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138A - 파일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파일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138A
KR20040022138A KR1020020063074A KR20020063074A KR20040022138A KR 20040022138 A KR20040022138 A KR 20040022138A KR 1020020063074 A KR1020020063074 A KR 1020020063074A KR 20020063074 A KR20020063074 A KR 20020063074A KR 20040022138 A KR20040022138 A KR 2004002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bolt
connecting plate
fi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니시와키
야부우치사다오
Original Assignee
아츠시 니시와키
가부시키가이샤 지오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츠시 니시와키, 가부시키가이샤 지오톱 filed Critical 아츠시 니시와키
Publication of KR2004002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과제)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하고, 또한 파일지름을 이 접속부에 있어서도 대경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작업성이 높은 파일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5)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1) 또는 하부파일(3)의 어느 한쪽의 파일(3)의 끝판(4)과 접속판(5)을, 접속판(5)에 형성된 원형 볼트삽입구멍(51)에 삽입한 볼트(6)를 파일(3)의 끝판(4)의 볼트구멍(41)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접속판(5)에 형성된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가능한 대경부(52d)와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불가능한 소경부(52c)를 연통시킨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파일(1)의 끝판(2)에 나사결합한 볼트(7)의 두부(71)를 삽입한 상태에서, 파일(1)과 접속판(5)을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킴으로써 고정한다.

Description

파일의 접속구조{JOINING STRUCTURE OF PILE}
본 발명은 파일(pile)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작업성이 높은 파일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로서는
①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끝판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속하는 방법
②끝판의 외주부에 플랜지 이음매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이 대향설치하는 플랜지 이음매사이를 볼트, 너트로 결합하는 방법.
③상부파일의 단부와 하부파일의 단부에, 한쌍의 내끼움부와 외끼움부를 나누어 설치함과 아울러, 이들 내끼움부와 외끼움부에 각각 나사를 형성하고, 내끼움부와 외끼움부를 나사결합접속하는 방법 등이 범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접속하는 접속구조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①용접에 의한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용접에 시간을 요하거나, 날씨에 따라서는 시공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행할 수 없었거나, 더욱이 용접의 결함이나 용접부의 취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요의 설비와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하고, 비용이 들거나 기술자가 부족하게 된다.
②플랜지 이음매에 의한 접속방법에서는 이음매부분의 외경이 강철관 파일의 외경보다 크고, 강철관 파일의 외주면으로부터 크게 돌출하므로, 파일을 지반 중에 매설할 때에 큰 관입저항이 되며, 또 이음매부분에 굽힘모멘트가 작용하고, 더욱이 이음매부분 사이에는 외주에 공간이 생겨버려, 수평지지력이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③상부파일의 단부와 하부파일의 단부에 설치한 내끼움부와 외끼움부를 나사결합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는 대경이 되는 내끼움부와 외끼움부에 나사를 형성하기 위한 기계가공이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또한, 중량물인 파일의 나사결합 접속작업은 작업성이 나쁘고, 많은 수고를 요하며, 더욱이 내끼움부와 외끼움부에 형성된 나사가 손상을 입기 쉽고, 이 경우에는 나사결합접속작업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파일의 접속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하고, 또한, 파일지름을 이 접속부에 있어서도 대경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작업성이 높은 파일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저면도, (B)는 (A)의 A-B선의 단면도, (C)는 (A)의 B-C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1 실시예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하부파일과 접속판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좌반부에 하부파일과 접속판을, 우반부에 상부파일과 접속판을 각각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저면도, (B)는 (A)의 X-X선의 단면도, (C)는 (A)의 A-B선의 단면도, (D)는 (A)의 B-C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2 실시예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하부파일과 접속판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좌반부에 하부파일과 접속판을, 우반부에 상부파일과 접속판을 각각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2 실시예의 파일의 끝판의 확대단면도.
도 7은 접속판(통체)을 주변방향으로 분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저면도, (B)는 (A)의 A-B선의 단면도.
도 8은 동사시도.
도 9는 접속판(통체)을 수평방향으로 분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저면도, (B)는 (A)의 X-X선의 단면도, (C)는 (A)의 A-B선의 단면도.
도 10은 동사시도.
