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09B1 -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09B1
KR101733609B1 KR1020150018686A KR20150018686A KR101733609B1 KR 101733609 B1 KR101733609 B1 KR 101733609B1 KR 1020150018686 A KR1020150018686 A KR 1020150018686A KR 20150018686 A KR20150018686 A KR 20150018686A KR 101733609 B1 KR101733609 B1 KR 10173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cell
binding protein
cells
fluorescent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619A (ko
Inventor
이승구
김유정
정흥채
감종식
김하성
이대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5009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40COMBINATORIAL TECHNOLOGY
    • C40BCOMBINATORIAL CHEMISTRY; LIBRARIES, e.g. CHEMICAL LIBRARIES
    • C40B30/00Methods of screening libraries
    • C40B30/04Methods of screening libraries by measuring the ability to specifically bind a target molecule, e.g. antibody-antigen binding, receptor-ligand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40COMBINATORIAL TECHNOLOGY
    • C40BCOMBINATORIAL CHEMISTRY; LIBRARIES, e.g. CHEMICAL LIBRARIES
    • C40B40/00Libraries per se, e.g. arrays, mixtures
    • C40B40/02Libraries contained in or displayed by microorganisms, e.g. bacteria or animal cells; Libraries contained in or displayed by vectors, e.g. plasmids; Libraries containing only microorganisms or v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활성형 단백질입자, 즉 불용성 응집체(봉입체; inclusion bodies)를 형성하면서도 결합단백질 고유의 상호작용 및 활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세포 내 봉입체 표면에 디스플레이 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Tcells; Interaction Trapper cells)를 이용하고 상기 세포를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최적의 투과처리 단계를 통해 결합단백질과 외부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에 개별 세포 단위로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 내 봉입체 표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를 보존하면서도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거나, 융합 단백질이 발현되어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세포 및 세포 라이브러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결합단백질의 과발현으로 인해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을 민감하게 표지함으로써 신호 대 잡음비가 450배 수준으로 기존의 스크리닝 방법들에 비해 월등히 높아 스크리닝 효율이 높으며, 단일세포 단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형광 현미경 및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대량의 라이브러리에서 상호작용 단백질을 초고속으로 탐색 및 분리할 수 있는 고속 탐색 기술(high-throughput screening; HTS)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포 내에서 발현이 어려운 외래 물질도 세포 외 발현 후 세포 내 도입을 통해 생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손쉽게 고속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체/인공 항체개발, 새로운 상호작용 단백질의 제조, 표적단백질과 의약후보물질의 상호작용 분석 및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molecular interaction by intracellular particle display}
본 발명은 결합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활성형 단백질입자, 즉 불용성 응집체(봉입체; inclusion bodies)를 형성하면서도 결합단백질 고유의 상호작용 및 활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세포 내 봉입체 표면에 디스플레이 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Tcells; Interaction Trapper cells)를 이용하고 상기 세포를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최적의 투과처리 단계를 통해 결합단백질과 외부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에 개별 세포 단위로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 내 봉입체 표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를 보존하면서도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거나, 융합 단백질이 발현되어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세포 및 세포 라이브러리에 관한 것이다.
생명체가 수행하는 모든 과정들은 세포내 단백질들을 매개로 한 상호작용 네트워크 복합체(interactome)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호작용 조절에 문제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곧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호작용에 관련된 단백질들을 이해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은 네트워크 복합체를 이해하는 기반이 되며, 나아가 질병 치료연구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미 그 기능 및 특성이 알려져 있는 세포내 단백질들을 타깃으로 하여 이에 대한 상호작용 파트너인 단백질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고, 라이브러리에서 타깃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만 선별하여 그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생체 내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다양한 스크리닝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Hening Lin and VirginiaW. Cornish., 2002. Screening and Selection Methods for Large-Scale Analysis of Protein Function. Angew. Chem. Int. Ed 41;4402~25).
현재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 하는 다수의 방법들은 크게 무세포 시스템(cell-free system)과 세포 표면 발현 시스템 (surface display)로 나눌 수 있으며, 대표적 무세포 시스템으로는 라이보좀 디스플레이와 시험관 내 구획화(in vitro compartmentalization; IVC) 방법이, 표면 발현 시스템으로는 파아지 디스플레이, 박테리아/효모 디스플레이 방법이 통상적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라이보좀 디스플레이는 mRNA-라이보좀-펩타이드가 3중 복합체를 형성하여 타깃과 결합한 펩타이드의 mRNA를 복합체로부터 해리시켜 RT-PCR을 통해 증폭시키는 방법으로, 모든 과정이 생체 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형질전환이 필요 없어 라이브러리 사이즈가 최대 1013개로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약 27%만이 복합체로 존재하며 mRNA-라이보좀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백질 크기의 한계성, 라이보좀 복합체의 안정성 및 기술적 민감성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Hanes, J and Pluckthun, A., 1997. In vitro selection and evolution of functional proteins by using ribosome display. Proc. Natl. Acad. Sci. 94: 4937~42).
시험관내 구획화(IVC)는 세포 내부가 아닌 오일 속에 분산되어 있는 수용액 에멀전으로 유전자를 구획화하는 방법으로, 구획된 유전자는 에멜전 내에서 전사, 번역되어 단백질 라이브러리를 형성한다. 1 밀리리터(mL)의 부피 안에 109개 이상의 액적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액적은 다양한 외부환경(온도, pH, 염의 농도)에 안정하고 독립적인 미세반응기(microreactor)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단백질 회수 시 에멀전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파괴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유기 용매에 의해 단백질의 활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렇게 회수된 단백질들이 세포 내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Dan S. Tawfik and Andrew D. Griffiths., 1998. Man-made cell-like compartments for molecular evolution. Nat. Biotechnol. 16; 652-56).
현재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에서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인 파아지 디스플레이는 파지 끝부분 pIII 단백질에 라이브러리 단백질들이 융합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이를 이용하여 고정된 표적 타깃에 대한 결합 친화도에 의해 스크리닝 하는 방법으로, 라이브러리에서 많은 수의 클론들을 쉽게 스크리닝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파아지의 pIII 단백질에 1~5개의 결합단백질들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고 타깃을 비드, 플레이트 바닥에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타깃에 여러 개의 결합이 동시에 발생하여 개별 단백질과 타깃과의 실제 친화력과 다른 문제점(avidity effect)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의 특성상 용리(elution)단계를 필요로 하는데 디스플레이 된 단백질이 타깃과 높은 결합력을 가질 경우 디스플레이 된 단백질이 고정상으로부터 용리되기 어려운 등의 한계점이 있다. 또한 파아지 디스플레이에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 사용되는 panning방법은 신호 대 잡음비가 낮아 타깃과 결합 친화도를 가지는 단백질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 3~5 번의 panning 과정을 거쳐야하며, false positive가 높다는 한계점도 있다(George P. Smith and Valery A. Petrenko., 1997. Phage Display. Chem. Rev. 97: 391~410).
파아지 디스플레이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세포 표면 디스플레이는 박테리아, 효모와 같은 미생물의 세포막 단백질을 표면 발현 모체(surface anchoring motif)로 사용하여 단백질을 미생물 표면에 안정적으로 발현시키는 방법으로, 형광 탐침(fluorescence probe)이 융합된 타깃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 유세포분석기(FACS)를 사용하기에 고속대량스크리닝(high throughput screening)이 가능하며(1x109 cells/h) 파아지 디스플레이의 panning 방법보다 비특이적 잡음비(nonspecific background)가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면 발현 시스템은 단백질 라이브러리를 세포벽 밖으로 성공적으로 돌출시켜야 하는 동시에 성공적으로 세포 내막을 통과한 단백질들은 세포 표면에 안정하게 부착되어야하며, 세포 표면에 융합된 단백질들의 3차원 구조 변화가 없어야 한다(단백질의 활성 유지). 이를 위해서는 세포 표면까지 도착하기 위해 세포 내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우 효율적인 시그널 서열이 단백질에 융합되어 있어야 하며, 세포 외부로 단백질들이 성공적으로 돌출되어야 하기에 표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단백질의 크기 제한 및 표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백질의 갯수 제한 등의 한계점이 있다 (Eric T. Boder and K. Dane Wittrup., 1997. Yeast surface display for screening combinatorial polypeptide libraries. Nat. Biotech. 15;553~57).
따라서 기존의 스크리닝 시스템들의 지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크리닝의 민감도를 높여 다양한 결합 친화도(mM ~ nM)를 가지는 타깃에 대해서도 스크리닝이 가능하며, 신호 대 잡음비가 높아 세포내 수많은 단백질들 중에 원하는 단백질과 특이적 결합을 가지는 결합 단백질을 라이브러리에서 손쉽게 스크리닝 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스크리닝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개의 결합단백질들을 하나의 담체에 고정화시켜 타깃과 결합 시 탐지 시그널을 증폭시키고, 타깃과의 상호작용 분석은 형광을 이용한 탐지방법을 사용하여 신호 대 잡음비를 높이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분석 방법들로는 자가조립 성질을 지니는 단백질인 페리틴(ferritin)을 이용하여 나노고단위복합체를 통한 물질 간의 상호작용 검출 방법(Sangkyu Lee et al., 2011. Small-Molecule-Based Nanoassemblies as Inducible Nanoprobes for Monitoring Dynamic Molecular Interactions Inside Live Cells. Angew Chem Int Ed Engl 50;8709~13), 나노 입자를 고정화 담체(immobilized matrix)로 이용하여 생물학적 분자들과의 상호작용 및 촉매작용에 이용하는 방법(Wenwan Zhong., 2009. Nanomaterials in fluorescence-based biosensing. 394;47~59)이 개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세포 내 단백질의 불용성 침전물인 단백질 봉입체(inclusion bodies; IBs)에 세포 내 단백질을 고정하여 생체 촉매로 이용하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Jozef Nahalka, Bernd Nidetzky., 2007. Fusion to a pull-down domain: a novel approach of producing trigonopsis variabilis D-amino acid oxidase as insoluble enzyme aggregates.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97;454~61).
