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029B1 -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029B1
KR101743029B1 KR1020160089863A KR20160089863A KR101743029B1 KR 101743029 B1 KR101743029 B1 KR 101743029B1 KR 1020160089863 A KR1020160089863 A KR 1020160089863A KR 20160089863 A KR20160089863 A KR 20160089863A KR 101743029 B1 KR101743029 B1 KR 10174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pipe
nozz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석
전학도
조진철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주)하나에프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에프엠케이 filed Critical (주)하나에프엠케이
Priority to KR102016008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09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lif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ith separate operating movements for separat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도그; 상기 도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어 장착되는 캠; 일측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밸브홀과 상기 밸브홀에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밸브블록; 일단부가 상기 캠의 외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홀에 배치되는 개폐밸브; 및 복수 개의 노즐이 배치되고, 단부에는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캠의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상기 노즐이 선택되는 노즐배관;을 포함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ROTATION TYPE NOZZLE DEVICE}
본 발명은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정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정 장치는 단일 노즐 방식을 채택하여 복수 개의 노즐이 필요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여러 구성 등을 포함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각 노즐에 대한 개폐 장치와 그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각 노즐에 대한 세정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온오프 장치 등이 필요하다. 그로 인해 세정 장치의 중량이나 그 부피가 증가하고 또한 이런 세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노즐의 개수가 증가하면 그 만큼 각 노즐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방법 역시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3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250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750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 개의 구동모터만으로 용이하게 복수 개의 노즐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노즐이 선택 사용되고, 다시 다른 노즐로 절환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일 개의 노즐배관에 서로 다른 형상, 직경을 갖는 분사공을 형성하여 복잡한 형상의 소재라도 효과적으로 세정하고자 한다. 또한, 세정이 완료된 이후 세정 대상물에 대한 건조 등이 별도 추가되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노즐배관을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지 관리 등이 편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도그; 상기 도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어 장착되는 캠; 일측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밸브홀과 상기 밸브홀에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밸브블록; 일단부가 상기 캠의 외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홀에 배치되는 개폐밸브; 및 복수 개의 노즐이 배치되고, 단부에는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캠의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상기 노즐이 선택되는 노즐배관;을 포함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그의 일 측에 상기 도그의 개수와 동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배관은 내부에 상기 연통홀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세정수가 이동하는 세정수이동통로와 일측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는 도킹배관; 상기 도킹배관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세정수이동통로 및 상기 공기이동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상기 노즐이 배치되는 중간연결배관; 및 상기 중간연결배관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분사통로가 형성되고 단부에 분사공이 배치되는 분사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이동통로는 상기 도킹배관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통로; 및 상기 직선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도킹배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환형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공은 상기 분사배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분사공; 및 상기 분사배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단분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그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캠은 원형이고, 상기 캠은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180도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 개의 구동모터만으로 용이하게 복수 개의 노즐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노즐이 선택 사용되고, 다시 다른 노즐로 절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런 절환은 단일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캠과 캠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개폐밸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어 컴팩트하다.
또한, 단일 개의 노즐배관에 서로 다른 형상, 직경을 갖는 분사공을 형성하여 복잡한 형상의 소재 조건에 맞게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이 완료된 이후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세정 대상물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노즐배관은 쉽게 제작할 수 있고, 그 유지 관리 등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캠 작동에 따른 개폐밸브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제1 캠이 센서를 마주볼 때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방향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제2 캠이 센서에 마주볼 때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방향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 제3 캠이 센서에 마주볼 때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 방향 단면 사시도.
도 10은 노즐배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는 분사배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캠 작동에 따른 개폐밸브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서 제1 캠이 센서를 마주볼 때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방향 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서 제2 캠이 센서에 마주볼 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 방향 단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에서 제3 캠이 센서에 마주볼 때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 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는 구동모터(10), 도그(21), 캠(23), 밸브블록(30), 개폐밸브(32), 센서(25), 노즐배관(10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그(21), 캠(23), 센서(25)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20)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는 3개의 노즐(122) 즉, 제1 노즐(122a), 제2 노즐(122b) 및 제3 노즐(122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세정수 또는 공기를 분사시킨다.
