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808A -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808A
KR20190101808A KR1020180022212A KR20180022212A KR20190101808A KR 20190101808 A KR20190101808 A KR 20190101808A KR 1020180022212 A KR1020180022212 A KR 1020180022212A KR 20180022212 A KR20180022212 A KR 20180022212A KR 20190101808 A KR20190101808 A KR 2019010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creening
high throughput
present
throughput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라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라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라메드
Priority to KR102018002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1808A/ko
Publication of KR2019010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자임 탈착 단계(S300), 배지 중화 단계(S302), 및 이차 배양기구 주입 단계(S302)를 포함하는 화합물 분주 단계(S100), 화합물 희석단계((101), 스크리닝 성분 혼합 단계((S102), 화합물 배양 단계(S103), 화합물 검출 단계(S104), 스크리닝 데이터 분석단계(S105), 및 스크리닝 데이터 결과보고 단계(S106)를 포함하는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METHOD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본 발명은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HTS: high throughput screening)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약효 스크리닝의 통상적인 작업과정은 화합물의 분주, 희석, 스크리닝 성분 혼합, 배양 및 검출, 스크리닝 데이터의 분석 및 결과 보고로 구성이 되며, 하루에 1만종이상의 화합물에 대한 스크리닝을 전문인력이 할 경우 많은 연구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투입된 인력은 단순 반복작업을 해야 하므로 창조적인 업무를 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러한 일련의 반복적인 과정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자동화된 고속 다중스크리닝 (High Throughput Screening, 이하 HTS) 시스템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HTS 시스템은 스크리닝 하루에 처리 할 수 있는 속도 및 스크리닝에 이용되는 시약의 경비를 절감하기 위한 소형화가 매우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이 중에서도 스크리닝에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며 일련의 스크리닝 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세포의 배양 및 요구되는 세포의 검출에 걸리는 시간은 처리속도 및 경비절감의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HTS에는 세포의 배양 및 요구되는 세포를 검출하기 위한 과정에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데 통상 2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가 되어 HTS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까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레이트는 96-well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더욱 많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384-well이나 1536-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속도와 정확성이 요구되는 HTS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33609 (공고일자: 2017년05월08일, 발명의 명칭: 광섬유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한국 등록특허공보 0-1573501 (공고일자: 2015년12월01일, 발명의 명칭: 세포 분리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한 세포분리기구(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73501)를 적용하여 HTS의 배양 및 검출과정에 요구되는 세포의 검출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은 화합물의 분주단계, 화합물 희석 단계, 스크리닝 성분 혼합단계, 배양단계, 검출단계, 스크리닝 데이터의 분석 및 결과 보고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의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을 적용 할 경우 원심분리기를 사용할 때 적어도 20분 걸리던 시간을 30초 이내로 줄일 수 는 효과가 있으며, 100*104 개의 세포를 종래의 방법으로는 92.4*104 개의 세포가 생존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된 세포분리기구를 적용하여 5회 실험하였을 경우 평균 98.32*104개의 세포가 생존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도 2는 종래의 분주과정이 적용된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가 적용된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 스루풋스크리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은 엔자임 탈착 단계(S200), 배지 중화 단계(S201), 용액 원심분리기 주입 단계(S202), 상층액 제거 단계(S203), 신규배지 세척 단계(S204), 원심분리 단계(S205), 상층액 제거 단계(S206), 신규배지 세척 단계(S207), 및 이차 배양기구 주입 단계(S208)를 포함하는 화합물 분주 단계(S100), 화합물 희석단계((101), 스크리닝 성분 혼합 단계((S102), 화합물 배양 단계(S103), 화합물 검출 단계(S104), 스크리닝 데이터 분석단계(S105), 및 스크리닝 데이터 결과보고 단계(S106)를 포함한다.
