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169B1 -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 - Google Patents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169B1
KR101736169B1 KR1020117024364A KR20117024364A KR101736169B1 KR 101736169 B1 KR101736169 B1 KR 101736169B1 KR 1020117024364 A KR1020117024364 A KR 1020117024364A KR 20117024364 A KR20117024364 A KR 20117024364A KR 101736169 B1 KR101736169 B1 KR 10173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pray
membered ring
gly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279A (ko
Inventor
미사오 미야모토
타케히사 이와마
노부히데 미야치
마사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3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과제] 스프레이 용기로부터의 액 유출을 방지하고, 또한, 모든 환경하(예를 들면, 거꾸로 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가능하고, 스프레이를 했을 때에는 비산되지 않고 목적물(분무면)의 표면을 얼룩 없이 피복할 수 있으며, 분무면으로부터의 액 흘림이 발생하지 않고, 나아가, 피부면 등에 스프레이 해도 안전한 화합물로 구성함으로써 안심·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프레이용 기재를 제공할 것. 그리고, 단지 양호한 스프레이 분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농약이나 화장품에 사용하는 생리활성 화합물이나 방향성분 등의 저분자 화합물을, 친수성이나 소수성에 관계없이, 또한 이 둘을 공존시켜 포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방성 또한 갖춘 스프레이용 기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이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BASE MATERIAL FOR SPRAYING COMPRISING LOW-MOLECULAR GELLING AGENT}
본 발명은,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이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로서, 겔 상태인 채로, 즉, 액체가 뚝뚝 떨어지는 일 없이 스프레이 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 후, 도포(塗付)면 상의 액적이 용이하게 겔화되어 액 흘림(dripping) 현상을 방지하는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스킨케어 제품, 헤어케어 제품, 외용의약품,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살충제, 농약, 세정제, 도료, 대전방지용 코팅, 방부제 등의 스프레이용 기재로서, 나아가, 피막이나 박막 형성용 기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스프레이 제품이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데, 그 대부분이 액상의 모액(母液)에 목적 용도의 배합물을 혼합시킨 것을 스프레이용 제제로 한 것이다. 이러한 스프레이 제품에 요망되는 요구특성으로는, 일반적으로, (1) 모든 환경하에서 양호한 분무를 실현할 수 있을 것, (2) 분무한 표면에 모액적이 양호하게 정착되어 분무 얼룩이 생기지 않을 것, (3) 수직면이나 경사면에서 모액적의 액 흘림이 잘 발생하지 않을 것, 나아가, (4) 정착된 모액적의 건조체가 분무면(특히, 피부 등)을 장시간에 걸쳐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전성이 높은 것일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구특성(1)~(3)을 만족시키기 위해, 종래 여러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모액 중에 고분자 증점제를 용해시켜 모액의 점도를 높임으로써 (3)의 액 흘림 발생 방지를 도모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통상의 고분자 화합물의 용액에서는, 액 흘림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만큼 모액의 점도를 너무 높이면, 스프레이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노즐로 빨아들일 수 있으면서 분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모액의 점도를 낮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 경우에는 또 액 흘림 방지성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즉, 액 흘림의 방지와 원활한 스프레이를 양립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모액 점도의 최적화는 매우 곤란하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고분자 화합물의 용액은 분무시에 실을 쉽게 뽑을 수 있는 특유의 성질(예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액적이 각각 독립되어 있는 이상적인 미스트 상태로 되지 않아, 증점제를 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미스트화의 정도가 급격히 악화되어 분무 얼룩의 원인이 된다는 점도 문제였다.
한편, 모액 중에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수상(水相)에서의 미셀구조 형성에 의해 증점시키거나, 분무 후 모액적의 표면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2)나 (3)의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2, 3].
그러나, 그 모액은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거꾸로 한 상태에서 분무되지 않는 등, 상기 (1)의 특성이 근본적으로는 달성되지 않는다. 또한, 액 흘림 방지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의 양을 증대시키면, 예를 들면 피부에 분무하는 스프레이제인 경우에는 피부 자극성을 일으키기 쉬워지므로, 상기 (4)의 안전성 면에서 좋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 (1)이나 (3)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용기구조면에서의 개선 또한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그러나, 피복 표면 상에 미스트를 얇게 정착시키는 경우에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만, 다량의 분무를 행하는 경우, 즉, 두껍게 칠하는 경우에는 역시 액 흘림이 발생하므로, 액 흘림 방지에 관한 본질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다.
또한, 상기 (1)~(4)의 요구특성을 비교적 균형있게 달성하는 것으로는, 친수성 녹점도(smectite)로 이루어진 헥토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겔상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제가 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5, 특허문헌 6). 그러나 개시된 기술은, 안전면에서 사용실적이 부족한 무기물을 주성분으로 한 것, 그리고, 알코올 등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주요한 분산매 중에서 헥토라이트가 응집을 일으켜, 이것이 분무 특성을 저감시키는 문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가운데, 셀룰로오스 분산체의 분무성, 폼 형성능과 그 유지성, 요변성, 분산 안정성에 주목하여, 이 분산체를 이용한 스프레이제의 개발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류에서는, 지용성 약제나 다른 계면활성제와의 상용성이 나쁘고, 상분리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외용의약품·화장품·농약 제제로의 응용은 어렵다.
또한, 실제 사용 상황에서는, 복수의 화합물의 포접·서방 가능한 미스트를 형성할 수 있는 스프레이용 제제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외용 의약품이나 화장품에서는, 친수성 화합물과 소수성 화합물을 동시에 용해시킬 필요성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소수성 화합물에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등의 화학적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서술한 기존의 기술에서는, 스프레이용 기재로서의 성능을 만족시키고 나아가 실용도에서 필요한 화합물의 포접·서방을 포함한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재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물을 매질로 하는 생체 적합성이 높은 재료로서, 폭넓은 분야에서 하이드로겔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과, 저분자 화합물의 자기 집합화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이 다양하게 검토되고 있다.
