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625A - 비데 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비데 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625A
KR20160139625A KR1020150074832A KR20150074832A KR20160139625A KR 20160139625 A KR20160139625 A KR 20160139625A KR 1020150074832 A KR1020150074832 A KR 1020150074832A KR 20150074832 A KR20150074832 A KR 20150074832A KR 20160139625 A KR20160139625 A KR 2016013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upled
bidet
moto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714B1 (ko
Inventor
전영배
곽건우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7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및 이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의 가이드부가 모두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가 되게함으로써, 노즐의 전,후진시 곡선이동이 가능하게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게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는 물 분사구(31)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가 구비되어진 노즐(3)과; 상기 노즐(3)의 내부 유로를 제어하기 위해 그 후미에서 모터(12)에 의해 구동되도록 결합되어진 유량 조절밸브(1)와; 상부에는 상기 노즐(3)의 지지 및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노즐(3), 유량 조절밸브(1)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기어 구동모터(23) 및 기어(24)가 위치하는 기어수용부(25)가 구비되어진 하우징(2)으로 구성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노즐(3)은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3)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2)의 가이드부(21)도 상기 노즐(3)에 대응되는 형태, 즉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노즐(3)이 전,후진할 시에 하방으로 곡선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량 조절밸브(1)는 상기 노즐(3)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밸브바디(11)와; 비데용 유로, 세정용 유로, 세척용 유로를 나눠 공급하기 위한 통공들이 형성된 스테이터(19)와; 모터(12)의 축 선단에 결합되는 샤프트(16)와; 상기 샤프트(16)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19)의 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스테이터(19)의 유로가 비데, 세정, 세척모드 중에서 선택되어지도록 연결되는 로테이터(18)와; 상기 로테이터(18)가 스테이터(19)의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샤프트(16)와 로테이터(18)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스프링(16)과; 모터(12)가 결합되어지되 그 축이 밸브바디(11)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밸브바디(11)의 후단에 결합되어지는 슬리브(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 노즐 어셈블리{Bidet nozzle assembly}
본 발명은 노즐이 곡선이동을 하도록 구성된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노즐 및 이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의 가이드부가 모두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가 되게함으로써, 노즐의 전,후진시 곡선이동이 가능하게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게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는,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 내부에 형성된 유로(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에 호스 등을 사용치않고 직접 연결되어진 구조이며, 상기 유량 조절밸브의 슬리브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바이패스공을 형성함으로써,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에 직접 결합된 구조이더라도 물이 유량 조절밸브의 모터에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는 도기 일체형 비데의 경우에는 비데부에 장착되고, 도기 분리형 비데의 경우에는 비데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에는 인체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할 수 있는 노즐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에 구비된 노즐은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비데 안쪽의 대기위치에 대기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앉아서 용변을 본 후 세정명령을 하게되면,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서 분사위치로 이동되며, 분사위치로 이동된 노즐은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사용자의 국부에 분사하여 사용자의 국부가 세정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는 노즐이 직선의 형태로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이므로, 노즐은 반드시 하방의 사선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된다.
