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498B1 -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498B1
KR101735498B1 KR1020150155645A KR20150155645A KR101735498B1 KR 101735498 B1 KR101735498 B1 KR 101735498B1 KR 1020150155645 A KR1020150155645 A KR 1020150155645A KR 20150155645 A KR20150155645 A KR 20150155645A KR 101735498 B1 KR101735498 B1 KR 101735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ayer
thin film
solar cell
film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4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including a AIBIIICVI compound, e.g. CdS/CulnSe2 [CIS] heterojunction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2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1/028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1CuInSe2 material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구비하는 p-type 반도체층; 및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에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형성된 n-type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CIGS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IGS 박막 태양전지는 고가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하여 태양광발전의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가, 고효율의 태양전지 재료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CIGS 박막 태양전지는 약 21.7%의 최고효율을 나타내며, 다결정실리콘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능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소면적 셀로부터 얻어진 값이다. 대면적 모듈 제조시 셀효율의 약 80% 수준인 17%의 변환효율이 기대되는 반면, 현재 수준은 약 16%에 머물고 있다.
CIGS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p형 반도체 표면을 n형으로 전환시켜 p-n 동종접합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CIGS 광흡수층과 버퍼층으로 p-n 접합을 만들 경우, 이종접합 계면은 자연적으로 높은 결함밀도를 갖게 되며, 변환효율이 제한된다.
황화카드뮴(CdS) 또는 옥시황화아연(ZnOS)를 버퍼층으로 사용하고, 이들 박막을 습식공정으로 증착할 경우, 구리(Cu) 이온과 카드뮴(Cd) 이온(또는 아연(Zn) 이온) 간 이온교환반응이 일어난다. 이 때, CIGS 광흡수층의 표면층 일부가 n형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p-n 접합계면은 동종접합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CIGS 태양광 모듈 양산에서 습식공정은 폐액처리 등의 문제로 인해 기피되고 있으며, 원자층증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이나 스퍼터링 등의 건식공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 건식공정의 경우, 위의 이온교환반응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p-n 동종접합을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공정으로 버퍼층을 형성할 경우, 접합면이 이종접합에서 동종접합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박막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구비하는 p-type 반도체층; 및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에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형성된 n-type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박막 태양전지는 상기 p-type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p-type 반도체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상기 n-type 반도체층을 게재함으로써 상기 p-type 반도체층과 상기 버퍼층은 동종접합(homojunction)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전극을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구비하는 p-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인(P) 또는 붕소(B)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 상에 도핑함으로써 n-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p-type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화합물을 공급하고, 상기 기판을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표면은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내부보다 구리 공공(Cu vacancy)이 상대적으로 많아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표면은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내부보다 상기 인(P) 또는 붕소(B) 원소의 도핑이 잘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P)은 1개의 가전자를 갖는 상기 구리(Cu), 3개의 가전자를 갖는 상기 인듐(In) 또는 상기 갈륨(Ga) 자리를 치환함으로써 n형 도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붕소(B)는 3개의 가전자를 갖는 상기 구리(Cu) 자리를 치환함으로써 n형 도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기판의 열처리 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두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p-type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화합물을 증발시켜 증착한 후 열처리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기판의 열처리 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두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상기 