고분자 화합물간을 공유결합, 혹은 이온결합이나 수소결합 등을 이용하여 가교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고분자겔(화학겔, 물리겔)은, 스프레이로 이용하는 경우, 용액을 고화시키기 때문에 용기로부터의 액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유효하기는 하지만, 고분자 화학겔처럼 화학 가교를 한 것에서는 겔 상태로 스프레이 하기 어렵고, 또한, 고분자 물리겔의 경우에도 대부분은 스프레이를 할 수 없다. 또한, 스프레이가 가능한 것은 약물 등 저분자 화합물의 포접·서방이 불가능하고, 나아가, 이들 약제 등이나 다른 첨가물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므로 상분리를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저분자 하이드로 겔화제의 연구는, 수중에서의 저분자 화합물의 자기조직화할 기구해명과 분자설계의 어려움은 있지만, 그 기능성에 큰 흥미를 갖게 했으며, 최근에 그 연구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그 결과, 몇 가지의 저분자 하이드로 겔화제가 발견되었다[비특허문헌 1, 2]. 그 중 대부분은, 소수부인 장쇄 알킬기와 친수성부를 조합한 양친매성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친수성부가 아미노산인 것[비특허문헌 3], 펩티드인 것[특허문헌 7, 8], 단다당류[비특허문헌 4, 5] 또는 폴리올[비특허문헌 6]인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발린에 의해 구성된 펩티드가 β-시트 구조를 용이하게 취하는 것을 이용한 저분자 겔화제[비특허문헌 7]도 제안되고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저분자 하이드로 겔화제로는, 알코올 수용액이나 유기 용매 수용액을 겔화하거나, 또는 물 집단, 유기 용매 집단에서의 겔화는 불가능하지만, 알코올 수용액이나 유기 용매 수용액을 겔화한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 저분자 겔의 공통된 특징으로는, 외부로부터의 응력에 신속히 반응하여 겔에서 졸로 변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8935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729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35172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22925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H9-24111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51682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9/005151호 공개공보 국제공개 제2009/005152호 공개공보
Shinji Matsumoto, Itaru Hamachi, Jojin News, No. 118,1-16(2006) Lara A. Estroff and Andrew D. Hamilton Chemical Review. 2004,104,1201-1217. Suzuki, Masahiro. Yumoto, Mariko. Mutsumi, Shirai. Hirofusa,Hanabusa, Kenji. Chemistry Letters, 33(11), 1496-1497. Jong Hwa Jung, Georeg John, Mitsutosish Mausda, Kaname Yoshida, Seiji Shinnkai, and Toshimi Shimizu Langumir 2001, 17, 7229-7232 I. Hamachi, S. Kiyonaka, S. Shinkai, Tetrahedron Lett. , 2001, 42, 6141.I. Hamachi, S. Kiyonaka, S, Shinaki, Chem. Commun. , 2000, 1281. Masahiro Suzuki, Sanae Owa, Hirofusa Shirai and Kenji Hanabusa, Tetrahedron 2007 63 7302-7308. Yoko Matsuzawa, Katsuyuki Ueki, Masaru Yoshida, Nobuyuki Tamaoki, Tohru Nakamura, Hideki Sakai, and Masahiko Abe,Adv. Funct. Mater. 2007,17, 1507-1514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스프레이 성능 및 안전성에 관한 상기 (1)~(4)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키면서, 또한, 스프레이 대상의 각종 약제나 첨가제와의 상용성이 양호할 뿐 아니라, 복수의 화합물의 포접·서방 가능한 미스트를 형성할 수 있는 성능까지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생체 적합성이 높은 재료인 하이드로겔인 경우에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에서는 상기 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고,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스프레이용 기재에 대해서는 제안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프레이 용기로부터의 액 유출을 방지하고, 또한, 통상 있을 수 있는 모든 사용 조건(예를 들면, 거꾸로 한 상태)하에서 스프레이 가능하고, 스프레이를 했을 때에는 비산되지 않고 목적물(분무면)의 표면을 얼룩 없이 피복할 수 있으며, 분무면으로부터의 액 흘림이 발생하지 않고, 나아가, 피부면 등에 스프레이 하더라도 안전하다는 등, 안심·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프레이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단지 양호한 스프레이 분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의농약이나 화장품에 사용하는 생리활성 화합물이나 방향 성분 등의 저분자 화합물을, 친수성이나 소수성에 관계없이, 또한 이 둘을 모두 공존시켜 포접(감싸 이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방성 또한 갖춘 스프레이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즉, 제1 관점으로서,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2 관점으로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이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3 관점으로서, 상기 겔화된 수성 매체 중의 상기 저분자 화합물의 농도가 0.0001~20%(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관점 또는 제3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4 관점으로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은, 소수성 부위와 친수성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5 관점으로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이, 식(1)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1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6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R3이 -(CH2)n-X기이고, n이 1 내지 4의 수이며,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7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R1이 불포화 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 내지 21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8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R2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9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n이 1 내지 4의 수이면서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또는 -CONH2기이거나, 또는, n이 1이면서 X가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이미다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10 관점으로서, 추가로, 생리활성 물질 또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 내지 제9 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11 관점으로서,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박막에 관한 것이다.
제12 관점으로서, 상기 자기 집합화의 형태가, 섬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1 관점에 기재된 박막에 관한 것이다.
제13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를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4 관점으로서,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기계적으로 붕괴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졸로서, 상기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인 졸에 관한 것이다.
제15 관점으로서, 상기 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16 관점으로서, 상기 졸의 형성에 이용되는 저분자 겔화제를 이루는 저분자 화합물이, 식(1)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2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5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17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R3이 -(CH2)n-X기이고, n이 1 내지 4의 수이며,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18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R1이 불포화 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 내지 21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19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R2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20 관점으로서, 상기 식(1) 중, n이 1 내지 4의 수이면서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또는 -CONH2기이거나, 또는, n이 1이면서 X가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이미다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21 관점으로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성 매체를 함유하는 졸에 관한 것이다.
제22 관점으로서, 제21 관점에 기재된 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제23 관점으로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이 식(2)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3
(식 중, R4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8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또한 R5 내지 R8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저분자 겔화제를 이용하여 수성 매체(물, 수용액, 알코올 수용액, 유기 용매 수용액)를 겔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스프레이용 기재이다. 수성 매체를 겔화시킴으로써 스프레이 용기로부터의 액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이용되는 저분자 겔화제의 겔 형성 메커니즘은, 상품화되어 있는 고분자 하이드로겔의 겔 형성 메커니즘과는 전혀 다르며, 상기 저분자 겔화제를 구성하는 저분자 화합물이 자기 집합화 되어 섬유상의 형태를 형성하고, 그리고, 그 섬유가 망목 구조를 형성하고, 이 망목 구조에 물이나 각종 수용액, 알코올수, 유기 용매수 등을 둘러싸고, 겔을 형성한다. 여기서, 「자기 집합화」란, 당초 랜덤한 상태에 있는 물질(분자)군에서, 분자가 적당한 외부조건 하에서 분자간의 비공유결합성 상호작용 등에 의해 자발적으로 회합함으로써, 거대한 기능성 집합체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이용되는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얻어진 겔은 적당한 응력을 가함으로써 신속하게 겔에서 졸로 전환되고, 졸 상태로 된 것은 스프레이의 노즐처럼 가는 관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즉, 물이나 각종 수용액 등에 상기 저분자 겔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겔의 고체 상태에서 스프레이 가능한 스프레이용 기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거꾸로 해도 겔로 굳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용기의 바닥에 기재가 머무르게 되어, 스프레이 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1)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어떠한 환경에서도 스프레이 가능한 기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인 저분자 겔은, 응력을 주어 겔 상태에서 졸 상태로 변환해도 자기 집합화 구조인 섬유상태는 유지되며, 그 섬유상태에 의해 구축되는 망목 구조 또한 어느 정도는 파괴되지 않고 존재한다. 그러므로, 분무할 때에 주위에 필요 이상으로 비산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의 면적을 균일하게 피복시킬 수 있다. 또한, 분무된 직후에도 자기 집합화된 섬유상태와 망목 구조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부착면에서 겔 상태로 전환하고, 부착면을 경사지게 해도 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액 흘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저분자 겔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2)와 (3)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킨 스프레이용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이용되는 저분자 겔화제는, 소수성 부위, 친수성 부위 모두에 지방산 혹은 디펩티드와 같은 천연 유래 물질을 사용하고 있고, 안전성이 높은 저분자 겔화제라는 점에서, 상기 (4)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키는 스프레이용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자기 집합화된 섬유와 이에 의해 구축된 망목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겔을 함유한다. 그리고 상기 겔은, 생리활성 물질이나 방향성분, 또는 색소나 염료 등의 저분자 화합물을, 소수성의 저분자 화합물이면 소수 환경하의 섬유 내에, 친수성 화합물이면 망목 구조 내의 수상(水相)에 취입할 수 있으며, 특히, 친수성이면서 극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섬유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기재 내에 약효성분 등의 다양한 성분을 친수성/소수성에 관계없이 감싸 이을 수 있고, 스프레이 후에는 부착면(접착면)에서 필요 성분의 유지 또는 서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저분자 겔화제의 사용량에 따라 겔화되지 않는 상태로 조제된 스프레이용 기재이더라도, 겔 상태인 것이 응력 등의 물리적 인자에 의해 붕괴된 상태(졸 상태)가 되더라도, 저분자 겔화제의 자기 집합화 상태, 즉, 섬유상태나 망목 구조가 붕괴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생리활성 물질이나 방향성분, 또는 색소나 염료 등의 저분자 화합물의 용해 기능·포접(감싸 이음)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스프레이용 기재로서 작용하고, 나아가 스프레이를 할 때 비산을 방지하여, 표면을 얼룩 없이 피복할 수 있으며, 피복된 부분의 액 흘림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이용되는 저분자 겔화제는, 산 및 염기를 용해한 수용액 또한 겔화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용액의 스프레이용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피부 표면의 수분량을 회복하는 효과를 갖는 유산칼륨에 유산(乳酸)을 첨가하여 완충액으로 한 용액 등, 피부나 용도에 따라 pH를 조정할 수 있는 보수(保水), 보습 효과가 있는 용액의 스프레이 기재를 만들 수도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저분자 겔을 이용한 스프레이용 기재는, 양호한 스프레이 분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생체나 환경에 안전하며, 또한, 의농약이나 화장품에 사용하는 생리활성 화합물이나 방향 성분 등의 저분자 화합물을, 친수성이나 소수성에 관계없이, 또한 이 둘을 모두 공존시켜 포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방성 또한 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부나 손상부위 인식능을 갖는 창상피복제, 유착방지막, 약물속달 시스템, 스킨케어 제품, 헤어케어 제품, 외용 의약품,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살충제, 농약 스프레이용 기재, 세정제, 도료, 대전방지용 코팅, 방부제, 피막이나 박막 형성용 기재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지질 펩티드의 자기 집합화 및 이에 뒤따른 겔화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스프레이의 도포성을 평가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분자 겔화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000 이하로서, 특히, 소수성 부위인 지질부와 친수성 부위인 펩티드부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소위,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부위와 친수성 부위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지질 펩티드는 지용성이 높은 쇄를 갖는 지질부(알킬 카르보닐기)와 펩티드부(디펩티드, 트리펩티드 또는 테트라펩티드)로 구성된다.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4
상기 식(1)에 있어서, 지질부에 포함되는 R1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R1이 불포화 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 내지 23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및 인접한 카르보닐기로 구성되는 지질부(아실기)의 구체예로는, 라우로일기, 도데실카르보닐기, 미리스토일기, 테트라데실카르보닐기, 팔미토일기, 마가로일(Margaroyl)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Elaidoyl)기, 리놀레오일(Linoleoyl)기, 스테아로일기, 바세노일(Vaccenoyl)기, 옥타데실카르보닐기, 아라키도일(Arachidoyl)기, 에이코실카르보닐기, 베헤노일기, 알카노일기, 도코실카르보닐기, 리그노세일(Lignoceyl)기 및 네르보노일(Nervonoyl)기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마가로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및 베헤노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1)에 있어서, 펩티드부에 포함되는 R2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이면서,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3이면서,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이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3은 -(CH2)n-X기를 나타낸다.
