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12B1 -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812B1
KR101587812B1 KR1020140077762A KR20140077762A KR101587812B1 KR 101587812 B1 KR101587812 B1 KR 101587812B1 KR 1020140077762 A KR1020140077762 A KR 1020140077762A KR 20140077762 A KR20140077762 A KR 20140077762A KR 101587812 B1 KR101587812 B1 KR 10158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unit
moving
movement gu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581A (ko
Inventor
안규찬
임동식
Original Assignee
(주)화신
(주)신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주)신산이엔지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4007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위치복원유닛은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 및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자력을 가지고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POSITION RECOVERY UNIT AND PARTS INSPECTION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자력에 의해 이동체를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반복하여 공급되는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며, 안정되게 부품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다양한 부품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품검사장치는 부품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일예로, 부품검사장치는 부품 조립 공정을 통해 조립이 완료된 부품이 투입되면, 부품을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검사 위치로 이동된 부품은 검사유닛을 통해 부품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8777호(2002. 07. 12.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부품 조립상태 검사 제어장치 및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체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자력에 의해 이동체를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반복하여 공급되는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며, 안정되게 부품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은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 및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자력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부; 및 상기 이동안내부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플랜지부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안내부에 고정되는 이동판부;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안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판부에 구비되는 이동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하우징부에 구비되는 이동플랜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제1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1이동안내부; 상기 제1이동안내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부; 상기 제1이동방향과 교차되는 제2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제2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2이동안내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경로부는, 상기 제1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와 상기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가이드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3이동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경로부는, 상기 제1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와 상기 제3이동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가이드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경로부는, 상기 제2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와 상기 제2이동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2가이드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제1경로부에 포함되는 제1볼부와, 상기 제2경로부에 포함되는 제2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부 위치를 한정하는 안내리테이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안내부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링부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원위치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안내부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이동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부는, 상기 이동안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는 제1동심부; 및 상기 제1동심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안내부에 구비되는 제2동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동심부와 상기 제2동심부에는, 상기 이동안내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결합력에 따라 밀착되도록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위치고정부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2고정부; 및 상호 연통되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이동안내부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볼부; 및 상기 이동부재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볼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수평리테이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검사장치는 부품을 기설정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부품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특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특정유닛은, 상기 부품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검사 위치에서 상기 부품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 및 상기 클램프유닛의 일측에 구비되고,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위치복원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제1지지방향에서 상기 부품이 지지되는 제1결정부; 및 상기 제1지지방향과 교차되는 제2지지방향에서 상기 부품이 지지되는 제2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결정부와 상기 제2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이 수용되는 결정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특정유닛은,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위치복원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결정한 상기 부품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을 상기 클램프유닛에 공급하는 공급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복원유닛은, 상술한 위치복원유닛;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는 이동체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자력에 의해 이동체를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반복하여 공급되는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며, 안정되게 부품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을 모듈화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이동체의 