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261B1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261B1
KR101728261B1 KR1020157020116A KR20157020116A KR101728261B1 KR 101728261 B1 KR101728261 B1 KR 101728261B1 KR 1020157020116 A KR1020157020116 A KR 1020157020116A KR 20157020116 A KR20157020116 A KR 20157020116A KR 101728261 B1 KR101728261 B1 KR 10172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rive shaft
scroll compressor
passage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849A (ko
Inventor
요시토모 츠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스크롤형 압축기의 하우징(25)에는, 수용부(26)의 저부(底部)(26a)에 형성되어,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sliding portion)(44)를 윤활시킨 후의 오일이 저류하는 오목부(78)와, 오목부(78) 내의 오일을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보내는 급유로(9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하며, 특히 압축기구의 슬라이딩부(sliding portion)로의 급유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정 스크롤 및 가동(可動) 스크롤을 가지며, 양자(兩者)의 스크롤 사이에서 유체(流體)를 압축하는 스크롤형 압축기가 알려져 있고, 냉동장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 종류의 스크롤형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케이싱에 수용되는 전동기와, 이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을 갖고 있다. 구동축의 단부(端部)는, 가동 스크롤의 경판(鏡板)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전동기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 구동되면, 가동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에 대해 편심 회전한다. 이에 따라, 양자의 스크롤 사이의 압축실이 서서히 작게 되어, 이 압축실에서 유체가 압축된다.
또, 케이싱의 내주면(內周面)에는, 구동축을 회전 자유롭게 수용하는 하우징이 고정된다. 하우징의 상측 중앙부에는, 구동축과 가동 스크롤의 걸어맞춤부를 수용하도록, 수용실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축의 하단부에는, 케이싱 저부(底部)의 오일 저류부(貯留部)의 오일을 흡상(吸上)하는 오일 펌프가 배치된다.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일 펌프에 의해 흡상된 오일은, 구동축 내의 오일 유로(oil flow passage)를 상방(上方)으로 흘러, 구동축의 베어링부나, 구동축과 가동 스크롤의 걸어맞춤부와의 사이 슬라이딩부로 공급되어, 그 후, 수용실로 유출된다. 이 수용실에 저류된 오일은, 이 수용실로부터 지름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는 오일 유로(44a), 및 이 오일 유로(44a)의 유출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오일 유로(44b)를 차례로 흘러, 압축기구의 슬라이딩부(스러스트(thrust) 슬라이딩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의 스크롤형 압축기에서는, 구동축과 가동 스크롤의 걸어맞춤부와의 사이 슬라이딩부 윤활에 이용된 후의 오일을 이용하여, 압축기구의 스러스트 슬라이딩면도 윤활시킨다.
일본 특허공개 2001-21487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스크롤형 압축기에서는, 수용실의 오일을 압축기구의 슬라이딩부로 확실하게 공급하기 위해, 수용실 내에 어느 정도의 오일을 항상 저류(貯留)해 둘 필요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수용실 내에 어느 정도의 오일이 저류되면, 수용실에 수용되는 구동축 내지 걸어맞춤부가, 오일에 잠기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구동축이 회전하는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 내지 걸어맞춤부와 오일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크게 되고, 나아가 교반(攪拌) 손실도 크게 되어 전동기의 동력이 증대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수용실 내에서의 오일의 교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 1 발명은, 케이싱(15)과, 이 케이싱(15)에 수용되는 전동기(50)와, 이 전동기(5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60)과, 이 구동축(60)의 단부(端部)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43)를 가지며, 이 구동축(60)에 대해 편심하고 회전하는 가동 스크롤(40), 및 고정 스크롤(30)을 갖는 압축기구(20)와, 상기 구동축(60)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8), 및 상기 걸어맞춤부(43)를 수용하는 수용부(26)를 갖는 하우징(25)과, 상기 케이싱(15)의 오일 저류부(18)의 오일을 반송(搬送)하는 오일 반송기구(7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60)에는, 상기 오일 반송기구(75)에 의해 반송된 오일을 상기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로 공급하는 급유통로(70)가 형성되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이 스크롤형 압축기는, 상기 하우징(25)에는, 상기 수용부(26)의 저부(26a)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를 윤활시킨 후의 오일이 저류하는 오목부(78)와, 이 오목부(78) 내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보내는 급유로(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구동축(60)의 단부가 가동 스크롤(40)의 걸어맞춤부(43)에 걸어맞춤됨으로써, 구동축(60)과 가동 스크롤(40)이 연결된다. 전동기(50)가 구동축(60)을 회전 구동하면, 고정 스크롤(30)에 대해 가동 스크롤(40)이 편심 회전한다. 이에 따라, 고정 스크롤(30)과 가동 스크롤(40)과의 사이의 압축실의 용적이 확대 또는 축소되고, 이 압축실에서 유체가 압축된다.
오일 반송기구(75)는, 케이싱(15)의 오일 저류부(18)의 오일을 급유통로(70)를 개재하여 구동축(60)과 걸어맞춤부(43)와의 사이 슬라이딩부(44)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44)가 오일에 의해 윤활되어, 슬라이딩 저항이 작게 된다.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 윤활에 이용된 오일은, 걸어맞춤부(43)를 수용하는 수용부(26) 내부로 유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26)의 저부(底部)에 오목부(78)가 형성되므로, 유출된 오일은 오목부(78)의 내부로 흘러 내린다. 따라서, 수용부(26)에서는, 걸어맞춤부(43) 주위에까지 오일이 저류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회전 중인 걸어맞춤부(43)의 오일의 교반 손실이 작게 된다.