따라서, 종래의 비데용 어셈블리의 경우 도기 일체형 비데에서는 비데부에, 도기 분리형 비데에서는 비데본체에 이러한 노즐의 이동을 위한 비교적 큰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도기 일체형 비데의 경우에는 변기부에 깊은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거나 비데부의 높이가 높아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도기 분리형 비데의 경우에는 비데본체의 높이가 높아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는 물 공급을 제어하기위한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에 직접 연결되지않고 호스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단선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될 문제점이 있고, 조립시에 공간을 넓게 차지하게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즐 및 이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의 가이드부가 모두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가 되게함으로써, 노즐의 전,후진시 곡선이동이 가능하게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첫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 내부에 형성된 유로(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에 호스 등을 사용치않고 직접 연결하고, 상기 유량 조절밸브의 슬리브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바이패스공을 형성함으로써,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에 직접 결합된 구조이더라도 물이 유량 조절밸브의 모터에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선단에는 물 분사구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가 구비되어진 노즐과; 상기 노즐의 내부 유로를 제어하기 위해 그 후미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결합되어진 유량 조절밸브와; 상부에는 상기 노즐의 지지 및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노즐, 유량 조절밸브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기어 구동모터 및 기어가 위치하는 기어수용부가 구비되어진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을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의 가이드부도 상기 노즐에 대응되는 형태, 즉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노즐이 전,후진할 시에 하방으로 곡선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량 조절밸브는 상기 노즐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밸브바디와; 비데용 유로, 세정용 유로, 세척용 유로를 나눠 공급하기 위한 통공들이 형성된 스테이터와; 모터의 축 선단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스테이터의 유로가 비데, 세정, 세척모드 중에서 선택되어지도록 연결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가 스테이터의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샤프트와 로테이터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스프링과; 모터가 결합되어지되 그 축이 밸브바디(11)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후단에 결합되어지는 슬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와 슬리브의 결합구조에서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는 밸브바디와 결합되어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미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가 그 축이 관통하도록 결합되어지는 날개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공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후단에는 탄성재질의 래크가 결합되어 상기 기어와 치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기어 구동모터가 작동될 때 회전력은 상기 기어와 래크를 경유하여 노즐에 전달될 것인 바, 상기 기어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은 상기 노즐 및 유량 조절밸브에 대해 전,후진의 직선운동으로 바뀌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즐 및 이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의 가이드부가 모두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가 되게함으로써, 노즐의 전,후진시 곡선이동이 가능하게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게되는 바, 도기 일체형 비데의 경우에는 변기부에 얕은 홈을 형성시키거나 비데부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도기 분리형 비데의 경우에는 비데본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 내부에 형성된 유로(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에 호스 등을 사용치않고 직접 연결하고, 상기 유량 조절밸브의 슬리브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바이패스공을 형성함으로써, 유량 조절밸브가 노즐에 직접 결합된 구조이더라도 물이 유량 조절밸브의 모터에 전혀 침투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모터 등의 전기계통에 대해 누전에 의한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노즐이 신장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결합체의 사시도,
도 2는 노즐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결합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결합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량 조절밸브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슬리브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노즐이 신장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결합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노즐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결합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노즐 결합체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데 노즐 어셈블리는, 선단에는 물 분사구(31)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가 구비되어진 노즐(3)과; 상기 노즐(3)의 내부 유로를 제어하기 위해 그 후미에서 모터(12)에 의해 구동되도록 결합되어진 유량 조절밸브(1)와; 상부에는 상기 노즐(3)의 지지 및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노즐(3), 유량 조절밸브(1)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기어 구동모터(23) 및 기어(24)가 위치하는 기어수용부(25)가 구비되어진 하우징(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물 분사구(31)는 노즐(3)의 선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다수의 토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의 선단에는 노즐(3)의 전,후진 시에 그 외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선단 결합부(22)가 결합되어있으며,
