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018B1 - 비데용 컨트롤밸브 - Google Patents

비데용 컨트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018B1
KR102011018B1 KR1020180035072A KR20180035072A KR102011018B1 KR 102011018 B1 KR102011018 B1 KR 102011018B1 KR 1020180035072 A KR1020180035072 A KR 1020180035072A KR 20180035072 A KR20180035072 A KR 20180035072A KR 102011018 B1 KR102011018 B1 KR 10201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luid
valve
rotary shaft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병완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8003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밸브바디와, 회전샤프트와, 구동모터 및 어댑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밸브바디 사이로 누수되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위치되는 부위를 벗어난 위치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게 구성하여 상기 회전샤프트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마모로 인한 누수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렇게 누수된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 내부로 유입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용 컨트롤밸브{control valve for bidet}
본 발명은 컨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 혹은, 유로의 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축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력 전달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에는 세정노즐이나 비데노즐 혹은, 노즐팁 세정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혹은, 유로의 방향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밸브는 급수관을 통해 밸브몸체 내로 공급받은 유체가 밸브밸브로터의 위치에 따라 밸브스테이터의 각 연통유로로 제공된 후 이러한 각 연통유로를 통해 각각의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밸브밸브로터는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컨트롤밸브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51110호, 공개특허 제10-2009-0100966호, 등록특허 제10-0730692호, 등록특허 제10-120106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16309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컨트롤밸브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밸브밸브로터를 통과하여 밸브스테이터로 제공되는 도중 샤프트와 밸브몸체 사이의 틈새로 누수되어 스텝모터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물론, 상기한 유체의 누수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둘레면과 밸브몸체 사이에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기밀의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패킹이 설치되는 샤프트는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오랜 사용시 상기 패킹의 마모가 발생되고, 이로써 누수 현상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누수로 인해 스텝핑모터가 손상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잦은 유지보수가 요구되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1110호 공개특허 제10-2009-0100966호 등록특허 제10-0730692호 등록특허 제10-120106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16309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 혹은, 유로의 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축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력 전달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에 따르면 급수관 및 복수의 출수관을 가지는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 유체를 어느 한 출수관으로 안내하기 위한 밸브스테이터 및 밸브로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로터에 축결합되면서 밸브로터를 회전시키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동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샤프트로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밸브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외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바디의 내주면과 회전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슬리브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슬리브부 사이로 누수된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부는 상면 중앙으로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결합되는 동력전달축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동력 전달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동력전달홈이 요입 형성된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상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상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와 슬리브부 사이로 누수된 유체를 일시 저장하도록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확장테두리단과, 상기 몸체단의 저면 둘레측 부위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확장테두리단의 저장공간을 넘쳐 흐르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 튐을 방지하는 스커트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부의 동력전달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부의 확장테두리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유체가 넘처 흐르는 지점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어댑터부의 추가 제공에 의해 유체가 구동모터 내로 유입됨은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유체 유입으로 인한 부식이나 합선 등과 같은 고장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어댑터부를 기존의 비데용 컨트롤밸브에도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을 통한 구동모터의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어댑터부의 확장테두리단이 누수의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위 모두를 받쳐주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스커트부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변으로 넘쳐 흐르는 유체가 구동축으로 튐을 방지함에 따라 사실상 상기 구동축을 통한 구동모터 내로의 유체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서로 동일 구조의 두 컨트롤밸브가 상하에 서로 뒤집어진 상태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구조임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비록 두 컨트롤밸브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제품을 도시한다 하더라도 두 컨트롤밸브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구동모터가 하측에 위치되는 어느 한 컨트롤밸브에 대한 설명만을 수행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크게 밸브바디(100)와, 회전샤프트(200)와, 구동모터(300) 및 어댑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어댑터부(400)는 상기 회전샤프트(200)와 밸브바디(100) 사이로 누수되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410)이 위치되는 부위를 벗어난 위치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게 구성하여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210)의 마모로 인한 누수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렇게 누수된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300) 내부로 유입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밸브바디(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밸브바디(100)는 상면을 가짐과 더불어 저면은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100)의 둘레면에는 유체가 급수되는 급수관(110)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바디(100)의 상면에는 상기 급수된 유체의 선택적인 출수를 위한 복수의 출수관(121,122)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110)을 통해 급수된 유체를 어느 한 출수관(121,122)으로 안내하기 위한 밸브스테이터(130) 및 