상기 -(CH2)n-X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상기 -(CH2)n-X기에서, X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인돌기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졸기이다. 또한, 상기 -(CH2)n-X기에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다.
따라서, 상기 -(CH2)n-기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메틸기, 2-아미노에틸기, 3-아미노프로필기, 4-아미노부틸기, 카바모일메틸기, 2-카바모일에틸기, 3-카바모일부틸기, 2-구아니딘에틸기, 3-구아니딘부틸기, 피롤메틸기, 이미다졸메틸기, 피라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아미노부틸기, 카바모일메틸기, 2-카바모일에틸기, 3-구아니딘부틸기, 이미다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졸메틸기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저분자 겔화제로서 특히 적합한 지질 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 집합부)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한편, 아미노산의 약칭으로는, 알라닌(Ala),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글리신(Gly), 히스티딘(His), 이소류신(Ile), 류신(Leu), 리신(Lys), 트립토판(Trp), 발린(Val)을 나타낸다: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Gly-Gln, 라우로일-Gly-Asn, 라우로일-Gly-Trp, 라우로일-Gly-Lys, 라우로일-Ala-His, 라우로일-Ala-Gln, 라우로일-Ala-Asn, 라우로일-Ala-Trp, 라우로일-Ala-Ly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Gly-Gln, 미리스토일-Gly-Asn, 미리스토일-Gly-Trp, 미리스토일-Gly-Lys, 미리스토일-Ala-His, 미리스토일-Ala-Gln, 미리스토일-Ala-Asn, 미리스토일-Ala-Trp, 미리스토일-Ala-Ly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Gly-Gln, 팔미토일-Gly-Asn, 팔미토일-Gly-Trp, 팔미토일-Gly-Lys, 팔미토일-Ala-His, 팔미토일-Ala-Gln, 팔미토일-Ala-Asn, 팔미토일-Ala-Trp, 팔미토일-Ala-Ly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Gly-Gln, 스테아로일-Gly-Asn, 스테아로일-Gly-Trp, 스테아로일-Gly-Lys, 스테아로일-Ala-His, 스테아로일-Ala-Gln, 스테아로일-Ala-Asn, 스테아로일-Ala-Trp, 스테아로일-Ala-Lys.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는,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Ala-Hi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Ala-Hi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Ala-Hi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Ala-His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부위와 친수성 부위를 갖는 다른 저분자 화합물의 예로는, 예를 들면,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5
상기 식(2)에 있어서, R4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앞서 설명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R5 내지 R8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또한 R5 내지 R8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여기서, R5 내지 R8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앞서 설명한 R2 또는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저분자 겔화제로서 특별히 가장 적합한 지질 펩티드로는, 라우로일-Gly-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Gly, 팔미토일-Gly-His-Gly-Gly, 팔미토일-His-Gly-Gly-Gly, 스테아로일-Gly-Gly-Gly-Hi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이용하는 겔화된 수성 매체는, 상기 저분자 겔화제 및 수성 매체(용매)를 함유하여 형성된다.
상기 용매로는, 저분자 겔화제의 섬유화나 하이드로 겔화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물에 자유롭게 용해되는 수용성 알코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코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i-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글리세린이고,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2-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글리세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란 알코올 이외의 유기 용매로서, 또한 물에 임의의 비율로 용해되는 유기 용매를 의미한다. 사용하는 수용성 유기 용매의 예로는, 아세톤 또는 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겔화된 수성 매체는 산 및/또는 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산 및 염은 하이드로겔 형성에 이르는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든지 첨가할 수 있지만, 하이드로 겔화제를 넣기 전에 용매에 첨가하여 용액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및 염은 복수종 첨가할 수도 있고, 또 산과 염을 혼합하여 첨가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 산 또는 염은 1~3종이다. 염을 2종류, 또는 산을 1~2종류와 염 1~2종류를 첨가함으로써 용액이 완충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은 무기산 혹은 유기산을 말한다. 바람직한 무기산으로는, 탄산, 황산, 혹은 인산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산이다. 또한, 바람직한 유기산의 예로는, 아세트산, 구연산, 숙신산, 혹은 유산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산이다.
상기 염은 무기염 혹은 유기염을 말한다. 바람직한 무기염의 예로는 무기 유산염, 무기 탄산염, 무기 황산염 혹은 무기 인산염을 들 수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산칼륨, 유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인산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산칼륨, 유산나트륨,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인산수소이나트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이다. 또한, 바람직한 유기염의 예로는, 유기 아민의 염산염 혹은 유기 아민 아세트산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염산염,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염산염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서, 겔화된 수성 매체 중의 상기 저분자 겔화제의 농도는 0.0001~20%(w/v)이고, 0.05~10(w/v)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w/v)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함유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는, 인도메타신 등의 항염증·면역제, 벤잘코늄 등의 항균·살균제, EGF(상피세포 증식인자), FGF(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의 노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는, 멘톨, 캠퍼, 로즈마리 등의 향료·청량제, 브릴리언트 블루, 플루오레세인, 카로틴, 리보플래빈, 벤토나이트, 실리카, 산화티탄, 탈크, 탄산칼륨 등의 색소·염료·착색료·안료,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놀 등의 미백제, 아미노산, 요소, 세라미드 등의 보습인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예를 들면, 기계적으로 붕괴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졸로서, 상기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인 졸, 그리고, 이 졸을 함유하는 스프레이용 기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졸은, 상기 서술한 저분자 겔화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1) 또는 식(2)로 표시되는 저분자 화합물(지질 펩티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수성 매체(용매)를 함유하여 형성된 겔화된 수성 매체를,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붕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겔 형성 메커니즘]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사용하는 저분자 겔화제, 특히 상기 식(1)(또는 식(2))로 표시되는 저분자 화합물(지질 펩티드)은, 수용액 또는 알코올 용액계 중에 투입되면, 식(1)에서의 펩티드부가 수소결합에 의해 분자간 비공유결합을 형성하는 한편, 식(1)에서의 지질부가 소수적으로 패킹되도록 자기 집합화(혹은 자기조직화라고도 함)하여, 섬유가 형성된다. 섬유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筒)상 또는 판(板)상의 형상을 들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지질 펩티드의 자기 집합화 및 겔화의 개념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단,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있어서, 모든 지질 펩티드가 도 1에 나타내는 자기 집합화 및 겔화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질 펩티드분자(a)는 소수성 부위인 지질부를 중심으로 집합하고(b), 자기 집합화에 의해 섬유(c)를 형성한다.