도 1 및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으로 엔자임 탈착 단계(S300), 배지 중화 단계(S301), 및 이차 배양기구 주입 단계(S302)를 포함하는 화합물 분주 단계(S100), 화합물 희석단계((101), 스크리닝 성분 혼합 단계((S102), 화합물 배양 단계(S103), 화합물 검출 단계(S104), 스크리닝 데이터 분석단계(S105), 및 스크리닝 데이터 결과보고 단계(S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이 적용이 되면 HTS?? 처리 속도, 소형화 및 경제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엔자임 탈착 단계(S300), 배지 중화 단계(S301), 및 이차 배양기구 주입 단계(S302)를 포함하는 화합물 분주 단계(S100),
    화합물 희석단계((101),
    스크리닝 성분 혼합 단계((S102),
    화합물 배양 단계(S103),
    화합물 검출 단계(S104),
    스크리닝 데이터 분석단계(S105),
    스크리닝 데이터 결과보고 단계(S106)
    를 포함하는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KR1020180022212A 2018-02-23 2018-02-23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KR20190101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12A KR20190101808A (ko) 2018-02-23 2018-02-23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12A KR20190101808A (ko) 2018-02-23 2018-02-23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08A true KR20190101808A (ko) 2019-09-02

Family

ID=6795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12A KR20190101808A (ko) 2018-02-23 2018-02-23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18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501B1 (ko) 2015-04-09 2015-12-01 주식회사 페라메드 세포 분리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KR101733609B1 (ko) 2014-02-07 2017-05-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609B1 (ko) 2014-02-07 2017-05-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 융합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물질 간 상호작용 고속분석 방법
KR101573501B1 (ko) 2015-04-09 2015-12-01 주식회사 페라메드 세포 분리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nwin et al. Simultaneous analysis of relative protein expression levels across multiple samples using iTRAQ isobaric tags with 2D nano LC–MS/MS
Sharma-Kuinkel et al. Pulse field gel electrophoresis
ATE365909T1 (de) Apparat und methode zum mischen von proben in gefässen
Pin et al. Preparation and use of reverse protein microarrays
Zhang et al. Carrier-assisted single-tube processing approach for targeted proteomics analysis of low numbers of mammalian cells
Konstantinidis et al. Identifying analytics for high throughput bioprocess development studies
Bouhifd et al. Automation of an in vitro cytotoxicity assay used to estimate starting doses in acute oral systemic toxicity tests
Jaklin et al. Optimization of the TeraTox assay for preclinical teratogenicity assessment
WO2003067256A3 (en) Systems for analyzing microtissue arrays
KR20190101808A (ko)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 방법
Rich et al. Kinetic analysis and fragment screening with Fujifilm AP-3000
Nickischer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enabling high-throughput, miniaturized high content screening
Genge et al. Optimized workflow for human PBMC multiomic immunosurveillance studies
Pichl et al. Magnetic bead technology in viral RNA and DNA extraction from plasma minipools
EP3058340B1 (en) Compact high volume analytical instrument architecture
Feliciano et al. Evaluating high‐throughput scale‐down chromatography platforms for increased process understanding
Menke Unit automation in high throughput screening
Sharnez et al. Multiproduct resin reuse for clinical and commercial manufacturing—Methodology and acceptance criteria
Mathews et al. Multiplexing High‐Content Flow (HCF) and Quantitative High‐Throughput Screening (qHTS) to Identify Compounds Capable of Decreasing Cell Viability, Activating Caspase 3/7, Expressing Annexin V, and Changing Mitochondrial Membrane Integrity
Adler et al. Optimizing nanovial outlet designs for improved solid‐phase extraction in the integrated selective enrichment target—ISET
Clark HT-ADME in a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laboratory: can you ensure bioanalytical quality in a highly automated environment?
Rees et al. The industrialisation of cellular screening
US115790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flow cytometer bacteria detec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systems
Gulla et al. High throughput chromatography and analytics can inform viral clearance capabilities during downstream process development for biologics
Mehdi et al. Pytri: A multi-weight detection system for biological ent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