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434B1 -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434B1
KR101732434B1 KR1020150103235A KR20150103235A KR101732434B1 KR 101732434 B1 KR101732434 B1 KR 101732434B1 KR 1020150103235 A KR1020150103235 A KR 1020150103235A KR 20150103235 A KR20150103235 A KR 20150103235A KR 101732434 B1 KR101732434 B1 KR 10173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w material
citric acid
sterilization
tumb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169A (ko
Inventor
김철휘
남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씨오
Priority to KR102015010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연산 42~48중량%, 탄산수소나트륨 42~48중량%, 미강 2~7중량%, 전분 0.3~1중량%, 덱스트린 0.3~1중량%, 말티톨 0.3~1중량%를 습도 25~40%의 환경에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형성한 후, 상기 혼합원료에 3~4ton의 타정압력을 가하여 1정당 3~5g의 정제가 되도록 성형한 살균용 발포정(10)을 제조하거나, 또는 구연산혼합원료로 심제(22)를 형성한 다음 상기 심제(22)에 미강을 도포하여 미강층(23)을 형성한 후, 상기 미강이 도포된 심제(22)의 표면에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로 된 표층부(25)가 형성되도록 타정압력을 가한 살균용 발포정(20)을 제조함으로써, 세척 및 살균소독이 불편한 텀블러(1) 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과 입의 접촉이 빈번한 텀블러(1) 등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전파 경로를 차단하고, 다른 한편으론 탄산가스 기포와 거품의 발생으로 사용자가 가시적인 살균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FFERVESCENT TABLETS FOR STERILIZATION}
본 발명은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텀블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살균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텀블러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텀블러의 오염에 대한 사용자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스(SARS coronavirus), 신종 인풀루엔자(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 메르스(MERS coronavirus) 등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성 질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였고, 이러한 신종 전염병은 우리나라에서도 큰 사회적 문제가 되었으며, 그로 인한 시민들의 불안감도 계속하여 증폭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성 질병의 전파 경로로 손에 의한 감염이 크게 지목되면서, 그 예방책으로 손 씻기 및 손 소독에 대한 중요성이 이슈가 되었고, 더 나아가 출입문의 손잡이나 공공용품 및 식기류 등과 같이 사람들의 손과 자주 접촉하는 용품에 대한 살균 소독도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사람들의 손과 자주 접촉하는 용품 중 텀블러(tumbler)는, 직장인들이 커피나 차를 즐기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액체 용기로서, 보온성이 있음과 아울러 일회용 컵의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그 사용이 권장되고 있지만, 상기 바이러스 감염성 질병 또는 세균성 전염병의 전파와 관련하여서는 감염된 손의 바이러스나 세균이 입으로 유입되는 경로가 될 수 있으므로 그 살균과 소독에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여건상 텀블러의 깨끗한 살균 소독이 어렵고, 오히려 간단히 물로 헹궈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며, 특히 텀블러 뚜껑의 경우 구멍과 틈새 및 구석진 부분이 많아 구조적으로 세척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세척 후에도 바이러스 및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가능성 또한 있었다.
다른 한편으론, 세척된 텀블러에 바이러스 및 세균이 실제로 잔류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최근 이슈가 된 전염성 질환의 여파로 인하여 텀블러 사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갖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7498호(2008.10.0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염성 질병의 전파 경로가 될 수 있는 텀블러 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사용자가 살균력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발포정으로 형성함으로써, 텀블러의 위생적인 사용은 물론이고 최근 이슈가 된 감염성 질병과 관련하여 텀블러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은, 구연산 42~48중량%, 탄산수소나트륨 42~48중량%, 미강 2~7중량%, 전분 0.3~1중량%, 덱스트린 0.3~1중량%, 말티톨 0.3~1중량%를 습도 25~40%의 환경에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형성하는 원료혼합단계와, 상기 혼합원료에 3~4ton의 타정압력을 가하여 1정당 3~5g의 정제가 되도록 성형하는 정제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연산 91~96중량%, 전분 0.3~3중량%, 덱스트린 0.3~3중량%, 말티톨 0.3~3중량%를 혼합하여 구연산혼합원료를 형성하는 제1혼합단계와, 상기 구연산혼합원료에 타정압력을 가하여 1.5~2.5g의 심제를 형성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심제에 미강을 도포하여 미강층을 형성하는 미강코팅단계와, 탄산수소나트륨 91~96중량%, 전분 0.3~3중량%, 덱스트린 0.3~3중량%, 말티톨 0.3~3중량%를 혼합하여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를 형성하는 제2혼합단계와, 상기 미강이 도포된 심제의 바깥면에 상기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로 된 표층부가 형성되도록 타정압력을 가하여 1정당 3~5g의 정제가 되도록 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및 살균소독이 불편한 텀블러 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손과 입의 접촉이 빈번한 텀블러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전파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개인위생은 물론이고 감염성 질병의 확산방지에 기여하는 효과도 있다.