오목부(78)로 흘러 내린 오일은, 급유로(90)를 통해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보내진다. 오목부(78)는, 수용부(26)의 저부(底部)보다 낮은 위치이므로, 수용부(26) 내의 오일은 오목부(78) 내로 순차로 공급된다. 이로써, 오목부(78) 내의 오일을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78)는, 상기 베어링부(28)의 전(全) 둘레를 둘러싸는 환(環)형 홈(7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오목부는, 구동축(60)의 베어링부(28)의 전 둘레를 둘러싸는 환형 홈(78)으로 구성된다. 베어링부(28)의 전 둘레에 환형 홈을 형성하면, 하우징(25)에서의 환형 홈(78)과 베어링부(28)와의 사이 부위의 탄성계수(彈性係數)가 작게 된다. 이로써, 구동축(60)의 회전 시에 이 구동축(60)의 축심이 기울어버렸다 하더라도, 이 부위가 구동축(60)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르도록 변형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구동축(60)의 외주면이 베어링부(28)에 대해 부분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베어링부(28)의 베어링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5)에는, 상기 수용부(26)의 오일을 상기 오일 저류부(18)로 보내는 배유로(排油路)(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를 윤활시킨 후, 수용부(26) 내로 흘러 내린 오일의 일부가, 배유로(80)를 통해 오일 저류부(18)로 반송(返送)된다. 이에 따라, 오일 저류부(18)의 오일이 부족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수용부(26)의 오일을 배유로(80)를 통해 오일 저류부(18)로 되돌림으로써, 수용부(26)의 오일면 높이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 중인 걸어맞춤부(43)의 오일의 교반 손실이 작게 된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는, 상기 수용부(26)의 저부(26a)를 따르도록 이 수용부(26)의 내부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가 수용부(26)의 저부(26a)를 따르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오목부(78)로부터 흘러 넘친 오일을 신속하게 배유로(8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26)의 오일면 높이의 상승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는, 상기 오목부(78)의 내부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수용부(26)로부터 오목부(78)로 흘러 내린 오일의 일부가, 배유로(80)를 통해 오일 저류부(18)로 되돌려진다. 이로써, 오목부(78)의 오일이 수용부(26)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부(26)의 오일면 높이의 상승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78)의 내부에는, 상기 급유로(90)의 유입구(90a)와 연이어 통하는 제 1 실(S1)과,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실(S2)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100)가, 상기 오목부(78)의 저부로부터 개구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 1 실(S1)의 용적이, 상기 제 2 실(S2)의 용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오목부(78)의 내부가 구획 부재(100)에 의해 제 1 실(S1)과 제 2 실(S2)로 구획된다. 급유로(90)와 연결되는 제 1 실(S1)의 용적은, 배유로(80)와 연결되는 제 2 실(S2)의 용적보다 크다. 이로써,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 윤활에 이용된 후, 오목부(78)로 흘러 내리는 오일량도, 제 2 실(S2)보다 제 1 실(S1) 쪽이 많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급유로(90)를 개재하여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공급되는 오일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3 내지 제 6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유로(90)의 유입구(90a) 높이가,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보다 낮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급유로(90)의 유입구(90a) 높이가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보다 낮은 위치이다. 이로써, 오일면의 높이가, 급유로(90)의 유입구(90a)와 배유로(80)의 유입구(80a) 사이인 경우, 이 오일은, 급유로(90)에만 보내진다. 한편, 오일면의 높이가 배유로(80)의 유입구(80a)보다 높은 경우, 이 오일은 급유로(90)와 배유로(80)와의 쌍방으로 보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26)에 유출된 오일이, 배유로(80)보다 급유로(90)로 우선적으로 공급되므로,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를 확실하게 윤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26)의 저부(26a)에 오목부(78)를 형성하므로,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 윤활에 이용된 오일을 오목부(78) 내로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6) 내에서는, 걸어맞춤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회전 중인 걸어맞춤부(43)의 오일의 교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부(43)에 의해 오일이 교반되면, 이 오일 중에 압축유체(流體)가 혼입(混入)되거나, 이 오일이 미스트상(狀)이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오일은, 자중(自重)에 의해 오일 저류부(18)로 되돌아가기 어렵게 되어, 오일 저류부(18)의 오일량이 부족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상술과 같이 걸어맞춤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오일 중에 압축유체가 혼입되거나, 오일이 미스트상이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4)의 윤활에 이용된 오일을 신속하게 오일 저류부(18)로 되돌릴 수 있어, 이른바 오일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오목부를 환형 홈(78)으로 구성함으로써, 구동축(60)과 베어링부(28)의 부분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환형 홈(78)이, 오일을 저류하기 위한 오목부(78)와, 이른바 탄성 홈을 겸하는 구성이 되므로, 장치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수용부(26)에 유출된 오일이 배유로(80)를 개재하여 오일 저류부(18)로 되돌아가므로, 걸어맞춤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걸어맞춤부(43)에 의한 오일의 교반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 4 발명에서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가, 수용부(26)의 저부(26a)를 따르는 위치이므로, 수용부(26)의 오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에서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가, 오목부(78)의 내부에 개구하므로, 오목부(78)의 오일이 수용부(26)로 흘러 넘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4 또는 제 5 발명에서는, 수용부(26)의 오일면 높이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걸어맞춤부(43)에 의한 오일의 교반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서는, 오목부(78) 내를 구획 부재(100)에 의해 제 1 실(S1)과 제 2 실(S2)로 구획하고, 급유로(90)와 연이어 통하는 제 1 실(S1)의 용적을 제 2 실(S2)보다 크게 함으로써, 급유로(90)로부터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공급되는 오일량이 부족하게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를 확실하게 윤활시킬 수 있고, 나아가 스크롤형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에서는, 급유로(90)의 유입구(90a)가 배유로(80)의 유입구(80a)보다 낮은 위치가 되므로, 급유로(90)로부터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공급되는 오일량이 부족하게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를 확실하게 윤활시킬 수 있고, 나아가 스크롤형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압축기구 및 하우징의 요부(要部)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압축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X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관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 2에 관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중앙 오목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에 관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중앙 오목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형 압축기(10)는, 전밀폐(全密閉) 압축기이다. 이 스크롤형 압축기(10)는,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되며, 냉매회로의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한다.
<스크롤형 압축기의 전체구성>
도 1에 나타내듯이, 스크롤형 압축기(10)에서는, 케이싱(15)의 내부공간에, 압축기구(20), 전동기(50), 하부 베어링 부재(55), 및 구동축(60)이 수용된다. 케이싱(15)은,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밀폐용기이다. 케이싱(15)의 내부공간에서는, 위에서 아래를 향해 차례로, 압축기구(20), 전동기(50), 및 하부 베어링 부재(55)가 배치된다. 또, 구동축(60)은, 그 축방향이 케이싱(15)의 높이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된다. 그리고, 압축기구(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싱(15)에는, 흡입관(16)과 토출관(17)이 장착된다. 흡입관(16) 및 토출관(17)은, 모두 케이싱(15)을 관통한다. 흡입관(16)은, 압축기구(20)에 접속된다. 토출관(17)은, 케이싱(15) 내부공간의 전동기(50)와 압축기구(20)와의 사이의 부분에 개구한다.
