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144B1 -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144B1
KR101736144B1 KR1020160038072A KR20160038072A KR101736144B1 KR 101736144 B1 KR101736144 B1 KR 101736144B1 KR 1020160038072 A KR1020160038072 A KR 1020160038072A KR 20160038072 A KR20160038072 A KR 20160038072A KR 101736144 B1 KR101736144 B1 KR 10173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urntable
unit
base body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흥테크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흥테크, 박진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흥테크
Priority to KR102016003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5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 B65H2406/351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facing the surface of the hand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는 턴테이블과, 베이스본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패드공급롤에 권취된 패드공급지를 통해 완충패드를 공급하며 패드공급롤로부터의 패드공급지를 패드공급대를 통해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가 분리되게 하고 완충패드가 분리된 패드공급지를 권취 회수하는 패드공급부와,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를 진공흡착구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에 부착시키는 패드부착부와, 베이스본체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에 완충패드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는 패드검사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패드검사부는 턴테이블의 부품거치대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유닛승강판이 구비되고 유닛승강판에는 하단부에 접속단자가 설치된 패드검사유닛이 구비되어 있어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에 접속단자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의 부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A pad automatic attachment machine of a turntable type}
본 발명은 각종 차량이나 트랙터 등의 장비에 장착되는 부품이나 부속물 등의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를 회전되는 턴테이블에 거치하고 일정두께를 지닌 완충패드를 진공흡착하여 부착하면서 완충패드의 부착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는 턴테이블과, 베이스본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패드공급롤에 권취된 패드공급지를 통해 완충패드를 공급하며 패드공급롤로부터의 패드공급지를 패드공급대를 통해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가 분리되게 하고 완충패드가 분리된 패드공급지를 권취 회수하는 패드공급부와,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를 진공흡착구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에 부착시키는 패드부착부와, 베이스본체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에 완충패드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는 패드검사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패드검사부는 턴테이블의 부품거치대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유닛승강판이 구비되고 유닛승강판에는 하단부에 접속단자가 설치된 패드검사유닛이 구비되어 있어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에 접속단자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의 부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이나 트랙터 등의 장비에 장착되는 부품이나 부속물 등의 부품재는 차량 등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부품재의 일정부위에 합성고무재질의 패드를 부착한 상태로 차량 등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형지에 다수개의 패드가 부착된 패드공급롤로부터 패드를 하나씩 떼어내 부품재의 일정부위에 부착시킴으로써 작업공정이 지연되고 인건비가 증가되면서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27032호에서는 테이블 상에 고정되는 Y축 가이드레일; 상기 Y축 가이드레일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X축 가이드레일; 상기 X축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라벨을 공급하는 라벨 공급부; 및 상기 이동체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하부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흡착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흡착패드가 상기 라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라벨이 위치하는 라벨 흡착 위치와 라벨 부착 대상이 위치하는 라벨 부착 위치에 교대로 위치되도록 상기 흡착패드를 좌우로 반복 이송시키는 라벨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부착 장치가 개시되었으며 상기 라벨 부착 장치에 의해 2 이상의 라벨 공급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흡착패드가 라벨 공급 위치와 라벨 흡착 위치를 교호적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1회의 승강 사이클 동안 라벨 흡착과 동시에 라벨 부착 동작을 수행하여 라벨이 신속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라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을 흡착패드로 진공 흡착시키고 수평이송부에 의해 좌우이동되어 라벨 부착 대상물 위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승강작동되면서 