상기 노즐(3)의 후단에는 탄성재질의 래크(26)가 결합되어 상기 기어(24)와 치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기어 구동모터(23)가 작동될 때 회전력은 상기 기어(24)와 래크(26)를 경유하여 노즐(3)에 전달될 것인 바, 상기 기어 구동모터(23)의 회전운동은 상기 노즐(3) 및 유량 조절밸브(1)에 대해 전,후진의 직선운동으로 바뀌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즐(3)이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3)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2)의 가이드부(21)도 상기 노즐(3)에 대응되는 형태, 즉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노즐(3)이 전,후진할 시에 하방으로 곡선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 조절밸브(1)는 상기 노즐(3)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밸브바디(11)와; 비데용 유로, 세정용 유로, 세척용 유로를 나눠 공급하기 위한 통공들이 형성된 스테이터(19)와; 모터(12)의 축 선단에 결합되는 샤프트(16)와; 상기 샤프트(16)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19)의 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스테이터(19)의 유로가 비데, 세정, 세척모드 중에서 선택되어지도록 연결되는 로테이터(18)와; 상기 로테이터(18)가 스테이터(19)의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샤프트(16)와 로테이터(18)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스프링(16)과; 모터(12)가 결합되어지되 그 축이 밸브바디(11)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밸브바디(11)의 후단에 결합되어지는 슬리브(13)로 구성되는데,
상기 밸브바디(11)와 슬리브(13)의 결합구조에서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패킹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밸브바디(11)측에 패킹(15')을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13)측에는 오링(14)과 패킹(14)을 함께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13)는 밸브바디(11)와 결합되어지는 바디(131)와, 상기 바디(131)의 후미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12)가 그 축이 관통하도록 결합되어지는 날개부(132)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131)의 하부에는 통공(1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32)에는 상기 통공(133)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공(134)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물이 상기 유량 조절밸브(1)에 공급되면 밸브바디(11)와 슬리브(13)사이의 공간에 머무르게 되는데, 모터(12)가 회전하면 축 선단에 결합된 샤프트(16)및 로테이터(18)가 함께 회전하게되어, 상기 로테이터(18)는 스테이터(19)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게되며, 이때 상기 스테이터(19)에 형성된 통공들이 비데, 세척, 세정모드 중에서 선택되어지면 물이 각 해당 모드의 유로로 공급되어질 것인데,
상기 밸브바디(11)의 선단에는 노즐(3)이 결합되어있고, 상기 노즐(3)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19)에서 선택된 모드의 유로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있으므로, 물은 유량 조절밸브(1)와 노즐(3)을 경유하여 상기 물 분사구(31)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11)와 슬리브(13)의 결합구조에서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패킹을 구비하고 있으나 패킹이 마모되거나 내부압력이 커질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리브(13)의 바디(131) 하부에는 통공(1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32)에는 상기 통공(133)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공(134)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있으므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유량 제어밸브(1) 내의 물이 상기 통공(133)과, 바이패스공(134)을 통해 외부에 용이하게 배출되어지는 바,
물이 유량 조절밸브(1)의 모터(12)에는 전혀 침투되지 않을 것이어서, 누전에 의한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유량 조절밸브 2: 하우징
3: 노즐 11: 밸브바디
12: 모터 13: 슬리브
21: 가이드부 22: 선단 결합부
23: 기어 구동모터 24: 기어
25: 기어 수용부 26: 래크
31: 물 분사구 131: 바디
132: 날개부 133: 통공
134: 바이패스공

Claims (3)

  1. 선단에는 물 분사구(31)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세정용 유로, 비데용 유로가 구비되어진 노즐(3)과; 상기 노즐(3)의 내부 유로를 제어하기 위해 그 후미에서 모터(12)에 의해 구동되도록 결합되어진 유량 조절밸브(1)와; 상부에는 상기 노즐(3)의 지지 및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노즐(3), 유량 조절밸브(1)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기어 구동모터(23) 및 기어(24)가 위치하는 기어수용부(25)가 구비되어진 하우징(2)으로 구성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노즐(3)은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3)를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2)의 가이드부(21)도 상기 노즐(3)에 대응되는 형태, 즉 하방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노즐(3)이 전,후진할 시에 하방으로 곡선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량 조절밸브(1)는 상기 노즐(3)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밸브바디(11)와; 비데용 유로, 세정용 유로, 세척용 유로를 나눠 공급하기 위한 통공들이 형성된 스테이터(19)와; 모터(12)의 축 선단에 결합되는 샤프트(16)와; 상기 샤프트(16)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19)의 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스테이터(19)의 유로가 비데, 세정, 세척모드 중에서 선택되어지도록 연결되는 로테이터(18)와; 상기 로테이터(18)가 스테이터(19)의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샤프트(16)와 로테이터(18) 사이에 탄성 연결되는 스프링(16)과; 모터(12)가 결합되어지되 그 축이 밸브바디(11)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밸브바디(11)의 후단에 결합되어지는 슬리브(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1)와 슬리브(13)의 결합구조에서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13)는 밸브바디(11)와 결합되어지는 바디(131)와, 상기 바디(131)의 후미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12)가 그 축이 관통하도록 결합되어지는 날개부(132)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131)의 하부에는 통공(1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32)에는 상기 통공(133)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공(134)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의 후단에는 탄성재질의 래크(26)가 결합되어 상기 기어(24)와 치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기어 구동모터(23)가 작동될 때 회전력은 상기 기어(24)와 래크(26)를 경유하여 노즐(3)에 전달될 것인 바, 상기 기어 구동모터(23)의 회전운동은 상기 노즐(3) 및 유량 조절밸브(1)에 대해 전,후진의 직선운동으로 바뀌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노즐 어셈블리.


