하부 베어링 부재(55)는, 중앙 원통부(56)와 아암(arm)부(57)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1개밖에 도시되지 않으나, 하부 베어링 부재(55)에는, 3개의 아암부(57)가 배치된다. 중앙 원통부(56)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각 아암부(57)는, 중앙 원통부(56)의 외주면(外周面)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하부 베어링 부재(55)에서는, 3개의 아암부(57)가 대략 등각도(等角度)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아암부(57)의 돌출단부는, 케이싱(15)에 고정된다. 중앙 원통부(56)의 상단(上端) 부근에는, 베어링 메탈(bearing metal)(58)이 삽입된다. 이 베어링 메탈(58)에는, 후술하는 구동축(60)의 부(副) 저널부(67)가 삽입 관통된다. 중앙 원통부(56)는, 부(副) 저널부(67)를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journal bearing)을 구성한다.
전동기(50)는, 고정자(51)와 회전자(52)를 구비한다. 고정자(51)는, 케이싱(15)에 고정된다. 회전자(52)는, 고정자(51)와 동일 축에 배치된다. 이 회전자(52)에는, 후술하는 구동축(60)의 주축부(主軸部)(61)가 삽입 관통된다. 고정자(51)의 외주면(外周面)에는, 고정자(51)의 축방향 양단(兩端)에 걸쳐, 냉매 및 오일이 흐르는 복수의 코어 컷(core cut)(51a)이 형성된다.
구동축(60)에는, 주축부(主軸部)(61), 밸런스 웨이트부(balance weight portion)(62), 및 편심부(63)가 형성된다. 밸런스 웨이트부(62)는, 주축부(61)의 축방향 도중에 배치된다. 주축부(61)는, 밸런스 웨이트부(62)보다 하측 부분이 전동기(50)의 회전자(52)를 관통한다. 또, 주축부(61)에서는, 밸런스 웨이트부(62)보다 상측 부분이 주(主) 저널부(64)를 구성하고, 회전자(52)를 관통하는 부분보다 하측에 부(副) 저널부(67)가 형성된다. 주(主) 저널부(64)는, 하우징(25)의 중앙 팽출부(27)에 설치된 베어링 메탈(28)에 삽입 관통된다. 부(副) 저널부(67)는, 하부 베어링 부재(55)의 중앙 원통부(56)에 설치된 베어링 메탈(58)에 삽입 관통된다.
편심부(63)는, 구동축(60)의 상측 단부(端部)에 형성된다. 편심부(63)는, 주(主) 저널부(64)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상(狀)으로 형성되며, 주(主) 저널부(64)의 상단면(上端面)에 돌출 형성된다. 편심부(63)의 축심은, 주(主) 저널부(64)의 축심(즉, 주축부(61)의 축심)과 평행이며, 또한 주(主) 저널부(64)의 축심에 대해 편심한다. 편심부(63)는,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에 설치된 베어링 메탈(44)에 삽입된다.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는, 편심부(63)가 회전 자유롭게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를 구성한다.
구동축(60)에는, 급유통로(70)가 형성된다. 이 급유통로(70)는, 1개의 주통로(主通路)(74)와 3개의 분기(分岐)통로(71∼73)를 구비한다. 주(主)통로(74)는, 구동축(60)의 축심을 따라 연장되며, 그 일단(一端)이 주축부(61)의 하단에, 그 타단(他端)이 편심부(63)의 상단면에, 각각 개구한다. 제 1 분기통로(71)는, 편심부(63)에 형성된다. 이 제 1 분기통로(71)는, 주(主)통로(74)로부터 편심부(63)의 반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편심부(63)의 외주면에 개구한다. 제 2 분기통로(72)는, 주(主) 저널부(64)에 형성된다. 이 제 2 분기통로(72)는, 주(主)통로(74)로부터 주(主) 저널부(64)의 반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주(主) 저널부(64)의 외주면에 개구한다. 제 3 분기통로(73)는, 부(副) 저널부(67)에 형성된다. 이 제 3 분기통로(73)는, 주(主)통로(74)로부터 부(副) 저널부(67)의 반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부(副) 저널부(67)의 외주면에 개구한다.
구동축(60)의 하단에는, 오일 반송기구로서의 급유 펌프(75)가 장착된다. 급유 펌프(75)는, 구동축(60)에 의해 구동되는 트로코이드 펌프(trochoid pump)이다. 이 급유 펌프(75)는, 급유통로(70)의 주(主)통로(74)의 시작단 부근에 배치된다. 또, 급유 펌프(75)는, 하단에 하방(下方)을 향해 개구하며 윤활유인 냉동기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구(76)가 형성된다. 또한, 급유 펌프(75)는, 트로코이드 펌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동축(60)에 의해 구동되는 용적형 펌프(positive displacement pump)이면 된다. 따라서, 급유 펌프(75)는, 예를 들어 기어 펌프라도 된다.
케이싱(15)의 저부(底部)에는, 윤활유인 냉동기 오일이 저류된다. 즉, 케이싱(15)의 저부에는, 오일 저류부(18)가 형성된다. 구동축(60)이 회전하면, 급유 펌프(75)가 오일 저류부(18)로부터 냉동기 오일을 흡입하여 토출하고, 급유 펌프(75)로부터 토출된 냉동기 오일이 주(主)통로(74)를 흐른다. 주(主)통로(74)를 흐르는 냉동기 오일은, 하부 베어링 부재(55)나 압축기구(20)와 구동축(60)의 슬라이딩 부분으로 공급된다. 급유 펌프(75)는 용적형 펌프이므로, 주(主)통로(74)의 냉동기 오일 유량(流量)은, 구동축(60)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도 2에도 나타내듯이, 케이싱(15)의 내부에는, 전동기(50)의 상방에 하우징(25)이 설치된다. 하우징(25)은, 두께가 두꺼운 원판상(狀)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 가장자리부가 케이싱(15)에 고정된다. 하우징(25)의 중앙부에는, 중앙 오목부(26)와, 환형 볼록부(29)가 형성된다. 중앙 오목부(26)는, 하우징(25)의 상면(上面)에 개구하는 원기둥상(狀)의 패임이다. 중앙 오목부(26)는,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 및 구동축(60)의 편심부(63)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성한다. 환형 볼록부(29)는, 중앙 오목부(26)의 외주(外周)를 따라 형성되며, 하우징(25)의 상면(上面)으로부터 돌출된다. 환형 볼록부(29)의 돌출단면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환형 볼록부(29)의 돌출단면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링형상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이 오목 홈에 실링(sealing)부재(29a)가 끼워 넣어진다.