이동 상태에 따라 표준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이동체의 하중에 간섭되지 않으며, 이동체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리스(oilless) 제품으로 구리스의 주입이 필요없고, 구리스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부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안내부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동안내부를 상호 안정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홈부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볼부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부가 가이드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의 조립 과정에서 이동부재와 이동안내부 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동안내부에서 이동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에 이동체를 결합할 때, 이동체의 유동을 방지하고, 위치복원유닛에 이동체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의 정비에 있어서, 무리한 동작으로 위치복원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에 대하여 이동안내부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이동부재를 부드럽세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위치에서 부품의 센터링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검사 위치에 부품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위치에서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고, 부품의 이동에 따른 오차를 줄이며, 정밀한 검사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부품의 위치를 일관되게 표시할 수 있고, 검사할 수 있는 부품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특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을 분해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고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이동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이동안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이동안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검사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위치복원유닛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장치에 적용되어 자력에 의해 이동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특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B)검사장치는 부품(B)을 기설정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유닛(1)과, 부품(B)을 검사하기 위해 클램프유닛(1)의 일측에서 부품(B)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특정유닛(2)을 포함하고, 부품(B)을 클램프유닛(1)에 공급하는 공급유닛(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유닛(1)과 공급유닛(3)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클램프유닛(1)은 부품(B)을 기설정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공급유닛(3)은 부품(B)을 클램프유닛(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위치특정유닛(2)은 부품(B)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22)와, 이동체(22)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검사 위치에서 부품(B)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23)와, 클램프유닛(1)의 일측에 구비되고,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도록 이동체(22)의 이동을 안내하는 위치복원유닛(100)을 포함하고, 이동체(22) 또는 위치복원유닛(100)에 구비되어 위치결정부(23)에서 결정한 상기 부품(B)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복원유닛(100)은 기초를 형성하는 베이스(2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결정부(23)는 제1지지방향에서 부품(B)이 지지되는 제1결정부(24)와, 제1지지방향과 교차되는 제2지지방향에서 부품(B)이 지지되는 제2결정부(25)를 포함하고, 제1결정부(24)와 제2결정부(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부품(B)이 수용되는 결정공간(27)을 형성하는 안착수용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B)검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급유닛(3)을 통해 조립이 완료된 부품(B)이 공급되면, 클램프유닛(1)은 부품(B)을 기설정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검사 위치로 이동된 부품(B)은 결정공간(27)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결정부(24)와 제2결정부(25)에 지지됨으로써, 검사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부품(B)의 조립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유닛(4)은 위치결정부(23) 또는 위치표시부(28)를 확인함으로써, 부품(B)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부품(B)이 제1결정부(24)와 제2결정부(25)에 지지되지 않는 경우, 위치결정부(23) 또는 위치표시부(28)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그대로 존재하므로, 클램프유닛(1)을 통해 부품(B)이 제1결정부(24)와 제2결정부(25)에 지지되도록 부품(B)을 이동시킨다.
부품(B)이 제1결정부(24)와 제2결정부(25)에 지지되면, 위치결정부(23) 또는 위치표시부(28)의 위치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므로, 부품(B)이 검사 위치에 완전히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검사유닛(4)을 통해 위치결정부(23) 또는 위치표시부(28)를 스캔하여 센터링 작업을 하고, 부품(B)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된 부품(B)이 검사 위치에서 이탈되면, 위치결정부(23) 또는 위치표시부(28)는 위치복원유닛(10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클램프유닛(1)이 다음 부품(B)을 다시 기설정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음 부품(B)을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부품(B)검사장치에 따르면, 이동체(2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자력에 의해 이동체(22)를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반복하여 공급되는 부품(B)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며, 안정되게 부품(B)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검사 위치에서 부품(B)의 센터링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검사 위치에 부품(B)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 위치에서 부품(B)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고, 부품(B)의 이동에 따른 오차를 줄이며, 정밀한 검사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부품(B)의 위치를 일관되게 표시할 수 있고, 검사할 수 있는 부품(B)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부품(B)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을 분해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고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이동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이동안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에서 이동안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100)은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2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10)와, 고정부재(110)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120)와, 이동부재(12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130)와,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자력을 가지고 고정부재(110)와 이동부재(120)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10)와, 이동부재(120)와, 이동안내부(130)에는 상호 결합 또는 연결을 위한 체결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체결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재(110)는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21)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부(111)와, 이동안내부(13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114)이 형성되도록 고정플랜지부(111)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부(113)를 포함한다. 