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476B1 - 부품 유지 헤드 - Google Patents

부품 유지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476B1
KR101736476B1 KR1020170036923A KR20170036923A KR101736476B1 KR 101736476 B1 KR101736476 B1 KR 101736476B1 KR 1020170036923 A KR1020170036923 A KR 1020170036923A KR 20170036923 A KR20170036923 A KR 20170036923A KR 101736476 B1 KR101736476 B1 KR 10173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pindle
spindle
air passage
uni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로 히라카와
히데유키 오바타
남해기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476B1/ko
Priority to JP2018054883A priority patent/JP7049146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에 있어서, 헤드 블록부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제1 에어 통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와,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메인 스핀들부를 하강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노즐 통로가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 메인 스핀들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2 에어 통로가 형성된 보조 스핀들부와, 그 내부에 상기 제1 에어 통로 및 상기 제2 에어 통로와 연통되는 제3 에어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하부와 상기 보조 스핀들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부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기 메인 스핀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기 보조 스핀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유지 헤드{A component keeping head}
본 발명은, IC 칩 등의 부품(전자 부품)을 기판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에 사용되는 부품 유지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부품 유지 헤드를 부품 공급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부품 유지 헤드에 구비된 스핀들과 노즐을 하강시켜 노즐의 하단부에 부품을 진공 흡착하여 픽업하고, 그 다음 부품 유지 헤드를 기판의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기판의 상방에서 노즐을 하강시켜 기판의 소정 좌표 위치에 부품을 실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경우, 스핀들 및 노즐의 승강 동작에 있어 적절한 제어가 필요하다. 노즐의 하강 스트로크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노즐의 착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이용한 방법이 일본특허 제354304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부품 실장기의 스핀들 및 노즐의 승강 동작에 있어, 헤드 블록으로부터 노출된 스핀들의 노출 길이가 크면 클수록, 스핀들의 작동 시 스핀들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 부분의 흔들림도 더 커지게 되는데, 노즐 부분의 흔들림이 커지게 되면 노즐의 위치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한 부품 유지 헤드를 구현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에 있어서, 헤드 블록부;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제1 에어 통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와,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메인 스핀들부를 하강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노즐 통로가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 메인 스핀들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2 에어 통로가 형성된 보조 스핀들부;와, 그 내부에 상기 제1 에어 통로 및 상기 제2 에어 통로와 연통되는 제3 에어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하부와 상기 보조 스핀들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부;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기 메인 스핀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기 보조 스핀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 블록부에는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헤드 블록부에는 상기 보조 스핀들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스프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핀들부에는 상기 스프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외통이 설치되고, 상기 외통은 상기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라인과 상기 외통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 블록부에는 상기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과 연통되는 스풀 밸브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풀 밸브 설치 구멍에는 스풀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스핀들부는 상기 연결 블록부에 대해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는, 메인 스핀들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보조 스핀들부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스핀들부의 승강 시의 흔들림을 저감시켜 안정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유지 헤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유지 헤드의 메인 스핀들부와 보조 스핀들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가압부가 메인 스핀들부를 눌러 메인 스핀들부를 하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메인 스핀들부, 노즐부, 보조 스핀들부, 연결 블록부, 제1 탄성부재, 제2 탄성부재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유지 헤드의 메인 스핀들부와 보조 스핀들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유지 헤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유지 헤드의 메인 스핀들부와 보조 스핀들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가압부가 메인 스핀들부를 눌러 메인 스핀들부를 하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메인 스핀들부, 노즐부, 보조 