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477B1 -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477B1
KR101737477B1 KR1020160034695A KR20160034695A KR101737477B1 KR 101737477 B1 KR101737477 B1 KR 101737477B1 KR 1020160034695 A KR1020160034695 A KR 1020160034695A KR 20160034695 A KR20160034695 A KR 20160034695A KR 101737477 B1 KR101737477 B1 KR 10173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fixed
permanent magnet
magnet unit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민
Original Assignee
(주)진우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진우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6003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붐대에 고정되는 고정판부에 장착되며 구동기어를 갖는 유압모터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시 회전판부와 함께 회전하는 죠오를 포함하는 유압장비에, 상기 유압모터 및 구동기어 대신 장착되어 링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링기어와 치합하는 록킹기어와; 상기 록킹기어의 회전 중심축부에 고정되는 록킹샤프트와; 상기 록킹샤프트에 고정되는 밀착부와; 자기력을 통해 상기 밀착부와 결합하는 영구자석유니트와; 상기 고정판부에 대해 영구자석유니트를 고정시켜 밀착부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하는 유니트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는, 강력한 자기력을 출력하는 영구자석유니트를 적용해 링기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죠오를 고정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조작업이 간단하며, 특히 개조 후 죠오에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죠오가 틀어지지 않아 신뢰성이 높으며, 영구자석유니트를 분리하고 그 자리에 유압모터를 장착하여 죠오를 애초의 회전식으로 간단히 복구시킬 수 있어, 그만큼 유압장비의 운영폭이 넓으며 그에 따라 작업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JAW TWISTING PREVENTION DEVICE FOR HYDRAULIC EQUIPMENT HAVING JAW}
본 발명은 죠오를 구비한 각종 대형 유압장비에 장착되어, 작업 중 죠오가 외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교량 또는 육교 등과 같은 구조물을 철거하는 작업 현장에는, 굴착기는 물론 브레이커나 유압크러셔(hydraulic crusher) 또는 유압절단기(hydraulic shea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압장비가 투입 및 사용된다.
상기 장비 중, 유압크러셔는 한 쌍의 죠오(jaw)를 가지며 굴착기의 붐대에 연결된 상태로 작동하여, 콘크리트 기둥이나 벽체 등을 집어 파쇄하는 장비이다. 또한 유압절단기(Shear)는 가령 콘크리트 속에 배근되어 있는 철근이나 구조용 빔 등의 철강재 또는 파이프나 케이블 등을 절단하는 장비로서 이 또한 유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죠오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유압크러셔나 유압절단기와 같이 죠오(jaw)를 구비한 장비를 유압장비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253호에 개시되어 있는 유압장비(11)이다. 도 1에 도시한 유압장비(11)는 유압절단기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유압장비(11)는, 가령 굴착기의 붐대에 연결 고정되는 붐연결브라켓(17)과, 상기 붐열결브라켓(17)에 결합하는 판상의 고정판부(21)와, 상기 고정판부(21)의 테두리부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링(23)과, 상기 고정링(23)의 내측에 설치되는 링기어(29)와, 상기 고정링(23)과 링기어(29)의 사이에서 링기어(2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5)과, 상기 링기어(29)의 저면에 고정되는 회전판부(27)와, 상기 회전판부(27)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죠오(13)와, 상기 고정판부(21)에 고정되고 구동기어(31a)를 갖는 유압모터(31)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31a)는 링기어(29)와 치합한 상태로, 유압모터(31)의 작동시 링기어(29)를 회전시킨다. 