다른 한편으론, 물과 탄산수소나트륨 및 구연산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포와 말티톨에 의한 거품의 발생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살균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텀블러 등의 위생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되, 우선 하기와 같이 원료혼합단계와 정제성형단계로 구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원료혼합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원료혼합단계(S110)는 구연산 42~48중량%, 탄산수소나트륨 42~48중량%, 미강 2~7중량%, 전분 0.3~1중량%, 덱스트린 0.3~1중량%, 말티톨 0.3~1중량%를 습도 25~40%의 환경에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각 원료의 특징과 그 원료간 유기적 관계를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구연산(citric acid)은 백색 또는 무색투명의 결정성 분말로서, 식기류 또는 도마나 칼 등 조리기구의 살균소독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도 식품용 기구 등의 살균소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안정성이 이미 인정되어 있으며, 미국 및 EU에서도 식품에 직접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이외에 살균소독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연산은 텀블러 등의 살균소독 뿐만 아니라 유분 제거를 위하여 구연산과 함께 혼합되는 미강의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은 탈취 효과가 있는 무색의 결정성 분말로서, 물에 용해할 때 중탄산이온(HCO3 -)이 생성되며 이후 이산화탄소(CO2) 기포를 발생시킨다.
특히, 탄산수소나트륨을 구연산과 함께 물에 용해하면, 구연산에서 비롯한 수소이온(H+)이 증가하면서 탄산수소나트륨에서 비롯한 물속의 중탄산이온(HCO3 -)과 결합하여 더 많은 탄산(H2CO3)을 생성시키고, 이 탄산(H2CO3)은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리되므로, 결국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CO2)가 물속에서 폭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료혼합단계(S110)에 포함된 구연산은 텀블러 등을 실질적으로 살균소독하고, 탄산수소나트륨은 상기 구연산과 반응하여 폭기하면서 구연산이 물속에서 더욱 빨리 용해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산화탄소의 폭기로 인하여 살균소독 과정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미강(米糠, rice bran)은 벼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되는 미세한 분말로서, 살균 및 세정력이 있어 예로부터 천연세제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미용비누 및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텀블러에 잔류하는 커피의 유분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런데, 상기 미강의 경우 높은 온도와 습기에서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이유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 세제로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용화되지 못하였는바,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미강이 구연산과 함께 혼합되기 때문에 구연산에 의한 텀블러의 소독과 미강에 의한 텀블러의 유분 제거는 물론이고 상기 구연산이 미강의 부패를 방지하는 상호 보완적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전분(starch)은 본 발명의 주원료인 구연산과 탄산수소나트륨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상호 응집될 수 있도록 하는 천연 성분의 바인더(binder)이고, 덱스트린(dextrin)은 녹말을 가수분해시킬 때 생성되는 여러 가지 가수분해 산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분과 함께 바인더 역할을 한다.
한편, 말티톨(maltitol)은 전분과 이소아밀라제의 작용으로 생성된 말토스에 촉매를 넣어 고온/고압에서 수소첨가하여 얻어지는 2당류 당알코올로서, 상기 전분 및 덱스트린과 함께 본 발명의 바인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폭기시 거품을 생성시켜 살균소독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원료의 원료혼합단계(S110)에 있어, 본 발명은 습도 25~40%의 환경에서 혼합원료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는 습도가 지나지게 높으면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이 반응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미강이 부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원료혼합단계(S110)에 있어 습도는 25~40%가 바람직하다.
<정제성형단계>
본 발명의 정제성형단계(S120)는 3~4ton의 타정압력이 가해지는 프레스금형에 상기 혼합원료를 투입하여 정제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와 같이 성형된 살균용 발포정(10)은 1정당 3~5g이 되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용 발포정(10)의 외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텀블러 등의 살균소독시 물과 최대한 많이 접촉하여 빠르게 해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공정 단계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원료 성분의 상세한 기재는 생략하고 주된 특성만 기재한다.
<제1혼합단계>
제1혼합단계(S210)는 구연산을 주원료로 하는 구연산혼합원료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구연산 91~96중량%, 전분 0.3~3중량%, 덱스트린 0.3~3중량%, 말티톨 0.3~3중량%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 구연산은 텀블러 등을 살균 소독하는 역할을 하고, 전분과 덱스트린 및 말티톨은 상기 구연산에 점착성을 부여하는 바인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말티톨은 후술할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한 폭기시 거품을 생성하여 살균소독 과정을 더욱 가시화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제1혼합단계(S210)에서의 습도는 25~40%가 바람직하다.