하우징(25)에는, 중앙 팽출부(27)가 형성된다. 중앙 팽출부(27)는, 중앙 오목부(26)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팽출한다. 중앙 팽출부(27)에는, 중앙 팽출부(27)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孔)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에 베어링 메탈(28)이 삽입된다. 중앙 팽출부(27)의 베어링 메탈(28)에는, 구동축(60)의 주(主) 저널부(64)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중앙 팽출부(27)는, 주(主) 저널부(64)를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journal bearing)을 구성한다.
<압축기구의 구성>
도 2에도 나타내듯이, 압축기구(20)는, 고정 스크롤(30)과, 가동(可動) 스크롤(40)을 구비한다. 또, 압축기구(20)에는, 가동 스크롤(40)의 자전(自轉)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올담이음(oldham coupling)(24)이 설치된다.
하우징(25) 상(上)에는, 고정 스크롤(30)과 가동 스크롤(40)이 탑재된다. 고정 스크롤(30)은, 볼트 등에 의해 하우징(25)에 고정된다. 한편, 가동 스크롤(40)은, 올담이음(24)을 개재하여 하우징(25)에 걸어맞춤되고, 하우징(2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동 스크롤(40)은, 구동축(60)에 걸어맞춤되어 편심 회전운동을 행한다.
가동 스크롤(40)은, 가동측 경판부(41), 가동측 랩(lap)(42), 및 원통부(43)를 일체로 형성한 부재이다. 가동측 경판부(41)는, 원판상(狀)으로 형성된다. 가동측 랩(42)은, 소용돌이형 벽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동측 경판부(41)의 전면(前面)(도 1 및 도 2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다. 원통부(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가동측 경판부(41)의 배면(背面)(도 1 및 도 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다.
가동 스크롤(40)의 가동측 경판부(41)의 배면은, 하우징(25)의 환형 볼록부(29)에 설치된 실링부재(29a)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한편,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는, 하우징(25)의 중앙 오목부(26)로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원통부(43)에는, 편심부(63)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부로서의 베어링 메탈(44)이 삽입된다. 원통부(43)의 베어링 메탈(44)에는, 후술하는 구동축(60)의 편심부(63)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원통부(43)는, 편심부(63)와 슬라이딩하는 저널 베어링을 구성한다.
고정 스크롤(30)은, 고정측 경판부(31), 고정측 랩(32), 및 외주(外周)부(33)를 일체로 형성한 부재이다. 고정측 경판부(31)는,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측 랩(32)은, 소용돌이형 벽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측 경판부(31)의 전면(前面)(도 1 및 도 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다. 외주부(33)는, 고정측 경판부(31)의 외주부(3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께가 두꺼운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측 랩(32) 주위를 둘러싼다.
고정측 경판부(31)에는, 토출포트(22)가 형성된다. 토출포트(22)는, 고정측 경판부(31) 중앙 부근에 형성된 관통공이며, 고정측 경판부(3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 고정측 경판부(31)의 외주 부근에는, 흡입관(16)이 삽입된다.
압축기구(20)에는, 토출가스 통로(23)가 형성된다. 이 토출가스 통로(23)는, 그 시작단이 토출포트(22)에 연이어 통한다. 도시하지 않으나, 토출가스 통로(23)는, 고정 스크롤(30)로부터 하우징(25)에 걸쳐 형성되며, 그 타단(他端)이 하우징(25)의 하면(下面)에 개구한다.
압축기구(20)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30)과 가동 스크롤(40)은, 고정측 경판부(31)의 전면(前面)과 가동측 경판부(41)의 전면이 서로 마주보며, 고정측 랩(32)과 가동측 랩(42)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랩(32)과 가동측 랩(42)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복수의 압축실(21)이 형성된다.
또, 압축기구(20)에서는, 가동 스크롤(40)의 가동측 경판부(41)와 고정 스크롤(30)의 외주부(外周部)(33)가 서로 슬라이딩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가동측 경판부(41)에서는, 그 전면(도 1 및 도 2의 상면) 중 가동측 랩(42)보다 외주(外周)측의 부분이, 고정 스크롤(30)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측 스러스트(thrust) 슬라이딩면(45)이 된다. 한편, 고정 스크롤(30)의 외주부(33)는, 그 돌출단면(도 1 및 도 2의 하면)이, 가동 스크롤(40)의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45)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외주부(33)에서는, 그 돌출단면 중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45)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이, 고정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35)이 된다. 즉, 고정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35) 및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45)은,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를 구성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중앙 오목부(26)의 저부(底部)(26a)에는, 환형 홈(78)이 형성된다. 환형 홈(78)은, 상측을 향해 개방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된다. 환형 홈(78)의 중심은, 주(主) 저널부(64)의 축심과 대략 일치하며, 베어링부인 베어링 메탈(28)의 전 둘레를 둘러싼다. 환형 홈(78)는, 이른바 탄성(彈性) 홈을 구성한다. 즉, 하우징(25)에서는, 환형 홈(78)과 베어링 메탈(28) 사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통형상 볼록부(79)가 형성된다. 구동축(60)의 회전 시에, 주(主) 저널부(64)가 지름방향 외방으로 휜 상태가 되면, 통형상 볼록부(79)는 주(主) 저널부(64)를 따르도록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주(主) 저널부(64)가 베어링 메탈(28)에 대해 선접촉(線接觸)하여 버리는, 이른바 부분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베어링 메탈(28)의 베어링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하우징(25)의 중앙 오목부(26) 내부에는, 급유통로(70)를 통해 주(主) 저널부(64)의 베어링 메탈(28)의 윤활에 이용된 오일이 유출된다. 하우징(25)에는, 중앙 오목부(26)에 유출된 오일을 오일 저류부(18)로 보내기 위한 배유로(80)와, 이 오일을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고정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35) 및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45))로 보내기 위한 급유로(90)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배유로(80)는, 하우징(25)의 환형 볼록부(29)에 형성된다. 배유로(80)는, 환형 볼록부(29)의 하단부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 공(孔)(81)과, 이 가로 공(81)의 유출단(流出端)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공(82)으로 구성된다. 배유로(80)의 유입구(80a)는, 중앙 오목부(26)의 내부에 개구한다. 배유로(80) 유입구(80a)의 하단부 높이는,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와 대략 동일한 높이다. 즉, 배유로(80)의 유입구(80a)는,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배유로(80)의 세로 공(82)의 하측에는, 오일 포착판(oil catch plate)(83)이 설치된다. 오일 포착판(83)은, 상방을 향해 지름을 확대한 확경부(擴徑部)(83a)와, 이 확경부(83a)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하측 노즐부(83b)를 갖는다. 하측 노즐부(83b)의 유출단(하단)은, 고정자(51)의 코어 컷(51a) 내부에 위치한다.