밸브로터(140)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스테이터(130)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상측 공간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각 출수관(121,122)으로의 구분된 유체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밸브로터(140)는 상기 밸브스테이터(13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급수관(110)을 통해 밸브바디(100) 내로 급수된 유체가 상기 밸브스테이터(130)의 어느 한 유로에 공급되도록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로터(140)의 중앙으로는 결합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로터(140)의 둘레로는 상기 밸브스테이터(130)의 각 유로(131,132) 중 어느 한 유로(131,132)와 연통되는 연통공(1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구동모터(300)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로터(140)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로터(14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회전샤프트(200)는 상기 밸브로터(140)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로터(140)의 결합공(141)에 축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둘레면에는 패킹결합홈(210)이 요입 형성되면서 패킹부재(22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저면 중앙으로는 축결합홈(230)이 요입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300)는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300)는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저부에 위치되며, 그의 구동축(310)은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300)는 구동축(310)을 일정 각도만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모터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구동축(310)은 D컷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100)의 개방된 저면에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개방된 저면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는 슬리브부(50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부(500)의 상단측 부위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500)의 둘레측 부위에는 상기 구동모터(300)와의 나사(511) 체결을 위한 체결허브(5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허브(510)의 상면은 밸브바디(100)에 밀착되면서 상기 나사(511)에 의해 일괄적으로 체결 결합된다.
특히,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상기 슬리브부(50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리브부(500)가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패킹부재(220)에 의해 상기 슬리브부(500)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외주면 사이를 통한 누수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슬리브부(500)의 상단측 부위에는 그 둘레를 따라 오링(520)이 설치되면서 상기 슬리브부(500)가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 압입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서로 간의 접촉면 사이로 유체가 누수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200)와 상기 밸브로터(140) 간의 대향면 사이에는 스프링부재(600)가 구비되면서 상기 슬리브부(5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200)와 상기 밸브로터(140)는 항상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밸브로터(140)가 밸브스테이터(130)에 밀착되면서 정확한 유체의 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어댑터부(400)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샤프트(200)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상기 어댑터부(400)는 상기 구동모터(300)와 상기 회전샤프트(200)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상기 회전샤프트(20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몸체단(410)과 확장테두리단(420) 및 스커트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단(410)은 상기 회전샤프트(200)와 구동축(310) 간의 동력 전달을 위한 부위로써, 상면 중앙으로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축결합홈(230)에 축결합되는 동력전달축(411)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이 동력 전달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동력전달홈(412)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축(411)은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D컷 구조)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어댑터부(400)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샤프트(200)로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어댑터부(400)의 추가 제공 및 후술될 슬리브부(500)의 교체만으로 기존의 컨트롤밸브에도 손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컨트롤밸브의 전체 교체가 아닌 부분적인 추가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리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테두리단(420)은 상기 몸체단(410)의 상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상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200)와 슬리브부(400) 사이로 누수된 유체를 일시 저장하도록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누수된 유체가 곧장 흘러내리도록 하는 구조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모여서 구동모터(300)의 손상 위험이 적은 위치로 유동되게 안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어댑터부(400)의 확장테두리단(420)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체가 넘처 흐르는 지점이 상기 구동축(310)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확장테두리단(420)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공간이 슬리브부(500)와 회전샤프트(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유체만 받아주는 것이 아니라 밸브바디(100)와 슬리브부(500) 사이로 누수되는 유체 역시 함께 받아서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과는 최대한 떨어진 위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단(430)은 상기 몸체단(410)의 저면 둘레측 부위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위로써, 상기 확장테두리단(420)의 저장공간을 넘쳐 흐르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으로 튐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 어댑터부(400)를 이루는 몸체단(410)의 저면 중 상기 스커트단(430)의 내측인 동력전달홈(412)의 둘레에는 상기 구동모터(300)를 이루는 구동축(310)의 하단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덮을 수 있는 허브단(440)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310)과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컨트롤밸브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의 동작 제어에 의해 비데의 사용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제어에 따른 컨트롤밸브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의 동작 제어에 의한 어느 한 출수관(121,122)으로의 유체 출수가 결정되면 구동모터(30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그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밸브로터(140)가 회전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로터(140)에 형성된 연통공(142)이 상기 결정된 어느 한 출수관(121,122)이 위치한 어느 한 유로(131,132)와 연통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력은 구동축(310)을 통해 이 구동축(310)이 결합된 동력전달홈(412)으로 제공되어 어댑터부(400)의 몸체단(410)으로 전달되며, 계속해서 상기 몸체단(410)의 상면에 돌출된 동력전달축(411)을 통해 이 동력전달축(411)이 결합된 회전샤프트(200)로 해당 동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그에 결합된 밸브로터(140)로 상기 전달받은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후, 급수관(110)을 통한 유체의 급수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렇게 급수된 유체는 상기 밸브로터(140)의 연통공(142)을 통과하여 어느 한 출수관(121,122)과 연통된 밸브스테이터(130)의 유로(131,132) 내로 유동된 후 상기 출수관(121,122)을 통해 출수된다.