라벨을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어 흡착패드가 단순히 좌우 및 상하이동되면서 평면으로 된 라벨 부착 대상물에 라벨을 부착하는 것으로, 흡착패드를 통한 라벨의 진공흡착시 라벨이 얇은 종이재질이 아닌 일정두께를 지닌 합성수지 등의 패드로 이루어진 경우 흡착패드의 진공흡착으로도 라벨이 후지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아 미분리된 상태로 라벨 부착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라벨 부착 대상물에 라벨이 제대로 부착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이 결여되어 있어 작업자가 다시 라벨의 부착여부를 하나씩 확인해야만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본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구동되면서 외곽부분에 복수개의 부품거치대가 설치된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패드공급롤을 통해 패드공급대를 거쳐 수평으로 공급되는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를 패드부착부의 진공흡착구로 진공흡착하여 부품거치대에 거치되어 회전이송되는 부품재에 부착하되, 진공흡착구에 의한 완충패드의 진공흡착시 패드공급대의 타측끝단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된 패드분리판이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완충패드로부터 패드공급지를 떼어내 완충패드가 패드공급지로부터 미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베이스본체의 타측 상부에는 패드검사부를 설치하여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에 패드검사유닛의 접속단자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의 부착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패드 부착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가 설치된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는 턴테이블과, 베이스본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패드공급롤에 권취된 패드공급지를 통해 완충패드를 공급하며 패드공급롤로부터의 패드공급지를 패드공급대를 통해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가 분리되게 하고 완충패드가 분리된 패드공급지를 권취 회수하는 패드공급부와,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를 진공흡착구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에 부착시키는 패드부착부와, 베이스본체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에 완충패드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는 패드검사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패드검사부는 턴테이블의 부품거치대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유닛승강판이 구비되고 유닛승강판에는 하단부에 접속단자가 설치된 패드검사유닛이 구비되어 있어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에 접속단자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의 부착상태를 감지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본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구동되면서 외곽부분에 복수개의 부품거치대가 설치된 턴테이블이 구비되고 패드공급롤을 통해 패드공급대를 거쳐 수평으로 공급되는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가 패드부착부의 진공흡착구에 의해 진공흡착되면서 부품거치대에 거치되어 회전이송되는 부품재에 부착되도록 하되, 진공흡착구에 의한 완충패드의 진공흡착시 패드공급대의 타측끝단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된 패드분리판이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완충패드로부터 패드공급지를 떼어내 완충패드가 패드공급지로부터 미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본체의 타측 상부에는 패드검사부가 설치되어 있어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에 패드검사유닛의 접속단자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의 부착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패드 부착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의 전체 일측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의 전체 타측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의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진공흡착구로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를 진공흡착하는 상태의 배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완충패드를 진공흡착한 진공흡착구가 부품재의 상측으로 좌우이동되는 상태의 배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진공흡착구가 전후이동 및 하강작동되는 상태의 일측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패드공급부의 패드공급대가 설치된 부분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패드공급부의 패드공급대가 설치된 부분의 배면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진공흡착구에 의해 패드공급지의 완충패드가 진공흡착되면서 패드분리판이 하방으로 회전작동되어 완충패드로부터 패드공급지를 떼어내는 상태의 배면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패드검사부가 설치된 부분의 일부 사시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패드검사부가 설치된 부분의 타측면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에서 패드검사부의 패드검사유닛이 하강작동되어 완충패드가 부착된 부분의 부품재에 접속단자가 맞닿아 완충패드의 부착여부가 감지되는 상태의 타측면개략도
