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13B1 -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913B1
KR101735913B1 KR1020150068330A KR20150068330A KR101735913B1 KR 101735913 B1 KR101735913 B1 KR 101735913B1 KR 1020150068330 A KR1020150068330 A KR 1020150068330A KR 20150068330 A KR20150068330 A KR 20150068330A KR 101735913 B1 KR101735913 B1 KR 10173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asurement
controller
identification
measur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374A (ko
Inventor
최승혁
Original Assignee
최승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혁 filed Critical 최승혁
Priority to KR102015006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9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7/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magnetic,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action, or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공간부에 위치되어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적재대, 다수의 적재대에 각각 구비되어 적재된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저울, 각 전자저울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다수의 전자저울을 상호 연결시키고, 전자저울과 제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센서네트워크부,를 포함하고, 제어부에 수신된 전자저울의 측정값에 따라, 해당 물건의 중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적재대에 구비된 각 전자저울에 의해 각 물건의 실시간 중량을 확인할 수 있어 보관된 물건에 대한 재고량을 실시간 확인함은 물론, 실시간 중량변화량을 확인하여 해당 물건의 출하 또는 추가 적재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허가없이 중량변화가 발생될 경우, 도난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고, 동물 등의 침입에 의한 잘못된 도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Intrusion and theft preven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with electronic scales}
본 발명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들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중량변화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물류관리는 물론, 도난 및 절도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는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보관 중인 물건을 출하시키거나 다른 물건을 보관하는 등의 물류관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물류 관리는 보관된 물건 리스트를 창고관리자가 직접 관리하는 것으로, 물건의 출하와 추가 보관할 때, 직접 수량을 확인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재고량을 파악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람에 의한 직접적인 관리는 물량이 많거나 물건의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클 경우 등의 이유로 일일이 체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점은 재고량 확인에도 발생되고 있다.
특히, 물건이 보관된 창고는 불법침입과 도난 등이 발생 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은 적외선과 영상, UWB센서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이나 온도변화 등을 감지하여 침입 여부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종래 창고 등의 관리시스템은 공개특허 10-2012-0058770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 영역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불법침입과 도난 등) 발생을 탐지하고 있다.
그러나 영상 획득에 의한 움직임을 포착하고, 불법침입이나 도난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영상이 확보되어야 판단 가능함은 물론, 영상신호 노이즈의 영향으로 감지하지 못하고 또 오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확실한 보안 시스템으로 활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축현장과 같은 야적물의 경우 우천이나, 안개 등의 영향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열감지센서는 우비나 우산으로 충분히 회피할 수 있으며, 동작센서는 소동물과 사람의 구별이 어렵다.
이는, 불법침입이 발생된 시점이나 도난이 발생된 시점이 아닌 차후에 확인할 수 있으며, 확실히 불법침입인지 도난인지 또는 오보인지를 확인해야되는 확인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즉각 인력을 동원하여 확인해야되는 등의 불필요한 인원 및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불법침입이나 도난 등이 발생될 경우,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함은 물론, 실제 불법침입이나 도난 등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일정 공간부에 위치되어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적재대, 다수의 적재대에 각각 구비되어 적재된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저울, 각 전자저울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다수의 전자저울을 상호 연결시키고, 전자저울과 제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센서네트워크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적재대에 구비된 각 전자저울에 의해 각 물건의 실시간 중량을 확인하여 물류관리는 물론, 실시간 중량변화량을 확인하여 해당 물건의 도난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고, 동물 등의 침입에 의한 잘못된 도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공간부에 위치되어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적재대, 상기 다수의 적재대에 각각 구비되어 적재된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저울, 상기 각 전자저울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다수의 전자저울을 상호 연결시키고, 전자저울과 제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센서네트워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전자저울의 측정값에 따라, 해당 물건의 중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저울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에 다수 개 구비되어 해당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모듈, 및 상기 각 측정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 간의 연결 및 상기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의 연결, 상기 컨트롤러와 제어부의 연결은 상기 센서네트워크부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모듈은, 기설정된 각각의 식별ID를 갖고, 로드셀(load cell),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송신하여 중량을 연산하는 측정연산부, 및 상기 측정연산부를 제어하기 위한 측정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에 각각 구비되는 센서모트에 의해 측정모듈 간의 송수신은 물론,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와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의 배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모듈의 배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 개수씩 