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487B1 -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487B1
KR101740487B1 KR1020150146093A KR20150146093A KR101740487B1 KR 101740487 B1 KR101740487 B1 KR 101740487B1 KR 1020150146093 A KR1020150146093 A KR 1020150146093A KR 20150146093 A KR20150146093 A KR 20150146093A KR 101740487 B1 KR101740487 B1 KR 10174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using
brushes
frame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239A (ko
Inventor
한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487B1/ko
Priority to CN201610576042.9A priority patent/CN106584867B/zh
Publication of KR2017004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H01L51/0001
    • H01L51/0011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 상에 마스크를 인장 및 용접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를 일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부와,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면에서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스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솔을 구비하는 가압부와, 마스크와 프레임을 용접하는 레이저 용접부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Mask tension welding device for thin film de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는 스마트 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랩 탑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장치나, 데스크 탑 컴퓨터, 텔레비전, 옥외 광고판과 같은 전자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막은 증착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패턴화된 박막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박막과 동일한 패턴을 갖는 증착용 마스크를 기판 상에 위치시키고, 그때, 박막의 원소재를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증착용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액자 형태의 프레임 상에서 인장되어, 그 양단이 레이저 용접을 통해 프레임과 결합된다. 이러한 레이저 용접 공정에서, 증착용 마스크와 프레임이 서로 밀착되도록 증착용 마스크의 양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가압부재로 증착용 마스크의 양단을 가압할 경우 국부적으로 마스크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마스크와 프레임의 용접 공정 시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 상에 마스크를 인장 및 용접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를 일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부와,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면에서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스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솔을 구비하는 가압부와, 마스크와 프레임을 용접하는 레이저 용접부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장부는 마스크의 양 단부를 인장하여 프레임 상에 고정하는 마스크 인장 클램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는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마스크를 가압하며, 프레임과 마스크가 마주보는 면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솔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솔은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부는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의 마스크의 일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솔은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솔은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면과,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제2 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솔은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마스크의 양 단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포함하며, 제1 가압부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일면에서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스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제1 솔을 포함하고, 제2 가압부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일면에서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스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제2 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솔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2 솔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압부의 복수개의 제1 솔과, 제2 가압부의 복수개의 제2 솔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들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솔과, 제2 가압부의 복수개의 제2 솔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들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압부의 복수개의 제1 솔은 제1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가압부의 복수개의 제2 솔은 제2 하우징과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면과,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은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제3 면과,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제2 면과 제4 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면은 제1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을 바라보고, 제4 면은 제3 면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솔은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복수개의 제2 솔은 제4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복수개의 제1 솔 및 복수개의 제2 솔은 마스크의 양 단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와 프레임의 용접 공정에서, 마스크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제거하여 마스크와 프레임을 밀착할 수 있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에 관한 마스크와 프레임이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마스크와 프레임이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기판 상에 발광층을 증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서브 픽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10) 및 복수개의 분할 마스크(120)를 갖는 마스크(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개구(115)를 가지며, 개구(115)를 둘러싸는 복수개의 프레임(111 내지 11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111 내지 114)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과,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프레임(113) 및 제4 프레임(114)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제3 프레임(113) 및 제4 프레임(114)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마스크(130)의 용접 시 변형이 작은 소재, 이를테면, 강성이 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 상에는 마스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정밀한 증착 패턴을 위해서는 마스크(130)와, 마스크(130) 상에 설치되는 기판(140)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쉐도우를 줄여야 한다. 마스크(130)는 박판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마스크(130)의 소재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인바(invat), 니켈(Ni), 코발트(Co), 니켈 합금, 니켈-코발트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스크(130)는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Y축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분할 마스크(120)를 포함한다. 분할 마스크(120)는 스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130)의 폭이 마스크(130)의 인장 방향인 길이보다 작다면, 어느 하나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할 마스크(120)는 인장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ㅎ야)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분할 마스크(120)는 제3 프레임(113) 및 제4 프레임(114)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각 분할 마스크(120)의 양 단은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분할 마스크(120)는 개구(115)를 덮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이나 전극을 증착하기 위하여, 진공 챔버(201)가 마련될 수 있다.
