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683B1 -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683B1
KR101734683B1 KR1020150140931A KR20150140931A KR101734683B1 KR 101734683 B1 KR101734683 B1 KR 101734683B1 KR 1020150140931 A KR1020150140931 A KR 1020150140931A KR 20150140931 A KR20150140931 A KR 20150140931A KR 101734683 B1 KR101734683 B1 KR 101734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block
block
epcu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471A (ko
Inventor
정연재
이광무
정길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683B1/ko
Priority to US15/154,395 priority patent/US10160335B2/en
Publication of KR2017004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완속 충전기(OBC:On-Board Charger)와 상기 완속 충전기에 적층되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제어하는 EPCU(Electric Power Control Unit)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제 1버스바블록 및 제 2버스바블록이 구비된 정션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상기 완속 충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상기 EPCU에 결합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Power Distibuting B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블록을 직접 체결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전장부품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션블록이 구비된다. 정션블록은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융단되면서 회로를 차단하는 휴즈 및 입력되는 값이 일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가 수납된다.
정션블록은 차량의 크기별 분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략 20~40개의 휴즈와 십여개의 릴레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정션블록은 휴즈 및 릴레이를 분산시키게 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려우므로, 이들을 한 곳에 집적시켜 전원을 모드별로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션블록(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부품(1,3)과 각각 와이어에 의한 간접체결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간접체결 방식에 따르면, 정션블록(5)과 주변부품(1,3)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의 공간을 따로 형성시켜야 한다. 또, 와이어 커넥터의 배치 경로에 따라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서 배치 경로를 별도로 연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션블록과 주변부품의 체결에 따른 공간확보와 중량감소를 위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완속 충전기(OBC:On-Board Charger)와 상기 완속 충전기에 적층되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제어하는 EPCU(Electric Power Control Unit)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제 1버스바블록 및 제 2버스바블록이 구비된 정션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상기 완속 충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상기 EPCU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속 충전기는,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삽입되는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정션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1결합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PCU는,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삽입되는 제 2삽입부와, 상기 제 2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정션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2결합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PCU는, 상기 EPCU의 제 2삽입부와 상기 완속 충전기의 상기 제 1삽입부의 중심에 맞춰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핀과 상기 제 2결합핀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 및 상기 제 2버스바블록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OBC와 상기 EPCU와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탭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탭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을 지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착탭은, 상기 제 1결합핀과 체결되는 제 1체결홀이 형성된 제 1장착탭과, 상기 제 2결합핀과 체결되는 제 2체결홀이 형성된 제 2장착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장착탭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완속 충전기와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장착탭은, 상기 제 2체결홀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EPCU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장착탭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장착탭은 상기 제 2버스바블록과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는, 상기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2삽입부에 맞춰 수직되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정션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고전압 퓨즈를 안착 및 연결하는 퓨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 케이스에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별도의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에 상기 가스켓이 설치되어,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의 측면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탄성재질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제 2버스바블록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버스바블록 및 제 2버스바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가 내부에 설치된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에는 각각 고무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가스켓으로 둘러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고무패킹이 안착하여 설치되는 패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가스켓을 향한 외주면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따르면, 주변부품과 정션블록의 직접체결 방식에 따라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따르면, 주변부품간 정션블록으로 고정시킴으로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따르면, 버스바 블록의 독립 기밀이 가능하여, 기밀성의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따르면, 주변부품과 정션블록간 결합면의 정확성이 높아져 조립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주변부품에 장착된 정션블록을 정면 및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원 분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및 'B'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정션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션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주변부품에 장착된 정션블록을 정면 및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전원 분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및'B'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정션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션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인 경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주변부품에 장착된 정션블록을 정면 및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전원 분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완속 충전기(10, OBC: On-Board Charger)와 완속 충전기(10)에 적층되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제어하는 EPCU(20, Electric Power Control Unit)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제 1버스바블록(43) 및 제 2버스바블록(46)이 구비된 정션블록(3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전원 분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및 'B'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완속 충전기(1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엔진룸에 구비된다. 완속 충전기(10)에는 EPCU(20)가 적층되고, 완속 충전기(10)와 적층된 EPCU(20)의 측면에 정션블록(30)이 결합된다.