다수의 측정모듈열로 구분되고, 각 측정모듈열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배치되되, 최외측에 배치되는 해당 측정모듈열은 상기 물건의 하면 단부가 해당 측정모듈열의 측정모듈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의 배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건의 하단면이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구역별로 각각의 물건 중량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각 구역별로 해당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각각의 물건 중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구역별로 연산된 중량을 상기 센서모트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하나의 컨트롤러로 다수 구역의 중량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은 각각 상호 연결되어 상기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 중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또 다른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상기 컨트롤러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측정모듈을 마지막 측정모듈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측정모듈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측정모듈에서 전송된 중량 측정치를 합산하여 물건의 중량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각 물건의 개당 중량을 갖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중량변화가 발생된 해당 물건의 중량변화량과 해당 물건의 개당 중량을 비교하여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도난판단부, 및 상기 도난판단부에서 해당 물건의 도난 판단이 결정될 경우, 해당 적재대에 대한 도난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송하기 위한 경고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경고부는, 경고신호를 해당 감시업체와 주변 경찰서,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 및 등록된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각 물건의 중량을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와 등록된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원거리에서도 실시간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은, 일정 공간부 중 상기 다수의 적재대가 위치되지 않은 부분에 더 구비되어 이동하는 대상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측정모듈은, 승강부가 각각 구비되어 사용하기 위한 측정모듈을 상측으로 승강시키거나 사용하지 않는 측정모듈을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적재대에 구비된 각 전자저울에 의해 각 물건의 실시간 중량을 확인할 수 있어 보관된 물건에 대한 재고량을 실시간 확인함은 물론, 실시간 중량변화량을 확인하여 해당 물건의 출하 또는 추가 적재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허가없는 중량변화의 감지를 통해, 종래 보안 시스템인 영상처리나 열감지센서, 동작센서의 알려져 있는 인위적인 회피방법을 보완하고,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잘못된 신호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야적물에 대한 보안과 관리에 효과적이다. 또한 소동물과 사람의 구별로 침입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며, 도난 시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의 계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 배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 배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가 더 구비된 측정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의 계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 배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 배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가 더 구비된 측정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은 일정 공간부에 보관된 물건의 관리 및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저울(100)과 적재대(200), 제어부(300) 및 센서네트워크부(400)로 구성된다.
적재대(200)는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공간부에 위치되어 물건(1)을 적재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전자저울(100)은 다수의 적재대(200)에 각각 구비되어 적재된 물건(1)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300)는 각 전자저울(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센서네트워크부(400)는 다수의 전자저울(100)을 상호 연결시키고, 전자저울(100)과 제어부(300)를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어부(300)에 센서네트워크부(400)를 통해 수신된 전자저울(100)의 측정값에 의해 해당 물건의 중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각 물건의 중량을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와 등록된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원거리에서도 실시간 확인 가능하게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보관 중인 물건의 중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중량 변화가 발생할 경우, 허락없이 해당 물건을 적재대 상에서 이동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해당 물건에 대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물건의 도난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도난판단부(500)와 경고부(6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각 물건의 개당 중량을 갖고, 도난판단부(5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며, 중량변화가 발생된 해당 물건의 중량변화량과 해당 물건의 개당 중량을 비교하여 도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 물건의 개당 중량은 다 다름에 따라, 해당 물건에 대한 도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선 각각의 물건 개당 중량을 비교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각 적재대(200)는 고유 식별ID를 갖고, 각 적재대(200)에 적재되는 물건의 개당 중량이 기설정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경고부(600)는 도난판단부(500)에서 해당 물건의 도난 판단이 결정될 경우, 해당 적재대(200)에 대한 도난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경고부(600)는 경고신호를 해당 감시업체와 주변 경찰서,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 및 등록된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다양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해당 물건의 중량 측정을 위한 전자저울(100)을 살펴 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110)과 측정모듈(120) 및 컨트롤러(13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110)은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측정모듈(120)은 몸체하우징(110)에 다수 개 구비되어 해당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30)는 각 측정모듈(1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제어하며, 제어부(300)와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다수의 측정모듈(120) 간의 연결 및 측정모듈(120)과 컨트롤러(130)의 연결, 컨트롤러(130)와 제어부(200)의 연결은 센서네트워크부(400)에 의해 연결된다.
