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09Y1 -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309Y1
KR200316309Y1 KR20-2003-0006073U KR20030006073U KR200316309Y1 KR 200316309 Y1 KR200316309 Y1 KR 200316309Y1 KR 20030006073 U KR20030006073 U KR 20030006073U KR 200316309 Y1 KR200316309 Y1 KR 200316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bidet
rotating
water
ste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to KR20-2003-0006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에 따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의 급수로를 개폐시키고, 개폐된 급수로를 통해 노즐의 외부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비데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이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스텝모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조절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세정수가 유입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가압된 버튼에 따라 급수로를 변환시키도록 스텝모터의 회전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된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를 구성함으로서, 세정수배출안내부재의 둘레를 패킹으로 고정시켜 회전부재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별도로 면가공하는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량조절을 위한 안내장공이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도록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이 용이하여 제작비가 감소하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waterway and flux change control valve of water in bidet}
본 고안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노즐로 분사되는 세정수를 스텝모터의 회전에 따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고, 세정수의 양도 조절할 수 있는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인체의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용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로 휴지 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항문세정과, 상기의 세정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국부세정과,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이의 운동으로 맛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맛사시세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세정을 하는 비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콘트롤러를 작동시키는 버튼(12)을 가압하면, 내부의 온수가 노즐(27)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세정시킨 후, 건조시키도록 형성되는 비데몸체(20)가 구비되고, 이 비데몸체(20)의 전방으로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비데시트(1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비데몸체(20)의 상단부에 상기 비데시트(14)를 수용하는시트커버(1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데몸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P)으로부터 급수되는 세정수를 여과시키는 여과부재(21)가 구비되고, 이 여과부재(21)를 통해 여과되어 급수된 세정수는 솔레노이드밸브(22)를 통과한 후, 감압변(23)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정수가 일정한 수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수압이 일정한 세정수는 실리콘 호스(24)를 통해 물통(25)의 내부로 유입되며, 물통(25)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온도센서(26)가 구비되고, 상기 물통(25)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센서(27)가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12)에 따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으로 인한 급수로를 변환하여 세정수가 배출하도록 하는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28)가 구비되고, 이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28)에 의해 배출되는 세정수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중 선택된 하나의 급수로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는 노즐(29)이 구비되며, 상기 노즐(29)을 통해 분사되어 신체에 묻은 잔존 물기를 온풍으로 건조시켜 제거하며, 탈취기능을 하는 건조기(30)로 구성된다.
또한, 공급되는 세정수의 방향을 조절하여 노즐로 이동시키도록 2001년 실용신안 제32745호로 출원하여 제0267750호로 등록받은 '비데용 유로전환장치'가 출원되었다.
선출원된 비데용 유로전환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50)에 의해 구동되는 비데용 유로전환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상기 스텝모터(50)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스프링(64)에 의해 탄지되는 원판형태의 조절판(65)에는 배출홈(66)이 형성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회전체(60)가 구성되고, 상기 조절판(65)의 상면에 밀착되어 조립되고, 세로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일측으로부터 원을 이루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게 되고 타측단부에는 상측으로 관통되는 메인홀(71)이 한쌍 형성되며, 상기 메인홀(71)이 형성되는 반대측의 세로축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원형의 보조홀(72)이 구비되는 분배판(70)이 구성된다.
