레임(60) 또는 아우터프레임(7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개스킷모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개스킷(52)과, 상기 유리(22)(24) 및 이너프레임(60)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개스킷(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유리온실의 외부에서 습기 및 공기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된 복수개의 유리를 하나의 삽입개스킷(52)을 통해 내외측을 차단시킨다.
즉, 유리온실은 지붕 또는 측벽을 형성시킬 때, 필연적으로 다수개의 유리를 연이어서 하나의 면을 형성해야 하는 바, 상기 유리들의 연결부위에 갭이 발생되고, 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다수개의 개스킷을 삽입하여 상기 갭을 밀폐시켜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개스킷(52)은 유리온실의 지붕길이를 커버할 만큼 긴 길이로 형성된 다음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로 상기 삽입개스킷(52)을 밀어 넣어 개스킷의 이음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개스킷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리의 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밀착되기 때문에,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프레임에 하나의 개스킷을 설치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개스킷(52)은 아우터프레임(70)이 설치된 후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아우터프레임(70)이 연이어져 설치되더라도 하나의 삽입개스킷(52)만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개스킷만으로 내외측을 밀폐시키는 경우 이음새가 형성되지 않아서 수분침투 및 밀폐 효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개스킷바디(52a)와,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끼움부(52b)와,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에 형성되고 상기 유리(22)(24)에 밀착되는 접촉부(52c)와, 상기 접촉부(52c)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개스킷(52)의 후퇴 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후퇴방지부(52c)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재질의 탄성을 통해 상기 아우터프레임(7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재질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끼움부(52b)는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에서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스킷홈(75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를 상기 유리(22)(24)사이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끼움부(52b)가 상기 개스킷홈(75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이 설치된 후에도 상기 유리(22)(24)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어서, 시공 상의 설치 자유도가 높다. 특히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아우터프레임(7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끼움부(52b)는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온실은 평면상으로 다수개의 유리(22)(24)가 연결되어 설치되더라도 하나의 삽입개스킷(52)을 통해 밀폐를 완료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나의 삽입개스킷(52)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음새가 발생되지 않아서 습기 및 공기가 침투할 여지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끼움개스킷(54)은 상기 유리(22)(24) 및 상기 이너프레임(60) 사이에 배치되고, 온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안내하는 결로안내홈(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개스킷(54)은 상기 유리(22)(24) 및 상기 이너프레임(60)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개스킷바디(54a)와, 상기 이너프레임(60)의 개스킷홈(65a)에 끼움 고정되는 억지끼움부(54b)와, 상기 끼움개스킷바디(54a)에 형성되고 상기 유리(22)(24)에 밀착되는 접촉부(54c)와, 상기 끼움개스킷바디(54a)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로의 유로를 제공하는 결로안내홈(55)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개스킷(54)은 상기 삽입개스킷(52)과 마찬가지로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이너프레임(60)을 지지하면서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유리(22)(24)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킨다.
상기 억지끼움부(54b)는 본 실시예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홈(65a)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된다.
상기 접촉부(54c)는 상기 유리(22)(24)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결로안내홈(55)은 결로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홈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결합부(66)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결로안내홈(55)은 상기 이너프레임(60) 및 끼움개스킷(54)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결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술한 개스킷고정부(38c)는 상기 결로안내홈(55)을 상기 서포터(38)에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결로안내홈(55)의 유동을 억제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은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의 하중지지부(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이 고정되는 처마바디(91)와,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의 커버지지부(1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마커버(92)와, 고정부재(36)를 통해 상기 처마바디(91)에 결합되는 아우터프레임(70)과, 상기 처마바디(91)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처마바디(91)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을 지지하는 처마지지부재(98)와, 상기 처마커버(92)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개스킷(52)과,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 및 처마바디(91)를 차폐시키는 처마개스킷(95)을 포함한다.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에 배치된 결로안내홈(55)과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의 처마바디(91)가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결로안내홈(55)을 따라 이동된 결로는 상기 처마밀폐모듈(90)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 외부로 배출되게 유로를 형성시킨다.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상기 삽입개스킷(52), 및 고정부재(36)는 상술한 평면밀폐유닛(10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은 상기 유리온실에 발생된 결로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측벽배출홀(15a)이 형성되고, 상기 처마개스킷(95)은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을 통해 안내된 결로를 상기 측벽배출홀(15a)로 안내한다.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은 상기 처마개스킷(95)에 끼움 고정되는 처마개스킷고정부(15b)가 형성된다.
상기 하중지지부(16) 및 커버지지부(17)는 상대 회전을 위해 단측이 볼 힌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처마커버(92)는 사기 처마개스킷(95)을 차폐하는 처마커버바디(92a)와, 상기 처마커버바디(92a)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지지부(17)에 결합되는 힌지결합부(92b)와, 상기 처마바디(91)에 지지되는 처마바디지지부(92c)를 포함한다.