구동모터(10)는 하우징(20)의 일측에 배치되며, 그 회전축(12)은 하우징(2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회전축(12)의 회동은 캠(23)에 의해 절환되어 개폐밸브(32)의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도그(21)는 회전축(12)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돌출부(22)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로 구성된다. 이 때, 도그(21)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회전축(12)에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그(21)는 제1 도그(21a), 제2 도그(21b) 및 제3 도그(21c)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1 도그(21a)는 제2 도그(21b)에 대해 예를 들어 90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25)는 도그(21)의 일 측에 도그(2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센서(25)는 회전축(12)의 회동에 따라 돌출부(22)의 근접 여부를 센싱한다. 이를 통해, 센서(25)는 제1 도그(21a) 내지 제3 도그(21c) 중 어느 도그(21)의 돌출부(22)가 센서(25)를 향해 마주보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출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구동모터(10)를 제어한다. 즉, 검출 신호가 제어부에 도달하면 구동모터(10)는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캠(23)은 도그(21)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축(12)에 편심되어 장착된다. 캠(23)은 원형이고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돌출부(22)와 180도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회전축(12)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캠(23)은 개폐밸브(3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외륜과 회전축(12)에 끼움 결합되는 내륜, 그리고 외륜과 내륜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캠(23)은 제1 도그(21a) 및 제2 도그(21b)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캠(23a)과 제2 도그(21b) 및 제3 도그(21c)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캠(23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캠(23a)은 바로 인접하는 제1 도그(21a)의 돌출부(22)와 180도 즉, 정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또한, 제2 캠(23b)은 제2 도그(21b)의 돌출부(22)와 180도 즉, 정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밸브블록(30)은 개폐밸브(32)가 배치되는 하우징(20)으로 일측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밸브홀(36)과 밸브홀(36)에 형성되는 밸브시트(33)와 밸브홀(36)에 연통되는 연통홀(38)을 포함한다.
개폐밸브(32)는 일단부가 캠(23)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회전축(12)의 회동에 의해 왕복 직선(상하 방향) 운동하면서 밸브시트(33)를 개폐하도록 밸브홀(36)에 배치된다. 그리고, 개폐밸브(32)의 타단부는 밸브시트(33)에 착좌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32)의 타단부에는 스프링(34)이 배치되어 개폐밸브(32)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그 결과 개페밸브의 일단부가 캠(23)의 외주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밸브(32)는 절환식 노즐 분사 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밸브시트(33)에 착좌되어 세정수가 노즐배관(1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32)는 제1 캠(23a)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개폐밸브(32a)와 제2 캠(23b)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2 개폐밸브(32b)로 이루어진다. 제1 개폐밸브(32a)는 회전축(12)의 회동에 따라 제1 캠(23a)의 편심 부분이 개폐밸브(32)를 향할 때,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밸브시트(33)에 착좌되어 있던 개폐밸브(3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세정수는 밸브홀(36)과 연통홀(38)을 통해 노즐배관(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회전축(12)의 회동에 따라 제1 도그(21a)의 돌출부(22)가 센서(25)를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 캠(23a)의 편심 부분은 개폐밸브(32)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그로 인해 세정수는 노즐배관(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0은 노즐배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는 분사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노즐배관(100)은 복수 개의 노즐(122)이 배치되고, 단부에는 분사공(132)(134)이 형성되며 캠(23)의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노즐(122)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노즐배관(100)은 도킹배관(110), 중간연결배관(120) 및 분사배관(130)을 포함한다. 이처럼, 노즐배관(100)은 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서브배관으로 결합 형성하면 그 제조 및 그 유지 관리 등이 편리하다.
도킹배관(110)은 내부에 밸브블록(30)의 연통홀(38)과 각각 연통되며, 세정수가 이동하는 세정수이동통로(111)와 일측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115)를 포함한다. 즉,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는 세정수 뿐만 아니라 공기를 분사하여 세정 대상물을 건조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도그(21a), 제1 캠(23a) 및 제1 개폐밸브(32a)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제2 도그(21b), 제2 캠(23b) 및 제2 개폐밸브(32b)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각각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다. 이와 달리, 제3 도그(21c)는 공기의 분사를 위한 구성 요소이다.
세정수는 제1 개폐밸브(32a) 또는 제2 개폐밸브(32b) 중 어느 하나가 열리면 그 개폐밸브(32)가 배치된 밸브홀(36)을 통해 유입되며, 다시 그 밸브홀(36)과 연통되는 연통홀(38)을 거쳐 세정수이동통로(111)로 유입된다.
