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861B1 -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dha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dha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861B1
KR101735861B1 KR1020127004083A KR20127004083A KR101735861B1 KR 101735861 B1 KR101735861 B1 KR 101735861B1 KR 1020127004083 A KR1020127004083 A KR 1020127004083A KR 20127004083 A KR20127004083 A KR 20127004083A KR 101735861 B1 KR101735861 B1 KR 10173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dh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id ester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949A (ko
Inventor
엘리 르베르
페터 반 후게베스트
엘사 궁
마튜 레이쥐
Original Assignee
피에르 파브르 메디카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르 파브르 메디카먼트 filed Critical 피에르 파브르 메디카먼트
Publication of KR2012004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최소한 하나의 인지질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최소한 두 계면활성제들을 이용하여 수상에 분산되는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의 초미세 입자들을 포함하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DHA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A DHA ESTER TO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본 발명은 비경구적으로 투여 가능한,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메가 3 지방산은 조류, 기름기 많은 생선 (연어, 고등어, 정어리, 참치), 평지씨, 호두, 대두, 등에서 특히 발견되는 다가불포화 지방산이다. 일반 규칙으로, 지방산 CH3-(CH2)n-COOH은 탄소사슬 길이 (짧은 사슬은 n = 2 내지 4, 중간 사슬은 n = 6 내지 8 및 긴 사슬은 n ≥ 10), 이중결합 개수 (불포화, 단일 또는 다가불포화) 및 카르복시기 탄소로부터 이중결합의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ω 명명 시스템은 탄소사슬 길이, 이중결합 개수 및 ω 탄소로부터 가장 가까운 이중결합 위치를 표시하며, ω 탄소는 카르복시기에서 가장 먼 사슬 마지막 탄소로 정의된다.
ω 3 계열의 주요 지방산은:
- 리놀렌산 18:3 (9, 12, 15) 또는 ALA
- 아이코사펜타엔산 20:5 (5, 8, 11, 14, 17) 또는 EPA
- 도코사헥사엔산 22:6 (4, 7, 10, 13, 16, 19) 또는 DHA이다.
오메가 3 지방산은 인체에 다양한 유익한 효과를 준다.
특허출원 WO 01/46115 A1은 EPA 및 DHA가 풍부한 어류 오일에 기반한 다이어트가 뇌졸중 감소에 미치는 유익성을 요약한다. 여기에서 EPA 및 DHA의 비경구 형태는, 본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공지된 방법 예를들면 비-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를 물에 희석시키고, 가열하고 DHA 및 EPA 에스테르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구형 입자 현탁액의 형태로 언급된다. 또한 상기 출원은 문헌 8쪽 2 줄에 개시된 인용(Billman 등. 1997 Lipids 32 1161-1168)에 따라 대두유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정맥내 투여되는 에멀션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으로, 즉시 사용 가능하거나, 대량의 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장기적으로 유해하다고 알려진 계면활성제를 과도하게 높은 비율로 함유하지 않도록 재구성될 수 있는 동결-건조 형태로 평균 입자 크기가 100 nm이내의 안정한 비경구 제형을 얻는 것이 어렵다.
DHA 에스테르들 중에서, 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피리딘-3-일메틸-시스-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은 치료적으로 상당한 관심을 끄는 에스테르이다.
DHA의 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피리딘-3-일메틸-시스-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12470179-pct00001
C28H37NO2분자량은 419.60 g이다.
매우 친유성인 화합물 (Log P는 약 7)이며, 물에서 용해도는 < 1 ug/ml이다. 따라서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 하는 것은 특히 어렵다.
또 다른 흥미로운 DHA 에스테르는 DHA의 판테놀 에스테르, 달리 판테닐 도코사헥사에노레이트로 불리는, 특히 다음 구조식 A를 가지는 DHA 판테놀 모노에스테르 2,4-디히드록시-3,3-디메틸부탄아미도) 프로필 도코사 4,7,10,13,16,19-헥사노에이트:
Figure 112012012470179-pct00002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 이의 혼합물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에스테르는 다음 구조식 B를 가지는 달리 ‘D-판테놀 DHA 에스테르’로 칭하는 DHA의 판테놀 모노에스테르이다:
Figure 112012012470179-pct00003

이들 에스테르는 WO2007/14789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들면 심방세동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들은 전구약물로 작용하여, 가수분해 후 신체에 DHA를 방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즉시 사용 가능하거나, 대량의 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장기적으로 유해하다고 알려진 계면활성제를 과도하게 높은 비율로 함유하지 않도록 재구성될 수 있는 동결-건조 형태로 평균 입자 크기가 100 nm이내의 안정한 비경구 제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심방세동에 대한 도면들 및 실험들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인지질 유도체의 일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10 mg/kg 일시 +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10 mg/kg 40분에 걸친 주입) 투여 후 마취 돼지에 자극 주파수 120 bpm 및 150 bpm로 심방불응기를 측정한 것이다.
