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203B1 - 부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203B1
KR101725203B1 KR1020150136331A KR20150136331A KR101725203B1 KR 101725203 B1 KR101725203 B1 KR 101725203B1 KR 1020150136331 A KR1020150136331 A KR 1020150136331A KR 20150136331 A KR20150136331 A KR 20150136331A KR 101725203 B1 KR101725203 B1 KR 10172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unit
measur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146A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5013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2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부품이 안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결합되고 받침부에 안착된 부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부품에 형성된 구멍 위치를 파악하여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검사부를 포함하여, 기계적인 방식으로 신속하게 부품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검사장치{DEVICE FOR INSPECTING PARTS}
본 발명은 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한 측정을 배제하고, 기계적으로 부품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한 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2만개가 넘는 부품이 조립되어야 하며, 이 중 단 하나라도 누락된다면 심각한 사고를 불러올 수 있다. 부품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누락여부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너트와 같이 아주 작은 부품의 누락은 쉽게 발견하기가 어럽다.
이러한 자동차 부품 중 시트쿠션스테이(Seat Cushion Stay)와 시트쿠션(Seat Cushion)같은 제품은 다수의 홀(Hole)이 있어 이를 육안으로 검사할 경우 작업자의 눈에 피로도를 가중시키므로, 연속적인 작업으로 불량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품생산의 마지막 공정에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곤 하였는데, 이와 같이 근접센서를 이용한 검사장치의 도입으로 불량률이 줄긴 하였으나, 이를 이용해서는 거셋(Gusset)의 모든 부속품을 검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근접센서를 이용한 검사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거셋의 검사영역을 나누어서, 1번 카메라는 너트와 서포트브라켓을 검사하고 2번 카메라는 유동너트, 플레이트와 서포트브라켓을 검사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검사장치가 있었으나, 이 경우 작업라인내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작업의 불편을 주고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 부품이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될 경우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용접불꽃이나,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조명의 변화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자동차부품의 영상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부품검사장비는 반도체웨이퍼검사, PCB기판 검색 또는 의약품검사 등에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부품검사장비의 경우 고가이고 알고리즘이 특정한 업종에 국한되어 있는 바, 중소기업에서 이를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2만 개에 달하는 많은 부품이 존재하고 공정도 다양하여 각 부품마다 새로운 알고리즘이 요구되는 자동차부품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더하였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73130호(2005.07.13. 공개, 발명의 명칭 :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적으로 부품 불량 여부를 검사하여 별도의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부품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부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품에 형성된 구멍 위치를 파악하여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수평조절부; 상기 수평조절부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수직조절부; 및 상기 수직조절부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구멍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수직조절부에 장착되는 바닥측정부; 상기 바닥측정부에 장착되고, z축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직측정부; 상기 수직측정부에 장착되고, x축과 y축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평측정부; 및 상기 수평측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측정부는: 상기 바닥측정부에 안착되는 수직판부; 상기 수직판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탄성홈부에 삽입되고 복원력을 갖는 수직복원부; 상기 수직복원부에 탄성 지지되고 z축으로 이동되는 수직안착부; 상기 수직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안착부에 연결되어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수직고정부; 및 상기 수직판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수직안착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직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측정부는: 상기 수직측정부에 장착되는 수평바닥부; 상기 수평바닥부에 안착되고, 상기 삽입측정부와 연동되어 x축과 y축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바닥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이동부를 감싸는 수평커버부; 및 상기 수평커버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수평이동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2개의 수평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삽입측정부와 연결되는 이동상판부; 상기 이동상판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커버부에 내장되어 이동되는 이동중판부; 상기 이동중판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닥부에 내장되는 이동하판부; 상기 이동상판부와 상기 이동중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동상작동부; 및 상기 이동중판부와 상기 이동하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동하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측정부는: 상기 수평측정부에 결합되는 삽입판부; 및 상기 삽입판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첨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는 검사부가 부품의 구멍 위치를 파악하여 부품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는 삽입측정부가 부품의 구멍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부품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수평측정부와 수직측정부가 이동된 삽입측정부의 위치를 측정하여 구멍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는 기계적으로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므로, 카메라 사용시 필요한 알고리즘이 생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수평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1)는 베이스부(2)와, 받침부(3)와, 고정부(4)와, 검사부(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받침부(3)는 베이스부(2)에 장착된다. 복수개의 받침부(3)는 베이스부(2)의 상측 전면에 골고루 배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부품(100)이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부품(100)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10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는 받침부(3)에 결합되고, 받침부(3)에 안착된 부품(100)을 고정시킨다. 일 예로, 고정부(4)는 고정실린더부(4a)와 고정덮개부(4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실린더부(4a)는 받침부(3)에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고정덮개부(4b)는 받침부(3)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고정실린더부(4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실린더부(4a)의 길이가 줄어들면 고정덮개부(4b)가 회전되어 받침부(3)의 상방에서 벗어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3)에 부품(100)이 안착되면, 고정실린더부(4a)의 길이가 늘어난다. 고정실린더부(4a)의 길이가 늘어나면, 고정덮개부(4b)가 회전되어 부품(100)의 상측을 압박할 수 있다.