상기 링기어(29)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부(27)와 죠오(13)가 동시에 회전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31a)가 고정되어 있다면 이와 치합하고 있는 링기어(29)는 회전하지 못한다. 상기 구동기어(31a)는 유압모터(31)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유압모터(31)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링기어(29)는 구동기어(31a)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한 쌍의 죠오(13)는 힌지핀(15)에 의해 링크되어 있다. 상기 힌지핀(15)은 쌍을 이루고 있는 죠오(13)의 교차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힌지핀(15)의 중심축방향과 죠오(13)의 날부를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이 상호 직교함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33은 센터조인트이다. 상기 센터조인트(3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유압액츄에이터(3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유압장비(11)는, 이를테면, 가혹한 작업 환경에서 사용될 때, 죠오(13)가 의도치 않게 돌아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를 갖는다. 즉, 죠오(13)가 대상물을 죄거나 절단하는 과정 중에 죠오(13)에 가해지는 반작용력이, 회전판부(27)를 거쳐 링기어(29)로 전달되어 구동기어(31a)를 공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반작용력이, 유압모터(31)가 구동기어(31a)를 고정하고 있는 힘보다 크게 되면 상기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여하튼, 작업중 죠오(13)에 가해지는 힘을, 유압모터(31)가 버텨주지 못하면 죠오(13)가 의도치 않게 돌아가 틀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죠오(13)가 틀어지는 현상은, 죠오(13)의 작동시, 힌지핀(15)의 중심축선과 절단대상물의 길이방향이 나란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예컨대, 작업여건상 절단할 대상물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는 상황이고, 죠오(13)를 가공대상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세팅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경우, 죠오(13)에 측방향 힘, 즉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해져 죠오(13)가 틀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유압크러셔일 경우 더욱 자주 발생한다. 유압크러셔는 건물의 철거 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덩어리를 물어 파쇄하는 것이므로, 그만큼 파쇄대상의 부피가 크고 형상이 복잡하여 죠오가 쉽게 뒤틀릴 수 있다.
특히, 죠오로 대상물을 물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콘크리트구조물을 뜯어내기 위해, 굴착기의 붐대를 이리저리 움직일 경우, 죠오가 틀어질 확률은 매우 높아진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임시 방편으로, 작업 현장에서는, 아예 유압모터(31)를 들어내고, 고정링(23)과 링기어(29) 사이에 마찰판을 끼워 링기어(29)의 사용을 포기하고 있다. 즉, 상기 고정링(23)과 링기어(29)를 분해한 후 베어링(25)을 제거하고, 고정링(23)과 링기어(29) 사이에 동판이나 플라스틱 또는 테프론판 등의 마찰부재를 넣은 상태로 링기어(29)를 고정링(23) 내부로 압입하여 링기어(29)를 완전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개조과정은 매우 불편하고 힘들며 더욱이 위험한 일이다. 유압장비(11) 자체가 매우 크고 무거우므로, 고정링(23)과 링기어(29) 사이에서 베어링(25)을 빼내고 마찰판을 넣는 일은 적어도 서너 사람이 몇 시간 동안 매달려야 하는 일인 것이다.
더욱이, 마찰판을 끼워 링기어(29)를 고정식으로 개조했다 하더라도, 죠오(13)의 틀어짐을 만족할 만큼 방지할 수 는 없었다. 죠오에 가해지는 하중이 워낙 크기 때문이다.