섬유의 형성에는, 상기 저분자 하이드로 겔화제를 1종류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1종류 또는 2종류를 사용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종류를 이용하는 것이다. 단, 2종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종류의 경우와 상이한 성질을 얻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사용하는 저분자 겔화제는, 계면활성제 또는 오일을 혼합시켜 자기 집합화함으로써 섬유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계면활성화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오일로는, 미네랄오일, 스쿠알렌,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섬유가 수용액 또는 알코올 수용액 등의 내에서 형성되면, 이 섬유가 3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고(예를 들면, 도 1의 (d) 참조), 또한, 섬유 표면의 친수성 부분(펩티드부)과 수성 용매간에 비공유결합을 형성해 팽윤함으로써, 수용계 또는 알코올 수용액 전체가 겔화되어, 수성 매체가 겔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에 이용되는 저분자 겔화제는, 겔화된 수성 매체 중에서는 물론 졸 상태여도, 혹은 겔화에 못미치는 첨가량이어도, 수성 매체 중에서 자기집합체를 형성하고, 스프레이 후에도 자기집합체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를 이용하면, 목적물을 크게 벗어나 비산되는 일 없이 스프레이할 수 있고, 목적물 표면을 얼룩 없이 피복할 수 있으며, 피복 접착면으로부터의 액 흘림을 일으키지 않고 스프레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방산이나 아미노산과 같은 천연 유래 원료에 의해 구성된 저분자 겔화제를 이용함으로써, 피부면 등의 피복 시 안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기재는, 환부나 손상부위 인식능을 갖는 창상피복제, 유착방지막, 약물 속달 시스템, 스킨케어 제품, 헤어케어 제품, 외용의약품,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살충제, 농약스프레이용 기재, 세정제, 도료, 대전방지용 코팅, 방부제, 피막이나 박막 형성용 기재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약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Gly: 글리신
His: 히스티딘
HBTU: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메트라메틸우로늄-헥사풀루오로포스페이트(Watanabe Chemical Industries, Ltd.)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Peptide Institute, Inc.)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NMP: N-메틸-2-피롤리돈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Tokyo Chemical Industry Co. , Ltd.)
TFA: 트리풀루오로아세트산(Watanabe Chemical Industries, Ltd.)
TIS: 트리이소프로필실란(Watanabe Chemical Industries, Ltd.)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WSCD: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또한, 「Me」는 메틸기, 「Et」는 에틸기, 「tBu」는 제3 부틸기, 「Ac」는 아세틸기, 「Trt」는 트리틸기(보호기)를 각각 나타낸다.
[지질 펩티드의 합성]
지질 펩티드는, 이하에 나타내는 Fmoc고상 펩티드 합성법의 순서에 따라 합성하였다. 수지는 주로 아미노산-Barlos Resin을 이용하였다. 합성 스케일은 0.3mmol로 행하였다.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6
[합성예 1: N-팔미토일-Gly-His 트리풀루오로아세트산(TFA)염의 고상 합성]
펩티드 합성장치에 H-His(Trt)-Trt(2-Cl)수지(Watanabe Chemical Industries, Ltd.) 163mg(0.125mmol, 0.77mmol/g)을 계량한 반응용기를 장착하고, Fmoc-Gly-OH(Watanabe Chemical Industries, Ltd.) 149mg(4eq)을 Fmoc법으로 축합시켜, H-Gly-His(Trt)-Trt(2-Cl)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펩티드 수지를 습윤인 채로 수동 반응장치에 옮겨, 팔미트산(Aldrich사 제) 160mg(5eq), HOBt 85mg(5eq), HBTU 235mg(5eq), DMF 1ml, NMP 2ml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추가로 DIPEA 0.22ml를 첨가하였다. 1시간 교반한 후에 소량의 수지를 샘플링하여 반응 완결을 확인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분리한 후, 수지를 NMP, 메탄올로 순차 세정하고, 감압 하에 건조하여 N-팔미토일-Gly-His(Trt)-Trt(2-Cl) 수지 187mg을 얻었다.
건조수지 전체량을 TFA-TIS-물(95:2.5:2.5) 1.8ml로 처리하여, 얻어진 37mg의 조(crude)펩티드를 ODS 컬럼을 사용하는 분취 HPLC장치를 이용해 정제하였다. 목적으로 하는 순도의 용출 분획액을 모아 아세토니트릴을 정지시켜 제거하고, 동결 건조를 거쳐, N-팔미토일-Gly-His(TFA염) 32mg을 얻었다.
·1H NMR(300MHz DMSO-d6 δppm): 8.93(1H,s), 8.22(1H,d,J=8.4Hz), 8.05(1H,t,J=6.3Hz), 7.35(1H,s), 4.54(1H,m), 3.65(2H,d=5.7Hz), 3.14(1H,m), 2.99(1H,m), 2.10(2H,t,J=7.5Hz), 1.47(2H,m), 1.23(24H,s), 0.85(3H,t,J=6.6Hz). ·MS(EI)m/z: 451.4(M++1)
·HPLC 정제 조건:
컬럼: YMC-Pack ODS-A (250×20mm I.D.)
유속: 10ml/min
용출: MeCN/0.1%TFAaq.
=45/55-(80min,liner gradient)-65/35
검출파장: 220nm
온도: 실온
[합성예 2: N-팔미토일-Gly-His TFA염의 액상 합성]
<N-팔미토일-Gly-OtBu의 합성>
Gly-tBu·HCl(8.82g, 52.6mmol), 염화팔미토일(15.2ml, 50.1mmol)을 클로로포름 200ml에 용해하고, 빙냉하 교반하여 그 안에 트리에틸아민(14.6ml, 105mmol)을 10분간 적하한 후, 서서히 실온으로 되돌려 15시간 교반하였다. 물을 넣어 분액한 후,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농축후, 잔사를 헥산으로 세정하고,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목적 화합물을 무색고체로서 17.4g(94%)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8.09(1H,t,J=6.3Hz), 3.67(2H,d,J=6.3Hz), 2.09(2H,t,J=7.8Hz), 1.48(2H,m), 1.39(9H,s), 1.23(24H,brs), 0.85(3H,t,J=6.9Hz).
·MS(EI)m/z: 314.3(M+-Boc+H)
<N-팔미토일-Gly의 합성>
N-팔미토일-Gly-OtBu(17.4g, 47.1mmol)에, 4M HCl/AcOEt(118ml, 0.471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후, 잔사를 헥산으로 세정하고,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목적 화합물을 무색분말로서 11.4g(77%)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12.43(1H,brs), 8.07(1H,t,J=6.0Hz), 3.70(2H,d,J=5.7Hz), 2.09(2H,t,J=7.8Hz), 1.47(2H,m), 1.23(24H,brs), 0.85(3H,t,J=6.9Hz).
<N-팔미토일-Gly-His(Trt)-OtBu의 합성>
N-팔미토일-Gly(10.0g, 31.9mmol)에, His(Trt)-OtBu(15.0g, 33.1mmol), HOBt·H2O(5.13g, 33.5mmol)을 첨가하여, 빙냉하 교반하고, 추가로 WSCD·HCl(6.42g, 33.5mmol)을 첨가하여, 빙냉하에서 30분간, 다시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물(500ml), 아세트산에틸(400ml)을 첨가하여 분액하고, 물층을 아세트산에틸(2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중조수(탄산수), 포화식염수, 10% 구연산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질로서 28.1g(118%)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7.77(1H,d,J=7.8Hz), 7.35-7.29(10H,m), 7.13-7.07(6H,m), 6.64-6.58(2H,m), 4.67(1H,m), 3.98(2H,m), 2.98(2H,m), 2.22(2H,m), 1.61(2H,m), 1.34(9H,s), 1.25(24H,brs), 0.87(3H,t,J=6.6Hz).
<N-팔미토일-Gly-His TFA염의 합성>
N-팔미토일-Gly-His(Trt)-OtBu(23.0g, 30.8mmol)을 빙냉하, TFA(206ml)-TIS(10.8ml)-H2O(10.8ml) 혼합물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후, 디이소프로필에테르, 그 다음, 디에틸에테르 세정한 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것을, TFA(35ml)-디에틸에테르(800ml)로 재침전하고, 감압 하에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16.2g(93%)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8.96(1H,s), 8.21(1H,d,J=8.4Hz), 8.04(1H,t,J=6.0Hz), 7.36(1H,s,), 4.57-4.50(1H,m), 3.65(2H,d=6,3Hz), 3.14(1H,m), 2.99(1H,m), 2.10(2H,t,J=7.5Hz), 1.47(2H,m), 1.23(24H,s), 0.85(3H,t,J=6.6Hz).