도 13은 본 발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턴테이블 패드자동부착장치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1)는 도 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차량이나 트랙터 등의 장비에 장착되는 부품이나 부속물 등의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를 회전되는 턴테이블(10)에 거치하고 일정두께를 지닌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하여 부착하면서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장치로서, 구동모터(5)가 설치된 베이스본체(2)와, 상기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구동모터(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12)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11)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는 턴테이블(10)과, 베이스본체(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롤형태로 권취된 패드공급지(21)를 통해 완충패드(22)를 공급하는 패드공급롤(20)과 패드공급롤(20)로부터의 패드공급지(2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22)가 분리되게 하는 패드공급대(26)가 구비되고 완충패드(22)가 분리된 패드공급지(21)를 권취 회수하는 패드공급부(19)와,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38)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구(38)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부착시키는 패드부착부(37)와, 베이스본체(2)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는 패드검사부(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본체(2)는 도 1 내지 6, 10,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위에 설치되어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직육면체형 케이스형상으로 상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수직상방으로 중심기둥(3)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중심기둥(3)의 상단부에는 상부설치판(4)이 고정설치되며 베이스본체(2)의 상면부에는 턴테이블(10)이 중심기둥(3)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본체(2)의 내측에는 턴테이블(1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5)가 설치되어 있되,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의 축에는 구동풀리(6)가 축설되어 있어 턴테이블(10)의 하부 외주면에 축설된 피동풀리(14)와 벨트나 체인 등으로 된 연결부재(7)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로부터의 구동력이 턴테이블(10)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본체(2)는 상부설치판(4)의 상면부에 제어패널(8)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패널(8)은 통상의 CPU 및 메모리장치,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제어장치로서 전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2)는 상면부 전방 좌우양측에 각각 감지센서봉(9)이 설치되어 있어 턴테이블(10)의 회전구동시 및 패드검사부(46)에서 부품재(11)의 패드부착여부를 감지작동시 작업자가 좌우측 감지센서봉(9) 사이로 손을 넣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과 함께 경광등을 통해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10)은 도 1 내지 6, 10,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가 거치되어 회전이송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구동모터(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12)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11)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턴테이블(10)은 금속재질로 된 원판형상으로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중심축관(13)이 일체로 관통 개재(介在)되어 있고 중심축관(13)의 내측에는 베이스본체(2)에 구비된 중심기둥(3)이 부합되게 관통 삽입되면서 턴테이블(10)이 중심기둥(3)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축관(13)의 하부는 베이스본체(2)의 내측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외주면에는 피동풀리(14)가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구동모터(5)의 축에 축설된 구동풀리(6)와 벨트나 체인 등의 연결부재(7)를 통해 연결되면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10)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관(13)의 하부 외곽부분에 복수개의 감지돌기(1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본체(2)의 내측에는 감지돌기(15)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근접감지센서로 된 턴테이블정지센서(16)가 설치되어 있어 턴테이블(10)의 회전시 감지돌기(15)가 턴테이블정지센서(16)에 근접되어 감지되면 구동모터(5)의 작동이 정지되고 부품거치대(12)가 패드부착부(37)나 패드검사부(46)가 설치된 부분에 정지된 상태로 위치되어 패드부착부(37)에 의한 완충패드(22)의 부착작동과 패드검사부(46)에 의한 완충패드(22)의 검사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제어패널(8)과 연결된 작동스위치(17)를 누름에 따라 구동모터(5)가 작동되어 턴테이블(10)이 다시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10)은 외주면 복수개의 부품거치대(12)가 방사상으로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품거치대(12)는 상면부에 복수개의 안착돌기(18)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가 안착돌기(18) 위에 부합되게 안착되면서 유동방지되어 턴테이블(10)의 회전이송시 부품재(11)가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드공급부(19)는 도 1 내지 6,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패드(22)를 패드부착부(37)에 공급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본체(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패드공급롤(20)에 권취된 패드공급지(21)를 통해 완충패드(22)를 공급하며 패드공급롤(20)로부터의 패드공급지(21)를 패드공급대(26)를 