일예로, 고정플랜지부(111)와 고정하우징부(113)는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플랜지부(111)에 후술하는 원위치고정부(180)의 제2고정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20)의 이동판부(121)와 마주보는 고정하우징부(113)의 단부에는 복수의 자성부재(160)가 상호 이격되어 압입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이동안내부(130)에 고정되는 이동판부(121)와, 고정부재(110)와 이동안내부(1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4)이 형성되도록 이동판부(121)에 구비되는 이동하우징부(123)를 포함하고, 고정부재(110)와 마주보도록 이동하우징부(123)에 구비되는 이동플랜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판부(121)와 이동하우징부(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하우징부(113)와 마주보는 이동판부(121)에는 고정하우징부(113)의 자성부재(160)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성부재(160)가 상호 이격되어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플랜지부(125)에는 후술하는 원위치고정부(180)의 제1고정부(18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판부(121)에는 고정하우징부(113)를 향하는 중심측에 후술하는 센터링부(170)의 제1동심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안내부(130)는 제1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고정부재(110)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1이동안내부(13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부(140)와, 제1이동방향과 교차되는 제2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1이동안내부(131)에서 이격 배치되고, 이동부재(120)에 고정되는 제2이동안내부(132)와, 제2이동안내부(13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이동안내부(131)와 이동부재(120)의 연결 고정을 위해 고정블럭(137)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고정블럭(137)은 제1이동안내부(1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센터링부(170)는 고정블럭(137)과 이동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고정블럭(137)은 이동부재(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센터링부(170)는 고정블럭(137)과 제1이동안내부(131)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블럭(137)은 제1이동안내부(131)와 이동부재(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센터링부(170)는 고정블럭(137)과 이동부재(120) 사이, 고정블럭(137)과 제1이동안내부(131)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블럭(137)은 제1이동안내부(13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2이동안내부(132)는 고정부재(110)의 안착공간(114)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경로부(140)는 제1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이동안내부(131)와 고정부재(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부(141)와, 제1가이드홈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볼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경로부(150)는 제2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2이동안내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부(151)와, 제2가이드홈부(1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볼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부(141)와 제2가이드홈부(151)는 각각 제1볼부(142)와 제2볼부(152)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V"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안내부(130)는 제1이동안내부(131)에서 이격 배치되어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는 제3이동안내부(133)와, 제1경로부(140)에 포함되는 제1볼부(142)와 제2경로부(150)에 포함되는 제2볼부(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부 위치를 한정하는 안내리테이너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이동안내부(133)는 고정부재(110)의 고정플랜지부(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기도 하고, 고정플랜지부(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안내부(130)가 제3이동안내부(133)를 포함하는 경우, 제1경로부(140)는 제1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3이동안내부(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부(141)와, 제1가이드홈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볼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안내부(130)가 안내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경우, 안내리테이너에는 제1볼부(142) 또는 제2볼부(152)가 삽입 지지되는 제한홀부(136)가 제1이동방향 또는 제2이동방향에 평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위치복원유닛(100)은 이동부재(120)와 이동안내부(130)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링부(170)와, 초기 위치에서 이동부재(120)를 고정부재(110)에 고정시키는 원위치고정부(180)와, 고정부재(110)에 구비되어 이동안내부(130)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이동지지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터링부(170)는 이동안내부(130)와 마주보도록 이동부재(120)에 구비되는 제1동심부(171)와, 제1동심부(171)와 끼움 결합되도록 이동안내부(130)에 구비되는 제2동심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동심부(171)와 제2동심부(172)에는 이동안내부(130)와 이동부재(120)의 결합력에 따라 밀착되도록 둘레에 경사면(173)이 형성됨으로써, 이동부재(120)와 이동안내부(130) 간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위치고정부(180)는 초기 위치에서 이동부재(120)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고정부(181)와, 제1고정부(181)와 연통되도록 고정부재(110)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2고정부(182)와, 상호 연통되는 제1고정부(181)와 제2고정부(182)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지지부(190)는 이동부재(120) 또는 이동안내부(130)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부(191)와, 수평지지부(191)와 이동안내부(130)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볼부(192)와, 이동부재(120) 또는 이동안내부(130)에 구비되어 지지볼부(192)의 위치를 한정하는 수평리테이너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지지부(191)와 수평리테이너부(193)는 중공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지지부(191)는 고정부재(110)의 안착공간(114)에 압입되고, 고정하우징부(113)를 관통 하는 플러그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압입된 수평지지부(191)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리테이너부(193)에는 지지볼부(192)가 삽입 지지되는 제한홀부(136)가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복원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외력이 제1이동방향을 따라 이동체(22)에 전달되면,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2이동안내부(132)는 