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272A - 작물 재배용 하우스 - Google Patents

작물 재배용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272A
KR20180024272A KR1020160110154A KR20160110154A KR20180024272A KR 20180024272 A KR20180024272 A KR 20180024272A KR 1020160110154 A KR1020160110154 A KR 1020160110154A KR 20160110154 A KR20160110154 A KR 20160110154A KR 20180024272 A KR20180024272 A KR 2018002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house
height
ho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철
Original Assignee
남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철 filed Critical 남상철
Priority to KR102016011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272A/ko
Publication of KR2018002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고장 발생의 위험이 낮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는, 지붕부 및 지붕부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기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골조 부재가 높이가 낮은 것부터 높이가 높은 것까지 차례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골조 프레임과, 골조 프레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 하우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가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의 지붕부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의 지붕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환기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작물 재배용 하우스{CROP CULTIVATION HOUSE}
본 발명은 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가 잘 되는 환경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이용될 수 있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 재배에 이용되는 비닐 하우스는 외부 피복재가 PE, EVA, PVC 등의 플라스틱소재로 되어 있는 온실을 말하며, 온실의 골조는 아연도금 원형강관, 사각관 등의 철재류가 주로 이용된다.
비닐 하우스는 설치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쉽게 시공할 수 있어 농가에서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비닐 하우스는 유리 온실에 비해 광투과성, 보온성, 환경 제어, 안전성 등이 다소 떨어지나, 겨울철에 난방과 보온을 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비닐 하우스에서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은 비닐 하우스의 내부 시설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토마토, 오이 등 과채류, 상추, 시금치, 겨울 배추 등 옆채류, 장미, 백합, 국화등 화훼류가 있다.
비닐 하우스의 종류는 대체로 형태에 의하여 분류하며, 지붕의 형상에 따라 터널형, 아취형, 지붕형 등이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지붕이 넓고 폭이 긴 광폭형 하우스가 있다. 국내의 비닐 하우스는 1980년대에 표준화에 의한 농수산식, 1990년대의 농가보급형 자동화 비닐 온실 등 많은 종류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작물을 재배하는 비닐 하우스는 주로 단동식, 연동형의 아취형식이 대부분이다.
비닐 하우스를 설치할 때는, 주재배 작물을 선택한 다음 대상 작물을 재배할 경우의 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설치 장소의 외기 온도, 청명도, 눈, 바람 등 기상 조건과, 용수 확보 등을 고려하여 온실을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비닐 하우스는 길이 방향이 남북으로 되도록 설치하여 채광이 좋도록 하여야 한다. 바람의 강도가 세고 눈이 많은 지역은 지붕의 취약한 부분을 보강 설계할 필요가 있다.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비닐 하우스의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환기가 필수적이다. 비닐 하우스의 환기 방식으로는 측면 윈도우 설치 방식이나, 지붕 환기창 방식이 이용된다. 측면 윈도우 방식은 비닐 하우스 내부의 가장자리에 있는 공기는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 있지만, 비닐 하우스 내부의 상측, 특히 지붕에 위치된 공기의 환기 효율이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이 있다. 지붕 환기창 방식은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서 가온된 공기가 지붕 쪽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가온된 공기의 배출에 유리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375310호(2014. 04. 01.)에는 지붕에 접철환기창을 설치한 비닐 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비닐 하우스는 절첩환기창이 지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첩환기창에 구동랫치에 의하여 맞물림되어 승강되는 랫치바가 장착되어, 구동랫치의 구동에 의하여 랫치바가 승강되면서 절첩환기창이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닐 하우스는 환기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고장 발생의 위험이 높으며,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375310호 (2014. 04. 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고장 발생의 위험이 낮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는, 지붕부 및 상기 지붕부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기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골조 부재가 높이가 낮은 것부터 높이가 높은 것까지 차례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골조 프레임과, 상기 골조 프레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 하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가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의 지붕부와 상기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의 지붕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환기구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각각, 상기 덮개가 상기 골조 프레임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 위쪽 부분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빛을 일부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조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반투과면과,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광흡수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반투과면은 백색 계열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흡수면은 청색 계열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세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 중에서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두 단위 하우스의 길이가 중간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는 전면 및 후면과, 양쪽 측면 아래쪽 일부가 개방된 복수의 단위 하우스가 상호 높낮이차를 갖도록 차례로 연결되고, 복수의 단위 하우스 사이사이에 공기 통로가 되는 환기구가 마련됨으로써, 환기 효율이 우수하다. 따라서 인삼 등 환기가 잘 되는 환경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작물의 재배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는 단순한 구조로 전후좌우 및 상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 통로가 확보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고장 발생의 위험이 낮으며,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는 덮개가 비나 눈, 바람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을 막아줄 수 있고, 재배 작물의 특성에 적합한 광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재배 작물이 적절한 광합성량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가 일렬로 높낮이차가 있게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전방 끝단에 전방 출입구(150)가 마련되고, 후방 끝단에 후방 출입구(155)가 구비되며, 그 중간에 복수의 환기구(160)(16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환기 효율이 우수하여 환기가 잘 되는 환경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작물의 재배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 중에서 최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10)는 골조 프레임(111)과, 덮개(118)를 포함한다.