오히려 죠오가 틀어진 경우, 죠오를 처음의 위치, 즉 틀어지기 전의 위치로 복구해야 한다는 또 다른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죠오(13)를 처음의 위치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가령 죠오(13) 자체를 외부의 임의의 지지대상에 고정시킨 상태로 붐대를 움직여 붐연결브라켓(17)을 죠오(13)가 틀어진 방향으로 위치켜 죠오(13)에 붐연결브라켓(17)의 위치에 맞추어야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식으로 사용하다가, 죠오(13)의 회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고정링(23)과 링기어(29)를 다시 분해하여 마찰판을 빼내고 그 사이에 베어링을 다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분해 및 조립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강력한 자기력을 출력하는 영구자석유니트를 적용해 링기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죠오를 고정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조작업이 간단하며, 특히 개조 후 죠오에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죠오의 틀어짐을 용인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자석유니트를 분리하고 그 자리에 유압모터를 장착하여 죠오를 애초의 회전식으로 간단히 복구시킬 수 있어, 그만큼 유압장비의 운영폭이 넓으며 그에 따라 작업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는, 중장비의 붐대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에 장착되며 구동기어를 구비한 유압모터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며 회전 가능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고정되는 회전판부와, 상기 회전판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링기어의 회전시 회전판부와 함께 회전하는 죠오를 포함하는 유압장비에, 상기 유압모터 및 구동기어 대신 장착되어 링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링기어와 치합하는 록킹기어와; 상기 록킹기어의 회전 중심축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록킹샤프트와; 상기 록킹샤프트의 연장 단부에 고정되는 밀착부와; 자기력을 통해 상기 밀착부와 결합하는 영구자석유니트와; 상기 고정판부에 대해 영구자석유니트를 고정시켜, 영구자석유니트로 하여금 상기 밀착부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하는 유니트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고정프레임은; 상기 고정판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록킹샤프트를 통과시키는 샤프트구멍을 가지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영구자석유니트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컬럼과, 상기 영구자석유니트를 수직컬럼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유니트는; 상기 밀착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수직컬럼에 결합하는 날개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다수의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사이에 개재되어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상기 밀착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코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주입되어 영구자석을 밀봉하고, 코어의 일부분을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밀착부에 면접하도록 하는 밀봉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영구자석유니트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베이스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부에는, 상기 유압모터를 고정판부에 고정시키는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다수의 암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베이스는, 상기 유압모터가 철거된 상태에서 유압모터의 장착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암나사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구멍을 가지고, 상기 볼트구멍을 통과해 암나사구멍에 결합하는 프레임고정볼트에 의해 고정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는, 강력한 자기력을 출력하는 영구자석유니트를 적용해 링기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죠오를 고정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조작업이 간단하며, 특히 개조 후 죠오에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죠오가 틀어지지 않아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자석유니트를 분리하고 그 자리에 유압모터를 장착하여 죠오를 애초의 회전식으로 간단히 복구시킬 수 있어, 그만큼 유압장비의 운영폭이 넓으며 그에 따라 작업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압장비가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죠오틀어짐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영구자석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절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죠오틀어짐 방지장치(41)는, 죠오를 갖는 각종 유압장비의 유압모터 자리에 장착되어, 유압장비의 사용시 과도한 하중이 죠오에 전달된다 하더라도 죠오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와 유압모터는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 가능하다. 가령 필요에 따라, 유압모터를 잠시 떼어두고 그 자리에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를 설치한다거나, 사용하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를 분리하고 유압모터를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41)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죠오틀어짐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죠오틀어짐 방지장치(41)를 도 1에 도시한 유압장비(11)에 적용한 경우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죠오틀어짐 방지장치(41)는, 상기 고정판부(21)와 회전판부(27)의 사이에서 링기어(29)와 치합하는 록킹기어(55)와, 상기 록킹기어(55)에 고정되며 고정판부(21)의 상부로 연장된 록킹샤프트(51)와, 상기 록킹샤프트(5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밀착고정판(49)과, 자기력을 통해 상기 밀착고정판(49)과 결합하는 영구자석유니트(43)와, 상기 영구자석유니트(43)를 고정시키는 유니트고정프레임(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기어(55)는 상기한 구동기어(31a)와 동일한 규격을 갖는 기어로서 링기어(29)와 치합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록킹기어(55)가 회전하지 않는 이상 링기어(29)가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록킹샤프트(51)는 그 하단부가 록킹기어(55)에 고정된 상태로 후술할 고정베이스(45a)의 샤프트구멍(45e)을 통과해 고정판부(21)의 상부로 돌출된 축으로서, 죠오(13)로부터 록킹기어(55)로 들어온 회전토오크를 밀착고정판(49)로 전달한다.