상기 처마바디(91)는 하중지지부(1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91a)와, 상기 처마개스킷(95)이 끼움 고정되는 처마개스킷고정부(91b)와,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에서 안내된 결로를 상기 처마개스킷(95) 측으로 배출시키는 처마배출홀(91c)과, 상기 처마지지부재(98)가 삽입되는 지지부재결합부(91d)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의 결로안내홈(55)을 따라 이동된 결로는 상기 처마배출홀(91a)을 통해 상기 처마개스킷(95)의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처마개스킷(95) 상부로 낙하된 결로는 상기 측벽배출홀(15a)을 통해 유리온실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처마바디(91)는 상기 힌지결합부(91a)에 의해 상기 하중지지부(16)에 결합되고, 볼 힌지 형태로 형성된 상기 하중지지부(16)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지붕과 측벽의 사이각이 특정 각도가 아니어도 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유리온실의 설치형태에 따라 상기 지붕 및 측벽의 사이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볼 힌지 형태로 결합되는 상기 처마바디(91) 및 하중지지부(16)를 통해 모든 종류의 설치형태에 대응되어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결합부(91d)에는 상기 처마지지부재(98)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처마지지부재(98)는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재(36)는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처마지지부재(98)를 관통하여 상기 처마바디(91)에 고정된다.
상기 처마커버(92)는 상기 힌지결합부(92b)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처마바디지지부(92c)가 상기 처마바디(91)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처마커버(92) 및 상기 아우터커버(70)의 아우터바디(72) 사이로 끼워져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처마밀폐모듈(90)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평면밀폐유닛(100) 측에도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유리(22) 및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의 아우터바디(7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처마바디(91)는 상기 지지개스킷(54) 및 유리(22)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리(22)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지지개스킷(54)은 상기 처마바디(51)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로안내홈(55)과 상기 처마배출홀(91c)을 연결시킨다.
도 8은 도 1의 C 부분의 유리온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온실의 결합구조는 유리(22)(25)가 직교할 때 이를 마감하는 처마모듈(190)의 결합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처마모듈(190)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유리(22)(25)와, 상기 유리(22)(25) 내측에 배치되고 직교하게 배치된 상기 유리(22)(25)를 각각 지지하는 이너프레임(160)과, 상기 유리(22)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프레임(160)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22)를 상기 이너프레임(160) 측으로 가압하는 아우터프레임(170)과, 상기 이너프레임(160) 및 아우터프레임(17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6)와, 상기 유리(22) 및 아우터프레임(170) 사이에 배치지고, 상기 유리(22)와 평행하게 끼워지는 삽입개스킷(52)과, 상기 유리(22) 및 이너프레임(60)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개스킷(54)과, 상기 아우터프레임(17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직교하는 상기 유리(22)(25) 사이를 차폐시키는 처마커버(19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처마모듈(190)은 상술한 평면밀폐유닛(100)과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이 평행한 유리를 밀폐시킨다면 상기 처마모듈(190)은 직교하는 유리(22)(25)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평면밀폐유닛(100)과 달리 상기 유리(22) 측에만 삽입개스킷(52) 및 끼움개스킷(54)이 설치되고, 직교 유리(25) 측에는 이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 25를 상기 유리(22)에 대해 직교되게 배치된 직교유리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22)(25)를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처마커버(192)가 설치되고, 상기 처마커버(192)의 일측은 볼 힌지 구조를 통해 상기 아우터프레임(170)에 연결되며, 상기 처마커버(192)의 타측은 후크 구조를 통해 상기 직교하는 유리(25) 측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이너프레임(160)은 미도시된 지붕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너바디(162)와, 상기 이너바디(162)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헤드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64)와, 상기 개스킷모듈(50)이 끼워져 고정되는 개스킷고정부(65)와, 상기 고정부재(36)가 결합되는 고정부재결합부(66)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바디(162)는 직교되는 각각의 상기 유리(22)(2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너바디지지부(163)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직교유리(25)가 상기 이너바디지지부(163)에 지지된다.