또한, 양측에 물의 공급구(8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홀(71) 및 보조홀(72)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각각 분리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구(82)가 구비되는 하우징(80)이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됨에 따라 유로의 개폐와 유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로전환장치는, 재질이 합성수지로된 회전체의 조절판과 분배판이 면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면을 평면가공함으로서, 생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평면가공하는 가공비가 상승하고, 평면가공된 접촉면의 표면이 불량하거나, 부품관리의 소홀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배판의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제작이 어려우며,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세정수배출안내부재의 둘레를 패킹으로 고정시켜 회전부재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별도로 면가공하는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량조절을 위한 안내장공이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도록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이 용이하여 제작비가 감소하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에 따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의 급수로를 개폐시키고, 개폐된 급수로를 통해 노즐의 외부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비데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이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스텝모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조절부재와; 상기 샤프트조절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세정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가압된 버튼에 따라 급수로를 변환시키도록 스텝모터의 회전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된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비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종래 비데의 유로를 전환하는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항문세정을 나타낸 것이고,
b는 국부세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110: 스텝모터
120: 샤프트조절부재 130: 하우징
131: 상부몸체 132: 유입관
135: 하부몸체 137: 세정수배출안내부재
138: 패킹 140: 회전부재
141: 안착홈 143: 안내장공
150: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12)에 따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의 급수로를 개폐시키고, 개폐된 급수로를 통해 노즐(29)의 외부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비데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축(111)이 형성되며, 이 회전축(11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1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11)에 연결되어 스텝모터(1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조절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세정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3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가압된 버튼(12)에 따라 급수로를 변환시키도록 스텝모터(110)의 회전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재(14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140)를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스프링(150)이 구비된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1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32)이 상부에 형성되며, 이 유입관(132)의 하부에 내측으로 수용공간(133)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33)의 단부에 장착되는 오링(134)이 형성된 상부몸체(1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몸체(131)의 수용공간(133)에 안착되도록 일측면이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를 수용하는 관통공(136)이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관통공(136)의 양측에 유입관(132)으로 유입된 세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관(137a)과 연통된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가 형성되고, 이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의 단부에 결합되는 패킹(138)이 형성되며, 상기 스텝모터(110)가 장착되는 나사공(139)이 양단에 형성된 하부몸체(13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40)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홈(141)의 타측에 상기 스프링(150)이 끼워지도록 돌출된 지지돌기(142)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상기 세정수가 이동하는 안내장공(143)이 원주방향으로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에 패킹(138)을 장착한 하부몸체(135)의 관통공(136)에 샤프트조절부재(120)를 삽입하여 샤프트조절부재(120)의 단부를 관통공(136)의 상부로 돌출시킨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35)의 일측에 스텝모터(110)를 밀착시키면, 스텝모터(110)의 회전축(111)이 샤프트조절부재(12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스텝모터(110)의 단부가 하부몸체(135)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스텝모터(110)의 양단부와 하부몸체(135)의 나사공(139)을 스크류(S)로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35)의 관통공(136)으로 돌출된 샤프트조절부재(120)의 단부에 회전부재(140)의 안착홈(141)을 위치시킨 후, O링(134)을 회전부재(14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부몸체(135)의 단부 밀착시키고, 스프링(150)을 지지돌기(142)에 안착시킨 후, 상부몸체(131)에 하부몸체(135)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하부몸체(135)의 단부는, 상부몸체(131)의 수용공간(133)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S)로 체결하여 하부몸체(135)와 상부몸체(131)를 고정시키면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된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100)를 비데몸체(20)의 내부 즉, 물통(25)과 노즐(29)을 연결하도록 장착하면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장착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여과된 세정수가 물통(25)에 저장되어 상부몸체(131)의 유입관(132)을 통해 수용공간(13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 후, 항문세정의 버튼(12)을 가압하면, 메인콘트롤러에서 스텝모터(110)를 왼쪽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40)의 안내장공(143)이 항문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와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면서 세정수의 배출량을 최대로 한다.
이때, 상부몸체(131)의 수용공간(133)에 위치한 세정수는 안내장공(143)을 경유하여 항문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를 통과한 후, 배출관(137a)을 경유하여 노즐(29)을 통해 외부로 분사됨으로서 항문세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항문세정이 완료되어 정지버튼을 가압하여 메인콘트롤러를 통해 스텝모터(110)를 오른쪽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며, 회전부재(140)의 안내장공(143)은 항문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세정수의 유입량을 줄이게 되고, 회전부재(140)의 일측면이 항문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의 전면을 밀폐시킴에 따라 세정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40)의 일측면은, 스프링(150)의 압력에 의해패킹(138)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누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용변 후, 국부세정의 버튼(12)을 가압하면, 메인콘트롤러에서 스텝모터(110)를 오른쪽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40)의 안내장공(143)이 국부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와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면서 세정수의 배출량을 최대로 한다.
