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528B1 -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 - Google Patents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528B1
KR101726528B1 KR1020157018721A KR20157018721A KR101726528B1 KR 101726528 B1 KR101726528 B1 KR 101726528B1 KR 1020157018721 A KR1020157018721 A KR 1020157018721A KR 20157018721 A KR20157018721 A KR 20157018721A KR 101726528 B1 KR101726528 B1 KR 10172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elements
primary
arms
radial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742A (ko
Inventor
헨크-얀 그롤레만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1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57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pres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64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radially expandable, contractible mechanical means, e.g. circumferentially spaced arms, spring rollers,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갖는 타이어 성형 드럼(1)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들을 턴-업하기 위한 턴-업 기구(6)가 제공되고, 턴-업 기구는 아암(61, 62)들의 그룹을 포함하고, 아암들의 그룹 각각은 1차 아암(61)들과, 당해 1차 아암들 사이에 개재된 2차 아암(62)들을 포함하고, 1차 아암들 및 2차 아암들에는, 각각, 턴-업 동안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해 프레싱력을 인가하기 위한 1차 프레싱 요소(63)들 및 2차 프레싱 요소(65)들이 제공되고, 1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 위치에 있고, 2차 아암(62)들에는,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축방향 위치에 관해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향해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액추에이터(68)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TYRE BUILDING DRUM WITH A TURN-UP MECHANISM}
본 발명은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에 관한 것이다.
WO 2004/035301 및 WO 98/52740으로부터,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이 알려져 있다. 이 알려진 타이어 성형 드럼의 턴-업 기구는 한 세트의 1차 아암과, 이 1차 아암들 사이에 배치된 한 세트의 2차 아암을 포함하고 있다. 1차 아암들 및 2차 아암들에는, 각각, 턴-업 동안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프레싱하기 위한 1차 턴-업 롤러들 및 2차 턴-업 롤러들이 제공되어 있다. 2차 턴-업 롤러들은, 타이어 성형 드럼의 축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1차 아암들의 1차 턴-업 롤러들 뒤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턴-업 동안에, 2차 턴-업 롤러들은 타이어 성형 드럼의 반경 방향 및 축방향의 양방에 있어서 1차 턴-업 롤러들을 따라간다. 상기 알려진 타이어 성형 드럼들의 이점은, 1차 턴-업 롤러들의 반경 방향 위치에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2차 턴-업 롤러들의 반경 방향 트레일링(trailing) 위치에서 턴-업 롤러들에 의해 타이어 컴포넌트들이 프레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알려진 턴-업 기구의 단점은, 특히 턴-업의 하이 스테이지(high stage) 동안에, 턴-업 롤러들이 타이어의 아웃터 반경 방향 둘레에 접근할 때, 턴-업 롤러들이 타이어 성형 드럼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멀리 떨어져 나간다는 것이다. 떨어져 나간 턴-업 롤러들의 프레싱력이 타이어의 둘레 위에 불균일하게 분배되고, 이에 의해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impression)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타이어 컴포넌트들 위의 턴-업 기구의 압력의 확산이 증대되는,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비드(bead)를 포함하는, 고무의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갖는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타이어 성형 드럼으로서, 상기 타이어 성형 드럼은 드럼 샤프트와, 당해 드럼 샤프트 둘레에 배치된 2개의 비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홀더들은 상기 비드들의 위치에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 샤프트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기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상기 비드 홀더들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한 확대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상기 그린 타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확대된 부분에 대항하여 상기 비드들 둘레에 상기 비드 홀더들의 외측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턴-업하기 위한 턴-업 기구가 제공되고, 상기 턴-업 기구는 상기 비드 홀더들 외측에 상기 드럼 샤프트의 각각의 사이드에 배치된 아암(arm) 그룹을 포함하고, 제1 단부에서, 각 그룹의 아암들은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서포트를 통해 상기 드럼 샤프트에 커플링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 둘레에 동등하게 배분된 반경 방향 평면에 있어서 상기 비드 홀더들을 향해서 상기 아암 서포트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아암들은 하측 위치와 상측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 서포트와의 그들 커플링에 관해 상기 반경 방향 평면에 있어서 틸팅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아암 군은 1차 아암들과, 당해 1차 아암들 사이에 배치되는 2차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아암들과 상기 2차 아암들에는, 상기 제1 단부 반대쪽의 제2 단부에서, 각각, 상기 턴-업 동안에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해 프레싱력을 인가하기 위한 1차 프레싱 요소들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이 제공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leading) 위치에 있고, 상기 2차 아암들에는,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축방향 위치에 대한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향해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된 액추에이터들이 제공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한다.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들을 향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은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둘레 위에 프레싱력의 동등한 스프레딩 또는 분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당의 프레싱력, 그리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에 관한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프레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축방향 위치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축방향 위치에서 프레싱력을 인가하는 프레싱 요소들의 표면적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반경 방향 위치에 관해 반경 방향 트레일링 위치에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를 향해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를 향해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은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위에서 프레싱력의 동등한 분배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 위치에서 프레싱력을 인가하는 프레싱 요소들의 표면적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1차 아암들이 그들의 하측 위치들로부터 그들의 상측 위치들로 틸팅되는 경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리딩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1차 아암의 상측 위치들에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높은데, 왜냐하면 1차 프레싱 롤러들이 종래 그들의 개별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멀리 떨어져 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 프레싱 롤러들이 그들의 상측 위치들로 접근할 때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리딩 위치들로 변위시킴으로써, 자국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하측 위치에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을 트레일링 위치로 하는 것은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아암들의 컴팩트한 구성을 허용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들 하측 위치들로부터 그들 상측 위치들로의 상기 1차 아암들의 틸팅 중에,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관해 발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개별 상기 2차 