제2경로부(15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고, 제1이동안내부(131)는 제1경로부(140)의 제1가이드홈부(141)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2경로부(150)와 제2이동안내부(132)와 이동부재(120)와 이동체(22)가 제1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체(22)에 전달되는 외력이 해제되면, 고정부재(110)와 이동부재(120)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재(160)의 자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외력이 제2이동방향을 따라 이동체(22)에 전달되면, 제1이동안내부(131)와 제3이동안내부(133)는 제1경로부(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고, 제2이동안내부(132)는 제2경로부(150)의 제2가이드홈부(151)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안내부(132)와 이동부재(120)와 이동체(22)가 제2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체(22)에 전달되는 외력이 해제되면, 고정부재(110)와 이동부재(120)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재(160)의 자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위치복원유닛(100)에 따르면, 이동체(2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자력에 의해 이동체(22)를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반복하여 공급되는 부품(B)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며, 안정되게 부품(B)의 조립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100)을 모듈화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이동체(22)의 이동 상태에 따라 표준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재(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이동체(22)의 하중에 간섭되지 않으며, 이동체(22)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리스(oilless) 제품으로 구리스의 주입이 필요없고, 구리스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복원유닛(1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22)의 이동에 따라 고정부재(110)와 이동부재(120)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부재(1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안내부(130)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동안내부(130)를 상호 안정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볼부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부가 가이드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복원유닛(100)의 조립 과정에서 이동부재(120)와 이동안내부(130) 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동안내부(130)에서 이동부재(1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복원유닛(100)에 이동체(22)를 결합할 때, 이동체(22)의 유동을 방지하고, 위치복원유닛(100)에 이동체(22)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복원유닛(100)의 정비에 있어서, 무리한 동작으로 위치복원유닛(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재(1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20)의 수평 이동에 대하여 이동안내부(1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이동부재(120)를 부드럽세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클램프유닛 2: 위치특정유닛
21: 베이스 22: 이동체
23: 위치결정부 24: 제1결정부
25: 제2결정부 26: 안착수용부
27: 결정공간 28: 위치표시부
3: 공급유닛 4: 검사유닛
100: 위치복원유닛 110: 고정부재
111: 고정플랜지부 113: 고정하우징부
114: 안착공간 120: 이동부재
121: 이동판부 123: 이동하우징부
124: 수용공간 125: 이동플랜지부
130: 이동안내부 131: 제1이동안내부
132: 제2이동안내부 133: 제3이동안내부
135: 안내리테이너부 136: 제한홀부
137: 고정블럭 140: 제1경로부
141: 제1가이드홈부 142: 제1볼부
150: 제2경로부 151: 제2가이드홈부
152: 제2볼부 160: 자성부재
170: 센터링부 171: 제1동심부
172: 제2동심부 173: 경사면
180: 원위치고정부 181: 제1고정부
182: 제2고정부 183: 고정핀부
190: 수평이동지지부 191: 수평지지부
192: 지지볼부 193: 수평리테이너부
B: 부품

Claims (21)

  1.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 및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자력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기초를 형성하거나 기초에 형성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부; 및
    상기 이동안내부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플랜지부에 구비되는 고정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안내부에 고정되는 이동판부;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안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판부에 구비되는 이동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하우징부에 구비되는 이동플랜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제1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1이동안내부;
    상기 제1이동안내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부;
    상기 제1이동방향과 교차되는 제2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제2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2이동안내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부는,
    상기 제1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와 상기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가이드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3이동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부는,
    상기 제1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와 상기 제3이동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가이드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부는,
    상기 제2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이동안내부와 상기 제2이동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2가이드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제1경로부에 포함되는 제1볼부와, 상기 제2경로부에 포함되는 제2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볼부 위치를 한정하는 안내리테이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안내부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링부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원위치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안내부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이동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부는,
    상기 이동안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는 제1동심부; 및
    상기 제1동심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안내부에 구비되는 제2동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심부와 상기 제2동심부에는,
    상기 이동안내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결합력에 따라 밀착되도록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고정부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2고정부; 및
    상호 연통되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이동안내부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볼부; 및
    상기 이동부재 또는 상기 이동안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볼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수평리테이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복원유닛.