·MS(EI)m/z: 451.4(M++1)
[합성예 3: N-팔미토일-Gly-His TFA염의 무보호 합성법]
Figure 112011080738776-pct00007
<N-팔미토일옥시-숙신산이미드의 합성>
염화팔미토일(165ml, 0.544mol)의 클로로포름 1L 용액에, 빙냉 교반하, N-하이드록시 숙신산 이미드(69.8g, 0.598mol)를 소량씩 넣은 후, 트리에틸아민(83.1ml, 0.598mol)을 30분간 적하한 후, 30분간 빙냉하에서 교반하고, 서서히 실온으로 되돌려 7시간 교반하였다. 물(500ml×3)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여, 무색고체 260.3g(quant)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2.80(4H,s), 2.65(2H,t,J=7.2Hz), 1.61(2H,quintet,J=7.2Hz), 1.24(24H,s), 0.85(3H,t,J=6.3Hz).
<N-팔미토일-Gly의 합성>
상기에서 합성한 N-팔미토일옥시-숙신산이미드 전체량(260.3g)을 DMF 750ml에 현탁시켜, 빙냉 교반하, 물 250ml에 Gly(56.3g, 0.750mol)와 트리에틸아민(83.2ml, 0.598mol)을 용해시킨 것을 적하하고, 추가로 30분간 빙냉하 교반한 후, 서서히 실온으로 되돌려 15시간 교반하였다. 6N 염산 100ml를 물 1L에 용해하여 조제한 pH3의 수용액을 빙냉하에서 교반하고, 그 안에, 앞서 언급한 N-팔미토일옥시-숙신산이미드를 포함하는 반응용액을 적하함으로써 석출시킨 고체를 여과하였다. 이것을 물 2L, 그 다음 헥산 1L으로 세정한 후 회수하여, 목적 화합물 114g(67%)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8.10(1H,t,J=6Hz), 3.71(2H,d,J=6Hz), 2.10(2H,t,J=7.2Hz), 1.48(2H,m), 1.23(24H,s), 0.85(3H,t,J=6.3Hz).
<N-팔미토일옥시-글리실옥시숙신산이미드의 합성>
상기에서 합성한 N-팔미토일-Gly 114g(0.364mol), N-하이드록시 숙신산 이미드(44.0g, 0.382mol)를 DMF 620ml에 현탁시켜 빙냉하에 교반하고, 그 안에 WSCD의 염산염(73.2g, 0.382mol)을 첨가하여, 빙냉하에서 30분간, 추가로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얼음물 1.5L를 넣어 불용물을 여과하고, 5L의 물로 세정하고, 다시 1.5L의 에테르로 세정한 후, 얻어진 고형물을 감압하 건조하여, 무색고체 198g을 정량적으로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8.46(1H,t,J=5.7Hz), 4.22(2H,d,J=5.7Hz), 2.89(4H,s), 2.13(2H,t,J=7.2Hz), 1.49(2H,m), 1.23(24H,s), 0.85(3H,t,J=6.3Hz).
<N-팔미토일-Gly-HisTFA염의 합성>
상기에서 합성한 N-팔미토일옥시-글리실옥시 숙신산 이미드 전체량 198g을 DMF에 현탁시켜, 빙냉 교반하, 물 350ml에 L-히스티딘 113g(0.728mol)과 트리에틸아민 55.6ml(0.400mol)을 현탁시킨 것을 넣었다. 그 후, 빙냉하에서 30분간 교반 후, 실온으로 승온시켜 추가로 17시간 교반하였다. 석출되고 있는 고체를 그대로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다. 이것을 트리풀루오로아세트산 120m와 얼음물 1.5L를 혼합시킨 용액에 넣어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해, 얻어진 고체를 저그(jug)에 따라, 물 2L로 세정을 3회 행한 후,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얻어진 건조 고체를 트리풀루오로아세트산 400ml에 녹이고, 멤브레인 필터로 소량의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여액을 절반 정도 감압 농축 후,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하고, 고체를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이 고체를, 적당 횟수로 물 세정하여, 얻어진 고체를 감압 하에 건조하여, 무색고체 112g(54%)을 얻었다.
[합성예 4: N-팔미토일-Gly-His(자유 형태(free form)의 합성]
실시예 3의 합성중간체인 N-팔미토일옥시-글리실옥시 숙신산 이미드 2.0g(4.86mmol)에 DMF 175mL를 넣고, 얼음 조를 통해 냉각시켰다. 그 후, 물 45mL, 트리에틸아민 0.74mL(5.46mmol, 1.1eq), H-L-His-OH 1.50g(9.72mmol,2.0eq)을 넣어,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자연 승온시켜, 실온에서 23.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겔상)을 원심분리(4℃, 10,000rpm, 15분간)하여, 동결 건조를 행하였다(7시간×2). 상등액을 제거한 겔상의 생성물을 메탄올 350mL에 용해하고, 불용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A)액으로 하였다.
한편, 원심분리 후의 상등액(DMF/물층)을 냉장고에서 15시간 냉각하고, 원심분리(4℃, 10,000rpm, 25분간)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동결 건조를 행하였다(7시간×3). 그 후, 메탄올 250mL에 용해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B)액으로 하였다.
(A)액에 (B)액을 넣고, 감압 농축하여, 클로로포름 150mL, 물 150mL로 세정하여, 백색 고체 698.3mg(32%)을 얻었다.
·1H-NMR(300MHz DMSO-d6 δppm): 8.12(1H,d,J=7.8Hz), 8.06(1H,t,J=5.7Hz), 7.56(1H,s), 6.81(1H,s), 4.38(1H,q,J=7.8Hz), 3.69(2H,dd,J=5.7Hz and J=10.2Hz), 2.89(2H,m), 2.20(2H,t,J=6.9Hz), 1.48(2H,m), 1.23(24H,s), 0.85(3H,t,J=7.2Hz)
·MS(EI)m/z: 451.43(M++1,bp)
[합성예 5: N-팔미토일-Gly-His TFA염의 중화에 의한 자유 형태 합성]
N-팔미토일-Gly-His의 트리풀루오로아세트산염 500mg을 샘플병에 계량하고, 그 안에 milli-Q수를 10ml 넣은 뒤, 0.05M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7.7ml를 넣어 혼합하였다. 이것을 90℃의 탕욕(hot-water bath)에 담궈, 가볍게 진동시키면서 완전히 용해시키고, 방랭 후, 동결 건조시켜 얻은 고체를 물로 적당 횟수 세정한 후 감압하에 건조시켜 중화체 399g을 정량적으로 얻었다.
[실시예 1: 1%(w/v) 인산완충액(1)]
상기 합성예 2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TFA염(250.1mg)을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1%(w/v)(w는 질량(g), v는 부피(mL)를 의미한다.)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완충액(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 phosphate buffer powder, 1/15mol/L, pH=7.4, 조성: Na2HPO4 7.6g,KH2PO4 1.8g/L)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스프레이 바이알)을 도치시켜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겔을, 10분간, 마이크로 튜브 믹서(Nissinrika Ltd. 제)로 2,600rpm로 진동시켜 졸을 얻었다(겔을 기계적으로 붕괴시켜 졸로 하였다.).
[실시예 3: 0.5%(w/v) 초순수(1)]
상기 합성예 2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TFA염(232.3mg)을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0.5%(w/v)의 농도가 되도록 초순수(Kurita Water Industries Ltd. 제)를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겔을, 10분간, 마이크로 튜브 믹서(Nissinrika Ltd. 제)로 2,600rpm로 진동시켜, 졸을 얻었다(겔을 기계적으로 붕괴시켜 졸로 하였다.).
[실시예 5: 3%(w/v) 에탄올 수용액(70%(v/v))]
상기 합성예 2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TFA염(300.0mg)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넣고, 3%(w/v) 농도가 되도록, 70%(v/v)에탄올(EtOH) 수용액을 넣어 1시간 사니케이션(Iuchi Seieido Co. , Ltd. (현재 AS ONE Corporation)제 38kHz, 200w)한 후, 하룻밤 실온 정치(靜置)시켰다.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겔을, 10분간, 마이크로 튜브 믹서(Nissinrika Ltd. 제)로 2,600rpm으로 진동시켜 졸을 얻었다(겔을 기계적으로 붕괴시켜 졸로 하였다.).