프레싱 요소에 의해 소모되는 공간이 동일한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의 최소 공간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리딩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2차 프레싱 요소들이, 상기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에, 상기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과의 간섭없이 삽입되거나 수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그들 각각의 2차 아암들의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은 2차 아암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2차 아암들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2차 아암들 각각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부는 각각의 상기 아암들의 그룹의 아암 서포트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제1 아암부에 관해 이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를 유지한다. 2차 아암을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아암에 관한 2차 프레싱 요소들의 상대 변위가 용이하여 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2차 아암들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2차 아암들은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킴에 있어서 자급자족할 수 있다. 2차 프레싱 요소들의 변위를 위해서, 예들 들어 아암 서포트를 통해서와 같이, 외부의 드라이브가 2차 아암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차 아암은 구성에 있어 비교적 간단하게 유지된다. 또한, 2차 아암들의 2차 프레싱 요소들의 변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제1 아암부에 관해 상기 제2 아암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상기 제2 아암들의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부 및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2차 아암의 전체 길이를 규정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2차 아암의 전체 길이가 상기 1차 아암의 전체 길이보다 작거나 동등하도록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아암부에 관해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이 범위는 2차 프레싱 요소들이 턴-업 동안에 1차 프레싱 요소들을 트레일하고, 또한 턴-업 동안에 1차 프레싱 요소들을 따라가도록 허용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선형(linear) 액추에이터, 바람직하게는 공압 드라이브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2차 아암들은 상기 1차 아암들에 관해 상기 아암 서포트와의 그들 커플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2차 아암의 2차 프레싱 요소들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동일 부분뿐만 아니라,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 프레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싱 요소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레싱 요소들에 의해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프레싱력의 동등한 분배가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은 각각 1차 및 2차 턴-업 롤러들이다. 상기 롤러들이 타이어 컴포넌트들 위에서 구를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턴-업 동안에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턴-업 롤러들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2차 턴-업 롤러들이 1차 턴-업 롤러들과 동일한 축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위치에 있을 때, 턴-업 롤러들의 외측 상의 둘레 방향 프레싱 표면들은 동일한 축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위치, 및/또는 동일한 둘레에 놓인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비드를 포함하는 고무의 타이어 컴코넌트들을 갖는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드럼 샤프트 둘레에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배치하는 단계와, 비드들에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클램핑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들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확장하는 단계와, 상기 그린 타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확장된 부분에 대항하여 상기 비드들 둘레에 상기 비드들 외측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턴-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턴-업 동안에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해 프레싱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력은 1차 프레싱 요소들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에 의해 인가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 위치에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축방향 위치에 관한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향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은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위에서 프레싱력의 동등한 분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상기 리딩 위치에 관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 위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축방향 위치로 변위된다.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축방향 위치에서 프레싱력을 인가하는 프레싱 요소들의 표면적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반경 방향 위치에 관해 반경 방향 트레일링 위치에 있고,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를 향해 변위된다.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를 향해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따라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은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리딩 위치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위에서 프레싱력의 동등한 분배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서의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 또는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로 변위된다. 2차 프레싱 요소들이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 위치에서 프레싱력을 인가하는 프레싱 요소들의 표면적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위 표면적 당의 프레싱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드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이 반경 방향 측벽을 갖는 형상으로 확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 측벽은 내측 반경 방향 부분 또는 하측 부분 및 외측 반경 방향 부분 또는 상측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이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기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측 부분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이동된다. 특히,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측 부분에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의 우려가 높은데, 왜냐하면 1차 프레싱 롤러들이 종래 멀리 떨어져 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 프레싱 요소들이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측 부분으로 접근할 때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리딩 위치들로 변위시킴으로써, 자국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기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측 부분을 향한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이동 중에,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발산하고,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개별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에 의해 소모되는 공간이 동일한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의 최소 공간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은 2차 프레싱 요소들이, 상기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에, 상기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과의 간섭없이 삽입되거나 수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여러 양태 및 특징은, 가능한 모든 경우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들 개별적인 양태는, 특히 첨부된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양태와 특징은, 분할 특허 출원의 요지를 형성할 수 있다.