급유로(90)는, 하우징(25)의 중앙 팽출부(27)로부터 환형 볼록부(29)에 걸쳐 형성된다. 급유로(90)는, 제 1 급유공(孔)(91)과 제 2 급유공(92)으로 구성된다. 제 1 급유공(91)은, 하우징(25)의 내부에서, 환형 홈(78)으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 1 급유공(91)의 유입구(91a)는, 환형 홈(78)의 내부에 개구한다. 제 1 급유공(91)의 유입구(91a)의 높이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보다 낮은 위치이다. 또한, 제 1 급유공(91)의 유입구(91a)의 높이는, 환형 홈(78)의 저면(底面)보다 높은 위치이다. 이에 따라, 환형 홈(78)의 바닥에 쌓인 불순물 등이, 유입구(91a)를 통해 급유로(9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급유로(90)에서의 불순물 등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급유공(92)은, 제 1 급유공(91)의 유출단과 연이어 통하도록, 하우징(25)의 환형 볼록부(29)를 축방향으로 관통해 형성된다. 제 2 급유공(92)에는, 스크루(screw) 부재(93)가 삽입 관통된다. 스크루 부재(93)의 머리부(93a)는, 제 2 급유공(92)의 하단을 폐색(閉塞)한다. 제 2 급유공(92)에서는, 스크루 부재(93)에 의해, 오일의 유로(流路)가 조여진다. 즉, 스크루 부재(93)는, 제 2 급유공(92)을 흐르는 오일을 감압하는 감압기구(스로틀(throttle) 기구)를 구성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고정 스크롤(30)의 외주(外周)부(33)에는, 제 2 급유공(92)에 연이어 통하는 오일 연결통로(94)와, 이 오일 연결통로(94)에 연이어 통하는 오일 홈(oil groove)(95)이 형성된다. 오일 연결통로(94)의 유입단(端)은, 하우징(25) 내부의 제 2 급유공(92)에 접속한다. 오일 연결통로(94)의 유출단은, 가동 스크롤(40)의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45)을 향해 개구한다. 오일 홈(95)은, 외주부(33)의 고정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35)에 형성된 오목 홈이며, 고정측 랩(32) 주위를 둘러싸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오일 홈(95)은, 오일 연결통로(94)의 유출단과 연이어 통한다.
-운전동작-
스크롤형 압축기(1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냉매를 압축하는 동작>
스크롤형 압축기(10)에서, 전동기(50)로 통전(通電)하면, 구동축(60)에 의해 가동 스크롤(40)이 구동된다. 가동 스크롤(40)은, 그 자전(自轉)운동이 올담이음(24)에 의해 규제되어, 자전운동은 행하지 않고 공전운동만 행한다.
가동 스크롤(40)이 공전운동을 행하면, 흡입관(16)을 통해 압축기구(20)로 유입된 저압의 가스냉매가, 고정측 랩(32) 및 가동측 랩(42)의 외주측 단부 부근으로부터 압축실(21)로 흡입된다. 가동 스크롤(40)이 더 이동하면, 압축실(21)이 흡입관(16)으로부터 차단된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고, 그 후, 압축실(21)은, 고정측 랩(32) 및 가동측 랩(42)을 따라 이들의 내주측 단부를 향해 이동되어 간다. 이 과정에서 압축실(21)의 용적이 점차 감소하여, 압축실(21) 내의 가스냉매가 압축되어 간다.
가동 스크롤(40)의 이동에 수반하여 압축실(21)의 용적이 점차 축소되어 가면, 곧 압축실(21)은 토출포트(22)에 연이어 통한다. 그리고, 압축실(21) 내에서 압축된 냉매(즉, 고압의 가스냉매)는, 토출포트(22)를 통해 토출가스 통로(23)로 유입되고, 그 후에 케이싱(15) 내부공간으로 토출된다. 케이싱(15)의 내부공간에서, 압축기구(20)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가스냉매는, 일단은 전동기(50)의 고정자(51)보다 하방으로 흐르고, 그 후에 회전자(52)와 고정자(51)의 틈새 등을 통해 상방으로 흘러, 토출관(17)을 통해 케이싱(15)의 외부로 유출되어 간다.
케이싱(15)의 내부공간 중 하우징(25)보다 하방 부분에서는, 압축기구(20)로부터 토출된 고압 가스냉매가 유통하며, 그 압력은 고압 가스냉매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15) 내의 오일 저류부(18)에 저류된 냉동기 오일의 압력도, 고압 가스냉매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된다.
한편, 케이싱(15)의 내부공간 중 하우징(25)보다 상방 부분은, 도시하지 않으나 흡입관(16)과 연이어 통하며, 그 압력이 압축기구(20)로 흡입되는 저압 가스냉매의 압력과 동일한 정도가 된다. 따라서, 압축기구(20)에서는, 가동 스크롤(40)의 가동측 경판부(41)의 외주(外周) 부근의 공간의 압력도, 저압 가스냉매의 압력과 동일한 정도가 된다.