도 3은 비교 조성물 (반대예들)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10 mg/kg 일시 +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10 mg/kg 40분에 걸친 주입) 투여 후 마취 돼지에 자극 주파수 150 bpm로 심방불응기를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거울상이성질체’는 동일 분자식을 가지지만 공간 배열이 달라 중첩되지 않는 거울상을 가지는 광학이성질화합물을 언급한다. 용어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소로 거울상이 아닌 광학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세미 혼합물’은 키랄 분자의 좌선성 및 우선성 거울상이성질체들의 동일 비율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또는 ‘약학적 측면에서 허용되는’이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생물학적으로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바람직하고, 인간의 약제학적 용도뿐만 아니라 수의학적 용도로도 허용 가능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것을 말한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모 화합물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보유하는 염을 말한다.
이들 염은:
(1)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 염; 또는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설폰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퓨마릭산, 글루코헵토닉산, 글루코닉산, 글루타믹산, 글루콜릭산, 하이드로나프토익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락트산, 말레익산, 말릭산, 만델르산, 메탄술폰산, 뮤코닉산, 2-나프탈렌술폰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숙신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트리메틸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 염; 또는
(2) 모 화합물에 산 양성자가 존재할 때 금속이온 예를들면 알칼리금속이온, 알칼리-토금속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에 의해 치환; 또는 유기 또는 무기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염을 포함한다. 허용되는 유기염기는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등을 포함한다. 허용되는 무기염기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및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및 인산으로부터 형성되는 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언급할 때에는 상기 산 부가 염의 용매첨가형태 (용매화물) 또는 결정화 형태 (다형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두 유형의 계면활성제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인지질 유도체의 조합을 이용하여 비경구적으로 투여 가능한 DHA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최소한 하나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b) 최소한 하나의 인지질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최소한 두 계면활성제들을 이용하여 수상에 분산되는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의 초미세(submicronic) 입자들을 포함하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두 유형의 계면활성제들 a) 및 b)만을 포함한다.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에틸 에스테르 또는 특허출원 WO2007/14789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타민 B를 가지는 에스테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비경구 투여 제형화가 특히 어려운 DHA의 니코틴산 에스테르, 즉 피리딘-3-일메틸-시스-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또는 DHA의 판테놀 에스테르, 특히 DHA의 판테놀 모노에스테르, 2,4-디히드록시-3,3-디메틸부탄아미도) 프로필 도코사 4,7,10,13,16,19-헥사노에이트, 및 특히 D-판테놀 DHA 에스테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 농도는 10 mg/ml 이상, 예를들면, 30 mg/ml 이상일 수 있다.
제1 계면활성제 (a)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계열에 속한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 및 산화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의 반응으로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는 다음 식 (1) 또는 (2)를 가진다:
(1)RCOO.(O.CH2CH2)nH
(2)R1COO.(O.CH2CH2)nCOOR2
여기에서R,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모 지방산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n은 옥시에틸렌 구조단위로 중합체 사슬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n은 10 내지 60, 예를들면 12 내지 20, 예를들면 15이다.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다. 수산화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포화 지방산은 다음과 같다:
일반명 IUPAC 명명 화학구조 약어 융점 (°C)
부티르산 부탄산 CH3(CH2)2COOH C4:0 -8
카프로산 헥산산 CH3(CH2)4COOH C6:0 -3
카프릴산 옥탄산 CH3(CH2)6COOH C8:0 16-17
카프르산 데칸산 CH3(CH2)8COOH C10:0 31
라우르산 도데칸산 CH3(CH2)10COOH C12:0 44-46
미리스트산 테트라데칸산 CH3(CH2)12COOH C14:0 58.8
팔미트산 헥사데칸산 CH3(CH2)14COOH C16:0 63-64
스테아르산 옥타데칸산 CH3(CH2)16COOH C18:0 69.9
아라키드산 아이코산산 CH3(CH2)18COOH C20:0 75.5
베헨산 도코산산 CH3(CH2)20COOH C22:0 74-78
리그노세린산 테트라코산산 CH3(CH2)22COOH C24:0
따라서, R, R1 또는 R2는, 예를들면, 알킬 또는 알케닐 사슬, 예를들면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예를들면 선형, C3-C23, 예를들면 C11-C23, 예를들면 C15-C21, 예를들면, 지방산은 즉 16 탄소원자들 이상을 가지는 긴-사슬 포화 지방산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방산은 12 내지 24 탄소원자들, 예를들면, 14 내지 22 탄소원자들, 예를들면 16 내지 20 탄소원자들, 예를들면, 18 탄소원자들을 가지며, 예를들면, 스테아르산이다.