개략적인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의 하나의 섹션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라인 IB-IB를 따른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의 상기 섹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도 3a, 도 4a, 도 5a 및 도 6a는, 타이어 컴포넌트를 반전시키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 동안에 도 1a에 따른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의 상기 섹션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도 2b, 도 3b, 도 4b, 도 5b 및 도 6b는, 제각기, 도 2a, 도 3a, 도 4a, 도 5a 및 도 6a에 있어서의 라인 IIB-IIB, IIIB-IIIB, IVB-IVB, VB-VB 및 VIB-VIB에 따른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의 상기 섹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6a는 미가황 또는 그린(green) 공기 타이어(4)를 성형하기 위한 타이어 성형 드럼(1)을 도시한다. 타이어 성형 드럼(1)에는 상기 그린 타이어(4)를 형성하기 위해 고무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턴-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턴-업 기구(6)가 구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 드럼(1)에는 중심선 또는 축 S를 갖는 드럼 샤프트(2)가 제공된다. 타이어 성형 드럼은, 드럼 샤프트(2)의 축 S에 관해 실질적으로 회전-대칭적이며, 또한 추가적으로, 드럼 샤프트(2)의 축 S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중간 평면 M에 관해 대칭적이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복잡한 도면을 회피하기 위해서, 타이어 성형 드럼(1)의 하나의 섹션만을 도 1a에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a는 타이어 성형 드럼(1)의 좌측 대칭측의 상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이어 성형 드럼(1)의 섹션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이 설명은 타이어 성형 드럼(1)의 다른 대칭 섹션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 드럼(1)에는 중간 평면 M에서 드럼 샤프트(2) 둘레에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서포트하기 위해 중간 평면 M에서 드럼 샤프트(2) 둘레에 배치된 드럼 컴포넌트(3)들이 제공된다. 드럼 컴포넌트(3)들은 중간 평면 M의 각각의 사이드 상에 드럼 샤프트(2) 둘레에 배치된 환형의 비드 클램프 또는 비드 홀더(31)를 포함한다. 비드 홀더(31)들은, 그 치수를 따라서 이격된 위치들에서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클램프하거나 유지(hold)하도록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 S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이격되어 있다. 드럼 컴포넌트(3)들은,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확장된, 토러스(torus) 형상으로 성형 또는 확장하기 위한 성형 수단, 예를 들어 확장 또는 팽창 요소(32)를 더 포함한다.
그린 타이어(4)를 위한 고무 타이어 컴포넌트들은 보강 코드를 구비한 고무 레이어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이너 라이너와 함께 상기 그린 타이어(4)를 위한 카카스(carcass)(40)를 형성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장 형상에 있어서, 카카스(40)는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둘레 방향으로 확장된 측면들을 갖는데, 이들 각각은 이너 반경 방향 부분 또는 로우(low) 부분(41) 및 아웃터 반경 방향 부분 또는 하이(high) 부분(42)을 갖는다. 도 1a에서, 부분(41, 42)들은 "중괄호(braces,})"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성형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높이는 2개의 동일한 높이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부분(41, 42)들 사이의 전환은, 제조하려는 타이어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반경 방향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카카스(40)의 사이드들은,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외경을 규정하는, 반경 방향 바깥 둘레 표면(43)에 의해 연결된다.
고무 타이어 컴포넌트들은, 본 실시예에서, 하이 필러 스트립 또는 정점(apex)이 구비된 비드(44)를 포함한다. 드럼 컴포넌트(3)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배치하는 동안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카카스(40)를 확장하기 앞서서,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이 비드 홀더(31)들 바로 위에 비드(44)들과 함께 위치된다. 후속하여, 비드(44)들에서 기밀적인 클램핑을 제공하도록 비드 홀더(31)들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이제, 비드 홀더(31)들 사이에 카카스(40)의 부분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전술한 확장 형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비드 홀더(31)들 외측의 양 사이드 상의 카카스(40)에는, 이후 설명하는 방식으로, 확장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들에 대해 턴-업 기구(6)에 의해 접혀지거나 턴-업되도록 배치되는 측벽(5)이 제공된다. 타이어 컴포넌트의 수와 형태는 종국에 제조되는 그린 타이어(4)에 좌우되며, 가능한 구성 및 빌드 업(build-up)이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관해서는 여기서 더 논의하지 않는다.
턴-업 기구(6)는 비드 홀더(31)들의 외측에, 중간 평면 M에 관해 드럼 샤프트(2)의 각각의 사이드 상에 배치되는 아암(61, 62)의 그룹을 포함한다. 비드 홀더(31)들에 관해서 아암(61, 62)의 제1 원위단에서, 각 그룹의 아암(61, 62)은 아암 서포트(60)를 통해서 드럼 샤프트(2)에 커플링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아암 그룹의 아암(61, 62)들은 단일의 아암 서포트(60)를 통해 드럼 샤프트(2)에 커플링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암 서포트(60)는 드럼 샤프트(2) 둘레에 환형으로 연장하며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 S로 시프트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아암(61, 62)들은, 예를 들어 WO 2004/035301 및 WO 98/52740로부터,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드럼 샤프트(2)에 관해 둘레 방향으로 동등하게 배분된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아암 서포트(60)로부터 비드 홀더(31)들을 향해서 연장한다.