완속 충전기(10)는 정션블록(30)의 제 1버스바블록(43)이 삽입되는 제 1삽입부(16)가 형성된다. 완속충전기(10)는 제 1삽입부(16)로부터 연장되어 정션블록(30)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1결합핀(18b)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완속 충전기(10)에는 정션블록(30)의 결합방향을 향해 제 1결합부(16)가 형성된다. 제 1결합부(16)은 제 1버스바블록(43)이 삽입되는 제 1삽입홀(16a)이 형성된 제 1삽입부(16)와 제 1삽입부(16)로부터 연장된 제 1연장부(18)가 형성된다.
제 1연장부(18)는 정션블록(30)과 결합되는 제 1결합핀(18b)이 형성되고, 제 1결합핀(18b)과 정션블록(30)과 볼팅되는 제 1볼팅홀(18a)이 형성된다. 제 1결합핀(18b)는 제 1삽입부(16)로 삽입되는 방향의 제 1버스바블록(43)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 1결합핀(18b)는 정션블록(30)과 볼트로 결합되는 제 1체결홀(18a)이 형성된다.
제 1결합핀(18b)는 정션블록(30)과 결합되고, 제 1체결홀(18a)과 정션블록(30)간 볼팅으로 견고하게 결합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버스바블록(43)과 근접하여 결합됨으로서 제 1버스바블록(43)이 제 1삽입부(16)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EPCU(20)는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완속 충전기(10)에 적층된다. EPCU(20)는 제 2버스바블록(46)이 삽입되는 제 2삽입부(26)가 형성된다. EPCU(20)는 제 2삽입부(26)로부터 연장되어 정션블록(30)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2결합핀(28b)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EPCU(20)에는 정션블록(30)의 결합방향을 향해 제 2결합부(26)가 형성된다. 제 2결합부(26)은 제 2버스바블록(46)이 삽입되는 제 2삽입홀(26a)이 형성된 제 2삽입부(26)와 제 2삽입부(26)로부터 연장된 제 2연장부(28)가 형성된다. 제 2연장부(28)는 정션블록(30)과 결합되는 제 2결합핀(28b)이 형성되고, 제 2결합핀(28b)과 정션블록(30)과 볼팅되는 제 2볼팅홀(28a)이 형성된다.
제 2삽입부(26)는 완속 충전기(10)의 제 1삽입부(16)의 중심에 맞춰 적층된다. 이에 따라, EPCU(20)의 제 2삽입부(26)는 제 1삽입부(16)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EPCU(20)는 제 2결합핀(28b)와 제 1결합핀(18b)도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EPCU(20)는 완속 충전기(10)의 제 1삽입부(16)와 EPCU(20)의 제 2삽입부(26)에 맞춰 수직되게 적층될 수 있다. 제 2결합핀(28b)는 제 2삽입부(26)로 삽입되는 제 2버스바블록(46) 평행하게 형성되어, 정션블록(30)과 체결된다.
도 6은 정션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션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션블록(30)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버스바블록(40)이 구비된다. 복수의 버스바블록(40)은 제 1버스바블록(43) 및 제 2버스바블록(46)이 구비된다. 정션블록(30)은 완속 충전기(10)와 EPCU(20)의 측면에서 결합된다. 정션블록(30)은 제 1버스바블록(43)이 완속 충전기(10)에 결합되고, 제 2버스바블록(46)이 EPCU(20)에 결합된다.
정션블록(30)은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에 가스켓(70)이 배치되어, 완속 충전기(10)와 EPCU(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정션블록(30)은 완속 충전기(10)와 EPCU(20)와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탭(33,34,36,37)이 형성되고, 장착탭(33,34,36,37)는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을 지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정션블록(30)은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에 설치되는 가스켓(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션블록(3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32)와 고전압 퓨즈를 안착 및 연결하는 퓨즈케이스(50)를 포함한다.