도 11은 파일의 끝판에 보조부재를 설치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접속 전의 단면도, (B)는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파일 2, 4 : 끝판
2A, 4A : 보조부재 21, 41 : 볼트구멍
3 : 하부파일 5 : 접속판
5A, 5B, 5C, 5D, 5E : 접속판(단위구성부재)
51, 52 : 볼트삽입구멍
51A, 51B : (단위구성부재의)볼트삽입구멍
51a : 볼트두부삽입부 52a : 볼트두부삽입부 및 조작구
52b : 볼트착석면 52c : 소경부
52d : 대경부 6, 7 : 볼트
61, 71 : 볼트두부 8 : 통체
81 : 볼트삽입구멍(이동규제수단) 9 : 볼트(이동규제수단)
10 : 충전물 11 : 열쇠
S : 공구 So : 조작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는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 또는 하부파일 중 어느한쪽 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접속판에 형성된 원형의 볼트삽입구멍에 삽입한 볼트를 한쪽의 파일의 끝판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다른 쪽의 파일이 끝판과 접속판을, 접속판에 형성된 볼트의 두부가 통과가능한 대경부와 볼트의 두부가 통과불가능한 소경부를 연통시킨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 다른쪽의 파일의 끝판에 나사결합한 볼트의 두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다른쪽의 파일과 접속판을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이행시킴으로써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파일의 접속구조는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각각 볼트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접속을 신속하고 또한 염가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속부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할 수 있으므로, 파일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파일의 외주부에 돌기물이 없으므로, 파일의 관입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일없이 파일을 지반 중에 매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속판의 외주에,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체를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하는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단부가 보강되고, 굽힘강도가 증가하고, 파일의 접속부에 큰 굽힘모멘트가 작용해도 접속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하부파일의 중심맞춤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판에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이행시킨볼트를 접속판의 외주바깥측으로부터 체결조작하기 위한 조작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른쪽의 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 접속판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판을 구성하는 단위구성부재의 형상을 작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파일의 끝판에 끝판과 다른 나사구멍을 갖는 보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부재에 파일접속용 볼트를 나사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일의 접속에 사용하는 볼트의 지름, 개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일단부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볼트 대신에 볼트형상의 돌기물을 파일의 끝판 또는 보조부재에 고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재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파일의 접속구조는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5)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1) 또는 하부파일(3)의 어느 한쪽의 파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파일(3)의 끝판(4)과 접속판(5)을, 접속판(5)에 형성된 원형의 볼트삽입구멍(51)에 삽입한 볼트(6)를 하부파일(3)의 끝판(4)의 볼트구멍(41)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파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접속판(5)에 형성된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가능한 대경부(52d)와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불가능한 소경부(52c)를 연통시킨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상부파일(1)의 끝판(2)에 나사결합한 볼트(7)의 두부(7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을, 접속판(5)을 하부파일(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킴으로써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파일의 접속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파일은 단부에 끝판을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파일 등의 콘크리트파일, 강철관파일, SC파일, PRC파일 등의 복합파일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파일을 예로 설명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파일로 이루어지는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에는 그 단부에 끝판(2, 4)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끝판(2, 4)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파일을 제조할 때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볼트구멍(21, 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볼트구멍(21, 41)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볼트구멍(21, 41)은 물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볼트구멍과는 별도로 새롭게 형성할 수 있다.
접속판(5)은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파일(1)및 하부파일(3)의 끝판(2, 4)과 대략 같은 지름의 도너츠형상을 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볼트(6, 7)의 두부(61, 71)의 높이의 1.5∼2배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두께의 강판(주물판을 포함한다)으로서 제작된다.
접속판(5)에는 하부판(3)의 끝판(4)에 형성된 볼트구멍(4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삽입구멍(51)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볼트삽입구멍(51) 사이의 적정위치에서 또한 상부파일(1)의 끝판(2)에 형성된 볼트구멍(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삽입구멍(52)을 형성한다.