도 1a에서는, 반경 방향 평면들 중 단 하나와, 아암(61, 62)의 각 형태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서, 반경 방향 평면들은 드럼 샤프트(2)의 중심축 S로부터 시작하여 갈라지는 점선들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면들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어지는 반경 방향 평면들 중 다섯 개의 평면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반경 방향 평면들의 총 수는 360도 전체 회전에 걸쳐서 중심축 S에 관한 둘레 방향 K에 있어서 동등하게 분배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아암(61, 62)들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측 위치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측 위치 사이에서 아암 서포트(60)와의 그들 커플링에 관해서 상기 반경 방향 평면에서 회전가능하거나 틸팅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아암(61, 62) 그룹은 1차 아암(61)들 및 2차 아암(62)들을 포함한다. 2차 아암(62)들 각각은 드럼 샤프트(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직접 후속하는 1차 아암(61)들 사이에 배치 또는 개재된다.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에서, 1차 아암(61)들에는 자유-활주 1차 턴-업 롤러(63)들로서 형성되는 1차 프레싱 요소들을 유지하기 위한 포크(fork)와 같은 단부들(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된다. 이러한 포크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WO 2004/035301로부터,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1차 턴-업 롤러(63)들은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과 접하게 되거나 접촉하게 되도록 배치된 둘레 표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1차 아암(61)들의 1차 턴-업 롤러(63)들이 함께, 턴-업 동안에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프레싱력을 인가하기 위한 일련의 1차 프레싱 둘레 표면들을 규정한다. 유사하게,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에서, 제2 아암(62)들에는, 자유-활주 2차 턴-업 롤러(64)들로서 형성되는 2차 프레싱 요소들을 유지하기 위한 포크와 같은 단부들(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된다. 2차 턴-업 롤러(64)들은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과 접하게 되거나 접촉하게 되도록 배치된 둘레 표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2차 아암(62)들의 2차 턴-업 롤러(64)들이 함께, 턴-업 동안에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프레싱력을 인가하기 위한 일련의 2차 프레싱 둘레 표면들을 규정한다.
도 2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아암(62)은 제1 아암부(65) 및 제2 아암부(66)를 포함하고 있다. 아암부(65, 66) 양방은 2차 아암(6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아암부(65)는 아암 서포트(60)에 커플링된다. 아암 서포트(60)에 관해서 제1 아암부(65)의 반대되는 끝에서, 제1 아암부(65)에는 제2 아암부(66)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드 베어링(67)이 제공된다. 제2 아암부(66)는, 제1 아암부(65)와 일치하거나 제1 아암부(65)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베어링(67) 내에서 슬라이드하도록 배치된다. 제1 아암부(65) 및 제2 아암부(66)는, 이 실시예에서 공압 피스톤 액추에이터(68)인, 바람직하게 선형(linear) 액추에이터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서로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있다. 공압 액추에이터(68)는, 도 3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연장 방향 T 및 후퇴 방향 V에 있어서 2차 아암(62)의 전체 길이를 연장 또는 감소시키도록, 2차 아암(6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아암부(65)에 관해서 제2 아암부(66)를 변위시키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베어링(67) 및 공압 액추에이터(68)는, 2차 아암(62)의 전체 길이가 1차 아암(61)의 전체 길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1차 아암(61)의 전체 길이보다는 짧은 전체 길이로 후퇴되는 것을 허용하는 범위에서, 제1 아암부(65)에 관해서 제2 아암부(66)를 변위시키도록 적응되어 있다.
2차 아암(62)의 전체 길이가 1차 아암(61)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짧아진 2차 아암(62)의 끝에서의 2차 턴-업 롤러(64)들이 1차 아암(61)의 1차 턴-업 롤러(63)를 트레일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일링"이란, 중간 평면 M의 방향에서 드럼 샤프트(2)의 축방향 S에서 보았을 때 및/또는 드럼 샤프트(2)의 중심축 S에 관해서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 아암(61, 62) 그룹의 2차 턴-업 롤러(64)들 중 하나의 2차 프레싱 표면이 동일한 아암(61, 62) 그룹의 1차 턴-업 롤러(63)들 중 하나의 1차 프레싱 표면 뒤에 놓이는 상황으로서 규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1차 턴-업 롤러(63)의 1차 프레싱 표면은 2차 턴-업 롤러(64)의 2차 프레싱 표면에 관해서 축방향 및 반경 방향 리딩 위치에 있다. 2차 아암(62)의 전체 길이가 1차 아암(61)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면, 2차 턴-업 롤러(64)들이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턴-업 롤러(63)들과 동일한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위치를 향하고 그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2차 턴-업 롤러(64)들에 의해 규정되는 2차 프레싱 표면들은 1차 턴-업 롤러(63)들에 의해 규정되는 1차 프레싱 표면들과 동일한 둘레에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 드럼(1)은 드럼 샤프트(2)의 내부에 배치된 드라이브(7)를 더 포함한다. 드라이브(7)는 드럼 샤프트(2)의 중심축 S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스핀들(70)과,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스핀들(70)의 동작에 의해 움직이는 드라이빙 너트(71)를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빙 너트(71)는, 도 1a, 도 2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평면 M을 향한 내측 방향 A와,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평면 M으로부터 멀어지는 반대되는 외측 방향 B에 있어서, 드럼 샤프트(2) 위에서 아암(61, 62) 그룹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아암(61, 62) 그룹의 아암 서포트(60)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있다. 중간 평면 M의 반대되는 사이드 상에 유사한 드라이브(7)가 배치되어 다른 아암(61, 62) 그룹(도시하지 않음)을 드라이브한다. 드라이브(7)는 바람직하게는 아암(61, 62) 그룹들 양방의 동기적인 운동을 보장하도록 동일 스핀들(70)에 커플링되거나 동일 스핀들(70)을 공유한다.