[실시예 7: 0.1%(w/v) 글리세린 수용액(70%(w/w))]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10.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0.1%(w/v) 농도가 되도록 70%(w/w) 글리세린 수용액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95℃, 3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8: 0.1%(w/v) 글리세린 수용액(50%(w/w))]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20.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0.1%(w/v) 농도가 되도록 50%(w/w) 글리세린 수용액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95℃, 3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9: 0.25%(w/v)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70%(w/w))]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19.9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0.25%(w/v) 농도가 되도록 70%(w/w)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75℃,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0: 2%(w/v) 1,3-부탄디올 수용액(70%(w/w))]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15.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2%(w/v) 농도가 되도록 70%(w/w) 1,3-부탄디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95℃, 3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1: 0.5%(w/v) 에탄올 수용액(50%(w/w))]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50.2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0.5%(w/v) 농도가 되도록 50%(w/w)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3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2: 2%(w/v) 에탄올 수용액(50%(w/w))]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20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2%(w/v) 농도가 되도록 50%(w/w)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3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3: 1%(w/v) 초순수(2)]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50.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1%(w/v) 농도가 되도록 초순수(Kurita Water Industries Ltd. 제)를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10℃,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4: 2%(w/v) 초순수(3)]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10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2%(w/v) 농도가 되도록 초순수(Kurita Water Industries Ltd. 제)를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10℃,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5: 1%(w/v) 인산완충액(2)]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50.4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7)에 넣고, 1%(w/v)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완충액(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 phosphate buffer powder, 1/15mol/L, pH=7.4, 조성: Na2HPO4 7.6g,KH2PO4 1.8g/L)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5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6: 0.25%(w/v)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65%(w/w))(유산·유산칼륨 첨가)]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25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 7)에 넣고, 0.25%(w/v) 농도가 되도록 65%(w/w)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넣고, 또 용해액 전체에 대하여 5%(w/w) 농도가 되도록 유산칼륨: 유산(95:5(중량비))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75℃, 10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7: 0.2%(w/v)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65%(w/w))(유산·유산칼륨 첨가)]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N-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80mg)를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 No.7)에 넣고, 0.2%(w/v) 농도가 되도록 65%(w/w)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넣고, 다시 용해액 전체에 대하여 5%(w/w) 농도가 되도록 유산칼륨: 유산(95:5(중량비))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93℃, 5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방랭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8: 0.3%(w/w) N-팔미토일-Gly-Gly-Gly-His TFA염(초순수)]
국제공개 제2009/005151호 팜플렛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하여, N-팔미토일-Gly-Gly-Gly-His TFA염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N-팔미토일-Gly-Gly-Gly-His TFA염(81.6mg)을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No. 7)에 넣고, 0.3%(w/v)의 농도가 되도록 초순수(Kurita Water Industries Ltd. 제)를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9: 0.3%(w/w) N-팔미토일-Gly-Gly-Gly-His TFA염(인산완충액)]
상기 서술한 국제공개 제2009/005151호 공개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하여 합성한, N-팔미토일-Gly-Gly-Gly-His TFA염(81.6mg)을 스크류관(Maruemu CorporationNo. 7)에 넣고, 0.3%(w/v)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 phosphate buffer powder, 1/15mol/L, pH=7.4, 조성: Na2HPO4 7.6g,KH2PO4 1.8g/L)을 첨가하고,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가열(100℃, 10분간)하여, 얻어진 용해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방랭 후,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비교예 1: 1.5%(w/v) 셀룰로오스겔]
투명 셀룰로오스겔인 셀로데인4M(셀룰로오스겔 4wt%, Dai-ichi Kogyo Seiyaku Co. , Ltd. 제) 100g에 166g의 일본국방수(일본국방에서 규정한 물)를 넣어 1.5%(w/v)의 셀롤로오스수 분산체로 하고, 이것을 교반장치 T. K. Mixing Analyzer MA2500(PRIMIX Corporation)를 이용해, 5,000rpm, 240분간 교반하고, 실온 정치시켰다.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겔화되었다고 판정하였다.
[비교예 2: 2%(w/v)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카르복시 비닐폴리머인 CARBOPOL 940(ITO Corporation 제) 0.252g에, 2%(w/v)의 농도가 되도록 일본국방수를 넣은 후, 용해될 때까지 수욕 중에서 온도를 올려, 실온 정치하여 겔화시킴으로써, 겔화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3: 0.15%(w/v)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카르복시 비닐폴리머인 CARBOPOL 940(ITO Corporation 제) 0.252g에, 2%(w/v) 농도가 되도록 일본국방수를 넣은 후, 용해될 때까지 수욕 중에서 온도를 올려, 6N NaOH 15㎕를 넣고, 실온 정치하여 겔화시킴으로써, 겔화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4: 1.5%(w/v) 크산탄검]
크산탄검(Tokyo Chemical Industry Co. , Ltd. 제) 0.725g에, 1.5%(w/v) 농도가 되도록 일본국방수를 넣은 후, 용해될 때까지 수욕 중에서 온도를 올려, 실온 정치하여 겔화시킴으로써, 겔화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5: 1%(w/v) 한천]
한천(Asahi Co. , Ltd. 제) 1.0g에, 1%(w/v) 농도가 되도록 일본국방수를 넣은 후, 용해될 때까지 수욕 중에서 온도를 올리고, 실온 정치하여 겔화시킴으로써, 겔화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6: 70%(w/w) 글리세린]
글리세린(Junsei Chemical Co. , Ltd. 제) 3.0g에, 70%(w/w) 농도가 되도록 초순수(Kurita Water Industries Ltd. 제)를 넣고, 골고루 섞었다.
[스프레이 도포성의 평가(1): 실시예 20~27, 비교예 7~11]
상기 실시예 1~6, 그리고 실시예 18 및 19,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겔 또는 졸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도포를 행하였다.
상기 겔 또는 졸을 넣은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을, 상기 스프레이 바이알의 노즐 선단으로부터 5cm의 거리에 놓은 유리판(5cm×5cm)의 중심을 향해 연속 3회 스프레이 하였다(도 1). 30초간 관찰한 후, 유리 위의 스프레이물의 장경, 단경 및 액 흘림의 길이를 계측하고, 장경 + 단경으로부터 평균직경을 산출하여 스프레이 도포성의 지표로 삼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스프레이 도포 평가(1)
No. 사용 겔/졸 평균직경(mm) 액 흘림(mm)
겔화제※1 용매 첨가량※2 상태
실시예 20 실시예 1 N-팔미토일-Gly-His 인산완충액 1 28 0
21 2 N-팔미토일-Gly-His 인산완충액 1 33.5 0
22 3 N-팔미토일-Gly-His 초순수 0.5 29 0
23 4 N-팔미토일-Gly-His 초순수 0.5 37 0
24 5 N-팔미토일-Gly-His 70%(v/v)에탄올 수용액 3 30 0
25 6 N-팔미토일-Gly-His 70%(v/v)에탄올 수용액 3 43.3 0
26 18 N-팔미토일-Gly-Gly-Gly-His 초순수 0.3 26.0 17.0
27 19 N-팔미토일-Gly-Gly-Gly-His 인산완충액 0.3 25.8 0
비교예 7 비교예 1 셀룰로오스겔 초순수 1.5 27 0
8 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초순수 1 7 0
9 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초순수-NaOH 0.15 18.5 0
10 4 잔탄검 초순수 1.5 11.8 9.5
11 5 한천 초순수 1 - -
※1 실시예 20~25에서 사용한 N-팔미토일-Gly-His 및 실시예 26 및 27에서 사용한 N-팔미토일-Gly-Gly-Gly-His는 모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이다.
※2 첨가량:(w/v)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 시험에서, 70% 에탄올수를 사용하여 형성한 3%(w/v) 농도의 N-팔미토일-Gly-His(TFA염)의 겔 또는 졸(실시예 24, 실시예 25), 인산 완충액을 사용하여 형성한 1%(w/v) 농도의 N-팔미토일-Gly-His(TFA염)의 겔 또는 졸(실시예 20, 실시예 21) 및, 초순수를 이용하여 형성한 0.5%(w/v) 농도의 N-팔미토일-Gly-His(TFA염)의 겔 또는 졸(실시예 22, 실시예 23)은, 겔 상태여도, 졸화시킨 상태여도, 액 흘림 없이 스프레이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초순수(실시예 26) 및 인산완충액(실시예 27)을 사용하여 형성한 N-팔미토일-Gly-Gly-Gly-His·TFA염의 겔도 겔 상태로 스프레이가 가능하였다.