이 볼트삽입구멍(51, 52)은 각각 접속판(5)의 한쪽 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볼트삽입구멍(51)은 도 1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6)의 두부(61)가 노출하지 않도록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6)의 두부(61)의 높이보다 깊이 형성된 볼트두부삽입부(51a)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 볼트두부삽입부(51a)는 볼트(6)의 두부(61)에 박스렌치(도시생략)를 끼워맞춰 볼트(6)을 조일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볼트(6)를 통해 하부파일(3)의 끝판(4)과 접속판(5)을 고정하고, 그 위에 상부파일(1)의 끝판(2)을 겹쳤을 때, 볼트(6)의 두부(61)의 상면이 상부파일(1)의 끝판(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 볼트삽입구멍(52)은 도 1의 (A),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가능한 대경부(52d)와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불가능한 소경부(52c)를 연통시킨 다른형태의 오똑이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볼트(7)의두부(71)가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7)의 두부(71)의 높이보다 깊이 형성한 볼트두부삽입부(52a)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볼트(7)를 통해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고정했을 때, 볼트(7)의 두부(71)의 하면이 하부파일(3)의 끝판(4)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 볼트삽입구멍(52)은 접속판(5)의 외주측에 개구시킴으로써,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킨 볼트(7)를 접속판(5)의 외주바깥측으로부터 스패너 등의 공구(S)를 삽입하여 체결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구(So)를 겸하도록 한다.
또, 시공중의 볼트(7)의 느슨해짐이나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이 상대적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접속부가 어긋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7)를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킨 후, 접속판(5)의 외주바깥측의 조작구로부터 대경부(52d)의 공간부에 예를 들면, 금속편 등으로 이루어지는 쐐기형상의 충전물을 끼워넣고, 대경부(52d)의 공간부를 메우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삽입구멍(52)을 접속판(5)의 외주측에 개구시키는(조작구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두부(71)를 삽입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킬 때에, 볼트착석면(52b)의 볼트(7)의 두부(71)와의 접촉저항의 차(접속판(5)의 외주측의 볼트착석면(52b)의 볼트(7)의 두부(71)와의 접촉저항이 접속판(5)의 내주측의 그것보다 크게(본 실시예에서 볼트(7)가 오른쪽나사인 경우) (또는, 작게(본실시예에서 볼트(7)가 왼쪽나사인 경우))되도록, 볼트착석면(52b)을 표면처리하도록 하거나, 볼트착석면(52b)에 알루미늄 등의 무른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 등의 접촉저항을 증대시키는 부재를 설치하도록 한다.)에 의해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거나,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측과 소경부(52c)측의 볼트착석면(52b)의 높이를 대경부(52d)측으로부터 소경부(52c)측을 향해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하고,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두부(71)를 삽입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킴으로써,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소경부(52c)의 위치에서 볼트(7)가 볼트착석면(52b)에 착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이 접속판(5)을 사용하여,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을 접속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중에 굴삭한 파일구멍내에 하부파일(3)이 세워져 있고, 하부파일(3)의 단부에 설치된 끝판(4)이 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한 위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지상의 작업원이 작업하기 쉬운 높이에 도달했을 때, 하부파일(3)을 구속함으로써 가고정하여 하부파일(3)이 상하동작 및 회전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하부파일(3)의 끝판(4) 상에 접속판(5)을 중심을 맞춰 겹치고, 끝판(4)에 형성된 볼트구멍(41)과 접속판(5)의 볼트삽입구멍(51)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볼트(6)를 볼트삽입구멍(51)에 삽입하고, 박스렌치(도시생략)를 사용하여 볼트(6)를 볼트구멍(41)에 나사결합한다.
이로 인해, 볼트(6)를 통해 하부파일(3)의 끝판(4)과 접속판(5)을 고정하고, 그 위에 상부파일(1)의 끝판(2)을 겹쳤을 때, 볼트(6)의 두부(61)의 상면이 상부파일(1)의 끝판(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부파일(3)의 끝판(4)과 접속판(5)의 고정작업은 파일구멍내에 하부파일(3)을 세우기 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파일(3)의 끝판(4)에 고정한 접속판(5) 상에 상부파일(1)을 크레인 등으로, 하부파일(3)과 같은 중심이 되도록 매달아 내려 탑재한다.
이 때, 상부파일(1)의 끝판(2)의 볼트구멍(21)에는 미리 볼트(7)를 나사결합해 두고, 볼트(7)의 두부(71)를 접속판(5)에 형성된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와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상부파일(1)을 매달아 내리고, 볼트(7)의 두부(71)가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부파일(1)의 끝판(2)의 볼트구멍(21)에의 볼트(7)의 나사결합은 볼트(7)의 두부(71)를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7)을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킬 수 있도록, 볼트두부(71)의 착석면과 볼트삽입구멍(52)의 볼트착석면(52b)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볼트두부(71)의 돌출량을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볼트(7)를 통해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고정했을 때, 볼트(7)의 두부(71)의 하면이 하부파일(3)의 끝판(4)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상부파일(1)의 끝판(2)에 나사결합한 볼트(7)의 두부(7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을, 접속판(5)을 하부파일(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본 실시예의 경우는 상부파일(1)을) 회전이동시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킨다.