이하, 전술한 타이어 성형 드럼(1)을 사용하여 그린 타이어(4)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후속하는 그린 타이어(4)들을 성형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 하나의 전형적인 턴-업 사이클 또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턴-업 동작에 앞서서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타이어 드럼 컴포넌트(3)들 위에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이 배치되고 카카스(40)는 확장된, 토러스 형상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군의 아암(61, 62)은, 당해 아암(61, 62)의 길이 방향이 드럼 샤프트(2)의 중심축 S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초기의 하측 위치에 있다. 아암(61, 62)들의 턴-업 롤러(63, 64)들은 실질적으로 비드 홀더(31)와 동일한 레벨에서,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저부에서 반경 방향 위치에 있다. 비드(44)는 비드 홀더(31)에 의해 클램핑된다. 측벽(5)은 비드 홀더(31)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1차 아암(61)들의 1차 턴-업 롤러(63)들의 상부 위에 놓인다.
제2 아암부(66)들이 2차 아암(62)들의 제1 아암부(65)들에 관해서 후퇴되고, 따라서 2차 아암(62)들의 전체 길이는 1차 아암(61)들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다. 그 결과, 2차 턴-업 롤러(64)들은 1차 턴-업 롤러(63)들에 관해서 트레일링 위치에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턴-업 롤러(64)들은 1차 턴-업 롤러(63)들 뒤에 위치되어 있다. 이제, 확장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에 대항하여 측벽(5)이 턴-업되려 한다. 중간 평면 M을 향한 내측 방향 A로 드럼 샤프트(2) 위에서 아암 서포트(60)를 이동시키도록 드라이브(7)가 기동된다.
도 2a 및 도 2b는, 내측 방향 A로 드라이브(7)에 의해 아암 서포트(60)가 이동되어진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후속하여, 1차 아암(61)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비드 홀더(31) 위로 그리고 확장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의 하측 부분(41) 상으로 이동되었다. 아암 서포트(60)의 내측 운동 A 동안에, 1차 아암(61)들이 그들 각각의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제1 회전 R1으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에 대하여 상방으로 틸팅 또는 회전된다. 그 결과, 1차 턴-업 롤러(63)들의 1차 프레싱 표면들이 반경 방향 외측 및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운동의 조합은 카카스(40)의 하측 부분(41)을 따라 상방으로 향하는 병진 운동 C을 가져온다.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턴-업 롤러(63)들은 중심축 S에 관해 둘레 방향으로 발산된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중심축 S에 관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턴-업 롤러(63)들 사이에 가장 작은 공간은, 중심축 S에 관해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개재된 2차 턴-업 롤러(64)에 의해 소모된 공간보다도 크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턴-업 롤러(63)들 사이의 공간은 개재되는 2차 턴-업 롤러(64)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서포트(60)의 내향 운동 A의 결과로, 2차 아암(62)들이 상방으로 그리고 비드 홀더(31) 위로 이미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반경 방향 및 축방향으로 2차 턴-업 롤러(64)들이 1차 턴-업 롤러(63)들을 트레일링 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제, 1차 턴-업 롤러(63)들이 카카스(40)를 프레싱하는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거리에서 카카스(40)의 하측 부분(41)을 프레스하기를 시작할 수 있다. 2차 턴-업 롤러(63)들에 의한 이 프레싱은, 턴-업의 제1 스테이지 동안에 유익한데, 왜냐하면 이것은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에 대항하여 확고하게 그리고 타이트하게 측벽(5)이 프레스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제, 2차 아암(62)들의 공압 액추에이터(68)들이 활성화될 수 있어서 2차 아암(62)들의 제1 아암부(65)들에 대해서 제2 아암부(66)들을 점점 연장시킨다.