통해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22)가 분리되게 하고 완충패드(22)가 분리된 패드공급지(21)를 권취 회수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패드공급롤(20)은 베이스본체(2)에 구비된 상부설치판(4)의 일측 상면부에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설치된 공급롤거치대(23)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완충패드(22)가 부착된 패드공급지(21)가 롤형태로 권취되어 있어 패드공급롤(20)로부터 완충패드(22)가 풀려나와 베이스본체(2)의 상면부 일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5)를 통해 턴테이블(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거치면서 패드부착부(37)의 진공흡착구(38)에 의해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가 순차적으로 떼어져 분리되고 나머지 이형지부분은 공급지회수롤(28)에 롤형태로 권취되어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완충패드(22)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하면부에 통상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이형지로 된 패드공급지(21)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패드부착부(37)에 의해 부품재(11)의 상면부에 자동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드공급부(19)는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2)의 상면부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롤러설치판(24)이 구비되고 롤러설치판(24)의 일측끝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패드공급롤(20)로부터의 패드공급지(21)가 가이드롤러(25)에 의해 가이드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설치판(24)의 타측 상부에는 수평으로 눕혀진 판형상의 패드공급대(26)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가이드롤러(25)로부터의 패드공급지(21)가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거치면서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고 롤러설치판(24)의 일측 하부에는 패드공급모터(2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는 공급지회수롤(28)이 설치되어 있어 완충패드(22)가 분리된 이형지부분의 패드공급지(21)를 일정길이로 잡아당겨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설치판(24)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하부에 공급지당김롤(29)이 패드공급모터(2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공급지회수롤(28)과 함께 회전작동되게 설치된 공급지당김롤(29)이 구비되어 있고 롤러설치판(24)의 타측끝부분 하부에는 공급지당김롤(29)과 인접되도록 밀착실린더(30)에 의해 좌우이동되게 설치된 밀착롤(31)이 구비되어 있으며 패드공급대(26)를 거쳐 회수되는 패드공급지(21)가 공급지당김롤(29)과 밀착롤(31) 사이를 거쳐 공급지회수롤(28)로 권취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밀착롤(31)이 밀착실린더(30)에 맞닿아 일정압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사이를 통과하는 패드공급지(21)가 안정적으로 일정길이 단위로 잡아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드공급부(19)는 도 4,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공급대(26)의 타측끝단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진공흡착구(38)에 의한 완충패드(22)의 진공흡착시 완충패드(22)로부터 패드공급지(21)를 분리시키는 패드분리판(32)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패드분리판(32)은 패드공급대(26)의 타측끝단에 힌지부재(33)를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고 패드분리판(32)의 하부에는 연결편(34)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롤러설치판(24)에 고정설치된 분리판작동실린더(35)의 피스톤이 연결편(34)에 연결되어 분리판작동실린더(35)의 작동에 따라 패드분리판(32)이 하방으로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수평으로 지나치는 패드공급지(21)는 패드분리판(32)을 거치면서 하방으로 꺽인 상태로 공급지당김롤(29)과 밀착롤(31) 사이를 통해 공급지회수롤(28)에 권취 회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착부(37)의 진공흡착구(38)가 패드분리판(32)의 타측끝부분 상면부에 위치되는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시 패드분리판(32)이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패드공급지(21)를 당겨 완충패드(22)로부터 패드공급지(21)를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패드공급부(19)는 롤러설치판(24)의 타측끝부분에 패드분리판(32)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근접감지센서로 된 패드감지센서(36)가 설치되어 있어 패드공급모터(27)에 의한 패드공급지(21)의 권취작동시 패드분리판(32)의 상면부 타측끝부분에 위치되는 완충패드(22)가 패드감지센서(36)에 근접되어 감지되면 패드공급모터(27)의 작동을 일정시간 정지시켜 진공흡착구(38)에 의해 완충패드(22)가 패드공급지(21)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고 완충패드(22)가 분리된 후에는 다시 패드공급모터(27)의 작동에 따라 패드공급지(21)가 일정길이 잡아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착부(37)는 도 1 내지 6,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공급부(19)로부터 공급받은 완충패드(22)를 턴테이블(10)에 의해 회전이송된 부품재(11)의 상면부에 부착시키는 부분으로,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38)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구(38)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패드부착부(37)는 베이스본체(2)에 구비된 상부설치판(4)의 일측에 좌우수평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실린더장착대(39)가 구비되고 실린더장착대(39)에는 좌우이동실린더(40)가 