<제1성형단계>
제1성형단계(S220)는 상기 구연산혼합원료를 프레스금형에 투입하여 타정압력을 가함으로써 심제(2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심제(22)는 1정당 1.5~2.5g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심제(22)에 가해지는 타정압력은 후술할 제2성형단계(S250)에 비하여 낮게 설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성형단계(S250)에서 생성되는 표층부(25)의 와해시 상기 낮은 압력에서 성형된 심제(22)가 더욱 용이하게 해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성형단계(S220)에 있어 바람직한 타정압력은 제2성형단계(S250)에서 설정된 타정압력의 50~100%이다.
<미강코팅단계>
미강코팅단계(S230)는 상기 심제(22)에 미강을 도포하여 미강층(23)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미강은 텀블러의 살균 소독시 텀블러에 잔류하는 커피의 유분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미강층(23)은 상기 심제(22)와 후술할 표층부(25)를 분리함으로써, 즉, 심제(22)의 주원료인 구연산혼합원료와 표층부(25)의 주원료인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의 접촉을 회피함으로써, 평상시 구연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반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미강층(23)이 심제(22)와 표층부(25)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미강층(23)을 구성하는 미강이 심제(22)를 구성하는 구연산 성분에 의하여 부패가 억제됨과 아울러 표층부(25)에 의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되므로 미강의 부패를 억제하는 상호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미강층(23)은 분말 미강을 심제(22)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론 물에 교반된 액상의 미강을 심제(22)에 도포하여 미강층(23)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미강의 도포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미강층(23)의 함량은 최종적으로 제조된 살균용 발포정(2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7중량%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2혼합단계>
제2혼합단계(S240)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주원료로 하는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탄산수소나트륨 91~96중량%, 전분 0.3~3중량%, 덱스트린 0.3~3중량%, 말티톨 0.3~3중량%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 탄산수소나트륨은 물에 용해될 때 이산화탄소(CO2) 기포를 발생시키는데, 상기 심제(22)의 주원료인 구연산과 반응하여 폭기하면서 살균소독 기능을 하는 심제(22)가 물속에서 더욱 빨리 용해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산화탄소의 폭기로 인하여 살균소독 과정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혼합단계(S240)의 전분과 덱스트린 및 말티톨은 앞선 제1혼합단계(S210)에서의 그 성분과 동일한 역할을 하며, 상기 제2혼합단계(S240)에서의 습도 또한 25~40%가 바람직하다.
<제2성형단계>
제2성형단계(S250)은 상기 미강이 도포된 심제(22) 및 상기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를 프레스금형에 투입하여 타정압력을 가함으로써, 심제(22) 및 미강층(23)의 바깥면에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로 된 표층부(25)가 형성되도록 정제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제로 성형된 살균용 발포정(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제(22)와 미강층(23) 및 표층부(2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1정당 3~5g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표층부(25)의 성형시 가해지는 프레스의 타정압력은 3~4ton을 가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발포정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살균용 발포정(10)(20)을 텀블러(1)에 물과 함께 투입하거나, 또는 텀블러(1)를 살균소독하기 위한 전용용기(5)에 물과 함께 투입하면, 살균용 발포정(10)(20)의 탄산수소나트륨이 물에 용해되면서 이산화탄소 기포가 발생하고, 이와 함께 살균용 발포정(10)(20)에 포함된 구연산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증폭하여 폭기를 일으키며, 이에 따라 상기 폭기된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살균소독 기능을 하는 구연산이 더욱 빨리 용해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론 사용자가 살균소독 과정을 가시적으로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살균용 발포정(10)(20)에 포함된 말티톨에 의하여 거품이 생성되므로 상기 살균소독 과정은 더욱 효과적으로 가시화된다.
또한, 살균용 발포정(10)(20)에 포함된 미강에 의하여 텀블러(1)에 잔류하는 커피 등의 유분이 제거되는바, 상기 미강은 살균용 발포정(10)(20)에 포함된 구연산에 의하여 부패가 방지된다.