검사부(5)는 베이스부(2)에 장착되고, 부품(100)에 형성된 구멍(101) 위치를 파악하여 부품(100)의 불량 여부를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부(5)는 결합부(10)와, 수평조절부(20)와, 수직조절부(30)와, 측정부(40)를 포함한다.
결합부(10)는 받침부(3)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수평조절부(20)는 결합부(10)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된다. 수직조절부(30)는 수평조절부(20)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된다. 측정부(40)는 수직조절부(30)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멍(101)에 삽입된다. 측정부(40)는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구멍(101)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측정부(40)가 구멍(101)을 통과하는 동안 부품(100)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품(100)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된 좌표와 최초 설정값과의 오차 범위 여부에 따라 부품(100)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40)는 바닥측정부(50)와, 수직측정부(60)와, 수평측정부(70)와, 삽입측정부(80)를 포함한다.
바닥측정부(50)는 수직조절부(30)에 장착되고, 수직측정부(60)는 바닥측정부(50)에 장착되며, 수평측정부(70)는 수직측정부(60)에 장착된다. 그리고, 삽입측정부(80)는 수평측정부(70)에 장착된다. 삽입측정부(80)는 구멍(10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부품(101)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삽입측정부(80)와 연동되어 수직측정부(60)와 수평측정부(70)가 이동될 수 있다. 수직측정부(60)는 구멍(101)의 z축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고, 수평측정부(70)는 구멍(101)의 x축과 y축 방향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40)는 표시측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측정부(90)는 수직측정부(60)와 수평측정부(70)에 의해 측정한 구멍(101)의 위치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표시측정부(90)는 단순히 수직측정부(60)와 수평측정부(70)가 측정한 위치값을 표시할 수 있다. 그 외, 표시측정부(90)는 수직측정부(60)와 수평측정부(70)에 의해 측정된 위치값과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수직측정부(60)와 수평측정부(70)에 의해 측정된 위치값이 기준값의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표시측정부(90)는 부품(100)이 불량임을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측정부(60)는 수직판부(61)와, 수직복원부(62)와, 수직안착부(63)와, 수직고정부(64)와, 수직센서부(65)를 포함한다.
수직판부(61)는 바닥측정부(50)에 안착된다. 수직판부(61)는 원판 형상을 하고,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의 탄성홈부(611)가 형성된다. 그 외, 수직판부(61)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고정홈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판부(61)에는 수직관통홀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복원부(62)는 탄성홈부(611)에 삽입되고 복원력을 갖는다. 일 예로, 수직복원부(62)는 각각의 탄성홈부(611)에 삽입되고, 외력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탄성재질의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수직안착부(63)는 수직복원부(62)에 탄성 지지되고 z축으로 이동된다. 일 예로, 수직안착부(63)는 외력에 의해 하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수직복원부(62)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 이동될 수 있다.