또한, 스프레이물의 평균 직경은, 셀룰로오스겔을 사용한 비교예 7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퍼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동등 이상의 효과를 얻었다.
한편, 2%(w/v) 농도의 카르복시 비닐폴리머를 함유하는 겔 및 0.15%(w/v) 농도의 카르복시 비닐폴리머(중화체)를 함유하는 겔을 사용한 스프레이물(비교예 8 및 비교예 9)의 경우, 액 흘림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스프레이 분사가 막대형상이 되었고, 스프레이물의 퍼짐이 작았다.
또한, 1.5%(w/v) 농도의 잔탄검을 함유하는 겔을 사용한 스프레이물(비교예 10)은, 스프레이 분사가 막대형상이어서 스프레이물의 퍼짐이 작았고, 액 흘림도 보였으며, 1%(w/v) 농도의 한천을 갖는 겔(비교예 11)은 스프레이 분사가 불가능하였다.
[스프레이 도포성의 평가(2): 실시예 28~38, 비교예 12~14]
상기 실시예 7~17 및 비교예 1, 3 및 6에서 얻어진 겔 또는 용액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도포를 행하였다.
상기 겔 또는 용액을 넣은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을, 상기 스프레이 바이알의 노즐 선단으로부터 3.5cm의 거리에 놓은 유리판(5cm×5cm)의 중심을 향해 연속 2회 스프레이 하였다(도 1). 30초간 관찰한 후, 유리 위의 스프레이물의 장경, 단경 및 액 흘림의 길이를 계측하고, 장경 + 단경으로부터 평균 직경을 산출하여 스프레이 도포성의 지표로 삼았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스프레이 도포 평가(2)
No. 사용 겔/졸 평균직경(mm) 액 흘림(mm)
겔화제※1 용매 첨가량※2 상태
실시예 28 실시예 7 N-팔미토일-Gly-His 70%(w/w) 글리세린수 0.1 21.0 0
29 8 N-팔미토일-Gly-His 50%(w/w) 글리세린수 0.1 28.3 0
30 9 N-팔미토일-Gly-His 70%(w/w) PG 수 0.25 25.0 0
31 10 N-팔미토일-Gly-His 70%(w/w) 1,3-BD 수 0.2 21.3 0
32 11 N-팔미토일-Gly-His 50%(w/w) EtOH 수 0.5 31.8 0
33 12 N-팔미토일-Gly-His 50%(w/w) EtOH 수 2 31.3 0
34 13 N-팔미토일-Gly-His 초순수 1 26.8 0
35 14 N-팔미토일-Gly-His 초순수 2 28.0 0
36 15 N-팔미토일-Gly-His 인산완충액 1 24.8 0
37 16 N-팔미토일-Gly-His 65%(w/w) PG 수
5%((유산K:유산)※3
0.25 23.0 0
38 17 N-팔미토일-Gly-His 65%(w/w) PG 수
5%((유산K:유산)※3
0.2 26.3 0
비교예 12 비교예 1 셀룰로오스겔 초순수 1.5 23.8 0
13 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초순수+NaOH 0.15 13.8 0
14 6 - 70%글리세린수 - 용액 34.5 15
※1 실시예 28~38에서 사용한 N-팔미토일-Gly-His는 모두 자유 형태이다.
※2 첨가량:(w/v)
※3 65(w/w) 프로필렌글리콜, 물, 5%(w/w(용액전체 대하여)) 유산칼륨:유산(95:5(중량비))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 시험에서, 글리세린 수용액,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1,3-부탄디올 수용액, 에탄올 수용액, 초순수, 인산완충액을 사용하여 형성한 N-팔미토일-Gly-His(자유 형태)의 겔(실시예 28~실시예 36)은, 액 흘림 없이 퍼짐이 있는 스프레이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유산 칼륨 및 유산을 혼입한 N-팔미토일-Gly-His(자유 형태)의 겔(실시예 37 및 38)또한 마찬가지로 액 흘림 없이 퍼짐이 있는 스프레이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이들 스프레이물의 평균 직경은, 셀룰로오스겔을 사용한 비교예 12과 동일한 정도로 퍼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었다.
한편,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만든 수용액(비교예 13), 그리고, N-팔미토일-Gly-Gly-Gly-His를 사용한 겔(비교예 14)은 액 흘림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9: 인도메타신 포접 겔]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어진 N-팔미토일-Gly-His TFA염(300mg)에 인도메타신액[인도메타신(Tokyo Chemical Industry Co. , Ltd. 제) 0.375g, l-멘톨(Junsei Chemical Co. , Ltd. 제) 1.5g, 50% 염화벤잘코늄(Junsei Chemical Co. , Ltd. 제) 0.005ml, 프로필렌글리콜(Junsei Chemical Co. , Ltd. 제) 5ml, 에탄올 40ml] 8ml를 마노(agate)로 만든 모르타르(mortar) 상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현탁한 후, 물(일본약국방수)(Kyoei Pharmaceutical Co. ,Ltd. 제))를 2ml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해, 3%(w/v)-N-팔미토일-Gly-His TFA염 함유액을 작성하였다. 이 용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하룻밤 실온 정치하여 겔화시켰다. 또한, 겔화의 판정은,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행하였다.
[실시예 40: 인도메타신 포접 겔]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어진 N-팔미토일-Gly-His TFA염(300mg)에 인도메타신액[인도메타신(Tokyo Chemical Industry Co. , Ltd. 제) 0.375g, l-멘톨(Junsei Chemical Co. , Ltd. 제) 1.5g, 50% 염화벤잘코늄(Junsei Chemical Co. , Ltd. 제) 0.005ml, 프로필렌글리콜(Junsei Chemical Co. , Ltd. 제) 5ml, 에탄올 40ml] 7ml를 마노로 만든 모르타르 상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현탁한 후, 물(일본약국방수수(Kyoei Pharmaceutical Co. ,Ltd. 제))를 3ml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해, 3%(w/v)-N-팔미토일-Gly-His TFA염 함유액을 작성하였다. 이 용액을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No. 3L)에 옮겨, 하룻밤 실온 정치하여 겔화시켰다. 또한, 겔화의 판정은, 용액의 유동성이 사라져서, 샘플관을 도치해도 용액이 흘러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행하였다.
[비교예 15]
셀로데인 M4(셀룰로오스겔 4wt%, Dai-ichi Kogyo Seiyaku Co. , Ltd. 제) 3g에, 상기 서술한 인도메타신액 7ml 또는 같은 량의 물(일본약국방수(Kyoei Pharmaceutical Co. ,Ltd. 제))을 첨가하여, 90분간 교반을 행하였다. 교반은, IKA ULTR TURRAX 교반장치 및 ST20 교반튜브를 이용하여, 4,000rpm으로 행하고, 가열은, 드라이·배스·인큐베이터(First Gene사 제)에서 행하였다.
셀로데인 M4는, 인도메타신액과의 혼합으로 인해, 겔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스프레이 도포성의 평가: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상기 실시예 39 및 실시예 40에서 얻어진 겔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도포를 행하였다.
상기 겔을 넣은 스프레이 바이알(Maruemu Corporation, 3L)을, 상기 스프레이 바이알의 노즐 선단으로부터 5cm의 거리에 놓은 유리판(5cm×5cm)의 중심을 향해 연속 3회 스프레이 하였다(도 1). 30초간 관찰한 후, 유리 위의 스프레이물의 장경, 단경 및 액 흘림의 길이를 계측하고, 장경 + 단경으로부터 평균직경을 산출하여 스프레이 도포성의 지표로 삼았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인도메타신 포접 겔의 스프레이 평가
사용겔/인도메타신 액량 평균 직경(mm) 액 흘림(mm)
겔화제※1 첨가량※2 인도메타신 액량
실시예 41 실시예 39 N-팔미토일-Gly-His 3 7ml 45.0 0
실시예 42 실시예 40 N-팔미토일-Gly-His 3 8ml 44.2 0
※1 실시예 41 및 42에서 사용한 N-팔미토일-Gly-His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이다.