상기 처마커버(192)는 상술한 볼 힌지 구조로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마모듈(190)에 회전중심이 형성된 상태로 이너바디지지부(163)에 걸림 고정되게 배치되며, 본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이너바디지지부(163)에 볼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처마모듈(190)에 걸림 고정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처마커버(192)와의 걸림 고정을 위해 상기 이너바디지지부(163)에는 처마커버걸림부(1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처마커버(192) 및 상기 이너바디(162)로 감싸져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195)가 삽입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붕지지프레임 15 : 측벽지지프레임
15a : 측벽배출홀 16 : 하중지지부
17 : 커버지지부 22 : 유리
30 : 고정모듈 38 : 서포터
50 : 개스킷모듈 52 : 삽입개스킷
54 : 끼움개스킷 60 : 이너프레임
61 : 볼트 62 : 이너프레임바디
63 : 너트 64 : 볼트삽입부
65 : 개스킷고정부 66 : 고정부재결합부
70 : 아우터프레임 72 : 아우터바디
74 : 요홈 75 : 개스킷고정부
90 : 처마밀폐모듈 91 : 처마바디
92 : 처마커버 95 : 처마개스킷
98 : 처마지지부재 100 : 평면밀폐유닛

Claims (8)

  1. 유리온실에 있어서,
    상기 유리온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붕지지프레임(10);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유리온실의 측벽을 이루는 측벽지지프레임(15);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유리(22)(24) 사이를 밀폐시키는 평면밀폐유닛(100);
    상기 평면밀폐유닛(100)과 결합되고, 상기 지붕지지프레임(10) 및 측벽지지프레임(15)의 상대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어 연결되며, 상기 유리온실 내부로 습기 또는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처마밀폐모듈(90)을 포함하는 유리온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마밀폐모듈(90)은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이 고정되는 처마바디(91);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마커버(92);
    고정부재(36)를 통해 상기 처마바디(91)에 결합되는 아우터프레임(70);
    상기 처마커버(92)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개스킷(52)을 포함하는 유리온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처마바디(91)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처마바디(91)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을 지지하는 처마지지부재(98)를 더 포함하는 유리온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 및 처마바디(91)를 차폐시키는 처마개스킷(95)을 더 포함하는 유리온실.
  5. 청구항 2에 있어서,
    다수개의 유리가 연결될 때, 상기 삽입개스킷(52) 하나 만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상기 처마커버(92)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70) 사이를 밀폐시키는 유리온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면밀폐유닛(100)은 상기 유리 내부의 결로를 모아 이동시키는 결로안내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처마바디(91)는 상기 결로안내홈(55)을 따라 유동된 결로를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 측으로 배출시키는 처마배출홀(91c)이 형성된 유리온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프레임(15)은 상기 처마바디(91)에서 배출된 결로를 상기 유리온실 외부로 배출시키는 측벽배출홀(15a)이 형성된 유리온실.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개스킷(52)은
    상기 처마커버(92) 및 아우터프레임(70)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개스킷바디(52a);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프레임(70)에 끼움 고정되는 삽입끼움부(52b);
    상기 삽입개스킷바디(52a)에 형성되고 상기 처마커버(92)에 밀착되는 접촉부(52c);
    상기 접촉부(52c)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개스킷(52)의 후퇴 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후퇴방지부(52c)를 포함하는 유리온실.
KR1020120089155A 2012-08-14 2012-08-14 유리온실 KR10142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55A KR101422801B1 (ko) 2012-08-14 2012-08-14 유리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55A KR101422801B1 (ko) 2012-08-14 2012-08-14 유리온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693A KR20140022693A (ko) 2014-02-25
KR101422801B1 true KR101422801B1 (ko) 2014-07-23

Family

ID=5026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155A KR101422801B1 (ko) 2012-08-14 2012-08-14 유리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15U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탄탄아이엔지 유리온실용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039879B1 (ko) * 2018-01-05 2019-11-04 신영복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667U (ja) * 1993-03-09 1994-10-0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天窓用排水装置
JPH0685823U (ja) * 1993-05-24 1994-12-13 不二サッシ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下端の支持装置
KR20000009849U (ko) * 1998-11-12 2000-06-05 김강권 유리온실용처마마감재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667U (ja) * 1993-03-09 1994-10-0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天窓用排水装置
JPH0685823U (ja) * 1993-05-24 1994-12-13 不二サッシ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下端の支持装置
KR20000009849U (ko) * 1998-11-12 2000-06-05 김강권 유리온실용처마마감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693A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584B2 (en) Curtain wall system
KR101263858B1 (ko) 온실지붕구조
CA2878788C (en) Refrigerator
US8266846B2 (en) Solar panel roof surface
JPS59190243A (ja) 窓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2801B1 (ko) 유리온실
KR101459653B1 (ko) 유리온실의 용마루 결합구조
KR101758618B1 (ko) 제로바시스템을 이용한 온실지붕
US5177921A (en) Low leakage glazing system
KR101492580B1 (ko) 유리온실
KR20170047766A (ko) 비닐하우스 환기용 용마루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
WO2021120780A1 (zh) 一种用于门窗防水的内框、包含其的门窗及其制造方法
KR102119416B1 (ko) 수밀형 커튼월 프레임
KR100369925B1 (ko) 온실용 조립식 패널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100951443B1 (ko) 창문
CN201187219Y (zh) 全玻平开窗
JP2018113416A (ja) 通信機
TWI499715B (zh) Doors and windows with waterproof devices and doors and windows
JP2006233431A (ja) 嵌め殺し部の竪骨の支持構造
KR200431481Y1 (ko) 출입문 부착용 밀폐테
JP3628525B2 (ja) 太陽電池屋根の棟構造
KR100565169B1 (ko) 공동주택의 창문보호용 구조
JP744176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造物
JP2015048645A (ja) 耐震補強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