골조 프레임(111)은 높이가 다른 복수의 골조 부재(112)와, 복수의 골조 부재(11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16)를 구비한다. 각각의 골조 부재(112)는 지붕부(113)와,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지붕부(113)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는 기둥부(114)와,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지붕부(113)의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되는 또 다른 기둥부(115)를 포함한다. 지붕부(113)는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기둥부(114)(115)는 지붕부(113)의 양쪽에서 지붕부(113)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복수의 골조 부재(112)는 각각의 기둥부(114)(115) 길이가 서로 달라 높이가 다르다. 복수의 골조 부재(112)는 높이가 낮은 것부터 높이가 높은 것까지 상호 이격되도록 차례로 배열되며, 이들 복수의 골조 부재(112)를 연결 부재(116)가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골조 프레임(11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덮개(118)는 골조 프레임(111)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 위쪽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즉, 덮개(118)는 골조 프레임(111)의 전면 및 후면을 제외하고, 골조 프레임(111)의 지붕부 전체와, 양쪽 측벽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 위쪽 부분을 덮는다. 따라서 단위 하우스(110)는 덮개(118)에 의해 덮이되, 전면 및 후면과, 양쪽 측면 아래쪽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덮개(118)는 바깥쪽의 반투과면(119)과, 안쪽의 광흡수면(120)을 갖는다. 반투과면(119)은 골조 프레임(111)의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반투과면(119)은 빛을 대부분 반사시키고 부분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백색 계열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물론, 반투과면(119)은 백색 계열 이외의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흡수면(120)은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골조 프레임(111)의 내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광흡수면(120)은 빛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청색 계열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물론, 광흡수면(120)의 색상은 청색 계열 이외에 다양한 다른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덮개(118)는 비나 눈, 바람을 막아준다. 또한 덮개(118)는 바깥쪽의 반투과면(119)과 안쪽의 광흡수면(120)으로 이루어져 직사광선을 막아준다. 덮개(118)를 바깥쪽의 반투과면(119)과 안쪽의 광흡수면(120)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위 하우스(110)의 안쪽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특성에 적합한 광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가 인삼 재배용으로 이용될 경우, 인삼이 직사광선을 피하고 적절한 광합성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10 ~ 15%의 광투과율을 갖는 덮개를 만들어 골조 프레임(111)을 덮을 수 있다. 인삼 이외에 다른 작물이 재배되는 경우라면, 그 작물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또 다른 광투과율을 갖는 덮개를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덮개(118)는 PE, EVA, PVC 등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비나 눈, 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인삼의 재배 시, 덮개(118)의 반투과면(119)을 백색 계열 색상으로 하고 광흡수면(120)을 청색 계열 색상으로 하여 덮개(118)의 광투과율을 10 ~ 15%로 맞추면, 인삼이 생육에 적합한 광합성량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 중에서 중간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30)는 골조 프레임(131)과, 골조 프레임(131)을 덮는 덮개(138)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위 하우스(130)는 앞서 설명한 단위 하우스(110)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단위 하우스(130)의 골조 프레임(131)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높이가 다른 복수의 골조 부재(112)가 높이가 낮은 것부터 높이가 높은 것까지 상호 이격되도록 차례로 배열되고, 이들 복수의 골조 부재(112)를 연결 부재(116)가 서로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덮개(138)는 골조 프레임(131)의 전면 및 후면을 제외하고, 골조 프레임(131)의 지붕부 전체와, 양쪽 측벽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 위쪽 부분을 덮는다. 따라서 단위 하우스(130)는 덮개(138)에 의해 덮이되, 전면 및 후면과, 양쪽 측면 아래쪽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덮개(138)는 바깥쪽의 반투과면(119)과, 안쪽의 광흡수면(120)을 구비하여 직사광선을 막아주고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킴으로서, 작물 재배에 유리한 채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 중에서 최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40)는 골조 프레임(141)과, 골조 프레임(141)을 덮는 덮개(148)를 포함하고, 앞서 설명한 단위 하우스(110)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단위 하우스(140)를 구성하는 골조 프레임(141)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높이가 다른 복수의 골조 부재(112)가 높이가 낮은 것부터 높이가 높은 것까지 상호 이격되도록 차례로 배열되고, 이들 복수의 골조 부재(112)를 연결 부재(116)가 서로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골조 프레임(141)의 높이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덮개(148)는 골조 프레임(141)의 전면 및 후면을 제외하고, 골조 프레임(141)의 지붕부 전체와, 양쪽 측벽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 위쪽 부분을 덮는다. 따라서 단위 하우스(140)는 덮개(148)에 의해 덮이되, 전면 및 후면과, 양쪽 측면 아래쪽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덮개(148)는 바깥쪽의 반투과면(119)과, 안쪽의 광흡수면(120)을 구비하여 직사광선을 막아주고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킴으로서, 작물 재배에 유리한 채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는 일렬로 배치되되, 상호 높낮이차가 있게 차례로 연결된다. 즉,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는 각각 높이가 가장 낮은 전방 끝단이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차례로 연결된다.