또한 지방산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방산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는 마크로골-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상품명: SOLUTOL HS15, 제조업자: BASF, Ludwigshafen, Germany)이다. 이것은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에톡시화로 얻어지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및 마크로골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용해제이다.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몰 당 반응 산화에틸렌 몰 수는 15이다. 이것은 황색 왁스 덩어리 형태이고 매우 수용성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제2 계면활성제 (b)는 인지질 유도체 계열에 속한다: 따라서 이것은 천연 레시틴 예를들면, 대두 또는 계란 레시틴, 천연 인지질 예를들면 대두 또는 계란 인지질, 또는 합성 인지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이것은 중성 인지질 예를들면 포스파티딜콜린, 예를들면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1-팔미토일-2-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및, 예를들면 포스파티딜콜린, 음전하 인지질 예를들면 포스파티딜글리세롤, 예를들면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드산, 예를들면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또는 이들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이것은 중성 인지질 예를들면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거나, 중성 인지질 및 음전하 인지질 혼합물, 예를들면 1-팔미토일-2-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및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성 인지질 및 음전하 인지질의 혼합물에서, 혼합물 총 조성에 대한 음전하 인지질 중량 백분율은 10% 이하, 1% 내지 5%, 예를들면 3%이다.
또한 이것은 천연 레시틴 및 음전하 인지질, 특히 계란 레시틴 및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a) 유형의 계면활성제: b) 유형의 계면활성제 중량비는 1:3 내지 3:1, 예를들면, 1:1이다.
인지질 유도체는 도 1에 표시된 일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지질 유도체는 대두 레시틴 또는 대두 인지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초미세 입자들은 혼합 미셀들 또는 베시클들 또는 미셀 또는 베시클 구조의 혼성체와 같은 초미세 입자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미셀은 예를들면 두 상이한 유형의 계면활성제 (a) 및 (b)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계면활성제 분자들의 친수성 극성헤드가 수상을 향하고 소수성 사슬은 DHA 에스테르와 작용하도록 내부로 향하는 응집체와 같은 미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시클은 계면활성제들이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이중-층으로 구성된 구조체이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기공 또는 수상 동공을 둘러싼다.
본 발명에 의한 미셀 및 베시클 구조의 혼성체는 혼합 미셀 및 베시클 사이 중간 구조체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기공(vacuole)과 공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들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혼합 미셀들 또는 베시클들 또는 미셀 및 베시클 구조의 혼성체의 분산액이다. 예를들면, 이들 입자들은 냉동 절편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평탄한 절편 면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에멀션 형태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초미세 입자들은 평균 크기가 < 100 nm, 예를들면 25 내지 70 nm, 예를들면 다분산성은 < 0.5, (크기 및 다분산성은 말번 제타사이저 (Malvern Zetasizer unit)에서 광자 상관 방법에 의해 분광학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초미세 입자들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 DHA 에스테르, 특히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판테놀 에스테르, 및 특히 D-판테놀 DHA 에스테르를 조성물에 용해된 산소에 의한 산화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를 더욱 포함한다. 비-제한적 예시로는: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이산화황 방출 화합물 예를들면 피로아황산나트륨 (sodium metabisulphite), 갈산프로필,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D,L-α-토코페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함량은 0.01% 내지 1% (m/V), 더욱 상세하게는 0.01% 내지0.50% (m/V)이다. 항산화제 작용은 주사용 조성물 생산 및 포장 과정에서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면 적절하게 보강된다.
- pH 조절제. 이들은 본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알려져 있고 무기 또는 유기산 및 염기, 및 완충제를 포함한다. 이들을 사용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pH를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pH = 4 및 pH = 9 사이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할 수 있다.
- 혈액과 등장도를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 삼투압농도 조절제. 이들은, 예를들면, 중성 분자들 예를들면 탄수화물, 예를들면 선택적으로 환원 단당류 [예를들면 농도 ≤ 5% (m/V)의 글루코스 또는 만니톨] 또는 이당류 [예를들면 농도 ≤ 10% (m/V)의 수크로스]이다.