<슬라이딩부의 급유동작>
스크롤형 압축기(10)의 운전 중에는, 회전하는 구동축(60)에 의해 급유 펌프(75)가 구동되어, 케이싱(15)의 저부에 저류된 냉동기 오일이 급유통로(70)의 주(主)통로(74)로 흡상(吸上)된다. 주(主)통로(74)를 흐르는 냉동기 오일은, 그 일부가 각 분기통로(71~73)로 유입되고, 나머지가 주(主)통로(74)의 상단으로부터 유출된다. 제 3 분기통로(73)로 유입된 오일(냉동기 오일)은, 부(副) 저널부(67)와 베어링 메탈(58)의 틈새로 공급되어, 부(副) 저널부(67)와 베어링 메탈(58)의 윤활과 냉각에 이용된다. 제 2 분기통로(72)로 유입된 오일은, 주(主) 저널부(64)와 베어링 메탈(28)의 틈새로 공급되어, 주(主) 저널부(64)와 베어링 메탈(28)의 윤활과 냉각에 이용된다.
제 1 분기통로(71)로 유입된 오일은, 편심부(63)와 베어링 메탈(44)의 틈새로 공급되어, 편심부(63)와 베어링 메탈(44)의 윤활과 냉각에 이용된다. 베어링 메탈(44)의 윤활에 이용된 오일은, 중앙 오목부(26)의 내부로 유출된다.
그런데, 중앙 오목부(26)의 내부에 있어서, 베어링 메탈(44)의 윤활에 이용된 오일이 저류하면,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통부(43)가 편심 회전운동을 반복하면, 중앙 오목부(26) 내의 오일이 원통부(43)의 저항이 되고, 이른바 교반 손실이 증대하여 전동기(50)의 동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또, 중앙 오목부(26) 내의 오일이 원통부(43)에 의해 교반되면, 케이싱(15) 내의 고압의 가스냉매가 오일에 혼입되거나, 오일이 미스트상(狀)으로 미세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오목부(26) 내에서 교반된 오일이, 그 자중(自重)에 의해, 최종적으로 오일 저류부(18)로 되돌아가기 어렵게 되어, 오일 저류부(18)의 오일량이 부족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오목부(26) 내에서의 원통부(43)에 의한 오일의 교반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에 환형 홈(78)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메탈(44)의 윤활에 이용되어 중앙 오목부(26)의 내부로 유출된 냉매는, 이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로부터 환형 홈(78)의 내부로 흘러 내린다. 환형 홈(78) 내의 오일면의 높이가, 제 1 급유공(91)의 유입구(90a)의 높이 위치를 초과하면, 환형 홈(78)의 오일이 제 1 급유공(91)에 유입된다. 이 오일은, 제 1 급유공(91)을 통과하여, 제 2 급유공(92)을 상방으로 흐른다. 이 때, 제 2 급유공(92)에서는, 스크루 부재(93)에 의해, 고압의 오일이 감압된다. 제 2 급유공(92)을 통과한 오일은, 고정 스크롤(30) 내부의 오일 연결통로(94)를 경유하여, 오일 홈(95)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35)과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45)과의 사이 슬라이딩부가 오일에 의해 윤활된다.
이와 같이, 중앙 오목부(26)에 유출된 오일은, 환형 홈(78) 및 급유로(90)를 통해,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로 적절히 공급된다. 그 결과, 중앙 오목부(26) 내의 오일면 높이가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어,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가 오일에 잠기는 면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환형 홈(78) 내의 오일면이 상승하여, 이 오일이 환형 홈(78)으로부터 중앙 오목부(26)로 오일이 흘러 넘친 경우, 이 오일은 배유로(80)로 유입된다. 배유로(80)에서는, 오일이 가로 공(81), 세로 공(82), 오일 포착판(83)을 차례로 흘러, 코어 컷(51a)으로 흐른다. 코어 컷(51a) 내의 오일은, 케이싱(15)의 내주면(內周面)을 따르도록 하여 더 하방으로 흘러, 최종적으로 오일 저류부(18)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환형 홈(78)으로부터 흘러 넘친 오일은, 배유로(80)를 통해 직접적으로 오일 저류부(18)로 되돌려진다. 이로써, 중앙 오목부(26) 내의 오일면 높이가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어,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가 오일에 잠기는 면적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25)의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에 환형 홈(78)을 형성하였으므로, 베어링 메탈(44)의 윤활에 이용된 오일을 환형 홈(78) 내로 포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오목부(26) 내에서는,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회전 중인 원통부(43) 오일의 교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기(50)의 동력을 삭감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원통부(43)에 의한 오일의 교반을 억제함으로써, 오일 중에 압축유체(流體)가 혼입되거나, 오일이 미스트상(狀)이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메탈(44)의 윤활에 이용된 오일을 신속하게 오일 저류부(18)로 되돌릴 수 있어, 이른바 오일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主) 저널부(64)의 베어링 메탈(28) 주위에 환형 홈(78)를 형성함으로써, 이 환형 홈(78)과 베어링 메탈(28) 사이에 통형상 볼록부(79)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主) 저널부(64)가 축심에 대해 기울었다 하더라도, 이 주(主) 저널부(64)를 따라 통형상 볼록부(79)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메탈(28)에 대해 주(主) 저널부(64)가 부분 접촉하여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주(主) 저널부(64)의 베어링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환형 홈(78)은, 오일을 포착하여 급유로(90)로 흘리기 위한 홈과, 이른바 탄성 홈을 겸하므로, 하우징(25)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오목부(26)에 유출된 오일의 일부가, 배유로(80)를 개재하여 직접적으로 오일 저류부(18)로 되돌아가므로, 원통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가,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를 따르도록 배치되므로, 환형 홈(78)으로부터 오일이 흘러 넘치더라도, 이 오일을 신속하게 배유로(80)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유로(90)의 유입구(90a)를 환형 홈(78)의 내부에 개구시키며, 배유로(80)의 유입구(80a)를 중앙 오목부(26)의 내부에 개구시킨다. 즉, 급유로(90)의 유입구(90a) 높이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보다 낮은 위치이다. 이로써, 중앙 오목부(26)의 내부에 유출된 오일은, 배유로(80)보다 급유로(90)로 우선적으로 도입되므로,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스크롤형 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1>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 1에 관한 스크롤형 압축기(10)는, 상기 실시형태와 배유로(80)의 구성이 다르다. 변형예 1의 배유로(80)는, 그 유입구(80a)가 환형 홈(78)의 내부에 개구한다. 구체적으로, 배유로(80)는, 환형 홈(78)의 내부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가로 공(81)과, 이 가로 공(81)의 지름방향 외방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공(82)을 갖는다. 환형 홈(78)의 내부에서는, 급유로(90)의 유입구(90a) 높이가,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보다 낮은 위치이다.