좌우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좌우이동실린더(40)의 피스톤 끝단에는 이동블럭(41)이 연결되어 좌우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41)의 하면부에는 수평으로 눕혀진 판형상의 수평장착판(42)이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수평장착판(42)의 하면부에는 전후이동실린더(43)가 전후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고정설치되고 전후이동실린더(43)의 피스톤끝단에는 수직장착판(44)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되며 수직장착판(44)에는 흡착구승강실린더(45)가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되고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피스톤 끝단에는 진공흡착구(38)가 수직하방으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어 진공흡착구(38)가 좌우이동실린더(40)와 전후이동실린더(43)의 작동에 따라 전후 및 좌우로 이동되면서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작동에 따라 상하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구(38)는 통상의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진공라인을 통해 흡입력을 전달받아 흡입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진공흡착구(38)가 패드공급대(26)의 패드분리판(32) 상면부에 위치되는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 상부에 위치되고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하강작동에 따라 진공흡착구(38)가 완충패드(22)의 상면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진공흡입작동에 의해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시키고 패드분리판(32)에 의해 완충패드(22)가 패드공급지(21)로부터 분리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상승작동에 따라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한 진공흡착구(38)가 일정높이로 상승되고 좌우이동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10)에 의해 회전이송된 부품재(11)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실린더(43)의 작동에 따라 부품재(11)에 부착위치로 전후이동된 상태에서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하강작동에 따라 완충패드(22)를 부품재(11)의 상면부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공흡착구(38)가 완충패드(22)를 부품재(11)의 상면부에 부착시킨 후에는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진공흡입작동이 정지되고 흡착구승강실린더(45)가 상승작동되면서 전후이동실린더(43)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패드부착부(37)는 도 1,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장착판(42)의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전후이동실린더(43)가 전후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좌우측 전후이동실린더(43)에는 각각 흡착구승강실린더(45)가 연결설치되고 각 흡착구승강실린더(45)에는 진공흡착구(38)가 설치되어 전후방 진공흡착구(38)가 전후로 대칭되게 작동되면서 부품재(11)의 상면부 전후양측에 각각 완충패드(22)를 동시에 부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는 턴테이블(1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패드공급부(19) 및 패드부착부(37)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각 패드공급부(19)를 통해 다른 크기를 지닌 완충패드(22)가 각각 공급되면서 각 패드부착부(37)를 통해 부품재(11)에 복수개의 완충패드(22)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모터(5)가 설치된 베이스본체(2)와, 상기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구동모터(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12)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11)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는 턴테이블(10)과,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 턴테이블(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 롤형태로 권취된 패드공급지(21)를 통해 완충패드(22)를 공급하는 패드공급롤(20)과 패드공급롤(20)로부터의 패드공급지(2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22)가 분리되게 하는 패드공급대(26)가 구비되고 완충패드(22)가 분리된 패드공급지(21)를 권취 회수하는 패드공급부(19)와, 각 패드공급부(19)로부터 패드공급지(21)를 공급받도록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 턴테이블(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38)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구(38)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부착시키는 패드부착부(37)와, 베이스본체(2)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는 패드검사부(46)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검사부(46)는 도 1 내지 6, 10,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에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본체(2)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패드검사부(46)는 턴테이블(10)의 부품거치대(12)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유닛승강판(47)이 구비되고 유닛승강판(47)에는 하단부에 접속단자(51)가 설치된 패드검사유닛(50)이 구비되어 있어 완충패드(22)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11)에 접속단자(51)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22)의 부착상태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드검사부(4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2)에 