최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10)와 중간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30)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이들은 최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112)와 중간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3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1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일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들 단위 하우스(110)(130)는 최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112)와 중간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3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112) 사이의 높이차만큼의 높낮이차를 갖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최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112)의 지붕부(113)와 중간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112)의 지붕부(113)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환기구(160)가 마련된다. 이 환기구(160)를 통해 단위 하우스(110)(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단위 하우스(110)(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중간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30)와 최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40)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이들은 중간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3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112)와 최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4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1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일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들 단위 하우스(130)(140)는 중간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3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112)와 최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4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112) 사이의 높이차만큼의 높낮이차를 갖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중간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112)의 지붕부(113)와 최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112)의 지붕부(113)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환기구(165)가 마련된다. 이 환기구(165)를 통해 단위 하우스(130)(14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단위 하우스(130)(1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설치 지역의 바람이 주로 불어오는 방향과, 작물에 적합한 일조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인삼 재배에 이용하는 경우 남북 방향으로 배치하여 인삼 재배에 적절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주로 불어오는 방향으로 최전방의 단위 하우스(110)의 높이가 낮은 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 내부로 바람을 과도하지 않게 적절량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의 설치 시,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 각각의 통기성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통기성을 고려하여 단위 하우스(110)(130)(140) 각각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최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10)와 최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40) 사이에 끼인 단위 하우스(130)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10)(140)보다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30)의 길이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10)(140)보다 짧게 하고, 전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110)(14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양쪽 측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복수의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을 일정 간격(예컨대, 50cm)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의 양쪽 측면의 개방된 부분으로 비난 눈, 바람이 안쪽으로 심하게 들이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전면 및 후면과, 양쪽 측면 아래쪽 일부가 개방된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가 상호 높낮이차를 갖도록 차례로 연결되고, 복수의 단위 하우스(110)(130)(140) 사이사이에 공기 통로가 되는 환기구(160)(165)가 마련됨으로써, 환기 효율이 우수하다. 