변형예 1에서는, 환형 홈(78) 내 오일면의 높이가, 급유로(90)의 유입구(90a)와 배유로(80)의 유입구(80a)와의 사이인 경우, 급유로(90)에 우선적으로 오일이 도입된다. 한편, 환형 홈(78) 내 오일면의 높이가, 배유로(80)의 유입구(80a)에까지 이르면, 급유로(90)와 배유로(80) 쌍방으로 오일이 도입된다. 이와 같이, 변형예 1에 있어서도, 중앙 오목부(26)의 내부에 유출된 오일은, 배유로(80)보다 급유로(90)로 우선적으로 도입되므로,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스크롤형 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변형예 1에서는, 환형 홈(78) 내의 오일을 급유로(90)와 배유로(80) 쌍방으로 보내므로, 환형 홈(78) 내의 오일이 중앙 오목부(26)로 흘러 넘쳐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동 스크롤(40)의 원통부(43)가 오일에 잠겨 버리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1의 그 이외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2>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변형예 2는, 상기 변형예 1과 마찬가지의 하우징(25) 구성에 있어서, 환형 홈(78)의 내부에 구획 부재(100)를 형성한다. 구획 부재(100)는, 환형 홈(78) 하측의 저부(底部)로부터, 이 환형 홈(78) 상측의 개구단(開口端)에 걸치도록, 환형 홈(78)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구획 부재(100)는, 환형 홈(78)의 축방향으로 직각인 단면형상이, 거의 역 "ㄷ" 자("U" 자)형으로 형성되며, 환형 홈(78)에 감합(嵌合)된다.
구획 부재(100)는, 환형 홈(78)의 내측 내주면을 따르도록 원호(圓弧)형으로 만곡(彎曲)한 종벽부(縱壁部)(100a)와, 이 종벽부(100a)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측벽부(側壁部)(100b)를 갖는다. 종벽부(100a)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각 측벽부(100b)는, 환형 홈(78)의 내측 내주면으로부터 외측 외주면에 걸쳐 지름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구획 부재(100)에 의해, 환형 홈(78)의 내부는, 구획 부재(100) 외측의 제 1 실(S1)과, 구획 부재(100) 내측의 제 2 실로 구획된다. 제 1 실(S1)에는, 급유로(90)의 유입구(90a)가 연이어 통한다. 제 2 실(S2)에는, 배유로(80)의 유입구(80a)가 연이어 통한다.
변형예 2에서는, 제 1 실(S1) 상단의 개구(開口) 면적이, 제 2 실(S2) 상단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된다. 즉, 환형 홈(78)의 내부에서는, 제 1 실(S1)의 체적이 제 2 실(S2)의 체적보다 크게 된다. 이로써, 변형예 2에서는, 중앙 오목부(26)에 유출된 오일의 대부분이, 제 2 실(S2)보다 제 1 실(S1)로 흘러 내려게 되어, 제 1 실(S1)에 충분한 오일을 저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S1) 및 급유로(90)를 개재하여,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어, 스크롤형 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2의 그 이외의 작용 효과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오목부(26)의 저부(26a)에 있어서, 주(主) 저널부(64)를 둘러싸도록 환(環)형의 오목부(78)를 형성하나, 이 오목부(78)는, 반드시 환형이 아니라도 되고, 예를 들어, 축 직각인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직선형, 점상(狀)이라도 된다. 즉, 오목부(78)는, 중앙 오목부(26)에 유출된 오일을 포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하며, 특히 압축기구의 슬라이딩부로의 급유대책에 대해 유용하다.
10 : 스크롤형 압축기 15 : 케이싱
18 : 오일 저류부 20 : 압축기구
25 : 하우징 26 : 중앙 오목부(수용부)
26a : 저부 28 : 베어링 메탈(베어링부)
30 : 고정 스크롤 35 : 고정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
40 : 가동 스크롤 43 : 원통부(걸어맞춤부)
44 : 베어링 메탈(슬라이딩부) 45 : 가동측 스러스트 슬라이딩면
50 : 전동기 60 : 구동축
70 : 급유통로 75 : 급유 펌프(오일 반송기구)
78 : 환형 홈(오목부) 80 : 배유로
80a : 유입구(배유로측) 90 : 급유로
90a : 유입구(급유로측) 100 : 구획 부재
S1 : 제 1 실 S2 : 제 2 실

Claims (7)

  1. 케이싱(15)과, 이 케이싱(15)에 수용되는 전동기(50)와, 이 전동기(5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60)과, 이 구동축(60)의 단부(端部)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43)를 가지며, 이 구동축(60)에 대해 편심하고 회전하는 가동(可動) 스크롤(40), 및 고정 스크롤(30)을 갖는 압축기구(20)와, 상기 구동축(60)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8), 및 상기 걸어맞춤부(43)를 수용하는 수용부(26)를 갖는 하우징(25)과, 상기 케이싱(15)의 오일 저류부(18)의 오일을 반송(搬送)하는 오일 반송기구(75)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60)에는, 상기 오일 반송기구(75)에 의해 반송된 오일을 상기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sliding portion)(44)로 공급하는 급유통로(70)가 형성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5)에는,
    상기 수용부(26)의 저부(底部)(26a)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를 윤활시킨 후의 오일이 저류하는 오목부(78)와,
    상기 오목부(78) 내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보내는 급유로(90)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78)는, 상기 베어링부(28)의 전(全) 둘레를 둘러싸는 환(環)형 홈(7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삭제
  3. 케이싱(15)과, 이 케이싱(15)에 수용되는 전동기(50)와, 이 전동기(5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60)과, 이 구동축(60)의 단부(端部)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43)를 가지며, 이 구동축(60)에 대해 편심하고 회전하는 가동(可動) 스크롤(40), 및 고정 스크롤(30)을 갖는 압축기구(20)와, 상기 구동축(60)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8), 및 상기 걸어맞춤부(43)를 수용하는 수용부(26)를 갖는 하우징(25)과, 상기 케이싱(15)의 오일 저류부(18)의 오일을 반송(搬送)하는 오일 반송기구(75)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60)에는, 상기 오일 반송기구(75)에 의해 반송된 오일을 상기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sliding portion)(44)로 공급하는 급유통로(70)가 형성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5)에는,
    상기 수용부(26)의 저부(底部)(26a)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43)의 슬라이딩부(44)를 윤활시킨 후의 오일이 저류하는 오목부(78)와,
    상기 오목부(78) 내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구(20)의 슬라이딩부(35, 45)로 보내는 급유로(9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5)에는, 상기 수용부(26)의 오일을 상기 오일 저류부(18)로 보내는 배유로(排油路)(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는, 상기 수용부(26)의 저부(26a)를 따르도록 이 수용부(26)의 내부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는, 상기 오목부(78)의 내부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78)의 내부에는, 상기 급유로(90)의 유입구(90a)와 연이어 통하는 제 1 실(S1)과,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실(S2)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100)가, 상기 오목부(78)의 저부로부터 개구단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 1 실(S1)의 용적이, 상기 제 2 실(S2)의 용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로(90)의 유입구(90a) 높이가, 상기 배유로(80)의 유입구(80a) 높이보다 낮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157020116A 2012-12-28 2013-12-10 스크롤형 압축기 KR101728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8807A JP5655850B2 (ja) 2012-12-28 2012-12-28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JP-P-2012-288807 2012-12-28