상기 록킹샤프트(51)와 록킹기어(55)는 통상의 고정방식, 가령, 샤프트 키(shaft key)를 이용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밀착고정판(49)은 일정두께의 디스크형 블록체로서 상기 록킹샤프트(51)의 상단부와 결합한다. 이를 위해 록킹샤프트(5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키홈(51a)이 형성되어 있고, 밀착고정판(49)에는 센터홀(49a) 및 사이드구멍(49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센터홀(49a)에 록킹샤프트(51)의 상단부를 삽입하되, 키홈(51a)에 상기 사이드구멍(49b)을 맞춘 상태로, 사이드구멍(49b)으로 샤프트고정나사(53)를 통과시켜 샤프트고정나사(53)의 선단부를 키홈(51a)에 끼움으로써 록킹샤프트(51)에 대한 밀착고정판(49)의 상대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밀착고정판(49)이 고정된 상태로 록킹샤프트(51)의 축회전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고정판(49)을 디스크형태로 적용하였지만, 밀착고정판(49)이 영구자석유니트(43)의 저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록킹샤프트(51)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밀착고정판(49)의 모양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이나 타원의 형태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밀착고정판(49)은 고정베이스(45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고정베이스(45a)의 상부로 들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밀착고정판(49)을 고정베이스(45a)의 상부로 띄운 것은, 밀착고정판(49)이 영구자석유니트(43)의 자기력을 받고 있는 상태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유니트고정프레임(45)은, 고정판부(21)에 결합한 상태로 영구자석유니트(43)를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니트고정프레임(45)은, 고정판부(21)의 관통구멍(21a)에 그 중앙부가 일부 삽입된 상태로 다수의 프레임고정볼트(57)를 통해 고정판부(21)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45a)와, 상기 고정베이스(45a)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컬럼(45c)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구멍(21a)은 유압장비(11)의 제작시 형성된 구멍으로서, 상기 구동기어(31a)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한다. 관통구멍(21a)의 내경이 구동기어(31a)의 외경보다 큼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21a)의 주변에는 다수의 암나사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구멍(21b)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상기 유압모터(31)를 고정판부(2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결합하는 구멍이다.
상기 고정판(21)에 결합하는 고정베이스(45a)의 중앙부에는 샤프트구멍(45e)이, 상기 샤프트구멍(45e)의 주변에는 다수의 볼트구멍(4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구멍(45e)은 록킹샤프트(51)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샤프트구멍(45e)은 록킹샤프트(51)의 외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록킹샤프트(51)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볼트구멍(45b)은, 유니트고정프레임(45)이 고정판부(21)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각 암나사구멍(21b)에 일대일 대응하는 관통구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구멍(45b)을 암나사구멍(21b)에 맞춘 상태로, 프레임고정볼트(57)를 볼트구멍(45b)으로 통과시켜 암나사구멍(21b)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판부(21)에 대한 유니트고정프레임(45)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프레임고정볼트(57)를 풀어 제거하면 고정판부(21)에 대한 죠오틀어짐 방지장치(41)의 분리가 가능해짐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컬럼(45c)은 그 하단부가 고정베이스(45a)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된 환봉형 부재로서 그 중심축부에 상부로 개방된 암나사구(45d)를 갖는다. 상기 암나사구(45d)에는 후술할 자석고정볼트(47)가 결합한다.
특히, 상기 수직컬럼(45c)은 샤프트구멍(45e)을 중심에 두고 네 개가 구비되는데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즉 고정베이스(45a)의 상면에 대한 수직컬럼(45c)의 상단면의 높이는 모두 동일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베이스(45a)에 대한 수직컬럼(45c)의 결합을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 방식으로 대신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유니트(43)는 수직컬럼(45c)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자기력을 이용해 밀착고정판(49)을 그 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착고정판(49)을 고정시키는 이유는 록킹기어(55)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러한 영구자석유니트(43)의 구조는 도 4에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영구자석유니트(4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립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영구자석유니트(43)는 일측으로 개방된 사각 박스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43a)과, 상기 케이싱(43a)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영구자석(43b)과, 상기 각 영구자석(43b)의 사이 및 최외곽 영구자석(43b)과 케이싱(43a)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코어(43c)와, 상기 케이싱(43a)에 주입되어 영구자석(43b)을 완전히 밀봉시키는 밀봉수지(43d)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43a)은 금속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특히 그 양측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날개부(43e)를 갖는다. 상기 날개부(43e)는 수직컬럼(45c)의 상단면에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관통공(43f)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날개부(43e)를 수직컬럼(45c)의 상부에 올리고, 관통공(43f)을 암나사구(45d)에 맞춘 상태로, 자석고정볼트(47)를 관통공(43f)으로 통과시켜 암나사구(45d)에 결합시키면, 수직컬럼(45c)에 대한 영구자석유니트(43)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케이싱(43a)을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할 수 도 있다.