p-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온도로서, 250℃ 내지 550℃의 온도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P), 포스핀(PH3), 염화포스포릴(POCl3), 디오황화인(P4S10), 디오셀렌화인(P4Se10), 보라잔(BH3), 디보란(B2H6), 붕소(B) 및 삼황화붕소(B2S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격이 저렴하고, 고효율을 가지며, p-n 접합면이 이종접합에서 동종접합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p-n 접합면의 결함밀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GS를 광흡수층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GS를 광흡수층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IGS를 광흡수층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유리를 기판(10)으로 하며, 배면전극(20), 광흡수층(30), 버퍼층(40), 투명전극(50), 반사방지막(60)의 5개의 단위 박막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고, 그 위에 그리드 전극(70)을 형성시켜 제조된다. 기판(10)은 SUS와 같은 유연기판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배면전극(20)은 예를 들어, 몰리브덴(Mo)과 같이 전도도가 우수하고, 셀레늄(Se)에 의해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배면전극(20)은 몰리브덴(Mo)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광전변환효율 개선을 위해서 셀레늄(Se) 또는 나트륨(Na)의 확산을 방지하는 층을 포함한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흡수층(30)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층(30)은 p-type 반도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이하에서, p-type 반도체층이라 한다. p-type 반도체층(30)은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동시증발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구리(Cu), 인듐(In) 및 갈륨(Ga)을 포함하는 프리커서(precursor)를 먼저 증착한 후 고온에서 셀렌화 공정 또는 이와 동시에 황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n-type 반도체층(35)은 p-type 반도체층(30)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IGS 광흡수층(30)의 상부에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n-type 반도체층(35)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40)은 n-type 반도체층(3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type 반도체층(35) 상에 황화카드뮴(CdS) 또는 옥시황화아연(ZnOS)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버퍼층(40)은 황화카드뮴 또는 옥시황화아연 박막 이외에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 박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아연(ZnO) 박막은 황화카드뮴 또는 옥시황화아연 상부에 RF 스퍼터링방법으로 제조 할 수 있다. 이때 제조 방법으로 DC, 반응성 스퍼터링 및 유기금속화학증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투명전극층(50)은 버퍼층(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인듐주석(ITO) 박막 또는 알루미늄(Al), 갈륨(Ga) 등이 도핑된 산화아연을 사용하여 DC 스퍼터링방법으로 제조 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60)은 예를 들어, 플루오르화마그네슘(MgF2)이 사용될 수 있으며, 투명전극층(5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플루오르화마그네슘(MgF2)은 물리적인 박막 제조법으로, 전자빔증발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전극(70)은 알루미늄(Al), 니켈(Ni)/알루미늄(Al) 재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00), p-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n-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및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의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값싼 소다라임글라스(soda lime glass)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알루미나(Al2O3)와 같은 세라믹 기판, 스테인레스 스틸(SUS steel), 구리 테이프(Cu tape)와 같은 금속 기판, 폴리머(polymer)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0)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되는 태양전지용 배면전극(20)으로서, 배면전극(20)은 예를 들어, 기판(10) 상부에 몰리브덴(Mo)을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여기서, 배면전극(20)은 단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에, 배면전극(20) 상에 예를 들어, 구리(Cu), 인듐(In) 및 갈륨(Ga)을 포함하는 프리커서(precursor)를 형성 할 수 있고, 고온에서 셀렌화를 수행할 수 있다. 셀렌화에 수반된 셀레늄과 배면전극(20)에 포함된 몰리브덴(23)이 반응하여 몰리셀레나이드(MoSe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리커서는 셀렌화 공정에서 셀레늄(Se)과 반응하여 p-type 반도체층(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배면전극(20) 상에 동시증발법으로 p-type 반도체층(30)을 바로 증착할 수 있다. 동시증발법을 사용하여 p-type 반도체층(30)을 제조시 셀렌화 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공정이 단순해지며, 스퍼터링과 셀렌화 공정으로 제조된 p-type 반도체층(30) 보다 더 우수한 CIGS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더 효율이 높은 p-type 반도체층(3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리커서에 사용되는 구리(Cu), 인듐(In) 및 갈륨(Ga)의 조성비는 태양전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구리(Cu), 인듐(In) 및 갈륨(Ga)의 박막 두께 또한 p-type 반도체층(30)의 두께에 대한 설계에 따라 더 두껍거나 얇게 해도 무관하다.