그 후, 볼트삽입구멍(52)의 소경부(52c)에 이행시킨 볼트(7)를 접속판(5)의 외주측에 개구한 조작구(볼트삽입구멍(52))로부터 스패너 등의 공구(S)를 삽입하여 접속판(5)의 외주바깥측으로부터, 체결조작함으로써, 볼트(7)를 통해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단단히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의 접속부에 1장의 접속판(5)을 개재시키고, 각각 볼트(6, 7)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의 접속을 신속하고 또한 염가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속부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길이에 영향을 주지않고, 더욱이, 파일의 외주부에 돌기물이 없으므로, 파일의 관입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일없이 파일을 지반중에 매설할 수 있고, 파일시공을 높은 신뢰성으로서, 고밀도,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3∼도 6에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파일의 접속구조는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5)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을 접속하는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1) 또는 하부파일(3)의 어느 한쪽의 파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파일(3)의 끝판(4)과 접속판(5)을, 접속판(5)에 형성된 원형의 볼트삽입구멍(51)에 삽입한 볼트(6)를 하부파일(3)의 끝판(4)의 볼트구멍(41)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파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접속판(5)에 형성된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가능한 대경부(52d)와 볼트(7)의 두부(71)가 통과불가능한 소경부(52c)를 연통시킨 다른형상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상부파일(1)의 끝판(2)에 나사결합한 볼트(7)의 두부(7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을, 접속판(5)을 하부파일(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킴으로써 고정하도록 한 것 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파일의 접속구조와 마찮가지이며, 이에 더하여, 더욱이, 접속판(5)의 외주에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체(8)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통체(8)은 접속판(5)과 마찮가지로, 강철제로서 접속판(5)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또한, 주물제로 한 경우에는 통체(8)를 접속판(5)과 일체성형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단부를 각각 수㎝∼수십㎝ 정도 삽입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속판(5)의 외주에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체(8)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접속하는 상기파일(1) 및하부파일(3)의 단부가 보강되고, 굽힘강도가 증가하고, 파일의 접속부에 큰 굽힘모멘트가 작용해도 접속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중심맞춤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을, 접속판(5)을 하부파일(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킨 볼트(7)를, 접속판(5)의 외주바깥측으로부터 스패너 등의 공구(S)를 삽입하여 체결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구를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물론, 도 3∼도 4에 파선으로, 또,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를 위한 조작구(So)를 통체(8) 및 접속판(5)에, 볼트삽입구멍(52)에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체(8)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한 것과도 아울러,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 상부파일(1)의 끝판(2)에 나사결합한 볼트(7)의 두부(71)를 삽입통과한 상태에서,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을, 접속판(5)을 하부파일(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7)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키는 것만으로도, 볼트(7)를 통해 상부파일(1)의 끝판(2)과 접속판(5)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욱이, 상부파일(1)과 접속판(5)을, 접속판(5)을 하부파일(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삽입구멍(52)의 대경부(52d)에서 소경부(52c)로 이행시킨 후의 상부파일(1)과 접속판(5)(더욱이, 필요에 따라, 하부파일(3)과 접속판(5))의 상대적인 회전이동을 규제하는 이동규제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이동규제수단을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체(8)에 형성된 볼트삽입구멍(81)과, 이 볼트삽입구멍(81)에 삽입 또는 나사결합하고, 상부파일(1)(하부파일(3))에 나사결합 또는 고정하도록 한 볼트(9)에 의해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삽입구멍(81)에 나사결합한 볼트(9)에 의해, 상부파일(1)과 접속판(5)(하부파일(3)과 접속판(5))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상부파일(1)의 끝판(2)(하부파일(3)의 끝판(4))의 외주면에 볼트(9)의 선단이 삽입되는 홈부(22)(홈부(4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홈부(22)(홈부(42))는 U자홈 등 임의의 단면형상으로 할 수 있고, 또, 홈 대신에 볼트(9)의 선단을 삽입하는 구멍 또는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규제수단은 볼트(9) 대신에 핀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부파일(1)과 접속판(5)(하부파일(3)과 접속판(5))이 상대적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접속부가 어긋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파일(1)과 접속판(5)(하부파일(3)과 접속판(5)), 나아가서는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3)의 고정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이 이동규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단부를 통체(8)에 삽입하는 필요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판(5)(통체(8))을 일체물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접속판(5)(통체(8))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접속판(5)(통체(8))의 분할 방법으로서는 도 7∼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방향에 복수개의 단위구성부재(5A, 5B)로 분할(종분할)하도록 하거나(도시의 실시예는 2분할. 