- 분산매질로서 주사용 물, 예를들면 5% 글루코스 용액 또는 0.9% 염화나트륨 용액.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즉시 투여될 수 있는 수 분산 형태 또는 투여 전 주사용 물과 즉석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냉동-건조 분산 형태이다.
비-제한적 예시에서,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30 ng/ml - 또는 3% (m/V) 농도에 대하여, SOLUTOL HS15 및 인지질 유도체 농도는 각각 2.5 내지 5% (m/V) 사이 및 0 내지 10% (m/V)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5% (m/V) SOLUTOL HS15 및 5% (m/V) 인지질 유도체를 가지는 조성물이 사용된다.
표 2에 주어진 제제들은 본 발명을 예시한다. 이들은 하기된 제1 공정에 의해 제조되었다.
1 2 3 4
DHA의 니코틴산 에스테르 3.00 g 3.00 g 3.00 g 3.00 g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5.00 g
1-팔미토일-2-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4.85 g 4.85 g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0.15 g 0.15 g 0.15 g
계란 레시틴 4.85 g
SOLUTOL HS15 5.00 g 5.00 g 5.00 g 5.00 g
아스코르브산 0.20 g
5% 글루코스 용액 up to 100 ml up to 100 ml up to 100 ml up to 100 ml
평균 입자 크기 28.6 nm 52.0 nm 65.1 nm 50.6 nm
다분산성 0.4 0.3 0.1 0.2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DHA 에스테르, 특히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판테놀 에스테르, 특히 식 A 또는 식 B를 가지는 DHA 판테놀 모노에스테르, 인지질 유도체(들)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들면 SOLUTOL HS15를,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도록 수용액, 예를들면 5% 글루코스 용액에서, 예를들면 약 7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예를들면 자석 또는 앵커 교반하면서, 균질하지만 탁한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는 분산하는 단계,
- 얻어진 분산액을, 예를들면 약 13,500 rpm에서 예를들면 회전자/고정자 터빈 (예를들면 Labortechnik T25 (IKA) 타입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이어 예를들면 1300 내지 1600 bar 압력에서 고압 균질화기 (예를들면 EMULSIFLEX C-5 (AVESTIN) 타입 또는 이와 동등한 것)를 사용하여 균질화 하는 단계,
- 얻어진 콜로이드성 제제를, 예를들면 MILLIPORE DURAPORE® 타입 또는 이와 동등한 0.2 μm 살균 여과기를 통과시켜 살균하는 단계.
본 공정은 멸균 여과액을, 무균 환경에서, 청결하고 이미 살균 처리된 일차 포장재료에 충전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본 일차 포장 재료는 예를들면 밀봉 바이알, 또는 고무마개 및 압착 캡으로 밀봉된 플라스크, 또는 즉시 투여될 수 있는 1회용 주사기를 포함한다.
대안적 공정에서, 양 계면활성제들 a) 및 b)은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수용액 예를들면 5% 글루코스 용액에서 예비로 공동-균질화된 후, DHA 에스테르, 특히 DHA의 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판테놀 에스테르, 특히 식 A 또는 식 B을 가지는 DHA 판테놀 모노에스테르를 첨가하고 최종 균질화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공정에서, 계면활성제 a) 및 DHA 에스테르를 균질화하고 계면활성제 b)를 첨가하고 이어 전체를 균질화하는 것이다. 이후 용매, 예를들면, 알코올/물 혼합물, 예를들면 에탄올/물, 예를들면 각각 15.8:1 v/v을 첨가하고, 계속 균질화하는 것이다. 이후 용매는 진공-건조하여 제거한다. 획득된 복합물을 5% 글루코스 용액에서 희석시킨다. 획득된 분산액은 선택적으로, 예를들면 고압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할 수 있다. 얻어진 제제를 상기된 0.22 um 여과기를 통과시켜 살균한다.