진공 챔버(201)의 하부에는 증착원(202)이 위치하며, 증착원(202)의 상부에는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도 1에 나타난 복수개의 분할 마스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마스크(120)는 프레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분할 마스크(120)의 상부에는 기판(140)이 배치될 수 있다. 마스크 어셈블리(100)의 가장자리에는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2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기판(140) 상에 증착 물질이 증착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지지부재(203)에 고정하고, 분할 마스크(120)의 상부에 증착용 기판(14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진공 챔버(201)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원(202)으로부터 증착 물질을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향하여 분사하게 되면, 분할 마스크(120)를 통과한 증착 물질은 기판(140)의 일면에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40) 상의 소망하는 위치에 증착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110)에 대하여 분할 마스크(120)의 용접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즉, 프레임(110)과 분할 마스크(120)가 용접되는 영역에서 프레임(110)과 분할 마스크(120) 사이에 빈 공간을 최대한 줄여 서로의 밀착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310)은 사각형 형상의 액자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과,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프레임(313) 및 제4 프레임(314)을 포함한다.
프레임(310) 상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분할 마스크(320)가 설치된다. 분할 마스크(320)의 폭은 분할 마스크(320)의 인장 방향인 분할 마스크(32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분할 마스크(320) 상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증착 패턴부(321)가 배열될 수 있다. 증착 패턴부(321)는 증착시키고자 하는 기판 상의 증착층과 동일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증착 패턴부(321) 사이에는 리브(322)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322)는 분할 마스크(320)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열된 증착 패턴부(32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가 서로 용접되는 영역은 최외곽 증착 패턴부(325)와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분할 마스크(320)는 양 단부가 인장 방향(X축 방향)으로 인장되어 프레임(310)에 용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마스크(320)는 길이 방향의 제1 단부(323)와, 제1 단부(323)에 반대되는 제2 단부(324)를 인장하여, 제1 단부(323) 및 제2 단부(324)를 각각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에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310)에 대한 분할 마스크(320)의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300)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300)는 인장부(330), 가압부(400), 및 레이저 용접부(340)를 포함한다.
분할 마스크(320)는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다. 분할 마스크(320)는 인장부(330)에 의하여 인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제1 단부(323) 및 제2 단부(324)는 인장된 상태로 제1 프레임(311) 및 제2 프레임(31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인장부(330)는 분할 마스크(320)를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여 프레임(3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장부(330)는 마스크 인장 클램프일 수 있다. 즉, 인장부(330)는 분할 마스크(320)의 제1 단부(323) 및 제2 단부(324)를 클램핑하여 분할 마스크(320)를 인장시킬 수 있다.
가압부(400)는 프레임(310)에 분할 마스크(3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가압부(400)는 분할 마스크(320)의 제1 단부(323) 및 제2 단부(324)의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400)는 최외곽 증착 패턴부(325)와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가압부(400)는 프레임(310) 상에 위치하는 분할 마스크(320)를 상부로부터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가 서로 마주보는 면이 밀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400)는 하우징(410)과 복수개의 솔(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프레임(310) 상에 위치하는 분할 마스크(320)를 가압하며,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를 하우징(410)과 솔(420)이 가압함으로써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가 마주보는 면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솔(42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폴리머, 금속,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하우징(410)은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와 접촉하는 제1 면(410_1)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와 접촉하지 않는 제2 면(410_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면(410_2)은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솔(420)은 하우징(410)의 제2 면(410_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를 가압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개의 솔(420)이 하우징(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접촉하는 면, 즉 제1 면(410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솔(1420)은 하우징(1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 즉 제1 면(1410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면, 즉 제2 면(1410_2)은 하우징(1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 즉 제1 면(1410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외측 방향을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솔(1420)은 제2 면(1410_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410)(1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 즉 제1 면(410_1)(1410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의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를 솔(420)(1420)이 가압하게 되면,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렇게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제거하면,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용접 공정에서 불량율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에에 따른 효과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레이저 용접부(340)는 하부 하우징(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의 분할 마스크(320)의 일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난 레이저 용접부(340)는, 하우징(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의 내측 방향의 분할 마스크(320)의 일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6에 나타난 레이저 용접부(340)는 하우징(1410)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의 외측 방향의 분할 마스크(320)의 일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가압부(2400)는 제1 가압부(2410a)와 제2 가압부(2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400a)는 제1 하우징(2410a)과 제1 솔(24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410a)는 프레임(310) 상에 위치하는 분할 마스크(320)를 가압하며,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를 제1 하우징(2410a)과 제1 솔(2420a)이 가압함으로써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가 마주보는 면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압부(2400b)는 제2 하우징(2410b)과 제2 솔(2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410b)는 프레임(310) 상에 위치하는 분할 마스크(320)를 가압하며,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를 제2 하우징(2410b)과 제1 솔(2420b)이 가압함으로써 프레임(310)과 분할 마스크(320)가 마주보는 면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세히, 제1 가압부(2400a)는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와 접촉하는 제1 면(2400a_1)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와 접촉하지 않는 제2 면(2400a_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압부(2400b)는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와 접촉하는 제3 면(2400b_1)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와 접촉하지 않는 제4 면(2400b_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면(2400a_2)과 제4 면(2400b_2)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은 제2 면(2400a_2)과 제4 면(2400b_2)이 각각 제1 하우징(2410a) 및 제2 하우징(2410b)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제1 면(2400a_1) 및 제3 