수직고정부(64)는 수직안착부(63)에 안착되고, 수직판부(61)와 수직안착부(63)에 연결되어 좌우 유동을 제한한다. 일 예로, 수직고정부(64)는 수직고정판부(641)와 수직고정핀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고정판부(641)는 수직안착부(63)에 안착되고, 수직고정판부(641)의 저면에 수직고정핀부(642)가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직고정핀부(642)는 수직안착부(63)에 형성되는 수직안착홀부(631)를 관통하여 수직고정홈부(612)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외, 수직고정판부(641)의 중심축에는 수직고정축부(643)가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되고, 수직고정축부(643)는 수직안착부(63)를 관통하여 수직판부(61)와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센서부(65)는 수직판부(61)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수직안착부(63)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수직센서부(65)는 바닥측정부(50)와 수직판부(61)를 관통하여 수직안착부(63)와 접촉되고, 수직안착부(63)의 높이가 가변됨에 따라 z축 방향의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측정부(70)는 수평바닥부(71)와, 수평이동부(72)와, 수평커버부(73)와, 수평센서부(74)를 포함한다.
수평바닥부(71)는 수직측정부(6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수평바닥부(71)는 수직고정판부(641)의 상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바닥부(71)의 중심부에는 수평바닥홈부(7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바닥홈부(711)는 수평이동부(72)의 이동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수평이동부(72)는 수평바닥부(71)에 안착되고, 삽입측정부(80)와 연동되어 x축과 y축으로 이동된다. 일 예로, 수평이동부(72)는 수평바닥홈부(711)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수평커버부(73)는 수평바닥부(71)에 결합되고, 수평이동부(72)를 감싼다. 일 예로, 수평커버부(73)는 중앙부가 개구된 도우넛 형상을 하며, 수평커버부(73) 내부에서 수평이동부(72)가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수평센서부(74)는 수평커버부(73)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수평이동부(72)의 위치를 측정한다. 일 예로, x축과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수평센서부(74)는 수평커버부(73)를 관통하여 수평이동부(72)와 접촉되고, 수평이동부(72)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x축과 y축 방향의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측정부(80)는 삽입판부(81)와 삽입핀부(82)를 포함한다. 삽입판부(81)는 수평측정부(70)에 결합된다. 삽입핀부(82)는 삽입판부(8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구멍(101)에 삽입된다. 삽입핀부(82)는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첨탑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삽입판부(81)는 수평커버부(73)를 관통하는 수평이동부(72)와 연결되어 수평이동부(72)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수평커버부(73)에는 삽입지지판부(83)가 안착되고, 삽입지지판부(83)에 형성된 삽입지지홈부(831)에 삽입지지볼부(832)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삽입지지볼부(832)에 안착되는 삽입매개판부(84)는 삽입판부(81)와 결합되고, 삽입지지볼부(832)에 의해 수평 이동 과정에서 마찰이 억제될 수 있다. 이때, 수평이동부(72)는 삽입지지판부(83)와 삽입매개판부(84)를 통과하여 삽입판부(8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측정부(80)는 삽입돌기부(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부(88)는 삽입판부(81)와 삽입핀부(82) 사이에 배치되고, 삽입핀부(82) 및 구멍(101)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과도한 상승시 부품(100)에 걸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에서 수평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부(72)는 이동상판부(91)와, 이동중판부(92)와, 이동하판부(93)와, 이동상작동부(94)와, 이동하작동부(95)를 포함한다.
이동상판부(91)는 삽입측정부(80)와 연결된다. 일 예로, 이동상판부(91)는 원판 형상을 하는 상판몸체부(911)와, 상판몸체부(911)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삽입판부(81)와 결합되는 상판연결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몸체부(911)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상판볼덮개부(9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볼덮개부(914)는 각진 홈 형상을 하고, 일축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중판부(92)는 이동상판부(91)의 하방에 배치되고, 수평커버부(73)에 내장되어 이동된다. 일 예로, 이동중판부(92)는 원판 형상을 하고, 수평커버부(73)의 내경보다 더 짧은 외경을 갖는 중판몸체부(921)를 포함할 수 있다. 중판몸체부(921)의 상측면에는 상판볼덮개부(914)와 대응되는 중판볼안착부(922)가 형성될 수 있다. 중판몸체부(921)의 하측면에는 중판볼안착부(922)와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중판볼덮개부(923)가 형성될 수 있다. 중판볼안착부(922)와 중판볼덮개부(923)는 각진 홈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동하판부(93)는 이동중판부(92)의 하방에 배치되고, 수평바닥부(71)에 내장된다. 일 예로, 이동하판부(93)는 수평바닥홈부(711)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동하판부(93)는 하판몸체부(931)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몸체부(931)는 원판 형상을 하고, 수평바닥홈부(711)에 내장될 수 있다. 하판몸체부(931)의 상측면에는 중판볼덮개부(923)와 대응되는 하판볼안착부(939)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볼안착부(939)는 각진 홈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동상작동부(94)는 이동상판부(91)와 이동중판부(9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성을 보장한다. 일 예로, 이동상작동부(94)는 상작동판부(941)와 상작동볼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작동판부(941)에는 복수개의 상작동볼부(942)가 관통될 수 있다. 상작동볼부(942)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판볼덮개부(914)와 중판볼안착부(922)는 상작동볼부(942)를 감쌀 수 있다.