도 3a 및 도 3b는, 2차 아암(62)들의 공압 액추에이터(68)들이 구동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공압 액추에이터(68)들의 구동 중에, 아암 서포트(60)의 내향 운동 A는 2차 아암(62)들이 완전히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감속될 수 있다. 공압 액추에이터(68)들은 각각의 2차 아암(6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연장 방향 T로 제1 아암부(65)들에 대해서 제2 아암부(66)들을 이동시킨다. 제2 아암부(66)의 완전 연장 상태에 있어서, 2차 아암(62)들의 전체 길이는 1차 아암(61)들의 전체 길이로 연장된다. 1차 아암(61)들을 고정 길이로 유지하고 또한 2차 아암(62)들을 단지 연장시킴으로써, 턴-업 동안의 2차 아암(62)들의 회전이 1차 아암(61)들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점차적 연장 동안에, 2차 아암(62)들은 그들 각각의 반경 방향 평면에서 제2 회전 R2으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틸팅되거나 회전된다. 그 결과, 2차 턴-업 롤러(64)들의 2차 프레싱 표면들이 반경 방향 외측 및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운동의 조합은 카카스(40)의 하측 부분(41)을 따라 상방으로 향하는 병진 운동 D을 가져온다.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턴-업 롤러(64)들은, 1차 턴-업 롤러(63)들과 동일한 리딩 위치로, 1차 턴-업 롤러(63)들 사이의 공간들 내로 이동되었다. 이 리딩 위치에서, 1차 프레싱 표면들과 2차 프레싱 표면들은 동일한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위치에서, 그리고 중심축 S에 관해 동일한 둘레에 놓인다. 구체적으로, 상기 둘레에서 보았을 때, 턴-업 롤러(63, 64)들의 중심 회전 액슬(도시하지 않음)이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 4a 및 도 4b는, 드라이브(7)가 아암 서포트(60)를 내측 방향 A로 더욱 이동시킨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제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는 아암(61, 62)들 양방이 카카스의 상측 부분(42)을 따라 함께 또는 일치하여 이동된다. 아암(61, 62)들은, 그들 각각의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제3의 조합된 회전 R3으로 카카스(40)의 반경 방향 사이드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틸팅되거나 회전된다. 그 결과, 턴-업 롤러(63, 64)들의 프레싱 표면들이 반경 방향 외측 및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운동의 조합은 카카스(40)의 상측 부분(42)을 따라 상방으로 향하는 병진 운동 E을 가져온다. 이제 아암(61, 62)들은, 그 반경 방향 바깥 둘레 표면(43)의 레벨에서, 카카스(40)의 상측 부분(42)의 최고 반경에 턴-업 롤러(63)들이 놓이는, 그들의 하이 위치들에 도달하였다. 도 4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턴-업 롤러(63, 64)들은 중심축 S에 관해 둘레 방향으로 다시 발산한다.
후속하는 1차 턴-업 롤러(63)들 사이의 자유 공간이 2차 턴-업 롤러(64)들의 존재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되고, 이에 의해 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서 턴-업 롤러(63, 64)들의 프레싱 표면에 의해 인가되는 프레싱력을 분산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압력의 결과로서 그린 타이어(4)를 위한 타이어 컴포넌트들 상의 자국들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이 높은 반경 방향 위치에서, 1차 턴-업 롤러(63)들이 종래 멀리 떨어져 벗어날 때, 카카스(40)의 상측 부분(42)의 프레싱 중에 중요하다.
도 5a 및 도 5b는, 드라이브(7)가, 카카스(40)의 상측 부분(42)을 따라서 아암(61, 62)들을 점차 하강시키도록 외측 방향 B로 아암 서프트를 반대로 이동시키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2차 아암(62)들은, 아암(61, 62)들이 그들 각각의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제4의 조합된 회전 R4으로 함께 또는 일치하여 회전되도록, 그들의 연장 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턴-업 롤러(63, 64)들의 프레싱 표면들이 반경 방향 내측 및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운동의 조합은 카카스(40)의 상측 부분(42)을 따라 하방으로 향하는 병진 운동 F을 가져온다.
도 5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 S에 관해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턴-업 롤러(63, 64)들 사이의 공간은 아암(61, 62)들이 하강함에 따라 감소된다. 도 5b는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롤러(63)들 사이의 공간이 너무 작아져 개재된 2차 롤러(62)를 수용하지 못하기 직전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제는, 2차 아암(62)들의 제1 아암부(65)들에 관해 제2 아암부(66)들을 후퇴시키도록 2차 아암(62)들의 공압 액추에이터(68)들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2차 아암(62)들의 공압 액추에이터(68)들이 활성화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그 결과, 제2 아암부(66)들이, 각각의 제2 아암(62)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후퇴 방향 V으로 제1 아암부(65)들에 관해 후퇴되었다. 2차 아암(62)들의 전체 길이가 감소되고, 2차 턴-업 롤러(64)들은 그들의 초기 트레일링 위치로 후퇴된다. 2차 아암(62)들은, 1차 아암(61)들과는 독립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상황과 유사한 그 2차 아암(62)의 초기 위치로, 제5 회전 R5으로 카카스(40)의 하측 부분(41)을 따라 더 하강하도록 허용된다.
후속하여, 아암 서포트(60)가 드럼 샤프트(2)를 따라 외측 방향 B으로 더 이동될 수 있으며, 카카스(40)의 하측 부분(41)을 따라 1차 아암(61)들이 더 하강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면, 턴-업 사이클 또는 동작이 완료되며 새로운 그린 타이어(4)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갖는 타이어 성형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들을 턴-업하기 위한 턴-업 기구가 제공되고, 턴-업 기구는 아암들의 그룹을 포함하고, 아암들의 그룹 각각은 1차 아암들과, 당해 1차 아암들 사이에 개재된 2차 아암들을 포함하고, 1차 아암들 및 2차 아암들에는, 각각, 턴-업 동안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해 프레싱력을 인가하기 위한 1차 프레싱 요소들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이 제공되고, 1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 위치에 있고, 2차 아암들에는,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축방향 위치에 관해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리딩 위치에서의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향해서,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들이 제공된다.
상술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자명하여진다.