임의의 항산화제, pH-조절제 및/또는 등장화제를 균질화 전 또는 후에 수상에 용해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심장내, 피하, 피내, 근내, 척추내, 척수강내, 복강내, 안구내, 심실내, 심막내, 경막내 또는 관절내 투여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대로 또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용액 예를들면 5% 글루코스 용액 또는 0.9% 염화나트륨 용액에 희석된 후 정맥내 투여된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동맥내, 심장내, 피하, 피내, 근내 또는 척추내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품 용도로서의 본 발명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의약품은 예를들면 심실위 및/또는 심실 부정맥, 빈맥 및/또는 세동, 예를들면 심방세동에서 선택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심근세포 전기전도결함으로 나타나는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 예를들면 과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예를들면 혈액응고 및/또는 혈소판응집인자 II (트롬빈) 과다활성, 및/또는 동맥 고혈압으로 인한 복합적 이상지질혈증, 동맥 및 정맥혈전에서 선택되는 심혈관 질환 다중위험도 인자들 예방 및/또는 치료; 심근 경색으로 인한 심실위 및/또는 심실 부정맥, 빈맥, 세동 및/또는 전기전도 결함에서 유발되는 1차 또는 2차적 심혈관 질환, 급사 예방 및/또는 치료; 및/또는 경색후 치료를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예를들면, 심방세동 치료를 위한 표 2에 주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 활성은 하기 약리실험에 따라 완전하게 입증된다.
이소푸루란(1.5-3%)으로 수컷 랜드레이스종 돼지들 (22-25 kg)을 마취시켰다. 돼지들에 삽관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동맥혈 가스 수치를 생리적 한계 내로 유지시켰다. 좌측 개흉술로 4번째 늑간 공간을 절개하였다. 동맥 및 유방정맥을 꺼내어, 실험 생성물 투여를 위하여 정맥에 도관을 삽입하고 동맥혈압 측정 및 혈액시료들 채취를 위하여 동맥에 도관을 삽입하였다. 심막 영역 (pericardial bed)에 수행된다. 계속하여 심방 심전도 (ECG)를 기록하고, 3개의 전극들을 외 심막에 부착하고 봉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ECG 심방 단계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한다. 2개의 쌍극 전극들을 좌측 심방에 부착하였다: 이것들은 주어진 주파수에서 심방을 전기적으로 자극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실험 프로토콜:
충분한 회복기 경과 후, 제어 조건 하에서 심방 불응기를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심장 자극에는 불충분한 낮은 전압(0.1 V)에서 일련의 연속 자극들 (S1)이 개시된다. 적용 주파수를 감시할 수 있는 자극 역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압은 점차로 (0.1 V 간격들) 높아진다. 이러한 역치는 각각의 자극 주파수에서 결정된다. 4개의 자극 주파수들, 90, 120, 150 및 180 bpm이 있다. 돼지의 기준 심박수가 90 bpm보다 크면, 제1 자극 주파수는 적용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기분 심박수가 낮으면 (< 90 bpm), 마지막 자극 검사 주파수 (180 bpm)는 반드시 심장을 자극하는 것은 아니다. 일단 역치가 결정되면, 자극 S1 (일련의 10 회 자극들) 전압은 역치의 2배이고, 기외자극 S2 전압은 역치의 4배이다. 매 10회 S1 마다, 기외자극 S2이 불응기 (즉 최종 S1 이후80 ms, 예측 불응기는 최소한 100 ms) 동안 촉발되고, 매 10 회 자극S1 마다, 기외자극은 심박수 자체와 일치할 때까지 최종 S1로부터 늦어진다(5 ms 증분). S2에 응답을 유도하지 않는 가장 긴 간격이 심방 불응기이다. 4개의 상이한 자극 주파수에서 불응기는 연속하여 3회 측정 (평균으로 표시), 즉 12회 측정된다. 검사 조성물들은 일시로 및 40분에 걸쳐 (모든 불응기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투여된다. 역치들은 다시 계산되지 않고, 불응기들은 즉시 (일시 주입 후5 분) 측정되었다. 조성물이 활성이면, 불응기들은 대조군 대비 증가되어야 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만이 이러한 약리실험에 양성적으로 반응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반대 예들은 하기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제들과 매우 유사하지만, 열등한 또는 음성적 활성을 보인다.
반대예 1 반대예 2 반대예 3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3.00 g 3.00 g 3.00 g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2.00 g
SOLUTOL HS15 5.00 g
폴리솔베이트 80 2.50 g
중간-사슬 트리글리세리드 2.50 g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0.50 g
5% 글루코스 용액 100 ml 까지 100 ml 까지 100 ml 까지
따라서,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들 중 하나 ((a) 또는 (b), 각각 반대예 3 및 반대예 1)가 결여되거나 a) 또는 b)가 아닌 다른 계면활성제 (반대예 2)를 사용하면 원하는 활성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실시예 2: 식 B의 DHA 판테놀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
POPC = 1-팔미토일-2-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EPCS = 계란 포스파티딜콜린
DMPG = 1,2,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1- 용매 존재 하에서 착화에 의한 제조공정:
Solutol HS 15 및 식 B의 DHA 판테놀 에스테르를 50℃에서 균질화가 달성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인지질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1 시간 내지 1 시간 30분 동안 불활성 분위기 예를들면 질소에서 자석교반기로 교반하였다. 에탄올 및 물, 예를들면, 에탄올/물 [15.8:1 v/v]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불활성 분위기에서 지질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인지질을 완전히 분산시켰다. 생성 분산액을 최소한 24시간 동안 진공 중에 건조하여 용매 및 물을 제거하였다.