  16. 부품을 기설정된 검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부품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특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특정유닛은,
    상기 부품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검사 위치에서 상기 부품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 및
    상기 클램프유닛의 일측에 구비되고, 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위치복원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검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제1지지방향에서 상기 부품이 지지되는 제1결정부; 및
    상기 제1지지방향과 교차되는 제2지지방향에서 상기 부품이 지지되는 제2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검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결정부와 상기 제2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이 수용되는 결정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검사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특정유닛은,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위치복원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결정한 상기 부품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검사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을 상기 클램프유닛에 공급하는 공급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검사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복원유닛은,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치복원유닛;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검사장치.
KR1020140077762A 2014-06-24 2014-06-24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KR10158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762A KR101587812B1 (ko) 2014-06-24 2014-06-24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762A KR101587812B1 (ko) 2014-06-24 2014-06-24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81A KR20160000581A (ko) 2016-01-05
KR101587812B1 true KR101587812B1 (ko) 2016-01-25

Family

ID=5516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762A KR101587812B1 (ko) 2014-06-24 2014-06-24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2631A1 (de) * 2018-09-17 2020-03-19 Magswitch Technology Europe Gmbh Verfahren zum Transport eines vorpositionierten Bausatzes für eine Baugrupp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71B1 (ko) * 2010-02-26 2012-05-18 주식회사화신 조립제품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04B1 (ko) * 2012-05-14 2014-04-15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자석을 이용한 조그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71B1 (ko) * 2010-02-26 2012-05-18 주식회사화신 조립제품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81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261B2 (ja) シール材の圧入装置
US10760891B2 (en) Surface measuring apparatus
JP2005522655A (ja) ダンパーを備えるキネマティックカップリング
KR20170061789A (ko) 스마트폰용 멀티지그
KR101587812B1 (ko) 위치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부품검사장치
JP5663847B2 (ja) 較正治具及び較正方法
CN101236062B (zh) 摩托车方向把管检测装置
KR101725203B1 (ko) 부품 검사장치
JP2015009253A (ja) 溶接ボルト検査ユニット及び溶接ボルト検査装置
KR101710696B1 (ko) 커넥터 검사장치
JP2008139078A (ja) 平行穴測定方法及び平行穴測定装置
CN105651148A (zh) 汽车刹车套件后支架深度检测工装
CN205718796U (zh) 一种悬空轴平行度检测装置
KR20060024481A (ko)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TWI417514B (zh) 檢測裝置
KR20140006390U (ko) 커넥터 검사지그
KR101985209B1 (ko) 동력전달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컨택 동작이 이루어지는 멀티 푸셔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 소켓
KR102311083B1 (ko) 핀 지그 유닛
CN107907037B (zh) 试验台架测功机同轴度一致性的检查工装
CN210952597U (zh) 翻转式位置度检具
KR101344458B1 (ko) 홀 위치 검사기구
JP2011125982A (ja) 自動機による位置出し方法及び自動機の位置出し装置
KR20200092078A (ko) 커넥터 검사장치
KR102199180B1 (ko) 양방향 이송스테이지 어셈블리
KR200487993Y1 (ko) 정도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