스핀들부, 연결 블록부, 제1 탄성부재, 제2 탄성부재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100)는, 헤드 블록부(110), 메인 스핀들부(120), 가압부(130), 노즐부(140), 보조 스핀들부(150), 연결 블록부(160), 제1 탄성부재(170), 제2 탄성부재(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부품 유지 헤드(100)는 로터리 헤드 형식의 부품 유지 헤드로서, 고정적으로 배치된 헤드 본체(H)에 헤드 블록부(110)가 수직축 둘레의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100)는 회전하는 로터리 헤드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는 회전하지 않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헤드 블록부(110)는, 헤드 본체(H)에 설치된 R서보 모터(RM)의 구동에 의해 R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각 메인 스핀들부(120)는 헤드 본체(H)에 설치된 T서보 모터(TM)의 구동에 의해 각 메인 스핀들부(120)의 축선 둘레의 T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헤드 블록부(110)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라인의 메인 스핀들부(120)와 보조 스핀들부(150)가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블록부(110)에는 Z축 방향으로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111)과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이 형성되는데,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111)은 메인 스핀들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은 보조 스핀들부(1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또한, 헤드 블록부(110)에는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이 형성되는데,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에는 스풀 밸브(SV)가 설치되며,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은 연결 통로(116)에 의해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에 연통된다. 아울러 헤드 블록부(110)에는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에 연통되는 정압 공급 라인(114)과 부압 공급 라인(115)도 형성되어 있는데, 정압 공급 라인(114)과 부압 공급 라인(115)은 각각 정압 공급원과 부압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다. 즉 스풀 작용부(SP)에 의해 스풀 밸브(SV)가 움직이게 되면 스풀 밸브(SV)의 위치에 따라 연결 통로(116), 제2 에어 통로(151), 제3 에어 통로(161), 제1 에어 통로(120a), 노즐 통로(141)의 공압이 부압 또는 정압으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메인 스핀들부(120)는 헤드 블록부(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메인 스핀들부(120) 하부의 내부에는 제1 에어 통로(120a)가 형성된다.
메인 스핀들부(120)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프라인(121)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 스핀들부(120)에는 스프라인(1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외통(122)이 설치되고, 스프라인(121)과 외통(122)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123)이 배치되고, 외통(122)은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111)에 베어링(B)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메인 스핀들부(120)는 볼-스프라인 구조로 헤드 블록부(110)에 설치된다. 또한, 외통(122)의 하부에는 구동 기어(124)가 설치되는데, 구동 기어(124)는, T서보 모터(T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외통(122) 및 메인 스핀들부(120)를 T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스핀들부(120)는 볼-스프라인 구조로 헤드 블록부(110)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스핀들부(12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T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 실시예의 메인 스핀들부(120)의 설치 구조에서 볼(123)을 구비하지 않거나 베어링(B)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그 경우 충분한 윤활이 필요하다.
한편, 헤드 본체(H)에는, 특정 위치에 있는 메인 스핀들부(120)를 축선 방향에 따른 Z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으로서 Z서보 모터(ZM)가 배치되어 있다. R서보 모터(RM)의 구동에 의해 헤드 블록부(110)를 R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구, 및 T서보 모터(TM)의 구동에 의해 각 메인 스핀들부(120)를 T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구에 대해서는 주지의 것이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Z서보 모터(ZM)의 구동에 의해 메인 스핀들부(120)을 승강시키는 기구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부품 유지 헤드(100)에서 메인 스핀들부(120)를 Z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헤드 본체(H)에 배치된 Z서보 모터(ZM)의 모터축은 볼 나사 기구의 나사축(미도시)에 연결되고, 이 나사축에 설치된 너트에 가압부(13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Z서보 모터(ZM)의 구동에 의해 가압부(130)가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130)는 메인 스핀들부(120)의 축선 방향으로 메인 스핀들부(120)를 하강시키는데, 헤드 본체(H)측에 1개만 마련되어 있다. 메인 스핀들부(120)를 하강시킬 때에는, 가압부(130)에 대해 메인 스핀들부(12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120) 중 하강시키는 메인 스핀들부(120)(상기 특정 위치에 있는 메인 스핀들부(120)a)를 선택하고 가압부(130)를 하강시켜 메인 스핀들부(120)의 상부 단부면(TS)을 누름으로써 해당 메인 스핀들부(120)a)을 하강시킨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블록부(110)를 R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부(130)에 대해 메인 스핀들부(120)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강시킬 메인 스핀들부(120)a)를 가압부(130) 밑에 위치시킨다. 이어, 가압부(130)를 눌러 가압부(130) 바로 밑에 있는 메인 스핀들부(120)a)의 상부 단부면(TS)에 힘을 가하여 메인 스핀들부(120)a)를 하강시킨다. 여기서, 특정 위치에 있는 스핀들(120a)을 선택하여 하강시키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강되는 메인 스핀들부(120)a)를 선택하기 위해 메인 스핀들부(120)을 이동시키지 않고, 오히려 가압부(130)를 이동시켜 하강시키는 메인 스핀들부(120)a)를 선택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위치는 2군데 이상 있어도 좋다.