복합체를 5% 글루코스 용액에 희석하였다. 분산액이 불투명하면 투명하고 맑아질 때까지 고압 균질화기로 균질화시켰다. 0.22 μm PVDF 여과기에서 살균 처리하였다.
2- DHA 판테놀 에스테르와 인지질 및 Solutol HS 15 분산액과의 혼합에 의해 제조공정.
인지질, Solutol HS 15 및 5% 글루코스 용액을 계량하고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물을 자석으로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하였다. 맑고 및/또는 투명한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분산액을 고압 균질화기에 순환시켰다.
식 B의 DHA 판테놀 에스테르를 상기 분산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 내지 2분간 13,500 rpm 속도로 균질화시켰다. 맑고 및/또는 투명한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예를들면 5 회 이하로 분산액을 고압 균질화기에 순환시켰다. 분산액을 0.22 μm PVDF 여과기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3- DHA 판테놀 에스테르, 인지질 및 Solutol HS 15 혼합에 의한 제조공정.
모든 성분들을 플라스크에서 계량하고 막대 자석을 넣고 플라스크를 불활성 분위기 예를들면 질소에서 밀봉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또는 균질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분산액을 1 내지 2분 동안 13,500 rpm 속도로 균질화하고 투명 및/또는 맑은 분산액 또는 일정한 투광 (transmission)이 달성될 때까지 예를들면 6 회 이상 고압 균질화기로 처리하였다. 제제를 0.22 μm 여과기로 여과시키고 T0 및 4℃, 25℃ 및 40℃에서의 2주 보관 후 육안 관찰, 현미경 관찰, pH, 투광 및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표 4에 주어진 조성들로 제제가 제조되었다:
화합물 30 mg P-DHA/ml POPC 제제 30 mg P-DHA/ml EPCS 제제
중량 농도 (mg/ml) 중량 농도 (mg/ml)
식 B의 DHA 판테놀 에스테르 3.00 30.1 3.00 30.1
Solutol HS 15 5.00 49.8 5.00 49.8
POPC 4.85 48.5 - -
EPCS - - 4.85 48.5
DMPG 0.15 1.6 0.15 1.6
5% 글루코스 용액 87.00 870.1 87.00 870.1
합계 100 1000.1 100 1000.1
실시예들은 DHA 판테놀 에스테르, 예를들면 식 B의 판테놀 에스테르가 부형제와 직접 조합되어, 5% 글루코스 용액으로 희석된 주사용 분산액이 될 수 있는,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세 가지 공정들로 획득된 조성물들을 분석하였다.
T0 및 4℃, 25℃ 및 40℃에서의 2주 보관 후 육안 관찰, 현미경 관찰, pH, 투광 및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관찰 결과 ml 당 30 mg의 식 B를 가지는 DHA 판테놀 에스테르 Solutol HS 15 및 POPC 또는 EPCS 및 DPMG 및 5% 글루코스 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들은 상기 세 가지 공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었다. pH는 2주 동안 안정하게 유지되었고, 입자 크기는 100 nm 이하로 유지되었다. HPLC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면 어떠한 붕해 피크도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14)

  1. a)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b) 천연 레시틴 또는 천연 인지질로 이루어지는 인지질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계면활성제들을 이용하여 수상에 분산되는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의 초미세(submicronic) 입자들을 포함하되,초미세 입자들은 혼합 미셀들 또는 베시클들 (vesicles) 또는 미셀 및 베시클 구조의 혼성체이고, 초미세 입자들은 평균 크기가 25 내지 70 nm이며, 다분산성은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는 니코틴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는 다음 식 A를 가지는 DHA 판테놀 에스테르:
    Figure 112016127753994-pct00004
    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는 다음 식 B 를 가지는 DHA의 판테놀 모노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16127753994-pct00005
    B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는 마크로골-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천연 레시틴은 대두 또는 계란 레시틴이고, 천연 인지질은 대두 또는 계란 인지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인지질 유도체는 전기적 특성이 중성 (neutral) 및 음성(negatively charged) 인지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테르 농도는 10 mg/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1항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2항의 DHA 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의 DHA 판테놀 에스테르, 제1항의 인지질 유도체 및 솔루톨(SOLUTOL) HS15를,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도록, 5% 글루코스 용액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면서, 균질하지만 탁한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는 분산하는 단계,
    - 얻어진 분산액을, 회전자/고정자 터빈에서 13,500 rpm으로, 이어 고압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1300 내지 1600 bar 압력에서 균질화 하는 단계,
    - 얻어진 콜로이드성 제제를, 0.2 μm 살균 여과기를 통과시켜 살균하는 단계.