이동하작동부(95)는 이동중판부(92)와 이동하판부(93)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성을 보장한다. 일 예로, 이동하작동부(95)는 하작동판부(951)와 하작동볼부(9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작동판부(951)에는 복수개의 하작동볼부(952)가 관통될 수 있다. 하작동볼부(952)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중판볼덮개부(923)와 하판볼안착부(939)는 하작동볼부(952)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부(72)는 이동링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링부(96)는 상판연결부(912)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동링부(96)의 원주면에 수평센서부(74)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측정부(80)가 이동되면, 삽입측정부(80)와 연동되어 상판연결부(912)가 이동되고, 상판연결부(912)를 감싸는 이동링부(96)가 수평센서부(74)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품(100)이 받침부(3)에 안착되면, 고정부(4)가 작동되어 부품(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부품(100)이 고정되면, 검사부(5)가 작동되어 부품(100)에 형성되는 구멍(101)에 삽입된다. 검사부(5)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조절부(20)의 길이가 조절되어 삽입핀부(82)를 부품(100)의 설계안에 해당되는 구멍(101)의 좌표와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수직조절부(30)의 길이가 조절되어 삽입핀부(82)를 구멍(101)에 삽입시킨다.
만일, 부품(100)이 설계안과 일치하는 경우, 삽입핀부(82)가 구멍(101)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부품(10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품(100)이 설계안과 상이한 경우, 삽입핀부(82)가 구멍(101)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부품(100)과의 간섭이 발생한다.
부품(100)의 구멍(101)이 설계안 대비 수평 좌표에서 차이가 나게 되면, 삽입핀부(82)가 구멍(10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부품(100)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삽입핀부(82)가 수평 이동된다. 삽입핀부(82)가 수평 이동되면, 수평센서부(74)가 이를 감지하여 구멍(101)의 좌표를 측정한다. 만일, 구멍(101)의 좌표가 허용 치수 오류를 벗어나면, 작업자는 부품(100)을 불량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부품(100)의 구멍(10)이 설계안 대비 수직 좌표에서 차이가 나게 되면, 삽입핀부(82)가 구멍(10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삽입돌기부(88)가 부품(100)에 걸린다. 이로 인해, 수직안착부(63)가 하방 이동되면, 수직센서부(65)가 이를 감지하여 구멍(101)의 좌표를 측정한다. 만일, 구멍(101)의 좌표가 허용 치수 오류를 벗어나면, 작업자는 부품(100)을 불량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1)는 검사부(5)가 부품(100)의 구멍(101) 위치를 파악하여 부품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장치(1)는 삽입측정부(80)가 부품(100)의 구멍(101)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부품(100)과의 간섭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수평측정부(70)와 수직측정부(60)가 이동된 삽입측정부(80)의 위치를 측정하여 구멍(101)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베이스부 3 : 받침부
4 : 고정부 5 : 검사부
10 : 결합부 20 : 수평조절부
30 : 수직조절부 40 : 측정부
50 : 바닥측정부 60 : 수직측정부
70 : 수평측정부 80 : 삽입측정부
90 : 표시측정부

Claims (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부품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부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품에 형성된 구멍 위치를 파악하여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수평조절부;
    상기 수평조절부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수직조절부; 및
    상기 수직조절부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구멍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수직조절부에 장착되는 바닥측정부;
    상기 바닥측정부에 장착되고, z축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직측정부;
    상기 수직측정부에 장착되고, x축과 y축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평측정부; 및
    상기 수평측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측정부는
    상기 수직측정부에 장착되는 수평바닥부;
    상기 수평바닥부에 안착되고, 상기 삽입측정부와 연동되어 x축과 y축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바닥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이동부를 감싸는 수평커버부; 및
    상기 수평커버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수평이동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2개의 수평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삽입측정부와 연결되는 이동상판부;
    상기 이동상판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커버부에 내장되어 이동되는 이동중판부;
    상기 이동중판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닥부에 내장되는 이동하판부;