물론, 전원부(미 도시)도 구비되어 각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함이 당연하다.
이 전원부는 각 구성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의 전원부에 의해 모든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측정모듈(120)의 상단부는 몸체하우징(110)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물건(10)와 접촉함에 따라, 중량을 측정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여기서, 각 측정모듈(120)은 기설정된 각각의 식별ID를 갖는 것으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셀(load cell:122)과 측정연산부(124) 및 측정제어부(126)로 구성된다.
측정연산부(124)는 로드셀(load cell:122)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송신하여 물건의 중량을 연산하고, 측정제어부(126)는 측정연산부(124)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각 측정모듈(120)과 컨트롤러(130)에 각각 구비되는 센서모트(410)에 의해 측정모듈(120) 간의 송수신은 물론, 측정모듈(120)과 컨트롤러(130)와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측정모듈(120)은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측정모듈(120)의 배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등간격은 극히 미세한 간격도 포함되는 것으로, 바둑판 무늬로 형상으로 배치됨을 말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측정모듈(120) 상에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건을 올리면, 각 측정모듈(120)에서 연상된 각 중량을 센서네트워크부(400)를 통해 컨트롤러(130)로 전송하여 물건의 중량이 최종 연산되는 것이다.
물론, 측정모듈(120)의 배치된 사이즈는 물건의 하단면이 다 포함되도록 배치됨이 당연하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측정모듈(120) 배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 개수씩 다수의 측정모듈열로 구분되고, 각 측정모듈열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최외측에 배치되는 해당 측정모듈열은 물건들의 하면 단부가 해당 측정모듈열의 측정모듈(1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측정모듈(120)의 배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건들의 하단면이 접촉되도록 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일정한 형태가 아닌 물건들의 하단면이 수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함에 따라 측정모듈(12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수의 측정모듈(120)은 유선일 경우, 토플로지(위상기하학)로 연결 가능한 자율구성 센서네트워크(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측정모듈(120)은 무선일 경우, 에드혹(AD-hoc)이나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토플로지(위상기하학)로 연결 가능하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된 다수의 측정모듈(120)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 물건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측정모듈(120)은 직렬로 연결되어 센서네트워크부(40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다시 말해, 각 측정모듈(120)에 연결된 센서모트(410)는 각 측정모듈(120)의 정보를 수집하여 인접한 다른 센서모트(41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각 측정모듈(120)에 연결된 센서모트(410)는 해당 식별ID와 측정된 중량을 송신 및 식별ID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130)에 연결된 센서모트(410)와도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다수의 측정모듈(120)은 병렬로 연결되어 센서네트워크부(40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측정모듈(120)은 각각 상호 연결되어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상호 다중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130)에 의해 제어됨이 당연하다.
여기서, 다수의 측정모듈열이나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다수의 측정모듈(120)도 해당 열 또는 구역별로 직렬이나 병렬 또는 상호 다중으로 연결될 경우도 정보 송수신이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각 측정모듈(120)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150)가 각각 구비된다.
이 승강부(150)는 해당 측정모듈(120)을 몸체하우징(110)에서 승강시키는 것으로, 사용하기 위한 측정모듈(12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거나 사용하지 않는 측정모듈(120)을 하측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측정모듈(120)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은, 물건을 올리기 전 각 측정모듈(120)의 설치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승강부(150)는 실린더나 기어와 모터, 잭(jack) 등에 의해 해당 측정모듈(120)을 승강시킴이 당연하다.
이와 같은, 전자저울(100)은 사용 전, 각 측정모듈(120)의 식별ID를 확인하게 된다.
각 측정모듈(120)의 식별ID 확인 방법은, 컨트롤러(130)에서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컨트롤러(130)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요청신호를 수신한 또 다른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제어부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반복함에 따라 각 측정모듈은 릴레이식으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30)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측정모듈이 마지막 측정모듈로 판단되어 연결된 모든 측정모듈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하게 된다.