  10. 제1항에 있어서, 정맥내, 동맥내, 심장내, 피하, 피내, 근내, 척추내, 척수강내, 복강내, 안구내, 심실내, 심막내, 경막내 또는 관절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심혈관질환; 심근세포 전기전도결함증; 과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급사;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경색-후 (post-infarction) 치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7004083A 2009-08-11 2010-08-11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dha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735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5612A FR2949063B1 (fr) 2009-08-11 2009-08-11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ester de dha destinee a etre administree par voie parenterale
FR0955612 2009-08-11
PCT/EP2010/061701 WO2011018480A1 (fr) 2009-08-11 2010-08-11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ester de dha destinee a etre administree par voie parenter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949A KR20120047949A (ko) 2012-05-14
KR101735861B1 true KR101735861B1 (ko) 2017-05-15

Family

ID=4206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083A KR101735861B1 (ko) 2009-08-11 2010-08-11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dha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8753652B2 (ko)
EP (1) EP2464335B1 (ko)
JP (2) JP5847714B2 (ko)
KR (1) KR101735861B1 (ko)
CN (1) CN102470104B (ko)
AU (1) AU2010283754B2 (ko)
BR (1) BR112012003107A2 (ko)
CA (1) CA2770262C (ko)
ES (1) ES2566359T3 (ko)
FR (1) FR2949063B1 (ko)
GE (1) GEP20146088B (ko)
HK (1) HK1170169A1 (ko)
HU (1) HUE026807T2 (ko)
IL (1) IL217988A (ko)
MA (1) MA33518B1 (ko)
MX (1) MX2012001718A (ko)
NZ (1) NZ598082A (ko)
PL (1) PL2464335T3 (ko)
RU (1) RU2535029C2 (ko)
TN (1) TN2012000044A1 (ko)
UA (1) UA108477C2 (ko)
WO (1) WO2011018480A1 (ko)
ZA (1) ZA2012007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3790B1 (fr) * 2010-08-11 2012-09-28 Pf Medicament Docosahexaeneoate de panthenyle et son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cardiovasculaires
CN104394850A (zh) * 2012-02-16 2015-03-04 布莱特赛德创新有限公司 膳食和营养组合物及应用的方法
US10898458B2 (en) 2012-03-30 2021-01-26 Micelle Biopharma, Inc. Self-micellizing fatty acids and fatty acid ester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 states
US20160228397A1 (en) 2012-03-30 2016-08-11 Sancilio & Company, Inc. Omega-3 fatty acid ester compositions
FR2998479B1 (fr) * 2012-11-27 2017-04-28 Pf Medicament Utilisation d'un ester de dha pour le traitement prophylactique et/ou curatif de la drepanocyto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2718A1 (fr) 2007-07-26 2009-01-29 S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Émulsifiant composite, émulsion préparée à partir de celui-ci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celle-ci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081A (en) * 1994-05-10 1998-06-02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Omega 3 fatty acids in the prevention of ventricular fibrillation
US5858398A (en) * 1994-11-03 1999-01-12 Isomed Inc. Microparticu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E19609477A1 (de) * 1996-03-11 1997-09-18 Basf Ag Stabile wäßrige Solubilisate von Carotinoiden und Vitamine
DE69734988T2 (de) * 1996-08-22 2006-09-21 Jagotec Ag Zubereitungen enthaltend mikropartikel von wasserunlöslichen stoff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TWI241915B (en) * 1998-05-11 2005-10-21 Ciba Sc Holding Ag A method of preparing a pharmaceutical end formulation using a nanodispersion
AU6047300A (en) * 1999-06-21 2001-01-09 Eli Lilly And Company Rufomycins and derivatives thereof useful as inhibitors of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1 (mrp-1)