상기 영구자석(43b)은 강력한 자기력을 출력하는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자석으로서, 케이싱(43a)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당연히 케이싱(43a)의 내벽면으로부터도 이격되어 있다. 상기 자석으로서 가령 네오디늄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어(43c)는 각 영구자석(43b)의 사이 및 케이싱(43a) 내벽면과 영구자석(43b)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영구자석(43b)에서 출력되는 자기력을 케이스(43a)의 외측부, 즉, 상기 밀착고정판(49) 측으로 유도한다. 상기 코어(43c)도 사각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영구자석(43b)의 양측면을 커버한다. 또한, 상기 코어(43c)의 넓이는 영구자석(43b)의 넓이보다 크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같이, 코어(43c)의 테두리부는 영구자석(43b)의 테두리부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43a)의 내부에는 밀봉수지(43d)가 채워진다. 상기 밀봉수지(43d)는 케이싱(43a) 내에서 영구자석(43b)을 완전히 감싸 밀봉한다. 상기 밀봉수지(43d)의 작용에 의해 영구자석(43b)은 습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으며, 특히 영구자석(43b)의 자기력의 대부분이 코어(43c)로 유도된다.
특히 상기 코어(43c)의 일부분은 밀봉수지(43d)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밀봉수지(43d)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자기력이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착고정판(49)과 결합한다. 밀착고정판(49)은 상기 코어(43c)에 면접한 상태로 자기력에 의해 강력한 힘으로 고정된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영구자석유니트(43)는 유니트고정프레임(45)에 결합한 상태로 밀착고정판(49)을 고정하고 있고, 또한 록킹기어(55)는 록킹샤프트(51)를 통해 밀착고정판(49)에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록킹기어(55)에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록킹기어(55)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결합구조에 의해 링기어(29)의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유압장비(11)의 사용 환경에 따라, 상기 죠오틀어짐 방지장치(41)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프레임고정볼트(57)를 풀어, 유니트고정프레임(45)과 영구자석유니트(43)와 록킹샤프트(51)와 록킹기어(55) 조립체를 들어내고 그 자리에 유압모터(도 1의 31)을 재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유압장비 13:죠오 15:힌지핀
17:붐연결브라켓 21:고정판부 21a:관통구멍
21b:암나사구멍 23:고정링 25:베어링
27:회전판부 29:링기어 31:유압모터
31a:구동기어 33:센터조인트 35:유압액츄에이터
41:죠오틀어짐방지장치 43:영구자석유니트 43a:케이싱
43b:영구자석 43c:코어 43d:밀봉수지
43e:날개부 43f:관통공 45:유니트고정프레임
45a:고정베이스 45b:볼트구멍 45c:수직컬럼
45d:암나사구 45e:샤프트구멍 47:자석고정볼트
49:밀착고정판 49a:센터홀 49b:사이드구멍
51:록킹샤프트 51a:키홈 53:샤프트고정나사
55:록킹기어 57:프레임고정볼트

Claims (5)

  1. 중장비의 붐대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부(21)와, 상기 고정판부(21)에 장착되며 구동기어(31a)를 구비한 유압모터(31)와, 상기 구동기어(31a)와 치합하며 회전 가능한 링기어(29)와, 상기 링기어(29)에 고정되는 회전판부(27)와, 상기 회전판부(27)의 하부에 고정되어 링기어(29)의 회전시 회전판부와 함께 회전하는 죠오(13)를 포함하는 유압장비(11)에, 상기 유압모터(31) 및 구동기어(31a) 대신 장착되어 링기어(29)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링기어(29)와 치합하는 록킹기어(55)와;
    상기 록킹기어(55)의 회전 중심축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록킹샤프트(51)와;
    상기 록킹샤프트(51)의 연장 단부에 고정되는 밀착부와;
    자기력을 통해 상기 밀착부와 결합하는 영구자석유니트(43)와;
    상기 고정판부(21)에 대해 영구자석유니트(43)를 고정시켜, 영구자석유니트(43)로 하여금 상기 밀착부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하는 유니트고정프레임(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고정프레임(45)은;
    상기 고정판부(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록킹샤프트(51)를 통과시키는 샤프트구멍(45e)을 가지는 고정베이스(45a)와,
    상기 고정베이스(45a)의 상면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영구자석유니트(43)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컬럼(45c)과,