한편, 노즐부(140)는,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120)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노즐 통로(1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노즐 통로(141)를 통해 부압 또는 정압이 부여되면, 노즐부(140)가 부품을 흡착하거나 부품을 내려놓게 되는데, 노즐 통로(141)는 메인 스핀들부(120)의 제1 에어 통로(120a)에 연통된다.
보조 스핀들부(15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헤드 블록부(110)에 설치되되, 각각의 메인 스핀들부(1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보조 스핀들부(150)는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제2 에어 통로(151)가 형성된다.
제2 에어 통로(151)는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에 에어 포트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데,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은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스풀 밸브(SV)의 움직임에 따라 제2 에어 통로(151)에 부압 또는 정압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연결 블록부(160)는 메인 스핀들부(120)의 하부와 보조 스핀들부(150)의 하부를 연결한다.
연결 블록부(160)는 메인 스핀들부(120)와의 연결 부분에 베어링(B)을 이용하여 장착됨으로써, 메인 스핀들부(120)는 연결 블록부(160)에 대해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연결 블록부(160)와 보조 스핀들부(150)의 하부는 서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연결 블록부(160)의 내부에는 제3 에어 통로(161)가 형성되는데, 제3 에어 통로(161)는 제1 에어 통로(120a) 및 제2 에어 통로(15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제2 에어 통로(151)에 부압 또는 정압이 작용하면 제3 에어 통로(161), 제1 에어 통로(120a) 및 노즐 통로(141)에도 부압 또는 정압이 그대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제1 탄성부재(170)는 메인 스핀들부(120)를 헤드 블록부(110)에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1 탄성부재(170)는 1개의 원통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탄성부재를 이루는 스프링의 개수 및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부재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스프링의 종류도, 원추형 코일 스프링, 벌류트 코일 스프링, 장고형(長鼓形)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80)는 보조 스핀들부(150)를 헤드 블록부(110)에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2 탄성부재(180)는 1개의 원통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탄성부재를 이루는 스프링의 개수 및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탄성부재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스프링의 종류도, 원추형 코일 스프링, 벌류트 코일 스프링, 장고형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100)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는, 메인 스핀들부(120)의 하단에 장착된 노즐부(140)를 이용하여 부품 공급부(미도시)로부터 부품을 픽업하여 유지하고, 픽업된 부품을 기판(P)으로 이송하여 기판(P)의 소정 위치에 부품을 실장한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노즐부(140)에 흡착되어 픽업된 부품을 기판으로 이송시켜, 부품을 기판에 실장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부품 유지 헤드(100)의 모습은, 노즐부(140)로 부품(C)을 픽업한 상태로서, 아직 기판에 부품(C)을 실장하기 위한 작동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Z서보 모터(ZM)를 제어하여 가압부(130)가 메인 스핀들부(120)의 상부 단부면(TS)을 누르지 않도록 하고, 스풀 밸브(SV)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노즐부(140)에 부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부품(C)의 픽업 작용이 지속되도록 한다.
이어, 제어부(미도시)는 부품 유지 헤드(100)를 움직여 픽업된 부품(C)이 기판(P)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Z서보 모터(ZM)를 작동시켜 가압부(130)가 메인 스핀들부(120)의 상부 단부면(TS)을 누르게 한다. 그렇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핀들부(120)가 하강하게 된다.