모든 측정모듈의 식별ID를 확인한 후, 물건을 올리면, 각 측정모듈(120)에서 측정된 각 중량은 센서네트워크부(400)를 통해 컨트롤러(130)에서 최종 연산되어 실제 중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측정모듈(120)에서 측정된 각 중량은 컨트롤러(130)에서 합산하여 물건의 중량을 연산하는 것으로, 각 측정모듈(120)에서 전송된 중량 측정치를 합산하여 해당 물건의 중량을 연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컨트롤러(130)는 각 측정모듈(120)의 해당 식별ID 송신 순서로 각 측정모듈(120)의 연결순서를 확인하며, 첫 번째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중량은 연결된 두 번째 측정모듈로 송신된다.
그리고 두 번째 측정모듈은 첫 번째 측정모듈로부터 수신된 중량과 직접 측정된 중량을 세 번째 측정모듈로 송신한다.
세 번째 측정모듈 역시, 상기의 과정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마지막 측정모듈로 각 중량을 전송하게 된다.
모든 중량을 수신받은 마지막 측정모듈은 컨트롤러(130)로 모든 중량을 송신하고, 컨트롤러(130)는 모든 중량을 합산하여 해당 물건의 중량을 연산함으로써, 중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관 중인 물건의 중량 변화가 발생할 경우, 허락없이 해당 물건을 적재대 상에서 이동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신속하게 대처하여 해당 물건에 대한 도난을 방지 및 감시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각 측정모듈은 측정된 중량을 컨트롤러(130)로 개별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송신된 각 중량은 식별ID와 함께 수신됨에 따라, 연결된 순서에 따라 컨트롤러(130)에서 정렬하여 연산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각 구역의 측정모듈이 송신한 중량 역시, 컨트롤러(130)가 구역별로 정렬하여 구역별 연산함에 따라 각 구역에서 측정된 다수의 중량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 측정모듈(120)는 다수의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로드셀은 각각의 식별ID가 설정되어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각 식별ID를 갖는 로드셀은 해당 측정모듈의 연산부에서 측정치가 합산되며, 이 합산된 값은 하나의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중량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공간부 중 다수의 적재대(200)가 위치되지 않은 부분에 전자저울(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통로에 전자저울(100)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통로로 이동하는 대상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일 실시 예로, 보관창고의 경우, 물건을 적재하는 적재대(200)와 이동통로에 전자저울(100)을 다수 개 설치하여, 불법침입은 물론, 절도행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창고는 유기된 고양이나 쥐 등의 동물들이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변화량이 일정 중량 이상 변할 경우, 사람 또는 기타 운반기구로 파악함이 당연하다.
이에, 제어부(300)는 보관된 모든 물건의 개당 중량을 알고 있음이 당연하며, 이 개당 중량 이하의 변화량이면, 더 가벼운 동물의 침입으로 판단하여 잘못된 도난신호가 발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난이 발생되고 있을 경우, 중량변화량과 해당 적재대(2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에 따라, 어떤 물건이 몇 개 이동됨은 물론, 이동방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전자저울을 이용한 관리시스템에는 카메라(700)와 저장부(800)가 더 구비되어 침입 및 도난 발생 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 카메라(700)와 저장부(8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획득한 실시간 영상은 저장부(800)에 저장은 물론, 전송되어 실시간 확인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도난신호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300)는 조명을 제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침입자가 침입 및 절도 중 조명을 키면, 도주 우려가 있어 체포 가능한 상태에서 조명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가의 물건이거나 파손되기 쉬운 물건일 경우, 도난신호 발생 시, 조명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침입자를 물건과 멀어지도록 도주시킬 수도 있다.