KR1020150074832A 2015-05-28 2015-05-28 비데 노즐 어셈블리 KR10171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32A KR101717714B1 (ko) 2015-05-28 2015-05-28 비데 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32A KR101717714B1 (ko) 2015-05-28 2015-05-28 비데 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25A true KR20160139625A (ko) 2016-12-07
KR101717714B1 KR101717714B1 (ko) 2017-03-17

Family

ID=5757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832A KR101717714B1 (ko) 2015-05-28 2015-05-28 비데 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18B1 (ko) * 2018-03-27 2019-08-16 (주)포에스텍 비데용 컨트롤밸브
KR20210071507A (ko) * 2019-12-06 2021-06-16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관장 기능을 겸비한 비데용 곡선형 노즐 구조
KR20220153195A (ko) * 2021-05-11 2022-11-18 김창호 유로조절밸브의 수분침투 방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55Y1 (ko) * 2006-02-03 2006-05-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기세척유로가 형성된 비데용 분사장치
JP2007023768A (ja) * 1999-10-29 2007-02-01 Toto Ltd 局部洗浄装置
KR20140016523A (ko) * 2012-07-30 2014-02-1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768A (ja) * 1999-10-29 2007-02-01 Toto Ltd 局部洗浄装置
KR200415655Y1 (ko) * 2006-02-03 2006-05-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기세척유로가 형성된 비데용 분사장치
KR20140016523A (ko) * 2012-07-30 2014-02-1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18B1 (ko) * 2018-03-27 2019-08-16 (주)포에스텍 비데용 컨트롤밸브
KR20210071507A (ko) * 2019-12-06 2021-06-16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관장 기능을 겸비한 비데용 곡선형 노즐 구조
KR20220153195A (ko) * 2021-05-11 2022-11-18 김창호 유로조절밸브의 수분침투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714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819B2 (en) Oral irrigator
KR101717714B1 (ko) 비데 노즐 어셈블리
JP3565099B2 (ja) 内視鏡の流体供給装置
KR20140140435A (ko) 세탁기
CN105054882A (zh) 洗碗机的喷臂组件及具有它的洗碗机
JP2019098775A (ja) 車載センサ洗浄装置
KR101796665B1 (ko) 온수세정기의 회전형 노즐어셈블리
JP2016528412A (ja) ビデ用ノズルアセンブリ
KR20140085797A (ko) 온수세정기의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마사지 방법
KR20150096843A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좌와 비데
KR102570436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2181438B1 (ko) 휴대용 태양광패널 세척장치
JP2015101953A (ja) 温水洗浄装置内のノズルアセンブリ
JP2018034646A (ja) 車載光学センサ洗浄装置
KR20130035542A (ko) 유로 조절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863666B1 (ko) 세미 및 설거지용 밸브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KR20150024123A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200482944Y1 (ko) 비데 노즐 어셈블리
JP2006026810A (ja) 回転切削装置
JP6364903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13132723A (ja) 切削液噴射装置
KR101731547B1 (ko) 비데용 세정수 분사노즐 장치
KR101806450B1 (ko) 스팀 분사기
JP2019027008A (ja) ノズルユニット
CN215191349U (zh) 喷淋装置及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