또한, 세정수이동통로(111)는 도킹배관(11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통로(112)와 직선통로(112)와 연통되며 도킹배관(11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환형통로(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정수는 연통홀(38)에서 환형통로(114)를 거쳐 직선통로(112)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제3 도그(21c)의 돌출부(22)가 센서(25)를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 개폐밸브(32a) 및 제2 개폐밸브(32b)는 밸브시트(33)에 각각 착좌되어 있어 세정수의 유입은 차단된다. 이 때, 도킹배관(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압공기노즐을 통해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이동통로(115)는 도킹배관(11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통로(112)와 직선통로(112)와 연통되며 도킹배관(11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환형통로(114)를 포함한다. 즉, 공기이동통로(115)는 세정수이동통로(1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고압공기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환형통로(114)를 거쳐 직선통로(1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중간연결배관(120)은 도킹배관(110)과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세정수이동통로(111) 및 공기이동통로(115)와 각각 연통되는 노즐(122)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22)은 제1 노즐(122a), 제2 노즐(122b) 및 제3 노즐(122c)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노즐(122a)은 제1 도그(21a), 제1 캠(23a) 및 제1 개폐밸브(32a)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인해 유입되는 세정수가 이동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제2 노즐(122b)은 제2 도그(21b), 제2 캠(23b) 및 제2 개폐밸브(32b)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인해 유입되는 세정수가 이동되는 통로이다. 또한, 제3 노즐(122c)은 공기이동통로(115)와 연통되어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분사배관(130)은 중간연결배관(120)과 결합되며, 내부에 노즐(122)과 각각 연통되는 분사통로(136)가 형성되고 단부에 분사공(132)(134)이 배치된다. 즉, 분사배관(130)에는 제1 노즐(122a) 내지 제3 노즐(122c)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분사통로(136a) 내지 제3 분사통로(136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사공(132)(134)은 분사배관(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분사공(132)과 분사배관(130)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단분사공(134)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분사공(132)(134)은 각각의 분사통로(136)와 연통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분사통로(136a)에는 제1 측분사공(132a)과 제1 단분사공(134a)이 연통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초기 무작동 상태에서 제1 개폐밸브(32a) 및 제2 개폐밸브(32b)는 밸브시트(33)에 각각 착좌되어 있어 세정수의 공급은 차단되어 있다.
이 때, 구동모터(10)를 구동하면 그 회전축(12)의 회동에 따라 제1 도그(21a) 내지 제3 도그(21c)와 제1 캠(23a) 내지 제3 캠(23c)이 회전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제1 도그(21a)의 돌출부(22)가 센서(25)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면 구동모터(10)는 정지하고 제1 캠(23a)의 편심 부분이 제1 개폐밸브(32a)를 가압하여 밸브시트(33)에 착좌되어 있는 제1 개폐밸브(32a)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세정수가 밸브시트(33)를 통해 유입되면서 밸브홀(36)과 연통홀(38)을 거쳐 노즐배관(100)의 세정수이동통로(11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세정수는 중간연결배관(120) 내의 제1 노즐(122a)을 통해 이동하며, 분사배관(130) 내의 제1 분사통로(136a) 따라 제1 측분사공(132a)과 제1 단분사공(134a)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 대상물을 세정한다.
그 후, 구동모터(10)를 다시 구동하면, 제1 개폐밸브(32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밸브시트(33)에 착좌되면서 제1 개폐밸브(32a)가 닫힌다. 그럼, 제1 측분사공(132a)과 제1 단분사공(134a)을 통한 세정이 완료된다.
그 다음, 구동모터(10)의 구동으로 제2 도그(21b)가 센서(25)를 향해 마주보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2 개폐밸브(32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열리면서 세정수가 유입되며 노즐배관(100)의 제2 측분사공(132b)과 제2 단분사공(134b)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며 세정 대상물을 세정한다. 그 후, 구동모터(10)를 다시 구동하면, 제2 개폐밸브(32b)가 다시 밸브시트(33)에 착좌되면서 제2 개폐밸브(32b)가 닫히고, 제2 측분사공(132b)과 제2 단분사공(134b)을 통한 세정이 완료된다.
그 다음, 구동모터(10)가 구동하여 제3 도그(21c)가 센서(25)를 향해 마주보는 위치에 도달하면 고압공기노즐을 통해 도킹배관(110)의 일측으로 직접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이동통로(115), 제3 노즐(122c) 및 제3 분사통로(136c)을 거쳐 제3 측분사공(132c)과 제3 단분사공(134c)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며 세정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여기서, 제1 측분사공(132a)과 제2 측분사공(132b)은 그 형상 뿐만 아니라, 직경이 서로 달라 세정 대상물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분사공(132a)은 소형 홀이고, 제2 측분사공(132b)은 대형 홀이면 제1 측분사공(132a)을 통해 보다 고압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분사공(134a)과 제2 단분사공(134b) 또한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측분사공(132a)과 제2 측분사공(132b)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를 분사하는 제3 측분사공(132c)과 제3 단분사공(134c)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는 단일 개의 구동모터(10)를 제어하여 단일 개의 노즐배관(100)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122) 중에서 적합한 노즐(122)을 선택하여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고, 그 후 공기를 분사하여 즉각적으로 세정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도 있다.