면(2400b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가압부(2400a)의 제1 솔(2420a)과, 제2 가압부(2400b)의 제2 솔(2420b)은 제1 하우징(2410a) 및 제2 하우징(2410b)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제2 면(3400a_2)과 제4 면(3400b_2)이 각각 제1 하우징(3410a) 및 제2 하우징(3410b)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제1 면(3400a_1) 및 제3 면(3400b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가압부(3400a)의 제1 솔(3420a)과, 제2 가압부(3400b)의 제2 솔(3420b)은 제1 하우징(3410a) 및 제2 하우징(3410b)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2 면(4400a_2)과 제4 면(4400b_2)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면(4400a_2)은 제1 하우징(4410a)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제1 면(4400a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4 면(4400b_2)은 제2 하우징(4410b)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제3 면(4400b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가압부(4400a)의 제1 솔(4420a)은 제1 하우징(4410a)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제1 면(4400a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2 가압부(4400b)의 제2 솔(4420b)은 제2 하우징(4410b)과 분할 마스크(320)의 양 단부(323)(324)가 서로 접촉하는 제3 면(4400b_1)을 기준으로 분할 마스크(3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솔과 제2 솔은 도 9에 나타난 제1 솔 및 제2 솔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비교예에 관한 마스크와 프레임이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마스크와 프레임이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프레임(801)과 마스크(802)가 서로 밀착되는 면에는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간극(803)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제1 프레임(311)과 분할 마스크(320) 상에는 복수개의 솔(420)이 제1 프레임(311)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솔(420)은 분할 마스크(320)가 제1 프레임(311)에 밀착할 때까지 충분한 압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분할 마스크(320)가 제1 프레임(311)에 밀착된 이후에는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311)에 수직 방향으로 용접되는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311)과 분할 마스크(320)가 서로 밀착되는 면에는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용접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솔(420)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솔(420)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도 13은 솔(420)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도 14는 타원형, 그리고 도 15는 솔(420)의 단면의 모서리 부분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도 16은 솔(420)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6에 나타난 솔(420)의 단면의 모양은 각각 일 예로써, 솔(420)은 도면에 나타난 모양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은 도 3의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기판 상에 발광층을 증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서브 픽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기판 상에 발광층을 증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서브 픽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1101)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1101)은 유연성을 가지는 절연성 소재나, 강성을 가지는 절연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판(1101)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판(1101) 상에는 배리어막(1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막(1102)은 상기 표시 기판(1101)의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막(1102)은 무기막이나,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막(11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막(1102)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1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103)에는 N형 불순물 이온이나, P형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는 것에 의하여 소스 영역(1104)과, 드레인 영역(11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1104)과, 드레인 영역(1105) 사이의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는 채널 영역(1106)이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103)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107)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07)은 실리콘 옥사이드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나, 금속 산화물과 같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07)은 단일층, 또는, 복층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07) 상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11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8)은 Au, Ag, Cu, Ni, Pt, Pd, Al, Mo, Cr 등의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8)은 Al:Nd, Mo:W 와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8) 상에는 층간 절연막(11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109)은 실리콘 옥사이드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109) 상에는 소스 전극(1110)과, 드레인 전극(111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1107) 및 층간 절연막(1109)에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콘택 홀이 형성되고, 콘택 홀을 통하여 소스 영역(1104)에 대하여 소스 전극(1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 영역(1105)에 대하여 드레인 전극(11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110)과, 드레인 전극(1111) 상에는 보호막(1112, 패시베이션막 및/또는 평탄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112)은 실리콘 옥사이드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막, 또는, 아크릴(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BCB(Benzocyclobutene) 등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보호막(1112) 상에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 1 전극(1113),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122), 및 제 2 전극(1115)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113)은 애노우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113)은 투명 전극이나,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 1 전극(1113)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1 전극(1113)은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1113)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1 전극(1113)은 반사막과, 상기 반사막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픽셀 정의막(1114)은 상기 보호막(1112) 및 상기 제 1 전극(1113)의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픽셀 정의막(1114)은 상기 제 1 전극(111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것에 의하여 각 서브 픽셀의 발광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 1 전극(1113)은 서브 픽셀마다 패터닝될 수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1114)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1114)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113) 상에는 상기 픽셀 정의막(1114)의 일부를 에칭하여 노출되는 영역에 중간층(1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122)은 증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122)은 도 3의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300)에 의하여 제조된 분할 마스크(320)의 증착 패턴부(321)를 통하여 증착된 증착 물질에 의하여 패턴화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12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상기 중간층(1122)은 유기 발광층(emissive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중간층(112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115)은 상기 중간층(11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115)은 캐소우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115)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극(1115)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2 전극(1115)은 금속막과, 상기 금속막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1115)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2 전극(1115)은 금속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1101) 상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각 서브 픽셀별로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는 밀봉 기판(1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기판(1116)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중간층(1122) 및 다른 박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밀봉 기판(1116)은 강성을 가지는 글래스나, 고분자 수지나,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밀봉부(1116)는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유기막(1117)(1119)과 무기막(1118)이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1117)(1119)과 무기막(1118)은 각각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10: 프레임 400: 가압부