메인 스핀들부(120)가 하강하게 되면, 메인 스핀들부(120)와 함께 보조 스핀들부(150)와 연결 블록부(160)도 하강하게 된다. 보조 스핀들부(150)는 헤드 블록부(110)의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에 의해 하강 움직임이 가이드되므로, 보조 스핀들부(150)와 연결 블록부(160)로 연결된 메인 스핀들부(120)는 안정적인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1 탄성부재(170)와 제2 탄성부재(180)는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부품(C)이 기판(P)의 표면에 닿게 되면, 제어부(미도시)가 Z서보 모터(ZM)를 작동시켜 가압부(130)의 하강을 중지하고, 스풀 작용부(SP)를 작동시켜 스풀 밸브(SV)를 움직임으로써, 노즐부(140)에 정압이 작용하도록 하여 부품(C)이 기판(P)에 안착하도록 한다. 이 때, 정압은 순차적으로 정압 공급 라인(114),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 연결 통로(116),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 제2 에어 통로(151), 제3 에어 통로(161), 제1 에어 통로(120a), 노즐 통로(141)를 통하여 부품(C)에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100)에 따르면, 연결 블록부(160)에 의해 메인 스핀들부(120)와 연결된 보조 스핀들부(150)가, 헤드 블록부(110)의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112)에 의해 승강 움직임이 가이드되므로, 메인 스핀들부(12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에 메인 스핀들부(120)의 하단에 설치된 노즐부(140)의 흔들림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유지 헤드(100)는, 노즐부(140)에 공압을 작용시키기 위해, 보조 스핀들부(150)에 제2 에어 통로(151)를 형성하고, 제2 에어 통로(151)가 스풀 밸브 설치 구멍(113) 및 제3 에어 통로(161)와 연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스핀들부(120)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즉 종래의 메인 스핀들에 스풀 밸브와 직접 연통되는 공압 관로가 형성되어 메인 스핀들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길이가 길었던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부품 유지 헤드(100)의 메인 스핀들부(120)는 그 구조가 간단해지고, 길이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부품 유지 헤드(100)의 Z축 방향의 길이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픽업 및 실장하는 부품(C)의 높이도 크게 할 수 있어, 부품 유지 헤드(100)에 적용할 수 있는 부품(C)의 종류도 그만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부품 유지 헤드(100)는, 메인 스핀들부(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170) 뿐만 아니라 보조 스핀들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180)도 포함하므로, 결국 하나의 메인 스핀들부(120)의 운동에 관여하는 탄성부재의 개수는 2개가 되기 때문에, 각각 하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부품 유지 헤드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부품 유지 헤드(100)는, 길이가 짧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더라도 2개가 병렬로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탄성력을 구현할 수 있고, 짧은 탄성부재의 성질 때문에 선형적인 탄성력을 구현하기 용이하여 정밀한 제어의 구현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2 탄성부재(170)(180)의 2개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므로, 2개의 탄성부재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탄성력을 구현할 수 있어 부품 유지 헤드(100)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의 제조 및 운용에 사용될 수 있다.
100: 부품 유지 헤드 110: 헤드 블록부
120: 메인 스핀들부 130: 가압부
140: 노즐부 150: 보조 스핀들부
160: 연결 블록부 170: 제1 탄성부재
180: 제2 탄성부재

Claims (6)

  1.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에 있어서,
    헤드 블록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제1 에어 통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메인 스핀들부를 하강시키는 가압부;
    상기 복수개의 메인 스핀들부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노즐 통로가 형성된 노즐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 메인 스핀들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2 에어 통로가 형성된 보조 스핀들부;
    그 내부에 상기 제1 에어 통로 및 상기 제2 에어 통로와 연통되는 제3 에어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하부와 상기 보조 스핀들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부;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기 메인 스핀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헤드 블록부에 상기 보조 스핀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록부에는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블록부에는 상기 보조 스핀들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이 형성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핀들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스프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핀들부에는 상기 스프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외통이 설치되고, 상기 외통은 상기 메인 스핀들 설치 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품 유지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인과 상기 외통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이 배치되는 부품 유지 헤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블록부에는 상기 보조 스핀들 설치 구멍과 연통되는 스풀 밸브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풀 밸브 설치 구멍에는 스풀 밸브가 설치되는 부품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핀들부는 상기 연결 블록부에 대해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품 유지 헤드.