물론, 상기 급수관(110)을 통한 유체의 급수는 전술된 구동모터(300)의 구동과 동시에 진행되거나 혹은,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우선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체의 급수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급수관(110)을 통해 밸브바디(100) 내로 유입된 유체가 슬리브부(500)와 밸브바디(100) 간의 접촉면 사이 혹은, 슬리브부(500)와 회전샤프트(200) 간의 접촉면 사이를 통해 누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슬리브부(500)와 밸브바디(100) 사이에 구비된 오링(520) 및 슬리브부(500)와 회전샤프트(200) 사이에 구비된 패킹부재(220)로 인해 상기 누수는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상기 슬리브부(500) 내에서 회전되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오랜 사용시 혹은, 상기 패킹부재(220)의 올바르지 못한 결합 발생시 상기 슬리브부(500)와 회전샤프트(200) 간의 접촉면 사이로 상기 밸브바디(100) 내의 유체가 누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슬리브부(500)와 회전샤프트(200) 간의 접촉면 사이로 유체가 누수된다 하더라도 이렇게 누수된 유체는 그의 저부에 위치된 어댑터부(400)의 확장테두리단(420)이 제공하는 저장공간으로 흘러 저장됨에 따라 상기 누수되는 유체가 구동모터(300) 내로 흘러내림은 방지된다.
특히, 상기 확장테두리단(420)에 의한 저장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해당 저장공간을 넘쳐 흐른다 하더라도 상기 확장테두리단(420)의 끝단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최대한 먼 곳을 향하여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저장공간을 넘쳐 흐르는 유체가 상기 구동축(310)으로 흘러내림은 방지되고, 또한 어댑터부(400)의 스커트단(430)이 상기 구동축(310)의 둘레를 재차적으로 감싸도록 위치되고 있음에 따라 구동모터(300)의 표면으로 유체의 튐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유체가 상기 스커트단(430)에 의해 막히면서 구동축(310)으로의 튐은 방지된다.
결국,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어댑터부(4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유체가 구동모터(300) 내로 유입됨은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구동모터(300)의 유체 유입으로 인한 부식이나 합선 등과 같은 고장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어댑터부(400)는 기존의 비데용 컨트롤밸브에도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을 통한 구동모터(300)의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데용 컨트롤밸브는 어댑터부(400)의 확장테두리단(42-_이 누수의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위 모두를 받쳐주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스커트부(43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변으로 넘쳐 흐르는 유체가 구동축(310)으로 튐을 방지함에 따라 사실상 상기 구동축(310)을 통한 구동모터(300) 내로의 유체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100. 밸브바디 110. 급수관
121,122. 출수관 130. 밸브스테이터
131,132. 유로 140. 밸브로터
141. 결합공 142. 연통공
200. 회전샤프트 210. 패킹결합홈
220. 패킹부재 230. 축결합홈
300. 구동모터 310. 구동축
400. 어댑터부 410. 몸체단
411. 동력전달축 412. 동력전달홈
420. 확장테두리단 430. 스커트단
440. 허브단 500. 슬리브부
510. 체결허브 520. 오링
600. 스프링부재

Claims (5)

  1. 급수관 및 복수의 출수관을 가지는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 유체를 어느 한 출수관으로 안내하기 위한 밸브스테이터 및 밸브로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로터에 축결합되면서 밸브로터를 회전시키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동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샤프트로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밸브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외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바디의 내주면과 회전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슬리브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슬리브부 사이로 누수된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컨트롤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면 중앙으로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결합되는 동력전달축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동력 전달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동력전달홈이 요입 형성된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상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상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와 슬리브부 사이로 누수된 유체를 일시 저장하도록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확장테두리단과,
    상기 몸체단의 저면 둘레측 부위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확장테두리단의 저장공간을 넘쳐 흐르는 유체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 튐을 방지하는 스커트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컨트롤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의 동력전달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컨트롤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의 확장테두리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유체가 넘처 흐르는 지점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컨트롤밸브.