따라서 인삼 등 환기가 잘 되는 환경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작물의 재배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단순한 구조로 전후좌우 및 상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 통로가 확보된 구조로 취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고장 발생의 위험이 낮으며,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는 덮개(118)가 비나 눈, 바람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을 막아줄 수 있고, 재배 작물의 특성에 적합한 광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재배 작물이 적절한 광합성량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용 하우스(100)가 세 개의 단위 하우스(110)(130)(140)가 차례로 연결된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구성하는 단위 하우스의 개수는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가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골조 프레임(111)(131)(141)을 덮는 덮개(118)(138)(148)가 바깥쪽의 반투과면(119)과, 안쪽의 광흡수면(120)을 갖는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덮개는 적절한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작물 재배용 하우스 110, 130, 140 : 단위 하우스
111, 131, 141 : 골조 프레임 112 : 골조 부재
113 : 지붕부 114, 115 : 기둥부
116 : 연결 부재 118, 138, 148 : 덮개
119 : 반투과면 120 : 광흡수면
150 : 전방 출입구 155 : 후방 출입구
160, 165 : 환기구

Claims (5)

  1. 지붕부 및 상기 지붕부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기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골조 부재가 높이가 낮은 것부터 높이가 높은 것까지 차례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골조 프레임과, 상기 골조 프레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 하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가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골조 부재의 지붕부와 상기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단위 하우스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골조 부재의 지붕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환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각각, 상기 덮개가 상기 골조 프레임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 위쪽 부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빛을 일부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조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반투과면과,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광흡수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반투과면은 백색 계열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흡수면은 청색 계열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는 세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하우스 중에서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두 단위 하우스의 길이가 중간에 배치되는 단위 하우스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하우스.
KR1020160110154A 2016-08-29 2016-08-29 작물 재배용 하우스 KR20180024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54A KR20180024272A (ko) 2016-08-29 2016-08-29 작물 재배용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54A KR20180024272A (ko) 2016-08-29 2016-08-29 작물 재배용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72A true KR20180024272A (ko) 2018-03-08

Family

ID=6172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54A KR20180024272A (ko) 2016-08-29 2016-08-29 작물 재배용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2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85A (ko) * 2018-01-05 2019-07-15 신영복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85A (ko) * 2018-01-05 2019-07-15 신영복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101212A4 (en) System and structure for environmental control
US4979331A (en) Hothouse for cultivation
Castilla et al. Environmental control and crop production in Mediterranean greenhouses
CN104885784A (zh) 利用智能阳光温室实现全年吊袋栽培黑木耳的工艺
CN104620903B (zh) 大跨度通风型日光温室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KR100832105B1 (ko) 조립식 미니텃밭
US20110041397A1 (en) Greenhouse windbreak mechanism
CN104642004B (zh) 通风型日光温室
CN213245957U (zh) 一种温室大棚
KR20180024272A (ko) 작물 재배용 하우스
KR101823575B1 (ko) 작물재배용 미니비닐하우스
KR101260145B1 (ko) 창문용 식물 재배유닛
KR100331691B1 (ko) 천창 완전 개폐형 간이 비가림 하우스
KR101829333B1 (ko) 친환경 무가온 버섯재배사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CN213784416U (zh) 一种具有保温功能的蔬菜大棚
KR200417366Y1 (ko) 다지붕형 온실
JP5590589B2 (ja) 換気扇を付設したぶどう栽培圃場と、そのぶどう栽培方法
CN205755981U (zh) 一种内保温可全开启智能连栋温室
KR102496750B1 (ko) 작물 재배용 이중구조 하우스
CN214338925U (zh) 一种层叠式农业大棚
CN220343003U (zh) 一种大棚防漏雨结构
RU104014U1 (ru) Теплица
JP5834352B2 (ja) 農業用ハウス
KR20100012861U (ko) 조립식 미니텃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