바디부(32)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버스바블록, 퓨즈 등 다수의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32)는 완속 충전기(10)와 EPCU(20)에 결합되는 장착탭(33,34,36,37)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2)는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의 일부를 바디부(32)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32)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어 커버(31)로 덮어 외부로부터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바디부(32)와 커버(31) 사이에 수밀방지용 고무패드(60)가 배치된다.
장착탭(33,34,36,37)은 바디부(32)의 측면에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장착탭(33,34,36,37)은 완속 충전기(10) 및 EPCU(20)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장책탭(33,34,36,37)은 제 1버스바블록(43) 및 제 2버스바블록(46)와 직각되게 바디부(3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장착탭(33)은 제 1버스바블록(43)을 고정시키도록 완속 충전기(10)와 볼트(80)로 체결될 수 있다. 제 1장착탭(33)는 제 1버스바블록(43)과 평행되게 배치되고, 제 2장착탭(36)는 제 2버스바블록(46)과 평행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장착탭(33)은 복수의 제 1체결홀(33a)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 1체결홀(33a)은 제 1결합핀(18b)과 체결되고, 제 1볼팅홀(18a)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제 2장착탭(36)은 제 1장착탭(33)과 수직 상방에 형성된다. 제 2장착탭(36)은 복수의 제 2체결홀(36a)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 2체결홀(36a)은 제 2결합핀(28b)과 체결되고, 제 2볼팅홀(28a)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장착탭(34)은 복수의 제 3체결홀(34a)이 형성되어 미도시된 완속충전기(10)의 볼팅홀에 체결될 수 있고, 제 4장착탭(37)도 동일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정션블록(30)의 완속 충전기(10)와 EPCU(20)의 측면에서 정션블록(30)이 각각 2점식으로 총 4점으로 결합되어 완속 충전기(10)와 EPCU(20)간 체결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
복수의 버스바블록(40)은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이 구비되어 제 1버스바블록(43)은 완속 충전기(10)와 연결되고, 제 2버스바블록(46)은 EPCU(46)와 연결된다.
도 8은 도 6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제 1버스바블록(43)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된다. 제 1버스바블록(43)은 복수의 단자(48)가 내부에 설치된 제 1하우징을 포함한다. 제 2버스바블록(46)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된다. 제 2버스바블록(46)은 복수의 단자(48)가 내부에 설치된 제 2하우징을 포함한다.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47)은 바디부(32)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에는 각각 고무패킹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버스바블록(46)을 나타내는 도8을 일실시예로 설명한다. 제 2하우징(47)에는 고무패킹(49)이 설치된다. 제 2하우징(47)에 고무패킹(49)은 제 2가스켓(76)으로 둘러쌓일 수 있다. 제 2하우징(47)은 고무패킹(49)이 안착하는 패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무패킹(49)은 가스켓(70)을 향한 외주면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은 바디부(32)의 외부로 단자가 돌출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 2하우징(47)에 설치되는 고무패킹(47) 및 제 2가스켓(76)은 제 1버스바블록(43)의 제 1하우징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퓨즈케이스(50)는 고전압 퓨즈를 안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퓨즈케이스(50)는 복수의 단자와 연결된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디부(32) 내부에 수용된다. 퓨즈케이스(50)에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이 별도의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스켓(70)은 정션블록(3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된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에 설치된다. 가스켓(70)은 탄성재질로 복수개 구비되어, 바디부(32)의 외부로 돌출된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제 1버스바블록(43)에 제 1가스켓(73)이 설치되고, 제 2버스바블록(46)에 제 2가스켓(76)이 설치된다. 가스켓(70)은 도 8과 같이 고무패킹(49)의 외주면에서 감싸도록 구비된다. 가스켓(70)의 탄성에 의해 탄성재질의 패킹(60)을 압착하여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원 분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정션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도록 완속 충전기(10)에 EPCU(20)를 적층하여 장착한다. 완속 충전기(10)로부터 EPCU(2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호간 볼팅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완속 충전기(10)와 EPCU(20)의 측면에서 정션블록(30)을 결합하여 완속 충전기(10)와 EPCU(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정션블록(30)의 제 1버스바블록(43)은 완속 충전기(10)의 제 1삽입부(16)에 직접 결합되어 제 1버스바블록(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정션블록(30)의 제 2버스바블록(46)은 완속 충전기(10)에 적층된 EPCU(20)의 제 2삽입부(26)에 직접 결합되어 제 2버스바블록(4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정션블록(30)의 제 1장착탭(33)에 제 1체결부(15)와 결합되고, 제 2장착탭(36)에 제 2체결부(25)가 장착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정션블록(30)은 제 1버스바블록(43)을 제 1삽입부(16)로부터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아니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정션블록(30)은 제 1버스바블록(43)과 제 2버스바블록(46)이 제 1삽입부(16) 및 제 2삽입부(26)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션블록(30)에는 가스켓(70)이 구비되어, 제 1장착탭(33)과 제 2장착탭(36)을 제 1결합부(15)와 제 2결합부(25)에 결합시 가스켓(70)이 압착하여 정션블록(30)과 완속 충전기(10) 및 EPCU(20)는 더욱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션블록(30)과 완속 충전기(10), EPCU(20)의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정션블록(30)의 제 3장착탭(34)이 완속 충전기(10)에 결합되고, 제 4장착탭(37)이 EPCU(20)에 결합됨으로서 정션블록(30)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에 따르면, 주변부품과 정션블록의 직접체결 방식에 따라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주변부품간 정션블록으로 고정시킴으로 고정이 견고해지며, 버스바 블록의 독립 기밀이 가능하여, 기밀성의 향상되고, 주변부품과 정션블록간 결합면의 정확성이 높아져 조립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완속 충전기 20: EPCU