AUPQ480399A0 (en) 1999-12-22 2000-02-03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Unsaturated fatty acids and their uses in therapy
FR2805761B1 (fr) * 2000-03-02 2002-08-30 Mainelab Nanocapsules lipidiques,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comme medicament
US20050214378A1 (en) * 2002-06-11 2005-09-29 Ethypharm Stealth lipid nanocapsule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a carrier for active principle(s)
KR100482269B1 (ko) * 2002-10-08 2005-04-14 센츄론(주) 2,6-디이소프로필페놀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상의마취용 주사제 및 그 제조방법
AU2004216856A1 (en) * 2003-03-05 2004-09-16 Solvay Pharmaceuticals Gmbh Use of omega-3-fatty acids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patients
EP1843751B1 (en) * 2005-01-21 2020-09-30 Camurus Ab Pharmaceutical lipid compositions
FR2902659A1 (fr) * 2006-06-23 2007-12-28 Pierre Fabre Medicament Sa Ester de dha et son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cardiovasculaires
CN101259102B (zh) 2008-04-17 2011-05-25 湖北福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米级二十二碳六烯酸乳状液及其制备方法
CN101385714B (zh) * 2008-10-24 2011-07-27 苏州纳康生物科技有限公司 Dha脂质纳米粒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2718A1 (fr) 2007-07-26 2009-01-29 S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Émulsifiant composite, émulsion préparée à partir de celui-ci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celle-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8480A1 (fr) 2011-02-17
KR20120047949A (ko) 2012-05-14
CN102470104B (zh) 2014-05-14
RU2535029C2 (ru) 2014-12-10
UA108477C2 (uk) 2015-05-12
AU2010283754A1 (en) 2012-03-08
BR112012003107A2 (pt) 2016-02-23
IL217988A (en) 2016-05-31
FR2949063A1 (fr) 2011-02-18
RU2012108049A (ru) 2013-09-20
NZ598082A (en) 2013-08-30
ES2566359T3 (es) 2016-04-12
TN2012000044A1 (fr) 2013-09-19
EP2464335A1 (fr) 2012-06-20
JP5847714B2 (ja) 2016-01-27
CA2770262A1 (fr) 2011-02-17
EP2464335B1 (fr) 2016-01-06
IL217988A0 (en) 2012-03-29
US20120141563A1 (en) 2012-06-07
PL2464335T3 (pl) 2016-06-30
FR2949063B1 (fr) 2011-09-30
CA2770262C (fr) 2016-12-06
MA33518B1 (fr) 2012-08-01
JP6050440B2 (ja) 2016-12-21
MX2012001718A (es) 2012-04-02
AU2010283754B2 (en) 2014-05-08
CN102470104A (zh) 2012-05-23
JP2016000742A (ja) 2016-01-07
JP2013501752A (ja) 2013-01-17
US8753652B2 (en) 2014-06-17
HUE026807T2 (en) 2016-07-28
HK1170169A1 (en) 2013-02-22
GEP20146088B (en) 2014-05-13
ZA201200714B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1655B2 (ja) アプレピタントのエマルジョン製剤
ES2324526T3 (es) Emulsiones isotonicas de lipidos.
JP6050440B2 (ja) Dhaエステルを含む非経口投与のための医薬組成物
CA2633170C (en) Butylphthalide intravenous emuls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40131936A (ko) 크릴 인지질을 포함하는 호르몬 함유 유화액
CN1259908C (zh) 最优化水解的脂质乳剂及其用途
CN103301076B (zh) 一种前列地尔冻干脂质乳剂及其制备方法
JPWO2006098241A1 (ja) 難水溶性薬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CN1191832C (zh) 血管生成促进剂
CN105939705A (zh) 用于肠胃外给药的包含epa甘油三酯和dha甘油三酯的组合物
JP3132085B2 (ja) 脂肪乳剤
CN1682706A (zh) 静脉用棓丙酯的稳定水包油乳剂及其制备方法
CN1103216C (zh) 含有生物活性甾体的药物乳剂
KR20150112975A (ko) 경구 및 비경구적 전달을 위한 클로피도그렐 유리 염기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
JPH09136836A (ja) Pge1含有凍結乾燥製剤及び製法
JP7149611B2 (ja) 薬物を保持した非水系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509188A (ja) 医薬組成物
JP4638053B2 (ja) レトロウイルス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用医薬エマルジョン
WO2023008498A1 (ja) 非ラメラ液晶形成性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H01113315A (ja) ビタミンk↓2含有脂肪乳剤
KR20220152228A (ko)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해바라기 인지질 조성물
CN1903177A (zh) 前列地尔纳米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