KR1020170036923A 2017-03-23 2017-03-23 부품 유지 헤드 KR10173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23A KR101736476B1 (ko) 2017-03-23 2017-03-23 부품 유지 헤드
JP2018054883A JP7049146B2 (ja) 2017-03-23 2018-03-22 部品保持ヘッ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23A KR101736476B1 (ko) 2017-03-23 2017-03-23 부품 유지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476B1 true KR101736476B1 (ko) 2017-05-16

Family

ID=5903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23A KR101736476B1 (ko) 2017-03-23 2017-03-23 부품 유지 헤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49146B2 (ko)
KR (1) KR101736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500A (ko) * 2017-10-09 2020-05-29 상하이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이큅먼트(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결합 헤드 장치, 결합 방법 및 결합 기계
WO2023121348A1 (ko) * 2021-12-23 2023-06-29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실장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0135A (zh) * 2022-05-27 2022-08-12 杭州长川科技股份有限公司 浮动吸嘴机构、浮动吸嘴装置及辅助检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807A (ja) 2003-04-09 2004-11-04 Fuji Mach Mfg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JP4451287B2 (ja) 2004-11-18 2010-04-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870B2 (ja) * 1994-07-06 1999-08-09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電子部品表面実装装置
JPH08279697A (ja) * 1995-04-10 1996-10-22 Fuji Mach Mfg Co Ltd 電子部品装着ヘッド,電子部品装着装置およ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10027855A (ja) * 2008-07-18 2010-02-04 Panasonic Corp 電子部品実装ヘッドおよび実装装置
JP5975508B2 (ja) * 2012-02-28 2016-08-23 Juki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実装ヘッドユニット、部品実装装置及び基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807A (ja) 2003-04-09 2004-11-04 Fuji Mach Mfg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JP4451287B2 (ja) 2004-11-18 2010-04-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500A (ko) * 2017-10-09 2020-05-29 상하이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이큅먼트(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결합 헤드 장치, 결합 방법 및 결합 기계
KR102394691B1 (ko) * 2017-10-09 2022-05-06 상하이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이큅먼트(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결합 헤드 장치, 결합 방법 및 결합 기계
WO2023121348A1 (ko) * 2021-12-23 2023-06-29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실장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60671A (ja) 2018-10-11
JP7049146B2 (ja)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476B1 (ko) 부품 유지 헤드
JP5997292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ヘッド
WO2011159035A2 (ko) 다이 본딩 장치의 본드 헤드
WO2015059839A1 (en) Method for mounting an electronic-component onto a substrate and electronic-component mounting machine
JPH0823194A (ja) 電子部品表面実装装置
CN101547590A (zh) 贴装设备及贴装方法
CN101998821A (zh) 吸附嘴升降装置及其负载控制方法
WO2017056291A1 (ja) ロータリーヘッド、及び、表面実装機
JP2002057498A (ja) 配線板作業システム
JP2001048350A (ja) ワークの移送ミス防止装置
KR100465212B1 (ko) 핸드링 장치 및 이 핸드링 장치를 사용한 부품 조립 장치
JP6498312B2 (ja) シャフト装置、実装ヘッド、表面実装機
JPH10209687A (ja) 表面実装機のノズル昇降用エアシリンダの構造
CN108697045B (zh) 部件吸持头
EP0939584A1 (en) Electronic-component transferring apparatus
JP3961083B2 (ja) 電子部品搭載装置
KR101870394B1 (ko) 반도체 패키지용 픽커장치
JP4346770B2 (ja) 表面実装機
JPH07202492A (ja) 実装機の吸着ヘッド
JP3597630B2 (ja) 表面実装機
KR101091914B1 (ko) 부품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KR20080061787A (ko)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JP4220225B2 (ja) 表面実装機
JPH05218689A (ja) 部品装着装置
CN114850989B (zh) 大型回转类零件内壁多机协同柔顺加工装置和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