Claims (24)

  1. 2개의 비드(bead)를 포함하는, 고무의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갖는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타이어 성형 드럼(tyre building drum)으로서,
    드럼 샤프트(drum shaft) 및 상기 드럼 샤프트 둘레에 배치된 2개의 비드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비드 홀더들은 상기 비드들의 위치에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상기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상기 비드 홀더들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한 확장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상기 그린 타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확장된 부분에 대항하여 상기 비드들 둘레에 상기 비드 홀더들의 외측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턴-업하기 위한 턴-업 기구가 제공되고, 상기 턴-업 기구는 상기 비드 홀더들 외측에 상기 드럼 샤프트의 각각의 사이드에 배치된 아암(arm) 그룹을 포함하고, 제1 단부에서, 각 그룹의 아암들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서포트를 통해 상기 드럼 샤프트에 커플링되고, 상기 아암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 둘레에 동등하게 배분된 반경 방향 평면 내에 상기 비드 홀더들을 향해서 상기 아암 서포트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아암들은 하측 위치와 상측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 서포트와의 커플링에 관해 상기 반경 방향 평면 내에서 기울일 수 있게 배치되고, 각 그룹 아암이 1차 아암들 및 상기 1차 아암들 사이에 배치되는 2차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아암들 및 상기 2차 아암들에는, 상기 제1 단부 반대쪽의 제2 단부에서, 각각, 상기 턴-업 동안에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해 프레싱력을 인가하기 위한 1차 프레싱 요소들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이 제공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leading) 위치에 있고, 상기 2차 아암들에는,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축방향 위치에 대한 축방향 트레일링(trailing)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향해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된 액추에이터들이 제공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상기 리딩 위치에 관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에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반경 방향 위치에 관해 반경 방향 트레일링 위치에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를 향해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1차 아암들이 자신의 하측 위치들로부터 그들의 상측 위치들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아암들이 자신의 하측 위치들로부터 자신의 상측 위치들로 기울어지는 중에,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관해 발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에서 개별 상기 2차 프레싱 요소에 의해 소모되는 공간이 동일한 상기 둘레 방향에서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의 최소 공간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자신들 각각의 2차 아암들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아암들 각각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부는 각각의 상기 아암들의 그룹의 아암 서포트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제1 아암부에 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를 유지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2차 아암들 상에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상기 제1 아암부에 관해 상기 제2 아암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상기 제2 아암들의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 사이의 상기 2차 아암들 상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부 및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2차 아암의 전체 길이를 규정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2차 아암의 상기 전체 길이가 상기 1차 아암의 전체 길이보다 작거나 동등하도록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아암부에 관해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선형 액추에이터 또는 공압 드라이브인, 타이어 성형 드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아암들은 상기 1차 아암들에 대한 상기 아암 서포트와의 커플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타이어 성형 드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은 동일한 프레싱 요소들인, 타이어 성형 드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은 각각 1차 및 2차 턴-업 롤러들인, 타이어 성형 드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턴-업 롤러들의 직경은 동일한, 타이어 성형 드럼.
  17. 2개의 비드를 포함하는 고무의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갖는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드럼 샤프트 둘레에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들에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클램핑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들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확장하는 단계와,
    상기 그린 타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확장된 부분에 대항하여 상기 비드들 둘레에 상기 비드들 외측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을 턴-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턴-업 동안에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에 대해 프레싱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력은 1차 프레싱 요소들 및 2차 프레싱 요소들에 의해 인가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리딩 위치에 있으며,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축방향 위치에 관한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향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을 변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상기 리딩 위치에 관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로 변위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트레일링 위치에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반경 방향 위치에 관해 반경 방향 트레일링 위치에 있고,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를 향해 변위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리딩 위치에 있는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과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로 변위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이 반경 방향 측벽을 갖는 형상으로 확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 측벽은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이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기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측 부분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기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측 부분을 향한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이동 중에,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발산하고, 상기 드럼 샤프트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 개별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에 의해 소모되는 공간이 동일한 상기 둘레 방향에서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의 최소 공간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변위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사이에 놓인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부분이 반경 방향 측벽을 갖는 형상으로 확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 측벽은 내측 반경 방향 부분 및 외측 반경 방향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이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기 내측 반경 방향 부분으로부터 상기 외측 반경 방향 부분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상기 내측 반경 방향 부분으로부터 상기 외측 반경 방향 부분을 향한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의 이동 중에, 상기 1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드럼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발산하고, 상기 드럼 샤프트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 개별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에 의해 소모되는 공간이 동일한 상기 둘레 방향에서 2개의 바로 후속하는 1차 프레싱 요소들 사이의 최소 공간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2차 프레싱 요소들은 상기 트레일링 위치로부터 상기 리딩 위치로 변위되는, 방법.
KR1020157018721A 2013-06-28 2014-06-05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 KR101726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1062 2013-06-28
NL2011062A NL2011062C2 (en) 2013-06-28 2013-06-28 Tyre building drum with a turn-up mechanism.