구비된 상부설치판(4)의 타측끝부분에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수직연결판(48)이 구비되고 수직연결판(48)의 일측면에는 수직하방으로 유닛승강실린더(49)가 고정설치되며 유닛승강실린더(49)의 피스톤 끝단에는 유닛승강판(47)이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유닛승강판(47)은 턴테이블(10)의 부품거치대(12)가 회전 이송되는 부분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유닛승강판(47)의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드검사유닛(50)이 설치되어 있어 유닛승강실린더(49)의 작동에 따라 패드검사유닛(50)이 승강되면서 턴테이블(10)에 의해 회전 이송되는 부품재(11)의 완충패드(22) 상면부에 패드검사유닛(50)의 접속단자(51)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판(48)은 타측면에 수평으로 눕혀진 판형상의 가이드핀장착판(52)이 고정설치되고 가이드핀장착판(52)은 유닛승강판(47)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핀(53)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핀(53)의 하부는 유닛승강판(47)에 수직으로 관통 개재되어 있어 유닛승강실린더(49)에 의해 유닛승강판(47)의 승강작동시 복수개의 가이드핀(53)에 의해 수직으로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드검사유닛(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승강판(47)에 수직으로 관통개재되어 고정설치된 유닛상부로드(54)가 구비되고 유닛상부로드(54)의 내측 하부에는 유닛하부로드(55)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닛하부로드(55)의 하단부에는 부도체(不導體)로 이루어진 절연판(56)이 고정설치되고 절연판(56)의 하단부에는 접속단자(51)가 고정설치되며 유닛하부로드(55)의 외주면에는 탄성스프링(57)이 개재되어 유닛승강판(47)과 절연판(56) 사이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유닛승강실린더(49)의 하강작동하여 접속단자(51)가 부품재(11)와 맞닿는 경우 유닛하부로드(55)가 유닛상부로드(54)의 내측으로 일부 삽입되면서 탄성스프링(57)에 의해 일정하게 탄성지지되어 부품재(11)나 접속단자(51)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일정한 압력으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51)는 베이스본체(2)에 설치되는 별도의 배터리(58)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되, 상기 배터리(58)는 음극(-)에 연결된 전선이 금속재질로 된 턴테이블(10)에 접지처리되고 양극(+)에 연결된 전선은 베이스본체(2)의 제어패널(8)을 거쳐 각 패드검사유닛(50)의 접속단자(51)에 연결되면서 부품재(11)와 접속단자(51)의 접촉시 부품재(11)의 상면부에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된 완충패드(22)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가 접속단자(51)와 통전되어 이를 제어패널(8)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켜 완충패드(22)의 미부착상태를 알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판(56)에 의해 부품재(11)와 접속단자(51)의 통전시 발생되는 전류가 유닛승강실린더(49)로 전달되지 않게 차단되어 유닛승강실린더(49)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1)를 사용하여 각종 차량이나 트랙터 등의 장비에 장착되는 부품이나 부속물 등의 부품재(11)에 완충패드를 자동으로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베이스본체(2)의 상면부에 회전작동되게 설치된 턴테이블(10)의 부품거치대(12) 위에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를 거치하고 턴테이블(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테이블정지센서(16)에 의해 패드부착부(37)가 설치된 부분에서 부품거치대(12)가 정지되어 패드공급부(19)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구(38)를 통해 부품재(11)의 상면부에 자동으로 부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패드공급부(19)의 패드공급롤(20)로부터 공급되는 패드공급지(21)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5)를 통해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수평으로 통과하면서 패드공급대(26)의 타측끝단에 힌지식으로 연결설치된 패드분리판(32)을 거치면서 하방으로 꺽인 상태로 공급지당김롤(29)과 밀착롤(31) 사이를 통해 공급지회수롤(28)에 권취 회수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착부(37)의 좌우이동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진공흡착구(38)가 패드공급대(26)의 패드분리판(32) 타측끝부분 상면부에 위치되는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 상부에 위치되고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하강작동에 따라 진공흡착구(38)가 완충패드(22)의 상면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진공흡입작동에 의해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공급부(19)에 구비된 분리판작동실린더(35)의 작동에 따라 패드분리판(32)이 하방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패드공급지(21)를 당겨 완충패드(22)로부터 패드공급지(21)를 완전히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패드공급지(21)로부터 완충패드(22)가 분리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상승작동에 따라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한 진공흡착구(38)가 일정높이로 상승이동되고 좌우이동실린더(40)의 작동에 따라 턴테이블(10)에 의해 회전이송된 부품재(11)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실린더(43)의 작동에 따라 부품재(11)에 부착위치로 전후이동되면서 흡착구승강실린더(45)의 하강작동에 따라 완충패드(22)를 부품재(11)의 상면부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공흡착구(38)가 완충패드(22)를 부품재(11)의 상면부에 부착시킨 후에는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진공흡입작동이 정지되고 흡착구승강실린더(45)가 상승작동되면서 전후이동실린더(43)가 원위치로 복원된다.