    상기 이동상판부와 상기 이동중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x축과 y축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동상작동부;
    상기 이동중판부와 상기 이동하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x축과 y축 중 다른 한 방향으로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동하작동부; 및
    상기 이동상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센서부가 접촉되는 이동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측정부는
    상기 바닥측정부에 안착되는 수직판부;
    상기 수직판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탄성홈부에 삽입되고 복원력을 갖는 수직복원부;
    상기 수직복원부에 탄성 지지되고 z축으로 이동되는 수직안착부;
    상기 수직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안착부에 연결되어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수직고정부; 및
    상기 수직판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수직안착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직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검사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측정부는
    상기 수평측정부에 결합되는 삽입판부; 및
    상기 삽입판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첨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검사장치.
KR1020150136331A 2015-09-25 2015-09-25 부품 검사장치 KR10172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31A KR101725203B1 (ko) 2015-09-25 2015-09-25 부품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31A KR101725203B1 (ko) 2015-09-25 2015-09-25 부품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46A KR20170037146A (ko) 2017-04-04
KR101725203B1 true KR101725203B1 (ko) 2017-04-27

Family

ID=5858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331A KR101725203B1 (ko) 2015-09-25 2015-09-25 부품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78A (ko) 2021-02-18 2022-08-25 황강선 컴팩트 타입의 기계 부품 검사용 탐침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탐침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26B1 (ko) * 2018-07-31 2020-04-09 진명산업주식회사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CN110243249B (zh) * 2019-06-01 2022-11-08 钱松良 一种集成灶用电路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2686188B1 (ko) * 2021-09-28 2024-07-18 주식회사화신 수평유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57B1 (ko) 2013-09-05 2015-01-09 주식회사 금영테크 자동차 부품용 자동화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57B1 (ko) 2013-09-05 2015-01-09 주식회사 금영테크 자동차 부품용 자동화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78A (ko) 2021-02-18 2022-08-25 황강선 컴팩트 타입의 기계 부품 검사용 탐침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탐침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46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203B1 (ko) 부품 검사장치
KR101490938B1 (ko) 용접 설비 검사장치
KR970008455A (ko) 검사장치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KR101543257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마운트브래킷의 조립위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172765B1 (ko) 솔레노이드밸브 홀더의 검사 지그
JP6151586B2 (ja) 溶接ボルト検査ユニット及び溶接ボルト検査装置
CN105651148A (zh) 汽车刹车套件后支架深度检测工装
KR20170123001A (ko) 쇽업쇼바 검사장치
US20090050779A1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KR102014640B1 (ko) 접촉식 공작물 측정 장치
KR101673005B1 (ko) 압입 테스터 장치
KR20160063575A (ko)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KR101720945B1 (ko) 캘리퍼 하우징 씰 그루브용 게이지
KR102672568B1 (ko) 마스크 자세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마스크 입도 검측 설비
JP5003581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
CN209877888U (zh) 接头检测设备
JP7213111B2 (ja) シリンダヘッドのバルブシート検査装置
KR101587812B1 (ko)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KR102581541B1 (ko) 웨이퍼 측정 장치
JP6694152B2 (ja) 測定装置及び固定治具
KR100840298B1 (ko) 쇽업소버의 베이스 어셈블리 검사장치 및 방법
TWI667484B (zh) 檢測裝置
KR20220118178A (ko) 컴팩트 타입의 기계 부품 검사용 탐침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탐침 검사장치
JP6869123B2 (ja) プローブ装置及び針跡転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