30: 정션블록 40: 버스바블록
50: 퓨즈케이스 60: 패킹
70: 가스켓

Claims (20)

  1.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완속 충전기(OBC:On-Board Charger)
    상기 완속 충전기에 적층되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제어하는 EPCU(Electric Power Control Unit);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제 1버스바블록 및 제 2버스바블록이 구비된 정션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상기 완속 충전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상기 EPCU에 결합되되;
    상기 완속 충전기는,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삽입되는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정션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1결합핀이 형성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결합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CU는,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삽입되는 제 2삽입부와,
    상기 제 2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정션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2결합핀이 형성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PCU는,
    상기 EPCU의 제 2삽입부와 상기 완속 충전기의 상기 제 1삽입부의 중심에 맞춰 적층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핀과 상기 제 2결합핀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 및 상기 제 2버스바블록과 평행하게 형성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은,
    상기 OBC와 상기 EPCU와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탭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탭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을 지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탭은,
    상기 제 1결합핀과 체결되는 제 1체결홀이 형성된 제 1장착탭과,
    상기 제 2결합핀과 체결되는 제 2체결홀이 형성된 제 2장착탭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착탭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완속 충전기와 볼트로 체결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장착탭은,
    상기 제 2체결홀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EPCU에 볼트로 체결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착탭은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장착탭은 상기 제 2버스바블록과 평행되게 배치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는,
    상기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2삽입부에 맞춰 수직되게 적층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고전압 퓨즈를 안착 및 연결하는 퓨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 케이스에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별도의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에 가스켓이 설치되어,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의 측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탄성재질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제 2버스바블록에 설치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버스바블록 및 제 2버스바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가 내부에 설치된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에는 각각 고무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가스켓으로 둘러쌓이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고무패킹이 안착하여 설치되는 패킹홈이 형성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가스켓을 향한 외주면이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19.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완속 충전기(On-Board Charger)
    상기 완속 충전기에 적층되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제어하는 EPCU(Electric Power Control Unit); 및
    상기 완속 충전기에 결합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EPCU에 결합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제 2버스바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에 결합으로 상기 완속 충전기와 상기 EPCU에 고정되는 정션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완속 충전기는,
    상기 제 1버스바블록이 삽입되는 제 1삽입부와,