p-type 반도체층(30)의 표면은 p-type 반도체층(30)의 내부보다 구리 공공(Cu vacancy)이 상대적으로 많아 구리(Cu)가 부족한 조성을 가지므로, p-type 반도체층(30)의 표면은 내부보다 인(P) 또는 붕소(B)의 도핑이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인 또는 붕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p-type 반도체층(30)의 적어도 일부에 도핑함으로써 n-type 반도체층(35)을 형성할 수 있다. n-type 반도체층(35)을 형성시킴으로써 p-n 접합면이 이종접합에서 동종접합으로 전환되어, 전합면의 결함밀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type 반도체층(35)은 인(P) 또는 붕소(B)를 함유하는 원소 또는 기상화합물을 챔버에 공급한다. 기판(10) 상에 공급된 화합물을 기판을 가열함으로써 p-type 반도체층(30)의 상부에서 하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 때, 열처리 온도는 p-type 반도체층(30)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로서, 약 250℃ 내지 550℃의 온도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P) 또는 붕소(B)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인(P), 포스핀(PH3), 염화포스포릴(POCl3), 디오황화인(P4S10), 디오셀렌화인(P4Se10), 보라잔(BH3), 디보란(B2H6), 붕소(B) 및 삼황화붕소(B2S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오황화인(P4S10), 디오셀렌화인(P4Se10) 등의 인(P) 함유 고상화합물, 보라잔(BH3), 디보란(B2H6) 등의 기상화합물 또는 붕소(B), 삼황화붕소(B2S3) 등의 고상화합물을 증발시켜 p-type 반도체층(30) 상에 일정한 두께로 증착한 후 열처리함에 따라 n-type 반도체층(3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열처리 온도는 상술한 p-type 반도체층(30)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범위에서 수행가능하다.
인(P)이 p-type 반도체층(30)에 도핑 될 경우, 인(P)은 5개의 가전자를 가지므로, 1개의 가전자를 가진 구리(Cu), 3개의 가전자를 가진 인듐(In) 또는 갈륨(Ga) 자리를 치환할 경우 2개의 자유전자를 제공함으로써 n-type 반도체층(35)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붕소(B)가 p-type 반도체층(30)에 도핑될 경우, 붕소(B)는 3개의 가전자를 가지므로, 1개의 가전자를 가진 구리(Cu) 자리를 치환함으로써 n-type 반도체층(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n-type 반도체층(35)의 두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기판의 열처리 온도를 높이거나 열처리 시간을 길게 할수록 n-type 반도체층(35)의 두께가 두꺼워 진다. 그러나, n-type 반도체층(35)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태양광 흡수 손실이 커지므로 단락전류의 손실이 증가한다. 따라서, 적정 두께의 n-type 반도체층(3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인(P) 또는 붕소(B)의 도핑 깊이를 제어해야 한다.
이후에, n-type 반도체층(35) 상에 황화카드뮴(CdS) 또는 옥시황화아연(ZnOS)와 같은 재료를 버퍼층(4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40)은 습식공정과 건식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화카드뮴(CdS)을 이용하여 습식공정으로 버퍼층(40)을 형성할 경우, p-type 반도체층(30) 내에 존재하는 구리(Cu)이온과 버퍼층(40)에 포함된 카드뮴(Cd)이온 간 이온교환반응이 일어나 p-type 반도체층(30)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n형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p-n 접합계면은 동종접합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CIGS 태양광 모듈 양산시 습식공정은 폐액처리 등의 환경문제와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기피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 버퍼층(40)을 물리적 증착 방법 예를 들면, 원자층증착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이나 스퍼터링 같은 건식공정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건식공정으로 버퍼층(40)을 형성할 경우, 습식공정에서와 같은 이온교환반응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p-n 동종접합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의한 n-type 반도체층(35)을 간단하게 인(P) 또는 붕소(B)를 CIGS 광흡수층(30)의 상부에 도핑함으로써 p-n 접합면이 이종접합에서 동종접합으로 전환되어 접합면의 결함밀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는 p-type 반도체층과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에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형성된 n-type 반도체층을 포함함으로써 CIGS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기판
20 : 배면전극
30 : p-type 반도체층
35 : n-type 반도체층
40 : 버퍼층
50 : 투명전극
60 : 반사방지층
70 : 그리드 전극

Claims (12)

  1.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구비하는 p-type 반도체층;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에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형성된 n-type 반도체층; 및
    건식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n-type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버퍼층;
    을 포함하고,
    상기 p-type 반도체층과 상기 n-type 반도체층의 접합계면은 동종접합(homojun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2. 삭제
  3. 전극을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구리(Cu), 인듐(In), 갈륨(Ga) 및 셀레늄(Se)을 구비하는 p-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인(P) 또는 붕소(B)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 상에 도핑함으로써 n-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건식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n-type 반도체층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p-type 반도체층과 상기 n-type 반도체층의 접합계면은 동종접합(homojun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p-type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화합물을 공급하고, 상기 기판을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P) 또는 붕소(B)가 도핑되어 형성된,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표면은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내부보다 