일반적으로 세포내 단백질 봉입체(inclusion bodies; IBs)는 불활성 응집체를 의미하나, 최근 일부 봉입체가 단백질 고유의 생화학적 특성을 상당부분 유지하는 활성형 단백질 입자(active particles)임이 보고된 바 있다(Antonio Villaverd et al., 2005. Aggregation as bacterial inclusion bodies does not imply inactivation of enzymes and fluorescent proteins. Microbial Cell Factories 4;1~6). 상기 활성형 단백질 입자들을 고정화 담체로 사용하여 효소 및 형광 단백질을 고정화시켜 그 활성을 측정한 결과, 고정화 시키지 않은 효소 및 형광 단백질의 활성과 비교하여도 30~100%정도까지 활성을 유지하며 고정화 된 효소의 안정성 증가 및 재사용 등의 유용성이 보고됨에 따라 활성형 단백질 입자들을 효소 산업에 이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유래의 패밀리 II CBD(cellulose-binding domain)가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 내에서 자가 응집을 하여 봉입체(inclusion bodies, IB)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고, 박테리아 세포뿐만 아니라 진핵 세포 내에서 동시 발현된 단백질들이 상기 봉입체 입자로 동시 집적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세포에서 생체 물질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3057호).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세포 내에서 동시에 발현하는 세포내 생체 분자들 간의 상호작용만을 관찰할 수 있으며, 신호 대 잡음비가 낮아 표적물질과 결합된 결합물질을 효과적으로 개별 세포단위로 분획, 회수하기에는 힘들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표적물질은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핵산 등 세포 내에서 합성될 수 있는 물질로 제한되고, 형광신호는 형광단백질만을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있다. 즉 외부에서 넣어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적물질을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형광신호도 다양한 형광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세포벽을 투과 처리하고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하여 세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결합단백질과 결합하게 함으로써 생체 분자와 외부 물질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 결과, 신호 대 잡음 비가 450배 이상 수준으로 개선되어 단일 세포 수준에서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관찰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여 스크리닝 수행 결과 단일 세포 수준에서 분자 간 상호작용을 고속으로 탐색하여 표적물질과 상호작용하는 결합단백질을 선택적으로 회수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최대 2번의 반복 스크리닝만에 고친화도 결합체(high-affinity binder; ~nM 수준)를 발굴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intracellular particle)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포 라이브러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형광이 융합되어 있는 표적물질을 상기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로 측정하여 개별세포 단위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형광이 융합되어 있는 표적물질을 상기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외부에서 도입된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이 발현되고,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 및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intracellular particle)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포 라이브러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c) 형광이 융합되어 있는 표적물질을 (b)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d)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로 측정하여 개별세포 단위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물질에 특이적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 단계의 투과처리 단계는 세포 내부의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투과된 막을 통해 표적물질은 세포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세포를 동결하는 단계, 해동하는 단계 및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ⅰ) 세포를 -80 내지 -10 ℃에서 동결하는 단계; (ⅱ) 상기 동결한 세포를 상온 내지 37 ℃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ⅲ)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성용액은 종류와 pH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pH 4 내지 pH 6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포 내부의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투과된 막을 통해 표적물질은 세포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여 외부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도입되어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최적화된 세포 투과처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투과처리는 결합단백질이 발현된 상기 (b) 단계의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응집체(pellet)를 형성하고, -20℃에서 동결하는 단계; 37℃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산성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0.1M 시트르산(pH.4)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에는 개별 세포 단위로 회수한 세포에 존재하는 융합 단백질을 수득하거나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고 증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을 회수하거나 유전자를 분리하고 증폭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기존의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보좀 디스플레이(ribosome display), 파아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 세포표면 디스플레이(cell surface display) 등을 대체 가능한 방법으로, 결합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활성형 단백질 입자, 즉 CBD 단백질 태그를 세포 내에서 봉입체로 형성시켜 상호작용 포획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로 이용하며, 세포를 투과하여 외부 표적물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단백질과 함께 활성형 봉입체에 응집(co-localization)하는 현상을 직접적으로 관찰함을 통해 간편하게 상호작용을 검출할 수 있는 상호작용 분석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세포내 결합단백질을 과발현(overexpression)시켜 봉입체에 고집적(high density)으로 디스플레이하여(≒ 3 x 105 개 단백질/cell, cf) 효모 표면 발현 시스템 3 x 104 개 단백질/cell) 결합단백질에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을 민감하게 표지하게 됨으로서 신호 대 잡음비가 기존의 스크리닝 방법들에 비해 월등히 높아 스크리닝 효율이 높으며, 다양한 결합 친화도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미량의 표적물질만으로도 높은 신호강도로 인해 발현률이 낮은 표적물질에도 상호작용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장균 기반 시스템이기에 실험이 용이하고 방법이 간단한, 표적물질에 융합되어 있는 형광을 이용해 표적물질과 결합단백질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를 통한 분석 및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이 가능한 고속 대량 스크리닝 시스템이다.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유래의 패밀리 II CBD(cellulose-binding domain)가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 내에서 자가 응집 하여 봉입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박테리아 세포뿐만 아니라 진핵 세포 내에서 동시 발현된 단백질들이 상기 봉입체 입자로 동시 집적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세포내 생체 물질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3057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에서 활성형 봉입체로 상호작용 포획이 가능한CBD 단백질을 이용하여 고유의 활성을 지닌 결합단백질(항체, 유사항체, 상호작용단백질, 리간드결합단백질, 의약 표적단백질 등)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봉입체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켰다. 상기 세포에 본 발명에서 개발한 최적화된 세포 투과 처리를 통해 형광이 결합된 표적물질(단백질, 핵산 또는 저분자 물질)을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도입시켜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단일 세포 수준에서 분자 간 상호작용을 고속으로 탐색하여 표적물질과 상호작용하는 결합단백질을 선택적으로 회수 가능한 단백질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도 1).
특히 본 발명의 특징으로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방법(membrane disintegration)으로,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발현을 세포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도 대부분 소실되지 않고 세포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세포 투과란 세포벽 또는 세포막에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벽/막의 투과성을 높이거나 또는 완벽하게 제거하여 세포내 생체 내 분자들을 세포 외부로 분비시키는 방법으로, 삼투압, 초음파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세포를 완벽하게 파괴하는 방법이거나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세포 형태는 유지하나 세포내 단백질 뿐 아니라 유전정보도 세포 외부로 분비시키는 방법이다 (Hansruedi Felix., 1982. Permeabilized cells. Analytical Biochemistry 120; 211~34).
본 발명에서 개발한 최적화된 세포 투과방법은 세포 내외 단백질들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정도의 투과처리에도 불구하고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 및 유전정보는 세포 외로 소실되지 않으며, 세포 형태는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활성형 봉입체 유무에 의해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의 세포내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는 봉입체 내에 ribosomal RNA, RNA polymerase 등이 발견된다는 이전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Ursula Rinas and James E. Bailey., 1992. Protein compositional analysis of inclusion bodies produced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il.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7; 609~14).
즉, 본 발명자들은 세포 내에서 결합단백질을 과발현시켜 봉입체에 고집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기존의 표면 발현 시스템이 가지는 한계점(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백질의 크기 및 개수, 세포 표면 분비 문제)을 극복하였으며, 봉입체에 고집적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은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을 민감하게 표지하게 됨으로써 기존 세포표면 발현에 의하여 얻어지는 형광신호에 비하여 수백 내지 수만배 이상 높은 수준의 신호강도를 나타내게 되어 신호 대 잡음비가 기존의 스크리닝 방법들에 비해 월등히 높아 생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손쉽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도 18).
또한 본 발명은 결합단백질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음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개발한 최적화된 세포투과 처리 후에도 결합단백질의 고유의 활성 유지 뿐 아니라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가 거의 소실되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융합 단백질"이란 두 개 이상의 단백질 융합으로 생성된 단백질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결합단백질 및 CBD 단백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융합 단백질은 유전자 재조합 방법을 통해 생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조물을 숙주세포에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으로 결합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합 단백질은 형광 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본 발명의 융합 단백질의 구성 요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벡터이다. 상기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은 발현 조절 서열이 융합 단백질의 구성 요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사 및 해독을 조절하도록 연결된 것을 말하며, 발현 조절 서열(프로모터 포함)의 조절하에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발현되어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코딩되는 융합 단백질의 구성 요소가 생성되도록 정확한 해독 프레임을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결합단백질"이란 표적물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단백질을 말한다. 결합단백질은 상업적 용도로 대량 생산될 필요가 있는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항체, 유사항체, 상호작용단백질, 리간드결합단백질, 의약 표적단백질 등에서 선택되는 결합단백질로 표적물질과의 상호작용 대상이 되는 단백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단백질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표적물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천연형 단백질뿐만 아니라, 결합기능을 담당하는 도메인, 폴리펩티드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양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이는 전체 게놈성 DNA 및 cDNA 라이브러리와 같은 생물체 전체 게놈에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단백질 및 표적물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공제 라이브러리(subtracted library) 또는 맞춤 라이브러리(sized library)와 같은 전체 게놈의 서브셋에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단백질은 인터날린 B(internaline B, InB) 단백질의 N-말단, VLR(Variable Lymphocyte Recepto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LR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인공 항체 단백질인 In-VLR5-c 또는 In-VLR5c-D3E8일 수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682호).