    상기 제 1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정션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제 1결합핀이 형성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고전압 퓨즈를 안착 및 연결하는 퓨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 케이스에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제 1버스바블록과 상기 제 2버스바블록의 일부를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KR1020150140931A 2015-10-07 2015-10-07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KR101734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31A KR101734683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US15/154,395 US10160335B2 (en) 2015-10-07 2016-05-13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31A KR101734683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471A KR20170041471A (ko) 2017-04-17
KR101734683B1 true KR101734683B1 (ko) 2017-05-11

Family

ID=5849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931A KR101734683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60335B2 (ko)
KR (1) KR101734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422B2 (en) * 2016-12-22 2019-11-19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KR102635922B1 (ko) * 2018-10-10 2024-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결합 구조
CN111055703A (zh) * 2018-10-17 2020-04-24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及其车载充配电组件
KR102238051B1 (ko) * 2019-04-29 2021-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정션박스
KR102616880B1 (ko) * 2020-11-17 2023-12-21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버스바 분산 전력감지모듈이 내장된 전기차 전력분배장치
FR3119119A1 (fr) * 2021-01-28 2022-07-29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module de chargeur a bord comprenant un controleur de secur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171A (en) * 1994-06-10 1996-12-0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JP3052183B2 (ja) 1995-07-06 2000-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付電気接続箱
JP3669327B2 (ja) 2001-12-13 2005-07-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気接続箱及び車載ゲートウェイ
CN102084517A (zh) * 2008-05-15 2011-06-01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电池系统
KR101000594B1 (ko) 2008-06-20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통합형 전력변환장치
KR101001887B1 (ko) 2008-06-30 201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JP4630367B2 (ja) * 2008-11-25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高圧電装ユニット
JP5180890B2 (ja) 2009-03-26 2013-04-10 サンデン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
JP5513875B2 (ja) * 2009-12-22 2014-06-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US20130134938A1 (en) * 2011-11-29 2013-05-30 James S. Bianco Onboard EVS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WO2013080666A1 (ja) * 2011-11-30 2013-06-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0470700Y1 (ko) 2011-12-12 2014-01-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조인트 박스
KR101416360B1 (ko) 2012-10-17 2014-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모터 룸
KR20140136152A (ko) 2013-05-20 2014-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박스
KR20150060318A (ko) 2013-11-26 2015-06-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외부 부품장착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박스
CN104442629B (zh) 2014-11-10 2017-10-10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集成式控制装置及客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01019A1 (en) 2017-04-13
US10160335B2 (en) 2018-12-25
KR20170041471A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683B1 (ko)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US8821190B2 (en) Fuse unit
US7499262B1 (en) Power distribution bus bar
CN108028327B (zh) 电池模块壳体的盖子元件、具有盖子元件的电池模块和用于制造电池模块的方法以及电池
CA2809179A1 (en)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device
KR101293956B1 (ko)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US11450927B2 (en) Battery module
US9780350B2 (en) Modular battery connector assembly
US10938013B2 (en) Battery module
KR20140021888A (ko) 자동차용 전장박스
JP2013246941A (ja) 電源装置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US10910736B2 (en) Charging inlet
KR101859088B1 (ko) 자동차용 블록
US20140335724A1 (en) Screw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junction box
US10978729B2 (en) Fuel cell housing case
WO2011135861A1 (en) Assembly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383975B1 (ko) 배터리 버스바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버스바 체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907540B1 (ko) 차량용 박스
US9035203B2 (en) Electrical interface interlock system
CN209328811U (zh) 漏电保护断路器
JP2012038643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KR100700048B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102614276B1 (ko)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