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400Y1 -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400Y1
KR200439400Y1 KR2020070006570U KR20070006570U KR200439400Y1 KR 200439400 Y1 KR200439400 Y1 KR 200439400Y1 KR 2020070006570 U KR2020070006570 U KR 2020070006570U KR 20070006570 U KR20070006570 U KR 20070006570U KR 200439400 Y1 KR200439400 Y1 KR 200439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house
ventilation
ventilation window
viny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수
Original Assignee
(주)현대금속농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금속농공 filed Critical (주)현대금속농공
Priority to KR2020070006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부(통풍창)을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비닐하우스 천정의 일부를 터진 상태로 구성하여 언제나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통풍창을 형성하되, 상기 통풍창 상부에 덮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풍창을 통하여 통풍은 잘 이루어지면서 비는 들어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통풍구를 갖는 비닐하우스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쪽짜리 비닐하우스(30)(31)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그 높이 간격(d)에 의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통풍용 비닐하우스는 골격용 파이프가 완전한 아치형 상을 이루지 못하고 반쪽의 아치형상만 이루게 되므로, 구조상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는 통상적인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통풍창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부를 형성토록 한 것으로, 그 구조가 매우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통풍 및 비가림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비닐하우스, 파이프연결구

Description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VINYL HOUSE INCLUDING VENTILATING PORTION}
도1은 본 고안 비닐하우스의 일 실시예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덮개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구성품인 덮개바의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구성품인 덮개바의 다른 실시예 확대 단면도
도6은 종래의 통풍구를 갖는 비닐하우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비닐하우스
11 : 아치형파이프 12 : 횡파이프
13 : 비닐 14 : 덮개바
14' : 수직단부 15 : 수직바
17 : 통풍창
본 고안은 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비닐하우스 천정의 일부를 터진 상태로 구성하여 언제나 퉁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천정의 개방된 부위로 비는 들어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땅에 꽂혀진 아치형 파이프에 횡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한 프레임 구조체에 비닐을 씌워 구성토록 한 것으로, 계절별로 생산되는 각종 야채류를 조기 출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또한 과수의 묘목재배, 화훼재배, 수확된 농산물의 건조시설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차가운 외기 또는 눈, 바람을 차단하는 간이 시설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통풍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편, 이러한 통풍 구조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개폐기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의 일부를 개폐시키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고가이며, 또한 구조가 복잡한 만큼 고장도 잘 일어나 사용상에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비에 직접 노출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언제나 통풍이 필요하여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통풍 구조가 필요한경우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비 가림은 하면서도 언제나 개방된 상태의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이러한 통풍 구조에 문제가 있어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즉, 종래에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쪽짜리 비닐하우스(30)(31)를 구성 하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반쪽짜리 비닐하우스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그 높이 간격(d)에 의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통풍용 비닐하우스는 골격용 파이프가 완전한 아치형 상을 이루지 못하고 반쪽의 아치형상만 이루게 되므로, 구조상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기존의 비닐하우스 형상을 크게 변형시키지 아니하면서도 그 통풍 효과는 매우 우수하도록 하였다.
즉, 비닐하우스에 환기창을 형성시키는 구조도 매우 간단하며, 또한 상기 환기창을 덮을 수 있는 구조도 매우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통풍은 언제나 개방된 상태로 잘 이루어지면서, 비는 비닐하우스 내측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으로 땅에 꽂혀진 아치형파이프(11)에 횡파이프(12)를 연결하여 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비닐(13)을 씌워 형성한 비닐하우스(10)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0) 천장에 비닐이 씌워지지 않은 통풍창(17)을 형성하되, 상기 통풍창(17)은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통풍창(17)에 위치한 각각의 아치형파이프(11)에는 일측이 들린 상태로 덮개바(14)를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바(14) 위에는 비닐(13)이 씌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덮개바(14)는 별도로 구성한 수직바(15)를 이용하여 아치형파이프(11)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덮개바(14)는 수직바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V자 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서,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단부(14')가 아치형파이프(11)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비닐하우스의 일 실시예 개략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덮개부가 천장의 통풍구 위에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즉, 본 고안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장에 형성된 통풍창(17)은 비닐(13)을 씌우지 아니 함으로서 언제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천장에 형성된 상기 통풍창(17)을 통하여 빗물이 들어올 수가 있으므로, 상기 통풍창(17) 위에 덮개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빗물 들어오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통풍은 자연적으로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이다.
본 고안에 있어 천장에 형성된 통풍창(17)의 경우 비닐은 씌워져 있지 아니하지만, 아치형파이프(11)는 일반 비닐하우스처럼 똑같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통풍창(17) 부위에 위치한 각각의 아치형파이프(11)에 덮개바(17)를 고정하고, 상기 덮개바(14) 위에 비닐(13)을 씌우도록 함으로서,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풍창(17)을 통하여 통풍은 잘 이루어지되 통풍창(17)을 통하여 비가 들어오는 것은 방지토록 하였다.
한편, 상기 덮개바(14)의 일측은 아치형파이프(11)에 딱 맞붙은 상태로 고정 되며, 덮개바(14)의 타측은 수직바(15)에 받쳐서 지지됨으로서 한쪽이 들려진 상태로 고정되어진다.
즉, 한쪽이 들리워지는 덮개바(14)의 타측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한 수직바(15)를 이용하여 아치형파이프(11)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바(14)는 수직바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V자 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서, 하방의 수직단부(14')를 아치형파이프(11)에 고정시킬수도 있다.
한편, 덮개바(14)를 아치형파이프(11)나 수직바(15)에 고정시키는 구체적인 수단에 있어서는 용접, 연결용T관, 볼트, 클램프 등 체결가능한 것이라면 그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는 통상적인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통풍창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부를 형성토록 한 것으로, 그 구조가 매우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통풍은 잘 이루어지면서 비는 통풍창을 통하여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 것이므로,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현실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일정한 간격으로 땅에 꽂혀진 아치형파이프(11)에 횡파이프(12)를 연결하여 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비닐(13)을 씌워 형성한 비닐하우스(10)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0) 천장에 비닐이 씌워지지 않은 통풍창(17)을 형성하되, 상기 통풍창(17)은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통풍창(17)에 위치한 각각의 아치형파이프(11)에는 한쪽이 들린 상태가 되도록 덮개바(14)를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바(14) 위에는 비닐(13)이 씌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이 들리워진 상태로 고정된 덮개바(14)는 별도로 구성한 수직바(15)를 이용하여 아치형파이프(11)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이 들리워진 상태로 고정된 덮개바(14)는 수직바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V자 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서, 상기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단부(14')가 아치형파이프(11)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KR2020070006570U 2007-04-20 2007-04-20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KR200439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70U KR200439400Y1 (ko) 2007-04-20 2007-04-20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70U KR200439400Y1 (ko) 2007-04-20 2007-04-20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400Y1 true KR200439400Y1 (ko) 2008-04-08