본 발명에서 용어,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이란 봉입체에 발현된 결합단백질의 고유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단백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CBD(cellulose-binding domain) 단백질, PhaC 단백질(polyhydroxybutyrate synthase from Cupriavidus necator; Bjorn Steinmann, Andreas Christmann, Tim Heiseler, Janine Fritz, Harald Kolmar., 2010. In Vivo Enzyme Immobilization by Inclusion Body Display. Appl. Environ. Microbiol. 76;5563?69), FMDV(foot-and-mouth disease virus) VP1 capsid 단백질 (Antonio Villaverd et al., 2005. Aggregation as bacterial inclusion bodies does not imply inactivation of enzymes and fluorescent proteins. Microbial Cell Factories 4;1-6)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CBD(cellulose-binding domain) 단백질"이란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유래의 패밀리 II 단백질로 셀룰로오스 결합 도메인 단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CBD 단백질은 E. coli에서 봉입체를 형성하고, 이에 융합되어 있는 단백질들의 고유의 활성 및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활성형 입자(intracellular particle)을 형성하며, CBD 단백질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활성형 봉입체를 형성할 수 있는 단백질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단백질로서는 LRR(Leucine-rich-repeat) 단백질인 InB-VLR(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682호)의 변이체 중 하나인 D3E8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표적물질인 IL-6와 2 nM의 결합 친화도를 지니는 단백질로서 다음과 같이 결합단백질이 융합된 단백질을 설계하였다. IL-6와 결합 친화도가 없는 결합단백질인 InVLR5c, 형광 단백질인 mRFP, 및 패밀리 Ⅱ CBD 단백질만으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pInVLR5c-mRFP-CBD 플라스미드 벡터를 생성하였으며, IL-6와 친화도가 있는 결합단백질인 InVLR5c-D3E8, 형광 단백질인 mRFP, 및 패밀리 Ⅱ CBD 단백질만으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pD3E8-mRFP-CBD로 플라스미드 벡터를 생성하였다. 상기 플라스미드 벡터들은 숙주세포 대장균에 형질전환시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요소로 이용되었다(실시예 2).
본 발명에서 용어, "세포"란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를 말한다. 상기 세포는 동물, 식물, 효모 및 박테리아의 세포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E. coli, 스트렙토미세스,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등의 박테리아 세포; 효모 세포; 피치아 파스토리스 등의 균류 세포; 드로조필라, 스포도프테라 Sf9 세포 등의 곤충 세포; CHO, COS, NSO, 293, 보우 멜라노마 세포 등의 동물 세포; 또는 식물 세포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세포, 더 바람직하게는 대장균(E. coli)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는 CBD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활성형 봉입체가 형성되고 이를 상호작용 포획 세포로 사용할 수 있는 박테리아 세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란 결합단백질과 CBD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가 형질전환 된 세포를 과발현시켜 CBD 단백질이 봉입체를 형성하고, 이 봉입체에 발현된 결합단백질이 고유의 활성을 유지하며 고집적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세포를 말한다. 상기 상호작용 포획 세포 내에 외부 표적물질이 도입되었을 때,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세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표적물질"이란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상기 표적물질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결합단백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천연형 단백질뿐만 아니라, 기능을 담당하는 도메인, 폴리펩티드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생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화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생명공학, 의학, 약학 등에 유용한 후보물질이나, 생체 내 작용을 일으키는 물질 등일 수 있으며, 특히, 단백질, 핵산 또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L-6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표적물질은 세포 내에서 결합단백질과 동시에 발현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봉입체가 결합단백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호작용 포획 세포로 이용되고, 표적물질이 외부에서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세포 내로 도입"이란 세포 외부의 물질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외부 물질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있어, 상기 물질은 표적 물질이며, 상기 표적 물질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세포막 또는 세포벽의 투과성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세포벽 또는 세포막의 투과성을 일시적으로 증대시키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방법들이 존재하며(HANSRUEDI FELIX., 1982. Permeabilized Cells. Anal. Biochem. 120;211-34), 예를 들어 초음파 처리, 삼투압처리, 열처리, 동결처리, 해동처리, 산성 용액 처리,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장균세포를 -20℃에서 동결 처리 후, 37℃에서 해동하고, 산성 용액 처리를 통해 세포벽 또는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대시켜 세포 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 정보를 유지하면서 투과된 막을 통해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하였다(실시예 5).
본 발명에서 용어, "형광 물질"이란 특정 에너지에 반응하거나 자발적으로 형광을 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형광 단백질, 형광 화합물을 포함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형광 단백질"이란 특정 에너지에 반응하거나 자발적으로 형광을 낼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mGFP(modified green fluorescent protein), RFP(Red Fluorescent Protein), mRFP(Monomeric Red Fluorescent Protein), ERFP(Enhanced Red Fluorescent Protein), DsRed(Discosoma sp. red fluorescent protein), BFP(Blue Fluorescent Protein), EBFP(Enhanced Blue Fluorescent Protein), CFP(Cyan Fluorescent Protein), CGFP(Cyan Green Fluorescent Protein), ECFP(Enhanced Cyan Fluorescent Protein), YFP(Yellow Fluorescent Protein), EYFP(Enhanced Yellow Fluorescent Protein), AzG(Azami Green), HcR(HcRed, Heteractis crispa red fluorescent protein) 및 BFP(Blue Fluorescent Protei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형광 화합물은 표적 물질을 수식할 수 있는 형광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형광 단백질 및 Xanthene 유도체인 fluorescein, rhodamine, Oregon green, eosin, Texas red, 및 Cyanine 유도체인 cyanine, indocarbocyanine, oxacarbocyanine, thiacarbocyanine, 및 merocyanine, Naphthalene 유도체(dansyl 및 prodan 유도체), Coumarin 유도체, oxadiazole 유도체인 pyridyloxazole, nitrobenzoxadiazole 및 benzoxadiazole, Pyrene 유도체인 cascade blue, Oxazine 유도체인 Nile red, Nile blue, cresyl violet, oxazine 170, Acridine 유도체인 proflavin, acridine orange, acridine yellow, Arylmethine 유도체인 auramine, crystal violet, malachite green, Tetrapyrrole 유도체인 porphin, phtalocyanine, bilirub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단백질과 융합 단백질을 이루는 형광 단백질과 표적물질을 수식하는 형광 물질은 서로 다른 파장의 형광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각각에서 방출되는 형광 신호의 파장이 서로 달라 형광 신호 검출기가 각각의 신호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단백질에는 형광 단백질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나, 표적물질에는 상기 형광단백질 또는 형광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플라스미드 pInVLR5c-mRFP-CBD 및 pD3E8-mRFP-CBD는 형광 단백질로서 RFP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적 단백질 IL-6의 경우 GFP를 형광 물질로 포함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광 신호"란 형광 단백질 또는 형광 물질로부터 야기되는 에너지의 파장을 의미하며, 이는 형광 신호 검출기에 의해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세포내 형광 신호의 측정은 형광 현미경 또는 유세포 분석기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세포 분석기 FACS Calibur(BD Biosciences, CA)로 GFP 및 RFP 형광을 각각 FL1(530/30 nm) 및 FL2(585/42 nm) PMT로 검출하여 분석하였으며, 표적물질인 IL6와 결합 친화도를 가지는 pD3E8-mRFP-CBD가 발현된 봉입체 세포(PPI+)와 친화도가 없는 pInVLR5c-mRFP-CBD가 발현되어 있는 봉입체 세포(PPI-)에 최적화된 세포 투과를 통해 GFP가 결합되어 있는 IL6 단백질을 세포 내로 도입시킨 후, IL6에 대한 결합 친화도 차이를 GFP 형광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11). 미끼단백질과 결합물질을 세포 내에서 동시에 발현시키는 기존의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3057호)에 따른 결과와 비교해 보면, 기존의 방법이 미끼단백질과 결합물질과의 상호작용 유무에 따라 세포 내 봉입체 상으로 결합물질에 융합되어 있는 형광 신호의 밀집 및 분산의 차이를 이용하여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인데 반해, 본 발명의 방법은 최적화된 세포 투과를 통해 외부에서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도입되어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한 표적물질의 형광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기존의 방법이 신호 대 잡음비가 2배 정도의 미미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본 발명은 신호 대 잡음비가 450배 이상 차이나는 명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단백질로서 D3E8 및 InVLR5c, 활성형 봉입체로서 셀룰로모나스 피미 유래의 패밀리 Ⅱ의 CBD단백질, 그리고 표적물질은 IL-6를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려는 목적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종류의 결합단백질, 표적물질, 및 활성형 봉입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측정된 형광 강도를 기준으로 개별 세포 단위로 세포를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개별 세포 단위로 회수된 세포에 존재하는 융합 단백질을 수득하거나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고 증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을 수득하거나 유전자를 분리하고 증폭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회수"란 결합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로부터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신호를 측정하여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이 확인된 세포만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세포 분석기는 세포크기, 세포내부의 조성, 형광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험자가 원하는 상기의 세포크기, 세포내부의 조성, 형광의 강도에 따라 단일 세포를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리"란 결합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로부터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이 확인된 세포를 회수하였을 때, 결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세포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분리는 세포로부터 DNA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DNA 분리는 결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분리하려는 목적에 위배되지 않는 한, 당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증폭"이란 상기에서 분리된 결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당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증폭 방법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증폭하는 것을 의미한다. 증폭의 방법은 증폭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표적물질에 융합되어 있는 GFP의 형광 강도 차이를 이용하여 고속 대량 유세포분석기를 통해 결합 친화도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 가능한지 조사하고, IL-6와 결합 친화도가 약 2 nM인 LRR 단백질인 D3E8(PPI+), 117nM인 F11(PPI+)과 친화도가 없는 LRR 단백질인 InVLR5c(PPI-)가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세포(ITcells)를 각각 1:10:10000의 비율로 혼합하여 라이브러리 유사환경을 조작한 후, 세포 투과 처리 및 단백질 상호작용을 유도한 샘플을 유세포 분석기(FACSaria)를 이용하여 IL-6와 결합 친화력이 높은 E. coli 세포 10,000개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들에서 플라스미드를 순수 분리하여 DH5α E. coli 세포에 다시 형질전환 하였으며, 형성된 콜로니들을 대상으로 PCR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현형(D3E8-mRFP-CBD 단백질)을 통해 회수한 세포의 유전자 회수 여부를 확인하였다(도 14).