PCT/NL2014/050360 WO2014209110A1 (en) 2013-06-28 2014-06-05 Tyre building drum with a turn-up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742A KR20160016742A (ko) 2016-02-15
KR101726528B1 true KR101726528B1 (ko) 2017-04-26

Family

ID=4917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21A KR101726528B1 (ko) 2013-06-28 2014-06-05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79036B2 (ko)
EP (1) EP3013570B1 (ko)
JP (1) JP6324502B2 (ko)
KR (1) KR101726528B1 (ko)
CN (1) CN105339160B (ko)
BR (1) BR112015032517B1 (ko)
HU (1) HUE034741T2 (ko)
NL (1) NL2011062C2 (ko)
RU (1) RU2649436C2 (ko)
WO (1) WO2014209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86A (ko) * 2021-08-19 2023-02-2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5917B2 (ja) * 2015-04-13 2018-12-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生タイヤ成形装置
JP7109483B2 (ja) * 2017-06-16 2022-07-29 ハールブルク・フロイデンベルガー マシーネンバウ ゲーエムベーハー 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NL2020768B1 (en) * 2018-04-13 2019-10-22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and turn-up method
WO2021094033A1 (en) * 2019-11-15 2021-05-20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urnup of rubber products without beadwires
CN114872359A (zh) * 2022-06-17 2022-08-09 软控股份有限公司 轮胎成型方法及机械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748A (ja) 1997-05-23 2001-12-11 ブイエムアイ エペ ホランド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折返し装置を備えたタイヤ成形ドラム
EP2204277A1 (en) 2007-10-25 2010-07-07 Fuji Seiko Co., Ltd. Device for folding body ply
KR100982726B1 (ko) 2002-10-16 2010-09-17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비가황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해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드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179A (en) * 1973-01-12 1975-08-19 Waco Scaffold & Shoring Co Column roll out support
JP2004268371A (ja) * 2003-03-07 2004-09-30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成型ドラムにおけるターンアップ装置
US6974147B1 (en) * 2003-10-06 2005-12-13 Saris Cycling Group, Inc. Internal tightening system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a pair of interconnected members
US20070068631A1 (en) * 2005-09-28 2007-03-29 Brian Painter Tyre building drum
WO2007080640A1 (ja) * 2006-01-12 2007-07-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カーカスバンドの成型方法及びステッチャー装置
JP2008296406A (ja) * 2007-05-29 2008-12-11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装置及びタイヤ成型方法
JP4410820B2 (ja) * 2007-12-27 2010-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生タイヤ成形装置
US20100107828A1 (en) * 2008-11-03 2010-05-06 Juan Huerta Adjustable Handle System for Fastening Tools That Drive Threaded Fasteners
JP5576633B2 (ja) * 2009-10-16 2014-08-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生タイヤ成形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1088414A (ja) * 2009-10-26 2011-05-06 Sumitomo Rubber Ind Ltd 生タイヤ成形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10111654A1 (en) * 2009-11-12 2011-05-12 Porta Scott S Outboard motor mounting process and apparatus
US20120302410A1 (en) * 2011-05-26 2012-11-29 John Kitchens Portable exercis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GB2498983B (en) * 2012-02-01 2016-06-15 Stats (Uk) Ltd Pipe isolation for small bore pi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748A (ja) 1997-05-23 2001-12-11 ブイエムアイ エペ ホランド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折返し装置を備えたタイヤ成形ドラム
KR100982726B1 (ko) 2002-10-16 2010-09-17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비가황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해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드럼
EP2204277A1 (en) 2007-10-25 2010-07-07 Fuji Seiko Co., Ltd. Device for folding body p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86A (ko) * 2021-08-19 2023-02-2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 장치
KR102516983B1 (ko) 2021-08-19 2023-04-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24502B2 (ja) 2018-05-16
CN105339160B (zh) 2017-06-30
EP3013570B1 (en) 2017-07-19
RU2649436C2 (ru) 2018-04-03
KR20160016742A (ko) 2016-02-15
HUE034741T2 (en) 2018-02-28
WO2014209110A1 (en) 2014-12-31
RU2016102405A (ru) 2017-08-03
EP3013570A1 (en) 2016-05-04
JP2016527104A (ja) 2016-09-08
BR112015032517A2 (pt) 2017-07-25
CN105339160A (zh) 2016-02-17
US10479036B2 (en) 2019-11-19
BR112015032517B1 (pt) 2021-06-22
NL2011062C2 (en) 2015-01-05
US20160144585A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528B1 (ko) 턴-업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
JP6395508B2 (ja) タイヤを組み立てる方法
EP2698243A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CN101444969A (zh) 轮胎成型鼓
CN105307845A (zh) 用于制造轮胎胎坯的方法和装置
US20210114323A1 (en) Tire building drum and turn-up method
JP2011504428A (ja) タイヤを組み立てる方法およびタイヤ組み立てドラム
JP2015047871A (ja) タイヤ組立ドラム
US20170113428A1 (en) Tyre carcass building drum and operating method of said tyre carcass building drum
US20090133809A1 (en) Method and tyre building drum for building a tyre
JP5576633B2 (ja) 生タイヤ成形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6033334B2 (ja) ビード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CN111465489B (zh) 用于构建车辆车轮用轮胎的成型鼓和用于控制成型鼓的几何形状的方法
JP2020175565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7137458B2 (ja) シェーピングドラム用シールゴム及びシェーピングドラム
JP6093247B2 (ja) 生タイヤ成形装置
JP2009160850A (ja) タイヤ用成型装置
JP2008296553A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タイヤ成型ドラム
JP2022047318A (ja) バンド部材の成形方法
JP6657787B2 (ja) 生タイヤ成形装置
JP2020097176A (ja) シェーピングドラム用シールゴ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