구리 공공(Cu vacancy)이 상대적으로 많아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표면은 상기 p-type 반도체층의 내부보다 상기 인(P) 또는 붕소(B) 원소의 도핑이 잘되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P)은 1개의 가전자를 갖는 상기 구리(Cu), 3개의 가전자를 갖는 상기 인듐(In) 또는 상기 갈륨(Ga) 자리를 치환함으로써 상기 n-type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B)는 1개의 가전자를 갖는 상기 구리(Cu) 자리를 치환함으로써 상기 n-type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기판의 열처리 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두께가 변하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p-type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화합물을 증발시켜 증착한 후 열처리함에 따라 형성된,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type 반도체층은 상기 기판의 열처리 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두께가 변하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상기 p-type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온도로서, 250℃ 내지 550℃의 온도범위를 갖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P), 포스핀(PH3), 염화포스포릴(POCl3), 디오황화인(P4S10), 디오셀렌화인(P4Se10), 보라잔(BH3), 디보란(B2H6), 붕소(B) 및 삼황화붕소(B2S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50155645A 2015-11-06 2015-11-06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3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645A KR101735498B1 (ko) 2015-11-06 2015-11-06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645A KR101735498B1 (ko) 2015-11-06 2015-11-06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498B1 true KR101735498B1 (ko) 2017-05-15

Family

ID=5873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645A KR101735498B1 (ko) 2015-11-06 2015-11-06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4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975A (ja) * 2004-02-13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太陽電池
JP2005303201A (ja) 2004-04-15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化合物半導体及び太陽電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106012A (ja) 2011-11-16 2013-05-30 Toshiba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JP2013106013A (ja) 2011-11-16 2013-05-30 Toshiba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WO2013172253A1 (ja) 2012-05-15 2013-11-2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n型光吸収層用合金と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975A (ja) * 2004-02-13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太陽電池
JP2005303201A (ja) 2004-04-15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化合物半導体及び太陽電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106012A (ja) 2011-11-16 2013-05-30 Toshiba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JP2013106013A (ja) 2011-11-16 2013-05-30 Toshiba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WO2013172253A1 (ja) 2012-05-15 2013-11-2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n型光吸収層用合金と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704B1 (ko) 칼륨이 첨가되는 박막 광전자 소자의 제조
KR101245371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6513A (ko) Ⅰbⅲaⅵa 족 화합물 층들을 위한 도핑 기술들
WO2005034247A1 (en) Zno/cu(inga)se2 solar cells prepared by vapor phase zn doping
KR102525426B1 (ko)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KR20150051181A (ko)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
JP2015233139A (ja) 原子層蒸着法で形成されたバッファ層を含む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01469B (zh)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KR101542343B1 (ko) 박막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8486B1 (ko) 탠덤구조 cigs 박막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cigs 박막 태양전지
KR101779508B1 (ko) 박막 태양전지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 방법
KR101735498B1 (ko)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9666737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6541124A (ja) 薄膜太陽電池用層系
KR20140007085A (ko) Cigs 태양전지 제조방법
KR20170097440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0564A (ko) 흡수체층의 후처리 방법
KR20150064930A (ko) 유연성을 갖는 czts 박막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박막 태양전지
KR101541776B1 (ko)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Bosio et al. Polycrystalline Cu (InGa) Se2/CdS thin film solar cells made by new precursors
KR102212042B1 (ko)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5263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5164820A (zh) 制造光吸收层的方法
KR101410673B1 (ko) Cigs박막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cigs박막 태양전지
KR20150136721A (ko) 고품질 cigs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