더욱이 3분할 이상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또, 이 경우, 분할한 단위구성부재(5A, 5B)의 일체성이 유지되기 쉽도록, 단위구성부재(5A, 5B)를 단위구성부재(5A, 5B)에 형성된 볼트삽입구멍(51A, 51B)의 위치에서 끼워맞추도록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1개의 볼트(6)를 공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위구성부재(5C, 5D, 5E)로 분할(횡분할)하도록(도시의 실시예는 3분할. 더욱이 2부할로 하거나, 4분할 이상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속판(5)(통체(8))을 복수개의 단위구성부재로 분할하여 형성함으로써, 접속판(5)(통체(8))을 구성하는 단위구성부재의 형상을 작게하고,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끝판(2, 4)에 끝판(2, 4)과 다른 나사구멍을 갖는 보조부재를 설치하고, 이 보조부재에 파일접속용 볼트를 나사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보조부재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끝판(2, 4)에 따라 설치한 끝판(2, 4)과 같은 형상의 보조부재(2A, 4A)로 구성하도록 하고, 보조부재(2A, 4A)를 용접 또는 볼트접합 등에 의해, 끝판(2, 4)과 일체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끝판(2, 4)에 끝판(2, 4)과 다른 나사구멍을 갖는 보조부재(2A, 4A)를 설치하고, 이 보조부재(2A, 4A)에 파일접속용 볼트(6, 7)를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파일의 접속에 사용하는 볼트의 지름, 개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일단부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에 관해서, 복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각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을 적절히 조합시키도록 하거나, 또,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과 접속판(5)의 위치관계를 역으로 접속하도록 하거나, 또, 부재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부파일(1) 및 하부파일(3)의 끝판(2, 4)에 나사결합하는 볼트(6, 7) 대신에 볼트형상의 돌기물을 파일의 끝판에 용접, 끼워맞춤 등에 의해 고착하도록 하거나, 또한, 그 적용대상도 상기 실시예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파일 외, 단부에 끝판을 구비한 콘크리트파일, 강철관파일, SC파일, PRC파일 등의 복합파일 등에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인 등,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의 접속구조에 의하면,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각각 볼트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접속을 신속하고, 또한 염가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속부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 길이에 영향을 주지않고, 더욱이, 파일의 외주부에 돌기물이 없으므로, 파일의 관입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일없이 파일을 지반 중에 매설할 수 있고, 파일시공을 높은 신뢰성으로서, 고정밀도,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접속판의 외주에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체를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접속하는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단부가 보강되고, 굽힘강도가 증가하고, 파일의 접속부에 큰 굽힙모멘트가 작용해도 접속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하부파일의 중심맞춤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접속판에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이행시킨 볼트를 접속판의 외주바깥측으로부터 체결조작하기 위한 조작구를 형성함으로써, 다른쪽의 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 접속판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함으로써, 접속판을 구성하는 단위구성부재의 형상을 작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파일의 끝판에 끝판과 다른 나사구멍을 갖는 보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부재에 파일접속용 볼트를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파일의 접속에 사용하는 볼트의 지름, 개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일단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볼트 대신에, 볼트형상의 돌기물을 파일의 끝판 또는 보조부재에 고착하도록 함으로써, 부재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접속부에 파일과 대략 같은 지름의 접속판을 개재시킴으로써,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접속하는 파일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부파일 또는 하부파일 중 어느 한쪽의 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접속판에 형성된 원형의 볼트삽입구멍에 삽입한 볼트를 한쪽의 파일의 끝판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파일의 끝판과 접속판을, 접속판에 형성된 볼트의 두부가 통과가능한 대경부와 볼트의 두부가 통과불가능한 소경부를 연통시킨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 다른쪽의 파일의 끝판에 나사결합한 볼트의 두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다른쪽의 파일과 접속판을 상대적으로 회전이동시켜 볼트를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이행시킴으로써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접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통체를 접속판의 외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접속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른형태의 볼트삽입구멍의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이행시킨 볼트를 접속판의 외주바깥측으로부터 체결조작하기 위한 조작구를 접속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접속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판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접속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의 끝판에 끝판과 다른 나사구멍을 갖는 보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부재에 파일 접속용 볼트를 나사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접속구조.