    상기 영구자석유니트(43)를 수직컬럼(45c)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유니트(43)는;
    상기 밀착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수직컬럼(45c)에 결합하는 날개부(43e)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43a)과,
    상기 케이싱(43a)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다수의 영구자석(43b)과,
    상기 영구자석(43b)의 사이에 개재되어 영구자석(43b)의 자기력을 상기 밀착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코어(43c)와,
    상기 케이싱(43a)의 내부에 주입되어 영구자석(43b)을 밀봉하고, 코어(43c)의 일부분을 케이싱(43a)의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밀착부에 면접하도록 하는 밀봉수지(4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영구자석유니트(43)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베이스(45a)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21)에는,
    상기 유압모터(31)를 고정판부(21)에 고정시키는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다수의 암나사구멍(2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베이스(45a)는,
    상기 유압모터(31)가 철거된 상태에서 유압모터(31)의 장착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암나사구멍(2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구멍(45b)을 가지고, 상기 볼트구멍(45b)을 통과해 암나사구멍(21b)에 결합하는 프레임고정볼트(57)에 의해 고정판부(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KR1020160034695A 2016-03-23 2016-03-23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KR10173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695A KR101737477B1 (ko) 2016-03-23 2016-03-23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695A KR101737477B1 (ko) 2016-03-23 2016-03-23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477B1 true KR101737477B1 (ko) 2017-05-18

Family

ID=5904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695A KR101737477B1 (ko) 2016-03-23 2016-03-23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4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97B1 (ko) * 2013-12-11 2015-06-03 정수동 굴삭기용 다용도 작업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97B1 (ko) * 2013-12-11 2015-06-03 정수동 굴삭기용 다용도 작업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090B2 (ja) 仮締切用函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締切工法
WO2007000561A1 (en) Section coupling for piling work
CN109738279B (zh) 一种多角度岩石剪切实验夹具
CN103328760B (zh) 水下紧固连接器紧急释放工具及方法
KR101693478B1 (ko) 착탈가능한 파일 정렬 가이드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KR101737477B1 (ko) 죠오를 갖는 유압장비의 죠오틀어짐 방지장치
KR20040022138A (ko) 파일의 접속구조
KR20120007747A (ko) 밸브 스프링 분해 조립 장치
CN217871275U (zh) 一种便于对接的装配式叠合楼板
KR20110118399A (ko) 패스트 기둥 웨일러
JP4115463B2 (ja) 継手装置
JP2019535969A (ja) エラストマー体および締め付けボルトを有する加圧シール
JP20101851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に用いる箱抜き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箱抜き空間形成工法
JP2018159397A (ja) 仕切弁および仕切弁設置方法
KR20180007292A (ko) Phc 말뚝 연결장치
CN114108837B (zh) 一种预埋套筒装置及其安装方法
CN209556379U (zh) 一种建筑模板的拆模体系
JP5964574B2 (ja) 作業具導入方法及びその際に用いられる取付具
JP2005146787A (ja) 既設蓋体の固定工法及びこの固定工法に用いるドリル装置
CN113719191A (zh) 一种建筑施工场地用封闭围挡结构
JP7265375B2 (ja) 回転杭の施工治具および回転杭の施工方法
JP2013087413A (ja) 解体方法
JP7208671B2 (ja) 仕切弁設置方法
JP2007154421A (ja) 杭吊込み装置
CN215562321U (zh) 一种可任意调节角度的拼装式防洪墙转角立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