다음으로, 완충패드(22)가 부착된 부품재(11)를 턴테이블(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송시키면 턴테이블정지센서(16)에 의해 패드검사부(46)가 설치된 부분에서 정지되어 패드검사유닛(50)에 의해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검사하게 되는데,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검사부(46)에 구비된 유닛승강실린더(49)의 하강작동에 따라 유닛승강판(47)의 하부에 설치된 패드검사유닛(50)이 하강작동되어 턴테이블(10)에 의해 회전 이송된 부품재(11)의 완충패드(22)가 부착된 부분의 상면부에 패드검사유닛(50)의 하단부에 설치된 접속단자(51)가 맞닿게 되며, 상기 부품재(11)와 접속단자(51)의 접촉시 부품재(11)의 상면부에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된 완충패드(22)가 부착된 경우에는 배터리(58)의 양극(+)과 전선을 통해 연결된 접속단자(51)와 배터리(58)의 음극(-)과 전선을 통해 접지된 턴테이블(10)이 완충패드(22)에 의해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와 통전되지 않아 별도의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 부품재(11)의 상면부에 완충패드(22)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가 접속단자(51)와 통전되어 이를 제어패널(8)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켜 완충패드(22)의 미부착상태를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패드검사부(46)에 의한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가 검사완료된 후에는 턴테이블(10)을 회전시켜 베이스본체(2)의 정면으로 위치되게 하고 부품거치대(12)로부터 완충패드(22)가 부착된 부품재(11)를 빼낸 다음 새로운 부품재(11)를 안착시켜 완충패드(22)의 부착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1. 패드자동부착장치 2. 베이스본체
3. 중심기둥 4. 상부설치판
5. 구동모터 6. 구동풀리
7. 연결부재 8. 제어패널
9. 감지센서봉 10. 턴테이블
11. 부품재 12, 부품거치대
13. 중심축관 14. 피동풀리
15. 감지돌기 16. 턴테이블정지센서
17. 작동스위치 18. 안착돌기
19. 패드공급부 20. 패드공급롤
21. 패드공급지 22. 완충패드
23. 공급롤거치대 24. 롤러설치판
25. 가이드롤러 26. 패드공급대
27. 패드공급모터 28. 공급지회수롤
29. 공급지당김롤 30. 밀착실린더
31. 밀착롤 32. 패드분리판
33. 힌지부재 34. 연결편
35. 분리판작동실린더 36. 패드감지센서
37. 패드부착부 38. 진공흡착구
39. 실린더장착대 40. 좌우이동실린더
41. 이동블럭 42. 수평장착판
43. 전후이동실린더 44. 수직장착판
45. 흡착구승강실린더 46. 패드검사부
47. 유닛승강판 48. 수직연결판
49. 유닛승강실린더 50. 패드검사유닛
51. 접속단자 52. 가이드핀장착판
53. 가이드핀 54. 유닛상부로드
55. 유닛하부로드 56. 절연판
57. 탄성스프링 58. 배터리

Claims (5)

  1. 구동모터(5)가 설치된 베이스본체(2)와, 상기 베이스본체(2)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구동모터(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부품거치대(12)가 설치되어 있어 부품재(11)를 거치하여 회전이송시키는 턴테이블(10)과, 베이스본체(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롤형태로 권취된 패드공급지(21)를 통해 완충패드(22)를 공급하는 패드공급롤(20)과 패드공급롤(20)로부터의 패드공급지(2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완충패드(22)가 분리되게 하는 패드공급대(26)가 구비되고 완충패드(22)가 분리된 패드공급지(21)를 권취 회수하는 패드공급부(19)와, 전후이동 및 좌우이동되면서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진공흡착구(38)가 구비되고 패드공급대(26)의 상면부를 거치는 패드공급지(21)의 완충패드(22)를 진공흡착구(38)로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부착시키는 패드부착부(37)와, 베이스본체(2)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턴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된 부품재(11)에 완충패드(22)의 부착여부를 감지하는 패드검사부(46)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패드검사부(46)은 턴테이블(10)의 부품거치대(12)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승강작동되게 설치된 유닛승강판(47)이 구비되고 유닛승강판(47)에는 하단부에 접속단자(51)가 설치된 패드검사유닛(50)이 구비되어 있어 완충패드(22)가 부착되는 부분의 부품재(11)에 접속단자(51)가 맞닿으면서 통전여부에 따라 완충패드(22)의 부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0)은 원판형상으로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중심축관(13)이 관통 개재되어 있고 중심축관(13)의 내측에는 베이스본체(2)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중심기둥(3)이 관통 삽입되면서 턴테이블(10)이 중심기둥(3)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관(13)의 하부 외곽부분에는 복수개의 감지돌기(1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본체(2)의 내측에는 