이때, 상부몸체(131)의 수용공간(133)에 위치한 세정수는 안내장공(143)을 경유하여 국부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을 통과한 후, 배출관(137a')을 경유하여 노즐(29)을 통해 외부로 분사됨으로서 국부세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국부세정이 완료되어 정지버튼을 가압하여 메인콘트롤러를 통해 스텝모터(110)를 왼쪽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며, 회전부재(140)의 안내장공(143)은 국부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세정수의 유입량을 줄이게 되고, 회전부재(140)의 일측면이 항문세정용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의 전면을 밀폐시킴에 따라 세정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40)의 일측면은, 스프링(150)의 압력에 의해 패킹(138)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누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세정수배출안내부재의 둘레를 패킹으로 고정시켜 회전부재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별도로 면가공하는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량조절을 위한 안내장공이 회전부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도록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이 용이하여 제작비가 감소하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12)에 따라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의 급수로를 개폐시키고, 개폐된 급수로를 통해 노즐(29)의 외부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비데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축(111)이 형성되며, 이 회전축(11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110)와;
    상기 회전축(111)에 연결되어 스텝모터(1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조절부재(120)와;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세정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가압된 버튼(12)에 따라 급수로를 변환시키도록 스텝모터(110)의 회전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재(140)와;
    상기 회전부재(140)를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스프링(150)이 구비된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1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변화조절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32)이 상부에 형성되며, 이 유입관(132)의하부에 내측으로 수용공간(133)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33)의 단부에 장착되는 오링(134)이 형성된 상부몸체(1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몸체(131)의 수용공간(133)에 안착되도록 일측면이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를 수용하는 관통공(136)이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관통공(136)의 양측에 유입관(132)으로 유입된 세정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관(137a)과 연통된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가 형성되고, 이 세정수배출안내부재(137)의 단부에 결합되는 패킹(138)이 형성되며, 상기 스텝모터(110)가 장착되는 나사공(139)이 양단에 형성된 하부몸체(1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변화조절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40)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조절부재(120)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홈(141)의 타측에 상기 스프링(150)이 끼워지도록 돌출된 지지돌기(142)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상기 세정수가 이동하는 안내장공(143)이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변화조절부재.
KR20-2003-0006073U 2003-02-28 2003-02-28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KR200316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73U KR200316309Y1 (ko) 2003-02-28 2003-02-28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73U KR200316309Y1 (ko) 2003-02-28 2003-02-28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309Y1 true KR200316309Y1 (ko) 2003-06-18

Family

ID=4940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73U KR200316309Y1 (ko) 2003-02-28 2003-02-28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3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38B1 (ko) 2005-03-04 2006-11-10 나은기술 주식회사 전방에서 분사되는 세정노즐이 장착된 비데
KR100684287B1 (ko) 2005-03-16 2007-02-16 (주)포에스텍 최고 수두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용 안전밸브
WO2015199400A1 (ko) * 2014-06-23 2015-12-30 조성현 유량자동조절식비데밸브
KR102011018B1 (ko) 2018-03-27 2019-08-16 (주)포에스텍 비데용 컨트롤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38B1 (ko) 2005-03-04 2006-11-10 나은기술 주식회사 전방에서 분사되는 세정노즐이 장착된 비데
KR100684287B1 (ko) 2005-03-16 2007-02-16 (주)포에스텍 최고 수두압 조절이 가능한 비데용 안전밸브
WO2015199400A1 (ko) * 2014-06-23 2015-12-30 조성현 유량자동조절식비데밸브
KR102011018B1 (ko) 2018-03-27 2019-08-16 (주)포에스텍 비데용 컨트롤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93346U (zh) 一种冲洗马桶盖
CN106894487A (zh) 一种冲洗马桶盖
KR101528309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KR200411530Y1 (ko)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KR200316309Y1 (ko)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KR101104119B1 (ko)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KR100785514B1 (ko) 비데의 유로전환 밸브장치
CN206693347U (zh) 一种具有自洁功能的冲洗马桶盖
KR200400234Y1 (ko) 비데용 복합밸브 조립체
KR20090076577A (ko) 비데용 무전원 유로전환밸브
KR20110115213A (ko) 세척기 겸용 샤워기
KR200411531Y1 (ko)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KR200316312Y1 (ko) 비데용 세정수의 여과구조
WO2020006951A1 (zh) 底座组件和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KR100629956B1 (ko) 위생세정기
KR100730692B1 (ko) 비데용 복합 밸브 조립체
CN220204681U (zh) 一种排水结构及足浴器
KR200422544Y1 (ko) 비데 노즐의 진동구조
KR100475698B1 (ko) 비데용 노즐
JP2002294817A (ja)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構造
KR200262725Y1 (ko) 비데용 노즐
KR200351110Y1 (ko) 비데용 삼방 유량조절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436828Y1 (ko) 비데용 세정수의 배압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