  6.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볼트 대신에 볼트형상의 돌기물을 파일의 끝판 또는 보조부재에 고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접속구조.
KR1020020063074A 2002-09-06 2002-10-16 파일의 접속구조 KR20040022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1448 2002-09-06
JPJP-P-2002-00261448 2002-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38A true KR20040022138A (ko) 2004-03-11

Family

ID=3197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074A KR20040022138A (ko) 2002-09-06 2002-10-16 파일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47693A1 (ko)
EP (1) EP1403436A3 (ko)
KR (1) KR20040022138A (ko)
RU (1) RU20031073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04B1 (ko) * 2007-06-27 2008-01-22 이호경 피에이치씨 파일의 볼트 조인트캡 연결 구조
CN112900428A (zh) * 2021-01-07 2021-06-04 福建安捷工贸有限公司 一种改进型抗拔快速连接结构
KR102361415B1 (ko) * 2021-02-05 2022-02-14 김기형 내구성 및 체결력이 향상된 결합각도 조절형 옹벽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4451B2 (en) * 2007-01-03 2010-12-21 Davis Ii Joseph S Anchor pile coupling system
US8109057B2 (en) * 2008-03-03 2012-02-07 Daniel Stark Tower foundation system
US20100257794A1 (en) * 2009-04-10 2010-10-14 Stark N Daniel W Lateral support device
US20100322717A1 (en) * 2009-06-19 2010-12-23 Standard Concrete Products, Inc. Pile Splice Assemblies, Pile Systems Involving Such Assemblies and Methods for Splicing Piles
KR101174273B1 (ko) 2010-02-19 2012-08-16 최성희 콘크리트 말뚝의 이음장치
KR101194382B1 (ko) 2010-02-26 2012-10-24 최승선 콘크리트말뚝과 이를 위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MY184136A (en) 2013-08-21 2021-03-22 Chin Chai Ong End plate for concrete piles
US8734058B1 (en) * 2013-12-05 2014-05-27 Harold F Schmidt Method of piling remediation for supporting girders and other structural members
US9506214B1 (en) 2015-05-11 2016-11-29 Pier Tech Systems, Llc Interlocking, self-aligning and torque transmitting coupler assembly
US10844569B2 (en) 2015-05-11 2020-11-24 Pier Tech Systems, Llc Modular foundatio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hafts with interlocking, self-aligning and torque transmitting couplings
CN109322304A (zh) * 2018-11-08 2019-02-12 江苏隆兴建设工程有限公司 用于预应力抗拔桩的接头连接机构
CN110042831A (zh) * 2019-04-10 2019-07-23 浙江望达建材科技有限公司 桩体快接构造及其加工方法
CN112031010A (zh) * 2020-08-12 2020-12-04 罗仁富 一种建筑预应力吸收组成式连接插桩
CN116710615A (zh) * 2020-12-22 2023-09-05 陈其键 用于容易的一个或多个锁定销的安装的具有一个或多个带槽锁定突起的桩机械接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837U (ja) * 1984-02-27 1985-09-17 株式会社 藤井重機 基礎杭のチヤツキング部材
JPS61246418A (ja) * 1985-03-15 1986-11-01 Kojima Seisakusho:Kk コンクリ−トパイル、ポ−ル等における端面金具
JPH01198919A (ja) * 1987-09-25 1989-08-10 Koppers Australia Pty Ltd 組継ぎ装置
JPH07310317A (ja) * 1994-05-17 1995-11-28 Sanko Seisakusho:Kk コンクリートパイル端部金物の端板
KR200277683Y1 (ko) * 2002-03-07 2002-06-07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614A (en) * 1912-12-03 1913-09-23 William A Mcdearmid Pile-splice.