본 발명의 방법은 세포 내에서 과발현시키고 봉입체로 집속시킨 결합단백질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세포표면 발현에 의하여 얻어지는 형광신호에 비하여 수백~수만 배 이상 높은 수준의 신호강도가 나타내며, 이를 기반으로 개별 세포단위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질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백질공학에 이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c) 형광이 융합되어 있는 표적물질을 (b)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d)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외부에서 도입된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 단계의 투과처리 단계는 세포 내부의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투과된 막을 통해 표적물질은 세포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세포를 동결하는 단계, 해동하는 단계 및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ⅰ) 세포를 -80 내지 -10 ℃에서 동결하는 단계; (ⅱ) 상기 동결한 세포를 상온 내지 37 ℃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ⅲ)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성용액은 종류와 pH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pH 4 내지 pH 6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 단백질과 그 유전정보가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외부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도입되어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최적화된 세포 투과처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투과처리는 결합단백질이 발현된 상기 (b) 단계의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응집체(pellet)를 형성하고, -20℃에서 동결하는 단계; 37℃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산성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0.1M 시트르산(pH.4)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용어 '미생물'은 본 발명의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여 세포 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세포를 의미하며, 진핵 세포 또는 원핵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대장균(E. coli)일 수 있다.
기존 투과처리 기술은 세포내 단백질 및 유전정보를 세포 외로 유출시켜 단백질 및 유전정보를 얻기 위한 투과처리 자체를 목적으로 한 기술로서 투과를 통해 세포내 단백질 및 유전정보를 완벽하게 유출시키는 것이 목적이나, 본 발명자들은 세포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표적물질은 세포 내로 원활하게 도입 가능하게 하는 투과처리 방법을 수립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투과처리 방법을 수립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미생물 세포투과 처리 방법은 미생물 내부의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그 유전정보가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외부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세포 형태는 유지하는 새로운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투과처리는 미생물(대장균)을 원심분리하여 응집체(pellet)를 형성하고, -20℃에서 동결하는 단계; 37℃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산성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0.1M 시트르산(pH.4)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외부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자유롭게 도입 가능한 투과 처리된 상호작용 포획세포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경우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높은 민감도로 측정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전정보 또한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단백질,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 융합 단백질 및 세포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RR 단백질을 결합 단백질로,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서 CBD 단백질을 그리고 표적물질로 IL-6 단백질을 이용하였으며, 결합단백질과 CBD 단백질이 융합된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대장균 세포에 형질도입을 통해 상호작용 포획 세포를 형성하였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DNA 라이브러리 또는 이를 형질전환한 세포 라이브러리일 수 있다.
상기 결합단백질,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 융합 단백질 및 세포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세포 라이브러리"란 표적물질과 상호작용하는 결합단백질이 코딩되어 있는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세포들로 이루어진 라이브러리로서, 바람직하게는 결합단백질이 안정적으로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세포 투과화를 통해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세포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일 수 있다. 상기 세포 라이브러리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E. coli 세포로 이루어진 라이브러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적물질인 IL-6와 친화도가 약 2 nM인 LRR 단백질인 D3E8(PPI+), 117 nM인 F11(PPI+)과 친화도가 없는 LRR 단백질인 InVLR5c(PPI-)가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세포를 각각 1:10:10000의 비율로 혼합 조작된 유사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위해 모델 결합단백질인 repebody(LRR단백질)에 무작위적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실제 라이브러리로 이용하였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이 발현되고,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 및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단백질,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 융합 단백질, 세포 및 세포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결합단백질의 과발현으로 인해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을 민감하게 표지함으로써 신호 대 잡음비가 450배 수준으로 기존의 스크리닝 방법들에 비해 월등히 높아 스크리닝 효율이 높으며, 단일세포 단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형광 현미경 및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대량의 라이브러리에서 상호작용 단백질을 초고속으로 탐색 및 분리할 수 있는 고속 탐색 기술(high-throughput screening; HTS)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포 내에서 발현이 어려운 외래 물질도 세포 외 발현 후 세포 내 도입을 통해 생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손쉽게 고속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체/인공 항체개발, 새로운 상호작용 단백질의 제조, 표적단백질과 의약후보물질의 상호작용 분석 및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로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이 가능한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도식도 및 이를 이용하여 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의 방법적인 전체적 모식도이다.
도 3은 대장균 내에서 활성형 봉입체를 형성하는 CBD 단백질을 이용 결합단백질인 VLR과 형광단백질인 mRFP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봉입체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와, 봉입체 세포를 초음파분쇄를 통해 세포에서 봉입체만 분리한 것을 형광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두 단계의 세포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 과정 중 세포 동결/해동 과정이 세포 투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결합단백질의 활성형 봉입체 디스플레이 유무에 따른 차이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 과정 중 세포 동결 과정에 의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발현은 유지되나, 외부 표적물질이 도입되기에는 세포 투과 정도가 충분하지 않음을 표적물질의 도입을 통해 확인한 유세포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 과정 중 세포 동결/해동 과정을 거친 봉입체 세포에 산성용액 처리를 통해 외부 표적물질의 도입을 확인한 유세포 분석 결과로서, (A, B)는 산성용액의 종류 및 pH에 따른 외부 표적물질의 도입을 확인한 결과이며 (C)는 세포 외막 투과 효능을 가진 킬레이트제인 EDTA와 산성용액들 간의 투과 효능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도 6에서 최적화된 투과를 통해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하여 결합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을 확인한 결과로서, (A)는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한 형광이미지 결과이며 (B)는 상호작용 포획 세포에 세포 투과 처리 후 표적물질과의 배양 시간에 따른 표적물질의 세포내 도입정도를 결합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표적물질의 형광강도를 이용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최적화된 세포 투과 방법을 통해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간의 상호작용이 활성형 봉입체에 의해 고유의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결합단백질과의 특이적 결합임을 확인한 유세포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활성형 봉입체 세포의 투과화로 인한 세포 내외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로, (A)는 세포 투과 처리 단계에 따른 세포내 단백질의 변화를 단백질 분석 시스템인 ExperionTM Pro260(Bio-rad)로 분석한 결과이며, (B)는 세포 투과 처리 전후의 활성형 봉입체 세포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 처리 과정에도 불구하고 활성형 봉입체로 인해 세포내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가 대부분 유지됨을 중합효소연쇄반응 정량검사(RT-PCR)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를 통한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모델단백질과 모델 표적물질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로서, 세포 투과에 따른 외부 표적물질의 세포내 도입에 의한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한 유세포 분석 및 형광이미지 결과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를 통한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모델단백질과 모델 표적물질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로서, 세포 투과 처리 과정에도 불구하고 상호작용 포획세포 내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가 대부분 유지됨을 중합효소연쇄반응 정량검사(RT-PCR) 및 아가로오스 젤 전기영동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1c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를 통한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모델단백질과 모델 표적물질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로서, 세포 투과 처리 전후의 활성형 봉입체 세포의 변화를 유세포 분석기와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통해 획득한 dextran-FITC 결합체인 C20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분자량을 가진 dextran-FTIC 처리를 통해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처리에 의한 세포 투과 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개발한 최적화된 세포 투과 처리를 통해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하여 결합단백질과의 친화도 유무에 따른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형광 이미지(A) 및 유세포 분석기(B)로 분석한 결과이다. (C)는 최적화된 세포 투과 처리를 통해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도입하여 결합단백질의 표적물질과의 친화도 차이에 따른 상호작용을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4는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이 가능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봉입체 세포(PPI+)와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는 봉입체 세포(PPI-)를 혼합하여 라이브러리 유사 환경을 조성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표적물질과 상호작용 하는 결합단백질이 발현된 세포를 표적물질에 융합되어 있는 GFP 형광을 통해 분석 후, GFP형광이 높은 E. coli 세포(PPI+) 10,000개를 회수하여 이를 PCR 증폭을 통해 스크리닝 효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5a는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로 여러 종류의 타깃에 대해 단백질 결합체를 찾는 스크리닝 과정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5b는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로 모델결합단백질로 사용된 repebody의 무작위적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아미노산 잔기를 표시한 전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c는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로 각각의 타깃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통해 각각 선별된 단백질 결합체들의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은 실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결과 획득한 sfGFP 결합체인 H2의 결합 친화성을 등온적정열량계(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 ITC)로 측정한 것이다.