Family

ID=4365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570U KR200439400Y1 (ko) 2007-04-20 2007-04-20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40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388A (zh) * 2018-07-25 2018-10-23 安徽伯恩新农业设施有限公司 独栋索膜大棚
KR101911027B1 (ko) * 2017-05-12 2018-10-24 권수현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KR20190083885A (ko) * 2018-01-05 2019-07-15 신영복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WO2019231022A1 (ko) * 2018-05-31 2019-12-05 Kwon Su Hyeon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KR20200075240A (ko)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터널 하우스형 인삼 재배 시설
KR20210034235A (ko) 2019-09-20 2021-03-30 권수현 연동 비닐하우스용 다단 골조 프레임 결합 구조
KR20210034234A (ko) 2019-09-20 2021-03-30 권수현 비닐 하우스용 다단 골조 프레임 결합 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27B1 (ko) * 2017-05-12 2018-10-24 권수현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KR20190083885A (ko) * 2018-01-05 2019-07-15 신영복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KR102039879B1 (ko) * 2018-01-05 2019-11-04 신영복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WO2019231022A1 (ko) * 2018-05-31 2019-12-05 Kwon Su Hyeon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CN110785079A (zh) * 2018-05-31 2020-02-11 权秀炫 多级通风结构框架的塑料大棚
CN110785079B (zh) * 2018-05-31 2021-09-10 权秀炫 多级通风结构框架的塑料大棚
CN108684388A (zh) * 2018-07-25 2018-10-23 安徽伯恩新农业设施有限公司 独栋索膜大棚
KR20200075240A (ko)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터널 하우스형 인삼 재배 시설
KR102167311B1 (ko) 2018-12-18 2020-10-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터널 하우스형 인삼 재배 시설
KR20210034235A (ko) 2019-09-20 2021-03-30 권수현 연동 비닐하우스용 다단 골조 프레임 결합 구조
KR20210034234A (ko) 2019-09-20 2021-03-30 권수현 비닐 하우스용 다단 골조 프레임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400Y1 (ko) 환기부를 갖는 비닐하우스
CA2803775C (en) A passive roof vent
US20120110922A1 (en) Rain gutter gaurd and method for installation
KR101623563B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196540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용 용마루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
KR200401413Y1 (ko) 하우스용 구조물
RU98323U1 (ru) Модульная теплица
KR20200075240A (ko) 터널 하우스형 인삼 재배 시설
US20070044378A1 (en) Plant watering,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control system
JP2007154634A (ja) ベランダ用美観構造物
JP5590589B2 (ja) 換気扇を付設したぶどう栽培圃場と、そのぶどう栽培方法
CA2762801A1 (en) Soffit venting system
RU2537498C2 (ru) Теплица с коньковой фрамугой
KR200492077Y1 (ko) 비닐하우스 천장 환기장치의 밀폐를 위한 부재
JP3001810U (ja) 農業用保温パネル及びその設置構造
KR102152128B1 (ko) 환기용 이중 커버가 적용된 비닐하우스
JP4422703B2 (ja) パラペットの緑化装置
FI124271B (fi) Pohjalevy huopakattoa varten
JP4393338B2 (ja) 花台用化粧カバー
KR200241849Y1 (ko) 수박재배용 환기겸 비가림 장치 및 수박재배용 미니하우스
KR200401883Y1 (ko) 수목지지대용 결착부재
JP4226296B2 (ja) ビルの屋上等に設置される緑化用容器
KR102520434B1 (ko) 와이드 온실하우스용 거터
IE20120165A1 (en) Polytunnel assembly and connectors therefor
KR101821231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2층 환기창 골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