PCT/JP2013/007242 WO2014103204A1 (ja) 2012-12-28 2013-12-10 スクロール型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849A KR20150099849A (ko) 2015-09-01
KR101728261B1 true KR101728261B1 (ko) 2017-04-18

Family

ID=5102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116A KR101728261B1 (ko) 2012-12-28 2013-12-10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330390A1 (ko)
EP (1) EP2940302B1 (ko)
JP (1) JP5655850B2 (ko)
KR (1) KR101728261B1 (ko)
CN (1) CN104903583B (ko)
BR (1) BR112015013435B1 (ko)
ES (1) ES2747231T3 (ko)
RU (1) RU2600206C1 (ko)
WO (1) WO2014103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8771B (zh) 2015-07-22 2020-09-08 特灵国际有限公司 压缩机轴承壳体排放装置
CN105332913B (zh) * 2015-11-23 2017-09-2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及包括该压缩机的电器产品
US10132317B2 (en) * 2015-12-15 2018-11-20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Oil return with non-circular tube
CN107289115B (zh) * 2016-04-01 2021-08-1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轮内驱动总成
RU2629049C1 (ru) * 2016-05-24 2017-08-24 Леонид Михайлович Курин Спиральный компрессор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KR102405400B1 (ko) 2017-02-13 202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DE102017209553A1 (de) * 2017-06-07 2018-12-13 Robert Bosch Gmbh Zahnradpumpe für ein Abwärmerückgewinnungssystem
WO2019027342A1 (ru) * 2017-08-04 2019-02-07 Леонид Михайлович КУРИН Спиральный компрессор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KR102515119B1 (ko) * 2019-01-18 2023-03-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7373939B2 (ja) * 2019-08-08 2023-11-06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40008722A (ko) * 2022-07-12 2024-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유 통로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1896A (ja) 2004-12-08 2008-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媒圧縮機
WO2009066413A1 (ja) 2007-11-21 2009-05-28 Panasonic Corporation 膨張機一体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83558A1 (ru) * 1978-12-11 1981-11-23 Ом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Ротор винтовой компрессорной машины
JPS6275091A (ja) * 1985-09-30 1987-04-06 Toshiba Corp スクロ−ルコンプレツサ
DE69202399T2 (de) * 1991-06-13 1995-10-19 Daikin Ind Ltd Strömungsmaschine in Spiralbauweise.
JP2817511B2 (ja) * 1992-04-28 1998-10-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JP2871319B2 (ja) * 1992-08-06 1999-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5370513A (en) * 1993-11-03 1994-12-06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oil circulation system
US5466134A (en) * 1994-04-05 1995-11-14 Puritan Bennett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having idler cranks and strengthening and heat dissipating ribs
JP3358307B2 (ja) * 1994-08-03 2002-12-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H0932758A (ja) * 1995-07-17 1997-02-04 Toshiba Corp スクロール式圧縮機
JP3731433B2 (ja) 1999-11-22 2006-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5083290A (ja) * 2003-09-10 2005-03-31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RU2404372C2 (ru) * 2006-03-03 2010-11-20 Дайкин Индастриз, Лтд. Компрессо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EP2115302B1 (en) * 2007-01-19 2016-03-16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and oil blocking device therefor
JP4450105B2 (ja) * 2008-02-28 2010-04-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2012097579A (ja) * 2010-10-29 2012-05-24 Daikin Industries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2097580A (ja) * 2010-10-29 2012-05-24 Daikin Industries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1896A (ja) 2004-12-08 2008-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媒圧縮機
WO2009066413A1 (ja) 2007-11-21 2009-05-28 Panasonic Corporation 膨張機一体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0302A4 (en) 2016-08-24
BR112015013435A2 (pt) 2017-07-11
EP2940302A1 (en) 2015-11-04
JP2014129793A (ja) 2014-07-10
WO2014103204A1 (ja) 2014-07-03
CN104903583B (zh) 2017-10-10
ES2747231T3 (es) 2020-03-10
EP2940302B1 (en) 2019-07-10
JP5655850B2 (ja) 2015-01-21
US20150330390A1 (en) 2015-11-19
KR20150099849A (ko) 2015-09-01
BR112015013435B1 (pt) 2021-11-30
CN104903583A (zh) 2015-09-09
RU2600206C1 (ru)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61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7229261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n annular recess located outside an annular seal portion and another recess communicating with suction port of fixed scroll
CN100366913C (zh) 卧式旋转压缩机
KR10077221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US8888475B2 (en) Scroll compressor with oil supply across a sealing part
US7351045B2 (en) Rotational inhibitor for compressor lubricant
KR19990044128A (ko) 스크롤 압축기
KR20070056517A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JP2004027969A (ja) 密閉型圧縮機
JP5880513B2 (ja) 圧縮機
KR20050026875A (ko) 스크롤 압축기
KR20060051788A (ko) 압축기
JP2009162078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EP2236828A1 (en) Scroll compressor
US11306719B2 (en) Compressor
CN109196227B (zh) 涡旋压缩机
KR100688656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KR102392655B1 (ko) 냉매의 토출 유로와 오일 회수 유로를 분리한 압축기
KR20180091148A (ko) 로터리 압축기
JP5114708B2 (ja)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412974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308767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504868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90000687A (ko) 윤활 성능을 개선한 압축기
JP201412975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