도 17은 CBD 활성형 단백질 봉입체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스템과 기존의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스템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유전자 및 효소 확보
패밀리 Ⅱ의 CBD(cellulose-binding domain) 유전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of Type Cultures, KCTC)의 셀룰로모나스 피미 (Cellulomonas fimi) KCTC 9143 균주의 엑소글루카네이즈(exoglucanase) 유전자로부터 클로닝하였다. 개선된 GFP(modified green fluorescent protein) 유전자는 상용 플라스미드 벡터인 pEGFP(Clontech, CA)로부터 얻었으며, mRFP1(monomeric red fluorescent protein 1) 유전자를 갖고 있는 플라스미드 벡터 pRFP는 한국 대전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제공받았다. VLR(Variable Lymphocyte Receptor) 단백질은 인터날린 B(internaline B, InB) 단백질의 N-말단, VL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LR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인공 항체 단백질인 Repebody(InB-VLR) 패밀리 중에서 IL-6와 결합 친화도가 없는 In-VLR5-c(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6055호) 및 IL-6와 결합 친화도가 있는 In-VLR5c-D3E8(KD= 2 nM), In-VLR5c-F11(KD=117 nM)이 이용되었으며, hIL-6(human interlukin-6)는 hIL-6 유전자가 클로닝되어있는 벡터이다. 상기의 유전자는 모두 한국 대전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모든 효소는 NEB(New England Biolabs)로부터 구입하였다.
실시예 2: 재조합 벡터 제작
본 발명의 모든 프라이머는 한국 대전의 바이오니아에서 합성하였다. 상기의 프라이머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에서 제한효소 NdeIKpnI 등의 제한부위는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In-VLR, GFP 유전자를 비롯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유전자는 표 1에 나타낸 각각의 프라이머로 증폭시킨 후, 오버랩 연장 PCR(overlap extension PCR)을 이용하여 융합하고, pET21a 벡터의 NdeIHind 의 제한부위로 삽입하였으며, E. coli DH5α 세포를 이용하여 재조합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미드 벡터들은 각각 pInVLR5c-mRFP-CBD, pD3E8-mRFP-CBD, pF11-mRFP-CBD, pGFP-IL6로 명명하였다. 또한 pInVLR5c-mRFP-CBD 플라스미드를 NdeI 및 HindIII의 제한효소 처리를 통해 InVLR5c-mRFP 유전자를 NdeIHindIII의 제한효소 처리된 pET21a 벡터에 삽입하였으며, E. coli DH5α 세포를 이용하여 재조합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미드 벡터를 pInVLR5c-mRFP로 명명하였다.
프라이머 이름 서열 (5'→3') 서열번호
nde histag VLR F GGAATTCCATATGGGCAGCAGCCACCACCACCACCACCACAGCAGCGGCGGATCCGAAACCATTACCGTGAGCACCCC 1
gs linker D3E8 R GGACCCAGAGCCGCTACCGGTACCGGTCGGGCAAATAATGCTACGC 2
gs linker mRFP F GGTAGCGGCTCTGGGTCCATGGCCTCCTCCGAGGACG 3
pt linker mRFP R TCGGAGGGAATTCACCGGAACCGCGTGGCACCAGACCGGCGCCGGTGGAGTGGC 4
pt linker cex F TTCCGGTGAATTCCCTCCGACGCCGACCCCGACTAGTGGTCCGGCCGGGTG 5
Hind CBD R CCCCCCAAGCTTTTAGCCGACCGTGCAGGGCG 6
gs linker InVLR5c R GGACCCAGAGCCGCTACCGGTACCAACTTCCAGGGTCGGACAGATAATG 7
nde histag mGFP F GGAATTCCATATGGGCAGCAGCCACCACCACCACCACCACAGCAGCGGCGGATCCGTGAGCAAGGGCGAGGAGCTG 8
gs linker mGFP R GGACCCAGAGCCGCTACCCTTGTACAGCTCGTCCATGCCGA 9
gs linker IL6 F GGTAGCGGCTCTGGGTCCGAATTCGCCCCAGTACCCCCAGGAGAAG 10
Hind IL6 R CCCCCCAAGCTTTTACATTTGCCGAAGAGCCCTCAGG 11
D3E8 specific F GCAGCTGTGGGCGAATCAAC 12
InVLR5c specific F GACGTATCTGATTCTGACCGGT 13
mRFP R GAAGCGCATGAACTCCTTGATG 14
In-VLR5c-D3E8, In-VLR5c-F11 유전자를 프라이머 1(서열번호 1) 및 프라이머 2(서열번호 2) 를 이용, In-VLR5c 유전자를 프라이머 1(서열번호 1) 및 프라이머 7(서열번호 7)을 이용하여 In-VLR5c-D3E8, In-VLR5c-F11, In-VLR5c 유전자가 클로닝되어 있는 벡터로부터 증폭시킨다. mRFP1 유전자는 프라이머 3(서열번호 3) 및 프라이머 4(서열번호 4)를 사용하여 mRFP1 유전자가 클로닝 되어 있는 벡터로부터 증폭시키고, GFP 유전자는 프라이머 8(서열번호 8) 및 프라이머 9(서열번호 9)를 사용하여 pEGFP 유전자로부터 증폭시킨다. CBD 유전자는 프라이머 5(서열번호 5) 및 프라이머 6(서열번호 6)을 사용하여 CBD로부터 증폭시키며(J Microbiol Biotechnol. 2008 Mar;18(3):443-8 참조), hIL-6 유전자는 프라이머 10(서열번호 10) 및 프라이머 11(서열번호 11)를 이용하여 hIL-6 유전자가 클로닝 되어 있는 벡터로부터 증폭시켰다.
실시예 3: 플라스미드 분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pInVLR5c-mRFP-CBD, pD3E8-mRFP-CBD, pF11-mRFP-CBD, 그리고 pInVLR5c-mRFP 플라스미드를 E. coli DH5α로 형질전환하고, 앰피실린(50 ㎍/㎖)을 포함하는 LB 배지(1% bacto-trypton, 0.5% yeast extract, 1% NaCl)에 접종하여 37 ℃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 현탁액을 원심분리기(universal 320R, Hettich)를 이용하여 4,470×g 속도로 5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은 제거한 펠릿을 이용하여 QIAprep® spin miniprep kit로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플라스미드는 1 % 아가로즈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pGFP-IL6 플라스미드를 E. coli DH5α로 형질전환하고, 앰피실린(50 ㎍/㎖)을 포함하는 LB 배지(1% bacto-trypton, 0.5% yeast extract, 1% NaCl)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 현탁액을 원심분리기(universal 320R, Hettich)를 이용하여 4,470×g 속도로 5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한 펠릿을 이용하여 QIAprep® spin miniprep kit로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플라스미드는 1 % 아가로즈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및 시퀀싱을 통해 사이즈 및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단백질 발현 및 정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pD3E8-mRFP-CBD, pInVLR5c-mRFP-CBD 그리고 pInVLR5c-mRFP 플라스미드를 E. coli BL21(DE3)로 형질전환하고, 앰피실린(50 ㎍/㎖)을 포함하는 LB 배지(1% bacto-trypton, 0.5% yeast extract, 1% NaCl)에 접종하여 37℃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600 nm에서 OD 값이 0.5일 때, CBD 봉입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IPTG(isopropyl-1-thio-β-D-galactopyranoside, 200 μM)를 첨가하고, 세포를 30℃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세포가 단백질 및 단백질 봉입체를 형성하였는지를 형광 현미경(ZEISS)으로 확인하였다(도 3).