감지돌기(15)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턴테이블정지센서(16)가 설치되어 있어 턴테이블(10)의 회전시 감지돌기(15)가 턴테이블정지센서(16)에 근접되어 감지되면 구동모터(5)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검사부(46)는 베이스본체(2)에 구비된 상부설치판(4)의 타측끝부분에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수직연결판(48)이 구비되고 수직연결판(48)의 일측면에는 수직하방으로 유닛승강실린더(49)가 고정설치되며 유닛승강실린더(49)의 피스톤 끝단에는 유닛승강판(47)이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유닛승강판(47)은 턴테이블(10)의 부품거치대(12)가 회전 이송되는 부분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유닛승강판(47)의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드검사유닛(50)이 설치되어 유닛승강실린더(49)의 작동에 따라 패드검사유닛(50)이 승강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검사유닛(50)은 유닛승강판(47)에 수직으로 관통개재되어 고정설치된 유닛상부로드(54)가 구비되고 유닛상부로드(54)의 내측 하부에는 유닛하부로드(55)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닛하부로드(55)의 하단부에는 부도체로 된 절연판(56)이 고정설치되고 절연판(56)의 하단부에는 접속단자(51)가 고정설치되며 유닛하부로드(55)의 외주면에는 탄성스프링(57)이 개재되어 유닛승강판(47)과 절연판(56) 사이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51)는 베이스본체(2)에 설치되는 배터리(58)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되, 상기 배터리(58)는 음극(-)에 연결된 전선이 금속재질로 된 턴테이블(10)에 접지처리되고 양극(+)에 연결된 전선은 베이스본체(2)의 제어패널(8)을 거쳐 패드검사유닛(50)의 접속단자(51)에 연결되면서 부품재(11)와 접속단자(51)의 접촉시 부품재(11)의 상면부에 완충패드(22)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 금속재질로 된 부품재(11)가 접속단자(51)와 통전되어 이를 제어패널(8)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켜 완충패드(22)의 미부착상태를 알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KR1020160038072A 2016-03-30 2016-03-30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KR10173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72A KR101736144B1 (ko) 2016-03-30 2016-03-30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72A KR101736144B1 (ko) 2016-03-30 2016-03-30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144B1 true KR101736144B1 (ko) 2017-05-16

Family

ID=5903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72A KR101736144B1 (ko) 2016-03-30 2016-03-30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76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열 수축기
CN115849083A (zh) * 2022-02-16 2023-03-28 东莞市盛豪机械科技有限公司 用于抛光皮的全自动接驳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76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열 수축기
KR102174400B1 (ko) * 2018-12-03 2020-1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열 수축기
CN115849083A (zh) * 2022-02-16 2023-03-28 东莞市盛豪机械科技有限公司 用于抛光皮的全自动接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8474B (zh) 一种全自动膜片检测及贴膜生产线及其贴膜工艺
CN107262954B (zh) 电池焊接机
KR101736144B1 (ko)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KR101984303B1 (ko) 타이어 휠의 너트홀 또는 볼트홀 센터링장치
CN211687354U (zh) 一种pcb收放板机
KR101736143B1 (ko) 턴테이블식 패드자동부착장치
CN108787487A (zh) 锂电池检验机
CN113666115B (zh) 一种连接片上料设备
CN110524478B (zh) 腰带护片自动安装设备
KR101742068B1 (ko) 패드 자동부착장치
CN209936168U (zh) 一种汽车电子手刹组装与焊接装置
CN218432175U (zh) 自动撕膜装置
CN107422249B (zh) 自动测试设备
CN107322299B (zh) 顶灯装配及检测装置
CN110977457A (zh) 纱线涨紧轮自动装配检测机
CN216882551U (zh) 无线耳机充电盒磁铁自动组装设备
CN216956288U (zh) 电池自动分容装置
CN215146554U (zh) 一种螺丝旋紧装置
WO2009035179A1 (en) Bad hanger detecting and removal apparatus for curing machine
CN205789590U (zh) 行程开关底部组装机的底座上料机构
CN108663633A (zh) 锂聚合物电池检验机
CN113601138A (zh) 无线耳机充电盒磁铁自动组装设备
CN210607027U (zh) 按钮开关装配设备
CN210816324U (zh) 物料检测系统
CN112589224A (zh) 一种自动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