※2 첨가량:(w/v)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도메타신을 포접시킨 3%(w/v) 농도의 팔미토일-Gly-His( 자유 형태)의 겔(실시예 35, 36)은, 액 흘림 없이 스프레이화가 가능하였다.

Claims (23)

  1.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로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이, 식(1)
    Figure 112017000848978-pct00013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이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된 수성 매체 중의 상기 저분자 화합물의 농도가 0.0001~20%(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은, 소수성 부위와 친수성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R3이 -(CH2)n-X기이고, n이 1 내지 4의 수이며,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R1이 불포화 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 내지 21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R2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n이 1 내지 4의 수이면서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또는 -CONH2기이거나, 또는, n이 1이면서 X가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이미다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생리활성 물질 또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11.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박막으로서,
    상기 저분자 화합물이, 식(1)
    Figure 112017000848978-pct00014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집합화의 형태가, 섬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13. 제 1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프레이용 기재를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작방법.
  14. 매체 중의 저분자 겔화제에 의해 겔화된 수성 매체를 기계적으로 붕괴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졸로서, 상기 저분자 겔화제는 자기 집합화를 통해 수성 매체를 겔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저분자 화합물이, 식(1)
    Figure 112017000848978-pct00015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
  15. 제 14항의 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R3이 -(CH2)n-X기이고, n이 1 내지 4의 수이며,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CONH2기, 또는 질소 원자를 1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R1이 불포화 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 내지 21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R2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식(1) 중, n이 1 내지 4의 수이면서 X가 아미노기, 구아니딘기 또는 -CONH2기이거나, 또는, n이 1이면서 X가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이미다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기재.
  21. 제 14항에 기재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수성 매체를 함유하는 졸.
  22. 제 21항에 기재된 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기재.
  23. 삭제
KR1020117024364A 2009-03-16 2010-03-12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 KR101736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3039 2009-03-16
JP2009063039 2009-03-16
JPJP-P-2009-147073 2009-06-19
JP2009147073 2009-06-19
PCT/JP2010/054231 WO2010106981A1 (ja) 2009-03-16 2010-03-12 低分子ゲル化剤からなるスプレー用基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279A KR20110127279A (ko) 2011-11-24
KR101736169B1 true KR101736169B1 (ko) 2017-05-16

Family

ID=4273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64A KR101736169B1 (ko) 2009-03-16 2010-03-12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33158B2 (ko)
EP (1) EP2410031B1 (ko)
JP (1) JP5587290B2 (ko)
KR (1) KR101736169B1 (ko)
CN (1) CN102361951B (ko)
TW (1) TWI504737B (ko)
WO (1) WO2010106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0071B2 (ja) * 2008-08-01 2014-05-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脂質ジペプチド並びにゲル
JP5664865B2 (ja) * 2011-03-07 2015-02-0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ゲル電解質
JP5971487B2 (ja) * 2011-03-31 2016-08-17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の製造方法、化粧料用ゲルの調製方法及び化粧料原料に配合される高分子増粘剤の使用量を軽減する方法
US9328137B2 (en) * 2011-04-22 2016-05-03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Hydrogel-forming material
CN103649047B (zh) * 2011-06-02 2017-01-11 奇诺因私人有限公司 用于制备前列腺素酰胺的方法
EP3296013A1 (en) * 2012-06-25 2018-03-21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Dispersion and method for forming hydrogel
TWI586736B (zh) * 2012-09-18 2017-06-11 日產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水凝膠形成性組成物及藉此所製作之水凝膠
EP2905016A4 (en) * 2012-10-03 2016-04-06 Nissan Chemical Ind Ltd HYDROGEL-BUILDING MATERIAL
WO2014054702A1 (ja) * 2012-10-03 2014-04-1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ヒドロゲル形成材料、プレミックス及びヒドロゲル形成方法
JP6004433B2 (ja) * 2012-11-22 2016-10-0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ゲル生成化合物ならびにその分子集合体の製造方法
CN104955440A (zh) 2012-12-04 2015-09-30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化妆料用添加剂及配合有该化妆料用添加剂的化妆料
KR20220016301A (ko) * 2013-12-25 2022-02-08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
WO2015174500A1 (ja) * 2014-05-15 2015-11-1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増粘性組成物
EP3311797B1 (en) * 2015-06-24 2020-02-26 Nissan Chemical Corporation Stick-shaped substrate containing lipid-peptide-type compound
CN106540339B (zh) * 2016-11-03 2019-04-09 东南大学 一种脂肽自组装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805249A4 (en) * 2018-06-04 2022-04-27 Suzhou Oulit Biopharm Co., Ltd. NEW SELF-ASSEMBLED SUPRAMOLECULAR AMINO ACID POLYMER,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
KR20210018331A (ko) 2018-06-04 2021-02-17 쑤저우 아우릿 바이오팜 컴퍼니 리미티드 아미노산 자기조립 초분자 중합체 및 그의 제조와 응용
WO2020004649A1 (ja) * 2018-06-29 2020-01-02 日産化学株式会社 被膜形成組成物
JP2024042716A (ja) * 2021-02-05 2024-03-29 日産化学株式会社 布類又は紙類汚染防止材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151A1 (ja) *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ペプチド並びにヒドロゲ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0332B1 (en) * 1991-02-19 1998-05-27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Novel acylamino acid compounds and a method for their production
JPH09241115A (ja) 1996-03-05 1997-09-16 Sunstar Inc ゲル状ミスト化粧料及びこれに用いるゲル状組成物
JP3406842B2 (ja) 1998-08-06 2003-05-19 株式会社エー・アイ・システムプロダクト ゲル状物質及びスプレー装置
JP4265018B2 (ja) 1999-02-05 2009-05-20 凸版印刷株式会社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JP2000351726A (ja) 1999-06-08 2000-12-19 Lion Corp エアゾール製剤
JP2001072999A (ja) 1999-09-07 2001-03-21 Shoowa Kk 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対象物の外面洗浄剤
JP2001089359A (ja) 1999-09-24 2001-04-03 Toko Yakuhin Kogyo Kk 鎮痛成分の点鼻用ゲルまたはゾル製剤
JP2003147333A (ja) * 2001-11-16 2003-05-21 Metallic Clean Shikishima Kk 酸化物除去剤を含む水溶液のゲル化剤の発明及び製造方法。
FR2836042B1 (fr) * 2002-02-15 2004-04-02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pour diminuer les poches et cernes sous les yeux
EP1879606B1 (en) 2005-04-25 2013-06-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lf-assembling peptides for promoting hemostasis
ATE530614T1 (de) 2007-07-05 2011-11-15 Nissan Chemical Ind Ltd Neues hydrogelbildendes mittel auf lipid- tripeptid-basis und hydrogel
WO2009051511A1 (fr) 2007-10-15 2009-04-23 Obschestvo S Ogranichennoy Otvetstvennostyu 'sibbiosa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ncentré sec ou liquide ou de ferment de bifidobactéries
JP5500071B2 (ja) * 2008-08-01 2014-05-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脂質ジペプチド並びにゲ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151A1 (ja) *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ペプチド並びにヒドロゲ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0031A1 (en) 2012-01-25
US9333158B2 (en) 2016-05-10
TWI504737B (zh) 2015-10-21
EP2410031A4 (en) 2014-11-19
WO2010106981A1 (ja) 2010-09-23
CN102361951A (zh) 2012-02-22
US20120035108A1 (en) 2012-02-09
CN102361951B (zh) 2015-07-22
JPWO2010106981A1 (ja) 2012-09-20
KR20110127279A (ko) 2011-11-24
TW201100531A (en) 2011-01-01
EP2410031B1 (en) 2019-04-24
JP5587290B2 (ja)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169B1 (ko)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
JP6065245B2 (ja) 新規ジペプチド並びにゲル
EP2664321B1 (en) Medical instrument and preparation comprising a lipid peptide and gum arabic
KR102158165B1 (ko) 하이드로겔 형성재료, 프리믹스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US9359401B2 (en) Peptide analogues with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and use thereof
JP2008214277A (ja) ジェルスプレー用エアゾール組成物
US20050260275A1 (en) Encapsulated peptide copper complexe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Söpper Development of mucoadhesive carrier systems for flavoring agents and cannabidi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