pGFP-IL6 플라스미드를 E. coli OrigamiB(DE3)로 형질전환하고, 앰피실린(50 ㎍/㎖)을 포함하는 LB 배지(1% bacto-trypton, 0.5% yeast extract, 1% NaCl)에 접종하여 37℃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600 nm에서 OD 값이 0.5일 때, hIL-6 단백질을 발현하기 위하여, IPTG(isopropyl-1-thio-β-D-galactopyranoside, 200 μM)를 첨가하고, 세포를 30℃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세포가 GFP-hIL6 단백질이 발현하였는지 형광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융합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 배양액을 얼음 상에서 초음파 분쇄하여 세포막을 파쇄한 후, 용해된 균주들을 다시 20,000×g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고, 상층액만을 0.2 μm filter로 여과하여 이후의 정제과정에 사용하였다. 단백질의 정제는 GFP-hIL6의 N-말단에 발현된 6×His-tag을 이용하여 FPLC (fast-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연결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HiTrapTM Q HP(GE Healthcare, Uppsala, Sweden)를 이용하여 정제 후, PBS 완충액(pH 7.4)으로 탈염하고 원심여과기(centrifugal filteration; Sartorius stedim)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40 mg/ml의 농도로 농축하여 -20℃에서 보관하면서 하기의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정제된 GFP-hIL6 단백질은 SDS-PAGE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단백질 상호작용 포획 세포의 투과 처리
실시예 4에서 배양한 pD3E8-mRFP-CBD 또는 pInVLR5c-mRFP-CBD 세포에 외부 표적물질인 GFP-IL6 단백질의 세포내 도입을 위해, 본 발명에서 개발한 최적화된 세포 투과 처리를 수행하였다. E. coli 세포 배양액을 2,48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뒤 응집체(pellet)를 -20℃에서 동결하였다. 동결된 E. coli 세포를 PBS 완충액(pH 7.4)으로 재현탁한 후 37℃에서 해동하였으며, 2,48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0.1M 시트르산(pH 4)로 E. coli 세포에 처리한 뒤,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PBS 완충액(pH 7.4)으로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6: 봉입체 디스플레이 유무에 따른 투과 세포에서의 유전자 분석
실시예 4에서 배양한 pInVLR5c-mRFP-CBD 세포에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세포 투과 처리를 한 뒤, 원심분리기(universal 320R, Hettich)를 이용하여 4,470×g 속도로 5분 원심분리하여 세포 상등액과 응집체(pellet)로 나눈 뒤, 응집체는 세포 상등액과 동일량의 PBS 완충액(pH 7.4)으로 재현탁한다. 세포 상등액과 응집체 재현탁액을 각각 iQTM SYBR® Green supermix(Bio-rad)와 1:1 비율로 섞고 프라이머 13(서열번호 13)과 프라이머 14(서열번호 14)를 10 pmol씩 첨가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정량검사기인 CFX96(Bio-rad)를 이용하여 DNA 양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7: 단백질 구조 기반의 결합단백질 라이브러리 구축
모델 결합단백질로 사용된 LRR단백질인 repebody의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6075호에 사용된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Repebody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두 개의 변이 모듈(LRRV module 1 과 2)의 오목한 지역에 위치하는 여섯 아미노산 잔기 91, 93, 94, 115, 117, 그리고 118번을 선택하였다. 그런 뒤, 상기 선택한 아미노산을 NNK 동의코돈(Degenerate codon)으로 치환하여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돌연변이 유발 프라이머(Mutagenic primer)를 합성하였다. 이어, 상기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두 모듈에 대한 겹침 중합효소 연쇄 반응(Overlap PCR) 을 수행하여 라이브러리 DNA를 수득하고 상기 재조합한 벡터 pInVLR5c-mRFP-CBD의 InVLR5c 유전자 위치에 라이브러리 유전자를 치환, 삽입함으로써 mRFP-CBD 유전자와 결합한 라이브러리 플라스미드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라이브러리는 전기청공법(electroporation)으로 대장균 DH5α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를 수득함으로써, 1 x 107 수준의 다양성을 갖는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실시예 8: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발현 라이브러리 제작 및 발현
실시예 7에서 제조한 라이브러리 콜로니들을 storage buffer(2xTY media, 50% glycerol, 20% glucose)를 이용하여 수거한 뒤, 4,470 x g 속도로 5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펠릿을 이용하여 QIAprep® spin miniprep kit로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라이브러리 플라스미드 1 μg을 전기청공법으로 대장균 BL21(DE3)에 형질전환함으로써 1x107 수준의 다양성을 갖는 발현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발현 라이브러리 콜로니들은 storage buffer로 수거한 뒤, OD600 0.05의 세포를 취하여 앰피실린(50 ㎍/㎖)을 포함하는 LB 배지(1% bacto-trypton, 0.5% yeast extract, 1% NaCl)에 접종하여 37℃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600 nm에서 OD 값이 0.5일 때, CBD 봉입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200 μM IPTG를 첨가하고, 세포를 30℃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세포는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응집체(pellet)를 -20℃에 동결하였다.
실시예 9: 유세포분석기를 통한 단백질 간 상호작용 분석
실시예 5에서 세포 투과 처리를 통한 pD3E8-mRFP-CBD(PPI+) 또는 pInVLR5c-mRFP-CBD(PPI-)가 발현되어있는 상호작용 포획 세포(ITcells) 현탁액에 실시예 4에서 정제 및 분리한 GFP-IL6 단백질 10 μM을 각각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 반응을 통해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부로 도입하여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유도하였다. 30분 후 PBST, PBS 완충액(pH 7.4)으로 세척한 후,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형광현미경(도 13의 A) 또는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하였다(도 13의 B).
유세포 분석은 FACS Calibur(BD Biosciences, CA)로 수행하였으며, 분석 게이트는 SSC 및 FSC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세팅하였다. GFP 및 RFP 형광을 각각 FL1(530/30 nm) 및 FL2(585/42 nm) PMT로 검출하였고, 컨펜세이션은(FL1-FL2: FL2-FL1=16%:16%)로 설정하였으며, 10,000 번의 이벤트를 각 시료에서 카운팅하였다. 데이터는 BD CellQuest Pro(version 4.0.2, 145 BD Bioscience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Flowjo 소프트웨어(version 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0: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실시예 8에서 동결된 응집체(pellet)에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세포 투과처리 후, GFP가 융합 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타깃(mGFP-IL6, sfGFP. Fluorescein, dextran-FITC)을 각각 결합단백질 라이브러리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봉입체 세포와 상호작용을 유도한 뒤,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상호작용 세포를 회수하였다. 상호작용 세포 회수는 FACSariaTM III(BD Biosciences, CA)로 수행하였으며, 분석 게이트는 SSC 및 FSC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세팅하였다. GFP 및 RFP 형광을 각각 FL1(530/30 nm) 및 FL2(585/42 nm) PMT로 검출하였고, 컨펜세이션은(PE-FITC: FITC-PE=28.62:4.29)로 설정하였으며, 10,000 번의 이벤트를 각 시료에서 카운팅하였다. 데이터는 BD FACS Diva (version 7.0 BD Bioscience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Flowjo 소프트웨어(version 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1: 전자 현미경 분석 ( SEM , TEM )
실시예 5의 처리를 거친 E. coli 세포를 2.5% 파라포름알데히드-글루타르알데히드(paraformaldehyde-glutaraldehyde; 4℃, 인산 완충액, pH 7.2) 고정액에서 2시간 전고정하고, 인산 완충액(0.1M, pH 7.2)으로 10분씩 3회 세척한 후, 1% OsO4(25℃, 0.1M 인산 완충액, pH 7.2)에서 2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고정이 끝난 재료는 동일 완충액으로 수 회 세척한 후, 에탄올 농도 상승순으로 탈수시켜 이소아밀 아세테이트(isoamyl acetate)로 치환하고 초임계점 건조기(critical point dryer)로 건조시킨 후, SC502 스퍼터 코터(sputter coater)를 이용하여 20nm 두께로 도금한 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에 설치되어있는 FEI Quanta 250 FEG(FEI, USA)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10kV에서 관찰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하여 절취한 부위를 2.5% 파라포름알데히드-글루타르알데히드(4℃, 인산 완충액, pH 7.2) 고정액에서 2시간 전고정하고, 인산 완충액(0.1M, pH 7.2)으로 10분씩 3회 세척한 후, 1% OsO4(25℃, 0.1M 인산 완충액, pH 7.2)에서 2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고정이 끝난 재료는 동일 완충액으로 수 회 세척한 후, 에탄올 농도 상승순으로 탈수하였으며, 프로필렌 옥시드(propylene oxide)로 치환하여 Epon-812로 포매한 다음, 60℃ 오븐에서 36시간 중합반응시켰다. 포매된 조직은 초박막절편기(ultramicrotome, ULTRACUT E, Leica)으로 초박절편을 제작하여 우라닐 아세테이트(uranyl acetate)와 리드 시트레이트(lead citrate)로 이중염색하여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CM 20, Philips)으로 100kV에서 관찰하였다.
실시예 12: 결합단백질의 봉입체 디스플레이
CBD 봉입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발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활성형 봉입체임을 확인하기 위해, 결합단백질인 VLR(InVLR5c)과 형광단백질인 mRFP를 CBD태그에 융합하여 대장균 내에서 과발현시켜 봉입체 세포를 형성하였으며, 초음파분쇄를 통해 봉입체만 분리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형광단백질인 mRFP의 형광이 봉입체 위치에 관찰됨을 통해 결합단백질인 VLR과 mRFP가 CBD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초음파분쇄로 분리된 봉입체에도 mRFP 형광이 관찰됨을 통해 CBD봉입체가 결합단백질의 활성을 유지시키며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함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13: 세포 투과가 세포내 외부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투과방법(membrane disintegration)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결합단백질 및 RFP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세포(VLR-mRFP-CBD)와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지 않는 세포(VLR-mRFP)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합단백질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세포(VLR-mRFP-CBD)와 봉입체가 없는 세포(VLR-mRFP)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개발한 두 단계의 세포투과 처리(동결/해동 및 산성용액처리)를 수행한 뒤, 투과 단계에 따른 두 세포의 차이점을 유세포 분석기와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시예 5에서의 세포 투과 처리 과정 중 동결 및 해동 처리 과정 후 봉입체 유무에 따른 세포내 변화를 유세포 분석기와 형광이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4). 그 결과 결합단백질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결 및 해동 처리 과정 후에도 세포내 안정적으로 발현을 유지하는 반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지 않는 결합단백질은 대부분 세포 내에서 소실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결/해동 처리 과정이 세포벽을 투과처리 시켜 세포내 분자(intracellular molecules)들을 세포 외부로 유실시키나, 봉입체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은 봉입체에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 외부로 소실되지 않고 세포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또한 외부 표적물질의 세포내 도입은 동결 및 해동 처리 과정만으로는 세포 내로 도입되지는 않으나(도 5), 동결 및 해동 처리 된 봉입체 세포에 산성용액 또는 킬레이트제인 EDTA 처리를 통해 도입이 가능함을 유세포 분석기로 확인하였다(도 6). 도 6의 결과 외부 표적물질의 세포내 도입 효능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0.1M 시트르산 (pH 4)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최적화된 투과 처리 과정을 완성하였다.