1 : 물건 100 : 전자저울
110 : 몸체하우징 120 : 측정모듈
122 : 로드셀 124 : 측정연산부
126 : 측정제어부 130 : 컨트롤러
150 : 승강부 200 : 음식거치대
300 : 제어부 400 : 센서네트워크부
500 : 도난판단부 600 : 경고부
700 : 카메라 800 : 저장부

Claims (10)

  1. 적재된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저울;
    상기 각 전자저울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다수의 전자저울을 상호 연결시키고, 전자저울과 제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센서네트워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저울은,
    다수 개 구비되어 해당 물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모듈; 및
    상기 각 측정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 간의 연결 및 상기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의 연결, 상기 컨트롤러와 제어부의 연결은 상기 센서네트워크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측정모듈은,
    기설정된 각각의 식별ID를 갖고,
    로드셀(load cell);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송신하여 중량을 연산하는 측정연산부; 및
    상기 측정연산부를 제어하기 위한 측정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에 각각 구비되는 센서모트에 의해 인접한 다른 측정모듈 간의 송수신은 물론, 측정모듈과 컨트롤러와의 송수신 가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 중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또 다른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동시에, 인접한 또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상기 컨트롤러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측정모듈을 마지막 측정모듈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측정모듈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함에 따라,
    하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해당 물건을 적재하여 중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어 해당 물건의 중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대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측정모듈은 상기 적재대에 배치되되,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구역별로 각각의 물건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측정모듈에서 전송된 중량 측정치를 합산하여 물건의 중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물건의 개당 중량을 갖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중량변화가 발생된 해당 물건의 중량변화량과 해당 물건의 개당 중량을 비교하여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도난판단부; 및
    상기 도난판단부에서 해당 물건의 도난 판단이 결정될 경우, 해당 적재대에 대한 도난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송하기 위한 경고부;가 더 포함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경고신호를 해당 감시업체와 주변 경찰서,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 및 등록된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물건의 중량을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와 등록된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원거리에서도 실시간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대가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전자저울은,
    일정 공간부 중 상기 다수의 적재대가 위치되지 않은 부분에 더 구비되어 이동하는 대상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KR1020150068330A 2015-05-15 2015-05-15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KR10173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30A KR101735913B1 (ko) 2015-05-15 2015-05-15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30A KR101735913B1 (ko) 2015-05-15 2015-05-15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74A KR20160134374A (ko) 2016-11-23
KR101735913B1 true KR101735913B1 (ko) 2017-05-15

Family

ID=5754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30A KR101735913B1 (ko) 2015-05-15 2015-05-15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80A1 (ko) * 2019-10-25 2021-04-29 전자부품연구원 재고관리를 위한 전자저울 데이터 보정방법
KR102498536B1 (ko) 2022-11-14 2023-02-14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2836B (zh) * 2017-01-20 2023-12-05 黑龙江精锐计量科技有限公司 防作弊物联网智能自动化称重系统
KR20210154489A (ko) 2020-06-12 2021-12-21 (주)진주소프트 로드셀을 이용한 호텔 구매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12B1 (ko) * 2006-06-27 2007-12-07 주식회사 롯데기공 지그비를 이용한 도난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12B1 (ko) * 2006-06-27 2007-12-07 주식회사 롯데기공 지그비를 이용한 도난 감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80A1 (ko) * 2019-10-25 2021-04-29 전자부품연구원 재고관리를 위한 전자저울 데이터 보정방법
KR102498536B1 (ko) 2022-11-14 2023-02-14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74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434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products during transport
KR101735913B1 (ko)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KR102070327B1 (ko) 스마트 물류 센터 운영 시스템
RU25970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чета товарного запаса торговой точки и/или склада, а также оснащенная этим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кладом
US7757946B2 (en) Material transport in-motion product dimensioning system and method
CN203127934U (zh) 施工升降机智能控制装置
CN104995125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KR101654358B1 (ko) 래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573839B (zh) 一种仓库货物的监控方法和装置
KR101517842B1 (ko) 특정 공간내 이동 물체의 위치 인식 및 통합관리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및 관리방법
CN104507848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CN109712277A (zh) 基于物联网的仓库储运智能管理系统
US20230341856A1 (en) Automating control of an industrial vehicle
US1027804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n associ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while in an assigned domain
CA2863485C (en) Elevated platform system including restraining systems and vision system
KR101821346B1 (ko) 로드셀·유압실린더형 로킹모듈을 통한 엘리베이터카용 스마트 오토써포트장치
KR101974557B1 (ko) 기계식 주차설비를 이용한 물품 보관시스템
CN207748804U (zh) 一种叉车安全提示装置及叉车
KR102147984B1 (ko) Rfid태그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용 크레인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190018830A (ko) 전자저울을 이용한 가축용 사료공급량 측정장치
KR20190018831A (ko) 전자저울을 이용한 가축용 사료공급량 관리시스템
CN108516492A (zh) 一种举升机用安全监控系统
AU2019229140B2 (en) Transport means with at least on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perating, and servicing the transport means
CN207082010U (zh) 一种全自动装卸车系统中整体调度系统
GB2620859A (en) Good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