또한, 캠(23), 개폐밸브(32) 등의 구성을 통해 분사 노즐 장치를 더욱 소형화, 컴팩트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분사 노즐 장치를 비교적 좁은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구동모터 20: 하우징
21: 도그 23: 캠
25: 센서 30: 밸브블록
32: 개폐밸브 34: 스프링
100: 노즐배관 110: 도킹배관
120: 중간연결배관 130: 분사배관
111: 세정수이동통로 115: 공기이동통로
112: 직선통로 114: 환형통로
122: 노즐 132: 측분사공
134: 단분사공 22: 돌출부
33: 밸브시트 36: 밸브홀
38: 연통홀 136: 분사통로

Claims (7)

  1.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도그;
    상기 도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어 장착되는 캠;
    일측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밸브홀과 상기 밸브홀에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밸브블록;
    일단부가 상기 캠의 외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홀에 배치되는 개폐밸브; 및
    복수 개의 노즐이 배치되고, 단부에는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캠의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상기 노즐이 선택되는 노즐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배관은 내부에 상기 연통홀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세정수가 이동하는 세정수이동통로와 일측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는 도킹배관;
    상기 도킹배관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세정수이동통로 및 상기 공기이동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상기 노즐이 배치되는 중간연결배관; 및
    상기 중간연결배관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분사통로가 형성되고 단부에 분사공이 배치되는 분사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이동통로와 상기 공기이동통로는 상기 도킹배관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통로; 및 상기 직선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도킹배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환형통로;를 각각 포함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의 일 측에 상기 도그의 개수와 동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분사배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분사공; 및 상기 분사배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단분사공;을 포함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원형이고, 상기 캠은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 180도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KR1020160089863A 2016-07-15 2016-07-15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KR10174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63A KR101743029B1 (ko) 2016-07-15 2016-07-15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63A KR101743029B1 (ko) 2016-07-15 2016-07-15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029B1 true KR101743029B1 (ko) 2017-07-11

Family

ID=5935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863A KR101743029B1 (ko) 2016-07-15 2016-07-15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7446A (zh) * 2019-04-02 2021-11-19 埃克科林有限公司 用于高压工具的转换装置和具有这种转换装置的清洁设备
CN114700308A (zh) * 2022-04-08 2022-07-05 萍乡市康裕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填料清洗装置及填料清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254A (ja) * 2000-10-16 2002-04-26 Sugino Mach Ltd ノズル切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254A (ja) * 2000-10-16 2002-04-26 Sugino Mach Ltd ノズル切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7446A (zh) * 2019-04-02 2021-11-19 埃克科林有限公司 用于高压工具的转换装置和具有这种转换装置的清洁设备
CN113677446B (zh) * 2019-04-02 2023-08-22 埃克科林有限公司 用于高压工具的转换装置和具有这种转换装置的清洁设备
CN114700308A (zh) * 2022-04-08 2022-07-05 萍乡市康裕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填料清洗装置及填料清洗方法
CN114700308B (zh) * 2022-04-08 2023-04-28 萍乡市康裕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填料清洗装置及填料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409B2 (en) Dishwasher
KR101743029B1 (ko) 절환식 분사 노즐 장치
CN105231970B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
CN104284620A (zh) 应用于洗涤机和/或干燥机的洗涤组件
CN104887162B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
WO2019062110A1 (zh) 洗涤设备和用于洗涤设备的投放装置
KR101776629B1 (ko) 식기세척기
KR20150142948A (ko) 식기세척기
KR20160003378U (ko)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JP4947071B2 (ja) 食器洗い機
JP3727531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KR20170135282A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JPH0469470A (ja) 液体処理プラントにおける管路の自動切換装置
KR101796665B1 (ko) 온수세정기의 회전형 노즐어셈블리
CN205268095U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
KR20090076577A (ko) 비데용 무전원 유로전환밸브
KR200445783Y1 (ko) 샤워기
KR200316309Y1 (ko)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JP2006175156A (ja) 食器用ラック
CN101980791A (zh) 喷淋头
KR200211442Y1 (ko) 비데
KR200411531Y1 (ko)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US20060054197A1 (en) Dishwasher
JP2017136527A (ja) エアーブロー洗浄装置
JPH0719412Y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