한편, 도 dt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용 발포정(20)을 심제(22)와 미강층(23) 및 표층부(25)로 구분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살균용 발포정(20)을 분절하여 투입함으로써 발포정(10)(20)을 구성하는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용용기(5)를 이용할 경우에는 텀블러(1)의 용기 내부는 물론이고 외부에 대해서도 보다 간편하게 살균소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및 살균소독이 불편한 텀블러(1) 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산가스 기포와 거품의 발생으로 사용자가 가시적인 살균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1: 텀블러 5: 전용용기
10, 20: 살균용 발포정 22: 심제
23: 미강층 25: 표층부
S110: 원료혼합단계 S120: 정제성형단계
S210: 제1혼합단계 S220: 제1성형단계
S230: 미강코팅단계 S240: 제2혼합단계
S250: 제2성형단계

Claims (3)

  1. 삭제
  2. 구연산 91~96중량%, 전분 0.3~3중량%, 덱스트린 0.3~3중량%, 말티톨 0.3~3중량%를 혼합하여 구연산혼합원료를 형성하는 제1혼합단계(S210)와;
    상기 구연산혼합원료에 타정압력을 가하여 1.5~2.5g의 심제(22)를 형성하는 제1성형단계(S220)와;
    상기 심제(22)에 미강을 도포하여 미강층(23)을 형성하는 미강코팅단계(S230)와;
    탄산수소나트륨 91~96중량%, 전분 0.3~3중량%, 덱스트린 0.3~3중량%, 말티톨 0.3~3중량%를 혼합하여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를 형성하는 제2혼합단계(S240)와;
    상기 미강이 도포된 심제(22)의 바깥면에 상기 탄산수소나트륨혼합원료로 된 표층부(25)가 형성되도록 3~4ton의 타정압력을 가하여 1정당 3~5g의 정제가 되도록 하는 제2성형단계(S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성형단계(S220)에 있어 심제(22) 형성시 가해지는 타정압력은, 제2성형단계(S250)에서 표층부(25) 형성시 가해지는 타정압력의 5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50103235A 2015-07-21 2015-07-21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KR101732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35A KR101732434B1 (ko) 2015-07-21 2015-07-21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35A KR101732434B1 (ko) 2015-07-21 2015-07-21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69A KR20170011169A (ko) 2017-02-02
KR101732434B1 true KR101732434B1 (ko) 2017-05-08

Family

ID=5815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35A KR101732434B1 (ko) 2015-07-21 2015-07-21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23A (ko) 2021-04-19 2022-10-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텀블러 살균용 발포형 세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텀블러
KR102536134B1 (ko) 2023-01-04 2023-05-26 이우종 휴대용 멀티 이온아이저 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639B1 (ko) 2017-11-24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203030B1 (ko) * 2020-04-20 2021-01-13 홍원영 친환경 세척용 발포정 및 그 제조방법
KR102479498B1 (ko) * 2020-06-24 2022-12-20 주식회사 골든쉐프 은 이온수를 이용한 발포살균제의 제조방법
KR20230127774A (ko) 2022-02-25 2023-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마스크 세정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498A (ko) 2007-03-27 2008-10-01 주식회사 해처럼 항균 효과를 갖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23A (ko) 2021-04-19 2022-10-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텀블러 살균용 발포형 세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텀블러
KR102536134B1 (ko) 2023-01-04 2023-05-26 이우종 휴대용 멀티 이온아이저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69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434B1 (ko) 살균용 발포정의 제조방법
JP2011042579A (ja) 抗ウイルス剤および抗ウイルス処理方法
KR102203030B1 (ko) 친환경 세척용 발포정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3703A (ko) 알칼리 환원기능을 가지는 성형 컴파운드 및 이를 이용해 성형된 알카리 환원수기
CN101953654A (zh) 消毒清洁湿巾及其制备方法
JP2007536232A (ja) 皮膚および毛髪のための洗浄用およびすすぎ用溶液および使用方法
CN105878115A (zh) 一种消毒环保湿巾
CN103266031A (zh) 茶垢清洁剂及其制备方法
JP4994524B2 (ja) 千切りキャベツの製造方法
KR101760282B1 (ko) 살균소독제
JP2007332322A (ja) ニンニク臭気除去用洗浄剤、食品、および口腔用組成物
CN205268653U (zh) 一种家用菜刀消毒器
JP3239986U (ja) 除菌剤袋体及び入浴剤袋体
KR20230098459A (ko) 세정용 발포정 및 그 제조방법
CN2905061Y (zh) 医用痰容器
TWM636309U (zh) 具有九股千金藤鹼液的噴瓶
KR101991854B1 (ko) 타블렛 타입 화장용 천연모 브러쉬 발포성 세정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9814B1 (ko) 기능성 다공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1074987A1 (en) Perfumed disinfecting tablet
KR101991855B1 (ko) 타블렛 타입 화장용 인조모 브러쉬 발포성 세정제 및 그 제조 방법
CN212996195U (zh) 一种同时兼顾喷雾和起泡功能的包装瓶
CN106367227A (zh) 一种玫瑰香洗洁精
JPS62205016A (ja) 義歯洗浄剤
CN108125823A (zh) 一种口腔清洁湿巾
TWM607452U (zh) 具有生物外殼氧化鈣成分的清潔劑按壓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