KR1020180035072A 2018-03-27 2018-03-27 비데용 컨트롤밸브 KR10201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72A KR102011018B1 (ko) 2018-03-27 2018-03-27 비데용 컨트롤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72A KR102011018B1 (ko) 2018-03-27 2018-03-27 비데용 컨트롤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018B1 true KR102011018B1 (ko) 2019-08-16

Family

ID=6780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072A KR102011018B1 (ko) 2018-03-27 2018-03-27 비데용 컨트롤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83A (ko) 2020-08-31 2022-03-08 지게이트(주) 비데용 밸브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09Y1 (ko) 2003-02-28 2003-06-18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KR200351110Y1 (ko) 2004-03-05 2004-05-22 (주)포에스텍 비데용 삼방 유량조절장치
KR100730692B1 (ko) 2005-01-04 2007-06-21 (주)포에스텍 비데용 복합 밸브 조립체
KR20090100966A (ko) 2008-03-21 2009-09-24 동양매직 주식회사 비데용 유로 전환장치
KR101201065B1 (ko) 2009-03-26 2012-11-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KR20140085797A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마사지 방법
KR20160139625A (ko) * 2015-05-28 2016-12-07 대림통상 주식회사 비데 노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09Y1 (ko) 2003-02-28 2003-06-18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용 세정수의 수로 및 유량조절밸브
KR200351110Y1 (ko) 2004-03-05 2004-05-22 (주)포에스텍 비데용 삼방 유량조절장치
KR100730692B1 (ko) 2005-01-04 2007-06-21 (주)포에스텍 비데용 복합 밸브 조립체
KR20090100966A (ko) 2008-03-21 2009-09-24 동양매직 주식회사 비데용 유로 전환장치
KR101201065B1 (ko) 2009-03-26 2012-11-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KR20140085797A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마사지 방법
KR20160139625A (ko) * 2015-05-28 2016-12-07 대림통상 주식회사 비데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83A (ko) 2020-08-31 2022-03-08 지게이트(주) 비데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618A (en) Dental hand tool holder
US8037948B2 (en) Drilling machine
US20090120519A1 (en) Water outlet device
KR102011018B1 (ko) 비데용 컨트롤밸브
KR101724567B1 (ko) 잔수 개선 비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US5992823A (en) Structure of a shutoff valve
US9931652B2 (en) Rotary jet nozzle
CN102449364A (zh) 可调节的冲洗系统
US10046342B2 (en) Side spraying outlet device
JP6900410B2 (ja) 立軸ポンプ
KR200409032Y1 (ko) 수도꼭지
KR10049374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및 물공급 제어용 제어밸브가 일체로장착된 익차형 수도 미터기
JP6860188B2 (ja)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および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の使用方法
JP2001073418A (ja)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KR20220080833A (ko) 탈결합이 용이한 수전연결식 방향전환밸브
KR101989175B1 (ko) 분기 어댑터
CN201007368Y (zh) 一种无泄漏节水水嘴
JP2006288725A (ja) メンテナンス用スプレーノズル
KR101625986B1 (ko) 편심형 디스크가 구비된 제수밸브
CN215722570U (zh) 水管组件及超声波清洗机
KR20000005791U (ko) 싱크대용 수도꼭지의 토수구 연결구조
JP3624052B2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KR200321361Y1 (ko) 급수관의 밸브조립체
JP2004353845A (ja) 切換え弁
JP2022112641A (ja) 水栓構造、及び不凍水栓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