상기 최적화된 투과 처리 과정을 통해 외부 표적물질이 세포 내로 이동하여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형광이미지로 관찰하였으며(도 7의 A), 표적물질이 단시간 내에(1 분) 세포 내부로 이동하여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유세포 분석 결과를 통해(도 7의 B), 투과 처리된 세포막이 표적물질이 쉽게 이동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도 8은 이러한 상기 최적화된 투과 처리 과정을 통해 세포 내부로 도입된 외
부 표적물질과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이 비특이적 상호작용이 아닌 결합단백질의 고유의 활성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표적물질과의 친화도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특이적 상호작용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결합단백질의 활성형 봉입체 디스플레이 유무에 의한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 유지를 확인하기 위해, 결합단백질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세포(VLR-mRFP-CBD cell)와 봉입체가 없는 세포(VLR-mRFP)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개발한 최적화된 세포투과 처리를 통해 응집체(pellet)와 상등액으로 각각 분리 후, 투과 과정에 따른 두 세포 내의 결합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 플라스미드 유무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정량검사(Quantitative PCR; Q-PCR)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는 세포 투과 처리에도 불구하고 세포 내에 대부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지 않는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는 대부분 세포 외부로 유실됨을 확인하였다(도 10).
실시예 14: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증명
상기 발명한 최적화된 세포 투과 처리를 이용하여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 증명을 위해 모델 결합단백질과 모델 표적물질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두 단계의 투과 처리 과정 후에야 외부 표적물질이 세포 내부로 도입 가능하며, 도입된 표적물질이 세포 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통해 봉입체로 응집(co-localization)됨을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도 11의 B는 상기 세포투과처리 과정 후 세포내 유전정보 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결합단백질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세포(repebody-mRFP-CBD cell)에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투과 처리를 통해 응집체(pellet)와 상등액으로 각각 분리 후, 응집체는 상등액과 동일량의 PBS 완충액(pH 7.4)로 재현탁한다. 응집체 현탁액과 상등액을 이용하여 결합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 플라스미드 유무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정량검사(Quantitative PCR; Q-PCR)로 확인하였다. 또한 투과처리 전 세포와 투과처리 후 세포내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된 결합단백질의 유전정보는 세포 투과 처리에도 불구하고 세포 내에 대부분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최적화된 투과 처리를 통해 세포내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그 유전정보가 유지되는 특징으로 인해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개별 세포단위로 분획, 개별 세포 단위에서의 유전정보를 회수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질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이 가능한 시스템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1의 C는 상기 세포투과 처리 전,후의 세포 형태를 유세포 분석기와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로서, 세포 투과 처리 후에도 세포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개발한 세포 투과 처리 방법은 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세포벽 및 막의 투과화를 높여 외부 표적물질을 세포 내로 안정적으로 도입시키며 동시에 활성형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 및 그 유전정보는 세포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존의 다른 세포 투과 처리 방법과는 명백히 다른 본 발명 고유의 방법임을 뒷받침한다.
도 12는 상기 최적화된 세포 투과처리로 인해 도입 가능한 표적물질의 크기를 확인한 실험으로,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획득한 dextran-FITC 결합단백질인 C20(PPI+)과 결합하지 않는 결합단백질(negative control)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호작용 포획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세포(PPI+, PPI-)에 투과처리 후 여러 크기를 가지는 dextran-FITC(분자량 3,000~5,000, 70,000, 250,000)를 세포 내로 인가시켜 상호작용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분자량 250,000 dextran-FITC도 세포 내로 인가되어 세포 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투과처리 방법을 사용하면 고분자물질(macromolecules)도 쉽게 세포 내로 도입 가능하며 이를 타깃으로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통해 단백질 결합체를 획득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시예 15: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단백질 간 상호작용 분석
상기 실시예를 통해 최적화된 세포 투과를 이용하여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를 통한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표적물질인 IL-6와 친화도를 가지는 D3E8(Kd=2 nM)과 친화도가 없는 InVLR5c 단백질을 모델 결합단백질로 사용하여 봉입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였다. pD3E8-mRFP-CBD 또는 pInVLR5c-mRFP-CBD 플라스미드를 각각 E. coli에 형질전환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시켰으며, 실시예 5의 최적화된 세포 투과 처리를 통하여 표적물질인 GFP-IL6 단백질을 세포 내로 도입한 뒤, 형광 현미경 및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세포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IL6와 결합 친화도를 가지는 pD3E8-mRFP-CBD가 발현된 봉입체 세포(PPI+)에서는 GFP-IL6형광이 세포 내 봉입체에 결합단백질과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RFP 형광과 동일한 위치(co-localization)에서 관찰되는 반면, 친화도가 없는 LRR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인 pInVLR5c-mRFP-CBD(PPI-)에서는 세포 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RFP 형광만 관찰되며, GFP형광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도 13의 A). 즉, 결합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한 표적물질의 형광 강도를 통해 단백질 간 상호작용 여부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이와 같은 결과는 활성형 봉입체가 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백질들의 적절한 접힘(folding) 및 천연 형태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된 단백질들을 활성형 형태로 고정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이 결합단백질의 실제 구조 및 고유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상태에서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유세포 분석 결과, 표적물질(IL-6)과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결합단백질인 D3E8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봉입체 세포(PPI+)는 세포 투과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된 표적물질 IL-6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통해 GFP형광이 크게 증가되었으며(적색 실선), IL-6와 친화도가 없는 결합단백질인 InVLR5c(회색 실선)과 비교 시(PPI-), 단백질 간 상호작용의 존재 여부에 따른 형광 차이(신호 대 잡음비)가 450배 수준으로 명확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PPI-:PPI+=1×101:5.5×103), 단백질 간 상호작용 여부를 명료하게 판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3B). 또한 결합단백질의 친화도에 따른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결합단백질의 친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적물질에 융합되어 있는 형광의 강도도 함께 증가함을 통해 본 발명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단백질 간 상호작용 분석 방법임을 확인하였다(도 13C).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간의 친화도 및 상호작용에 따라 개별 세포단위의 봉입체 세포를 형광 현미경뿐만 아니라,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서도 표적물질의 형광 강도를 통해 분리 및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이 외부에서 도입된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의 강도에 따라 상호작용 유무를 구별하기 때문에 신호 대 잡음비 차이가 매우 명료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16: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본 발명에서 개발한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표적물질인 IL-6와 친화도가 존재하는 결합단백질인 D3E8(Kd= 2 nM), F11(Kd= 117 nM)과 친화도가 없는 LRR 단백질인 InVLR5c(PPI-)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봉입체 세포를 각각 1:10:10000의 비율로 혼합하여 라이브러리 유사환경을 조작한 후,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최적화된 세포 투과화 처리 및 단백질 상호작용을 유도한 샘플을 유세포 분석기(FACSaria)를 이용하여 IL-6와 결합 친화력이 높은 E. coli 세포 10,000개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들에서 플라스미드를 순수 분리하여 DH5α E. coli 세포에 다시 형질전환 하였으며, 형성된 콜로니들을 대상으로 PCR 증폭반응을 수행하여 표현형(D3E8(F11)-mRFP-CBD 단백질)을 통해 회수한 세포의 유전자 회수 여부를 확인하였다. PCR 증폭반응은 표1의 프라이머 12(서열번호 12), 프라이머 13(서열번호 13) 및 프라이머 14(서열번호14)를 섞어 사용하였으며, 증폭된 유전자의 크기를 통해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세포의 회수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번의 스크리닝으로 초기 혼합비율(1/1000)을 감안하였을 때 약 30,000배의 스크리닝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14). 이와 같은 결과는 활성형 봉입체를 상호작용 포획 세포로 이용하여 결합단백질을 디스플레이한 상호작용 포획 세포 라이브러리에서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봉입체 세포만을 초고속 분석장비인 유세포 분석기(FACS)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분류된 세포에서 상호작용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회수 가능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 결합단백질로 사용된 repebody를 이용하여 실제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타깃에 대한 단백질 결합체(binder)를 찾는 스크리닝 작업을 수행하였다(도 15a 내지 도 15c). 실시예 8에서 제작한 발현 라이브러리에 세포투과 처리 후, GFP가 결합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타깃들(mGFP-IL6, sfGFP, fluorescein, dextran-FITC)을 상호작용 포획 세포 라이브러리에 처리하여 상호작용을 유도한 후, FACS에서 GFP 시그널이 증가된 부분(상호작용 존재)의 세포를 회수하였다 (도 15a). 회수한 세포의 repebody 유전자 부분만 PCR하여 pInVLR5c-mRFP-CBD의 InVLR5c 유전자 위치에 라이브러리 유전자를 치환, 삽입함으로써 mRFP-CBD 유전자와 결합한 플라스미드를 확보하였다. 이 플라스미드를 전기청공법으로 대장균 BL21(DE3) 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를 수득한 후, 무작위적으로 각각의 콜로니들을 선별하여 시퀀싱을 통해 획득한 repebody 유전자 서열을 확인하였다. 최대 2번의 반복 스크리닝만으로 각각의 타깃에 결합하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 결합체(binder)를 쉽게 획득할 수 있었으며, 특히 sfGFP를 타깃으로 한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경우 FACS 분석 상에서 타깃과 원하는 결합력을 갖는 결합단백질 세포들만 선별적으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면 단백질 간 상호작용에 의한 단백질 결합체를 빠르고 쉽게 획득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molecular interaction by intracellular particles display <130> PA130287KR-P1 <150> KR10-2014-0014334 <151> 2014-02-07 <160> 1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7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deI histag VLR F <400> 1 ggaattccat atgggcagca gccaccacca ccaccaccac agcagcggcg gatccgaaac 60 cattaccgtg agcacccc 78 <210> 2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linker D3E8 R <400> 2 ggacccagag ccgctaccgg taccggtcgg gcaaataatg ctacgc 46 <210> 3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linker mRFP F <400> 3 ggtagcggct ctgggtccat ggcctcctcc gaggacg 37 <210> 4 <211> 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t linker mRFP R <400> 4 tcggagggaa ttcaccggaa ccgcgtggca ccagaccggc gccggtggag tggc 54 <210> 5 <211> 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t linker cex F <400> 5 ttccggtgaa ttccctccga cgccgacccc gactagtggt ccggccgggt g 51 <210> 6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ndIII CBD R <400> 6 ccccccaagc ttttagccga ccgtgcaggg cg 32 <210> 7 <211> 4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linker InVLR5c R <400> 7 ggacccagag ccgctaccgg taccaacttc cagggtcgga cagataatg 49 <210> 8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deI histag mGFP F <400> 8 ggaattccat atgggcagca gccaccacca ccaccaccac agcagcggcg gatccgtgag 60 caagggcgag gagctg 76 <210> 9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linker mGFP R <400> 9 ggacccagag ccgctaccct tgtacagctc gtccatgccg a 41 <210> 10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linker IL6 F <400> 10 ggtagcggct ctgggtccga attcgcccca gtacccccag gagaag 46 <210> 11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ndIII IL6 R <400> 11 ccccccaagc ttttacattt gccgaagagc cctcagg 37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3E8 specific F <400> 12 gcagctgtgg gcgaatcaac 20 <210> 1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VLR5c specific F <400> 13 gacgtatctg attctgaccg gt 22 <210> 1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RFP R <400> 14 gaagcgcatg aactccttga tg 22