320: 분할 마스크 410, 1410, 2410, 3410, 4410: 하우징
330: 인장부 420, 1420, 2420, 3420, 4420: 솔
340: 레이저 용접부

Claims (20)

  1. 프레임 상에 마스크를 인장 및 용접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를 일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마스크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상기 마스크의 일면을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솔을 구비하는 가압부; 및
    상기 마스크와 상기 프레임을 용접하는 레이저 용접부;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는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를 인장하여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하는 마스크 인장 클램프인,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상기 마스크를 가압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마스크가 마주보는 면을 서로 밀착시키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솔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인,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솔은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의 상기 마스크의 일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솔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솔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솔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가압부는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제1 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마스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제2 솔을 포함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솔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인,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솔의 단면은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인,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솔과, 상기 제2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2 솔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들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솔과, 상기 제2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2 솔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들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솔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가압부의 상기 복수개의 제2 솔은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제3 면과,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4 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을 바라보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3 면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솔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솔은 상기 제4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솔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솔은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의 양 단부를 가압하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KR1020150146093A 2015-10-20 2015-10-20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KR10174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093A KR101740487B1 (ko) 2015-10-20 2015-10-20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CN201610576042.9A CN106584867B (zh) 2015-10-20 2016-07-20 薄膜沉积用掩膜拉伸焊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093A KR101740487B1 (ko) 2015-10-20 2015-10-20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39A KR20170046239A (ko) 2017-05-02
KR101740487B1 true KR101740487B1 (ko) 2017-05-29

Family

ID=5855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093A KR101740487B1 (ko) 2015-10-20 2015-10-20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0487B1 (ko)
CN (1) CN1065848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3909A (zh) * 2019-04-01 2020-10-13 三星显示有限公司 掩模拉伸焊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970A (ja) * 1996-11-11 1998-05-26 Amada Eng Center:Kk 熱加工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用いる加工ヘッド
DE59900005D1 (de) * 1999-01-28 2000-06-15 Leister Process Technologies S Laserfüge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verschiedenen Werkstücken aus Kunststoff oder Kunststoff mit anderen Materialien
DE10324202A1 (de) * 2003-05-28 2004-12-16 Aixtron Ag Maskenhaltevorrichtung
DE102009043200A1 (de) * 2009-09-26 2011-04-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Verschweißen eines Kunststoffgehäuses
KR101094822B1 (ko) * 2009-10-29 2011-12-16 김주환 마스크 용접장치
CN203003390U (zh) * 2012-12-04 2013-06-19 保定天威英利新能源有限公司 焊接用焊带压紧装置及包含该压紧装置的焊接机
JP6033116B2 (ja) * 2013-02-22 2016-11-30 株式会社ディスコ 積層ウェーハの加工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
CN103757589A (zh) * 2014-01-23 2014-04-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掩膜装置、制造该掩膜装置的系统以及方法
CN104241444B (zh) * 2014-07-15 2017-05-24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太阳电池主栅掩膜版
CN204195128U (zh) * 2014-09-30 2015-03-11 苏州沃特维自动化系统有限公司 新型压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84867B (zh) 2021-03-19
KR20170046239A (ko) 2017-05-02
CN106584867A (zh)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540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66569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KR102316680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어셈블리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820020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US1173731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833234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US20210351375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237428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41449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170045429A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US8402917B2 (en)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8701592B2 (en) Mask fram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mask frame assembly
KR20140070255A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20170053779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107405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73483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0894587A (zh) 掩膜框架组件
KR102369675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0487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인장 용접 장치
KR102568780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20160136518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35600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하는 증착 장치
KR102631255B1 (ko) 하이브리드형 마스크 스틱과, 이를 적용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