NL251946A (ko) * 1952-08-04
US3082985A (en) * 1962-02-02 1963-03-26 Charles W Herdman Baby crib bottle holder
US3307362A (en) * 1963-12-12 1967-03-07 Osmose Wood Preserving Co Posting piling
US3449918A (en) * 1967-01-13 1969-06-17 Gabriel Fuentes Jr Concrete pil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splicing them together
AU475596B2 (en) * 1973-03-05 1974-09-05 Nippon Concrete Kogyo Kabushki Kaisha Process of forming a tubular pile foundation
CA1009856A (en) * 1974-12-02 1977-05-10 West's Piling And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Pile connecting device
US4032244A (en) * 1976-04-26 1977-06-28 Quayle Jackson C Pole top extension bracket
NO145347C (no) * 1977-06-07 1982-03-03 Brynildsen & Soenner As B Anordning ved skjoet for peleavsnitt.
US4385577A (en) * 1981-08-03 1983-05-31 The Singer Company Sewing machine control mechanism mounting plate
DE8504456U1 (de) * 1985-02-16 1985-06-13 Otto, Joachim, 2100 Hamburg Verriegelungsvorrichtung
WO1992012314A1 (en) * 1991-01-11 1992-07-23 Whitco Pty. Ltd. Handle assembly
US5419538A (en) * 1994-03-18 1995-05-30 Nicholson; Thomas N. Newel post fastening system
US6217248B1 (en) * 1998-04-20 2001-04-17 Globe Products Inc. Quick-change winding form assembly
US6616369B2 (en) * 1999-01-20 2003-09-09 Flexco Quick release delineator apparatus
GB2371826B (en) * 2001-02-03 2002-12-18 Roxbury Ltd Collet connector for pi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837U (ja) * 1984-02-27 1985-09-17 株式会社 藤井重機 基礎杭のチヤツキング部材
JPS61246418A (ja) * 1985-03-15 1986-11-01 Kojima Seisakusho:Kk コンクリ−トパイル、ポ−ル等における端面金具
JPH01198919A (ja) * 1987-09-25 1989-08-10 Koppers Australia Pty Ltd 組継ぎ装置
JPH07310317A (ja) * 1994-05-17 1995-11-28 Sanko Seisakusho:Kk コンクリートパイル端部金物の端板
KR200277683Y1 (ko) * 2002-03-07 2002-06-07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04B1 (ko) * 2007-06-27 2008-01-22 이호경 피에이치씨 파일의 볼트 조인트캡 연결 구조
CN112900428A (zh) * 2021-01-07 2021-06-04 福建安捷工贸有限公司 一种改进型抗拔快速连接结构
KR102361415B1 (ko) * 2021-02-05 2022-02-14 김기형 내구성 및 체결력이 향상된 결합각도 조절형 옹벽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47693A1 (en) 2004-03-11
RU2003107341A (ru) 2004-09-20
EP1403436A3 (en) 2005-11-23
EP1403436A2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2138A (ko) 파일의 접속구조
CN203684398U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结构预埋件定位的装置
JP3747594B2 (ja) 鋼管杭の接合継手
CN108412134B (zh) 一种混合型灌浆套筒及其预制剪力墙
JP3457304B1 (ja) 杭の接続構造
JP2006002560A (ja) 継手装置
JP4175737B2 (ja) 杭の接続方法
JP2017150204A (ja) 杭継手および杭の埋設方法
JP2007231522A (ja) 折れ曲がり接合可能な薄板パネル及びトンネルの補強工法
JPH1181304A (ja) 鋼管の接続構造
CN109235511B (zh) 一种可拆卸式管桩静载试验用管桩连接装置及成套设备
JP2005213947A (ja) コンクリート杭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7496782B2 (ja) 土留構造構築用治具及び土留構造の構築方法
JPH0726731A (ja) 鉄骨の柱の接合部の調整用治具
CN215635544U (zh) 一种方形卡箍
JPH10298978A (ja) 杭の継手構造
CN215252816U (zh) 一种钢筋笼接头的临时锁定装置
JP2019082203A (ja) 締結具、矢板補修方法及び構造物修復方法
JP2004076533A (ja) 杭の接続構造
JP2015510062A (ja) 構造物要素を接続するターンバックル
CN217710676U (zh) 一种可快速拼接的预制桩
JP4189418B2 (ja) 鋼材の接合構造
CN115749365B (zh) 小型板房的加固装置、加固主体以及加固装置的安装方法
JPH11201117A (ja) 部材連結装置
JP2022108888A (ja) 土留構造構築用治具及び土留構造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