Claims (22)

  1. (a)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intracellular particle)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포 라이브러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c) 형광이 융합되어 있는 표적물질을 (b)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d)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로 측정하여 개별세포 단위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물질에 특이적인 라이브러리 스크리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처리하는 단계는,
    (ⅰ) 세포를 -80 내지 -10 ℃에서 동결하는 단계;
    (ⅱ) 상기 동결한 세포를 상온 내지 37 ℃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ⅲ)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처리는 세포 내부의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투과된 막을 통해 표적물질은 세포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물질은 단백질, 핵산 또는 화합물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형광 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단백질과 표적물질을 구성하는 형광 물질은 서로 다른 파장의 형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은 CBD(cellulose-binding domain) 단백질인 것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단백질은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mGFP(modified green fluorescent protein), RFP(Red Fluorescent Protein), mRFP(Monomeric Red Fluorescent Protein), ERFP(Enhanced Red Fluorescent Protein), DsRed(Discosoma sp. red fluorescent protein), BFP(Blue Fluorescent Protein), EBFP(Enhanced Blue Fluorescent Protein), CFP(Cyan Fluorescent Protein), CGFP(Cyan Green Fluorescent Protein), ECFP(Enhanced Cyan Fluorescent Protein), YFP(Yellow Fluorescent Protein), EYFP(Enhanced Yellow Fluorescent Protein), AzG(Azami Green), HcR(HcRed, Heteractis crispa red fluorescent protein) 및 BFP(Blue Fluorescent Protein)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내 형광 신호의 측정은 형광 현미경 또는 유세포 분석기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e) 개별 세포 단위로 회수한 세포에 존재하는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고 증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a)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c) 형광이 융합되어 있는 표적물질을 (b)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통해 세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d)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의 상호작용을 외부에서 도입된 표적물질에 융합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단백질과 표적물질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처리하는 단계는,
    (ⅰ) 세포를 -80 내지 -10 ℃에서 동결하는 단계;
    (ⅱ) 상기 동결한 세포를 상온 내지 37 ℃에서 해동하는 단계; 및
    (ⅲ) 산성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처리는 세포 내부의 봉입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투과된 막을 통해 표적물질은 세포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물질은 단백질, 핵산 또는 화합물인 것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형광 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단백질과 표적물질을 구성하는 형광 물질은 서로 다른 파장의 형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단백질은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mGFP(modified green fluorescent protein), RFP(Red Fluorescent Protein), mRFP(Monomeric Red Fluorescent Protein), ERFP(Enhanced Red Fluorescent Protein), DsRed(Discosoma sp. red fluorescent protein), BFP(Blue Fluorescent Protein), EBFP(Enhanced Blue Fluorescent Protein), CFP(Cyan Fluorescent Protein), CGFP(Cyan Green Fluorescent Protein), ECFP(Enhanced Cyan Fluorescent Protein), YFP(Yellow Fluorescent Protein), EYFP(Enhanced Yellow Fluorescent Protein), AzG(Azami Green), HcR(HcRed, Heteractis crispa red fluorescent protein) 및 BFP(Blue Fluorescent Protein)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내 형광 신호의 측정은 형광 현미경 또는 유세포 분석기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9.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로서,
    상기 세포는 투과성이 증가된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가지며,
    세포 내의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20.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로서,
    상기 세포는 투과성이 증가된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가지며,
    세포 내의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라이브러리.
  21. (a)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과성이 증가된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가지며, 세포 내의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제조방법.
  22. (a) 결합단백질과 활성형 봉입체 단백질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세포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포 라이브러리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결합단백질이 봉입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포획 세포(Interaction Trapper cells; ITcells)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 따른 세포에 투과처리(membrane disintegration)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과성이 증가된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가지며, 세포 내의 결합단백질의 활성 및 유전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라이브러리의 제조방법.
KR1020150018686A 2014-02-07 2015-02-06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KR101733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4334 2014-02-07
KR1020140014334 2014-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619A KR20150093619A (ko) 2015-08-18
KR101733609B1 true KR101733609B1 (ko) 2017-05-08

Family

ID=5377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686A KR101733609B1 (ko) 2014-02-07 2015-02-06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8163B2 (ko)
EP (1) EP3103900B1 (ko)
JP (1) JP6526029B2 (ko)
KR (1) KR101733609B1 (ko)
CN (1) CN106164344B (ko)
WO (1) WO20151194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808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페라메드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736A (ja) 2002-04-01 2003-10-15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蛍光蛋白質融合プローブを用いた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1356787B1 (ko) 2011-07-22 2014-02-06 한국과학기술원 나노클러스터 형성을 이용한 단백질간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64C (zh) * 1996-12-20 2001-02-28 周红 猪血中提纯杀菌性/通透性增加蛋白的方法
CA2531698A1 (en) * 2003-07-09 2005-01-27 Sentigen Biosciences, Inc. Method for assay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EP1828408A4 (en) * 2004-12-04 2008-08-27 Univ California Los Alamos Nat PROTEIN-PROTEIN INTERACTION DETECTION SYSTEM USING FLUORESCENT PROTEIN MICRODOMANS
WO2006099486A2 (en) * 2005-03-15 2006-09-2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 and compounds for detecting protein-protein and protein-nucleic acid interactions
EP1847604A1 (en) * 2006-04-19 2007-10-24 Millegen Intracellular method for selecting a peptide or polypeptide which binds to a bait peptide or polypeptide
CN101821622B (zh) 2007-08-17 2015-04-08 韩国科学技术院 分子相互作用的检测方法
EP2073459A1 (en) 2007-12-17 2009-06-24 Alcatel-Lucent Deutschland AG Transmission via a burst or frame switched network with timing preservation of the transmitted client packets
CN101230362B (zh) * 2008-02-27 2012-07-04 东南大学 一种改变细胞膜通透性有效生产1,3-丙二醇的方法
KR101255682B1 (ko) 2010-09-02 2013-04-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md-2 결합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8877446B2 (en) * 2011-08-26 2014-11-04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Method for detect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cells
KR101519627B1 (ko) 2011-08-26 2015-05-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체 내 단백질 간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
WO2013048185A2 (ko) * 2011-09-30 2013-04-04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내에서의 빛을 이용한 가역적 단백질 나노클러스터 형성방법
KR101356075B1 (ko) 2012-02-27 2014-02-12 한국과학기술원 인터루킨-6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736A (ja) 2002-04-01 2003-10-15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蛍光蛋白質融合プローブを用いた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1356787B1 (ko) 2011-07-22 2014-02-06 한국과학기술원 나노클러스터 형성을 이용한 단백질간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808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페라메드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4344A (zh) 2016-11-23
KR20150093619A (ko) 2015-08-18
EP3103900A4 (en) 2017-10-04
EP3103900A1 (en) 2016-12-14
WO2015119447A1 (ko) 2015-08-13
JP2017512055A (ja) 2017-05-18
US20170192009A1 (en) 2017-07-06
JP6526029B2 (ja) 2019-06-05
CN106164344B (zh) 2018-12-18
US10908163B2 (en) 2021-02-02
EP3103900B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8479B2 (en) Polypeptide display librar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CN112041486A (zh) 周质空间中蛋白质的酵母展示
JP2023514045A (ja) 活性特異的な細胞濃縮
KR101733609B1 (ko)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Tian et 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green fluorescent protein-based biosensors: a mini-review
Bogorodskiy et al. Accessing mitochondrial protein import in living cells by protein microinjection
EP2516702B1 (en) Protein display
WO2021179892A1 (en) Methods of detection of compound, antibody or protein using recombinant endospores or bacteria as sensing element
US8586315B2 (en) Fluorescent protein particles
WO2021010442A1 (ja) タンパク質とrnaとの相互作用評価方法、相互作用調節物質評価方法、及び相互作用調節物質検出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融合タンパク質、キット、及びバイオセンサ
TWI826663B (zh) 以重組內孢子或細菌作為感測元件以偵測化合物、抗體或蛋白質之方法
Georgiou et al. Applications of flow cytometry in protein engineering
Hendriks et al. A Novel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SUMO Acceptor Lysines in a Site-Specific M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