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38B1 -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 Google Patents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138B1
KR101725138B1 KR1020140134466A KR20140134466A KR101725138B1 KR 101725138 B1 KR101725138 B1 KR 101725138B1 KR 1020140134466 A KR1020140134466 A KR 1020140134466A KR 20140134466 A KR20140134466 A KR 20140134466A KR 101725138 B1 KR101725138 B1 KR 10172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cargo
belt conveyor
barge
guide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150A (ko
Inventor
노형국
Original Assignee
유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틸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1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은, 이송용 바지선의 포크레인에 의해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수급 받기 위한 복수의 크레인과, 크레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호퍼와, 호퍼에서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에 배치되어 연계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상부 벨트컨베이어 및 하부 벨트컨베이어와,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상기 배송용 본선에 분배하여 선적하도록 가변 가능한 상태로 구동 제어되는 십로더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송용 바지선에 선적된 벌크 화물을 크레인과 호퍼, 벨트컨베이어 및 십로더(shiploder)에 의해 배송용 본선에 연속적으로 선적할 수 있어서 선적시간의 단축에 의한 선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Bulk shipment transport barge for bulk shipment system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철광석이나 석탄 등과 같이 해안의 부두 야적장에 적재된 벌크 화물의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해안의 부두 야적장으로부터 이송용 바지선에 의해 중계되어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에 접안하여 선적시켜 주기 위한 선적용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철광석이나 석탄 및 석회석 등의 광물이나 곡물 등과 같이 원산지의 육지에서 채취하여 해안의 부두 야적장에 적재되는 부정형의 벌크 화물은 통상적으로 바지선을 이용한 중계운송에 의해 배송을 위한 본선에 선적되는 선적 시스템을 통하여 원산지에서 배송지로의 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지선의 중계운송에 의한 본선 선적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222호 공보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는 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 시스템은 철광석이나 석탄 등의 벌크 화물이 야적된 해안의 부두 야적장(10)으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진 해상에 정박해 있는 화물 배송용 본선(50)의 사이에 벨트컨베이어(21)와 브릿지부(20) 및 이송용 바지선(30)과 선적용 바지선(40)이 중계 운송수단으로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부(20)는 부두 야적장(10)으로부터 근접된 해상에 이송용 바지선(30)의 접안이 가능하도록 부교 형태로 떠 있는 동시에 상기 벨트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이송용 바지선(30)으로 중계하여 선적시켜 주도록 탑재된 제1가변컨베이어(22)를 구비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21)는 고정파일(26)에 의해 지지되어 부두 야적장(10)과 브릿지부(20)의 사이에 가교 형태로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적용 바지선(40)은 이송용 바지선(30)의 접안 정박이 가능하도록 화물 배송용 본선(50)에 접안된 상태로 해상에 정박되며, 이송용 바지선(30)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50)에 선적시켜 주기 위한 제2가변컨베이어(41)를 구비한다. 상기 제2가변컨베이어(41)는 선단부에 360도 회전하도록 구비된 슈트(42)를 통해 벌크 화물을 고르게 퍼지도록 배송용 본선(50)에 선적시켜 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야적물 선적 시스템은 해안의 부두 야적지(10)에 야적된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50)에 선적시키기 위하여, 이송용 바지선(30)을 브릿지부(20)에 접안된 상태로 정박시키고, 포크레인(11)에 의해 부두 야적지(10)의 벌크 화물을 벨트컨베이어(21)에 공급한다. 벨트컨베이어(21)에 공급된 벌크 화물은 제1가변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용 바지선(30)에 선적된다. 이와 같이 벌크 화물의 선적이 완료된 이송용 바지선(30)은 선적용 바지선(40)으로 항해하여 일측에 접안된 상태로 정박한다. 이어서 이송용 바지선(30)에 선적된 벌크 화물을 포크레인에 의해 선적용 바지선(40)에 탑재된 제2가변컨베이어(41)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선적용 바지선(40)의 제2가변컨베이어(41)는 선단부에 360도 회전하도록 구비된 슈트(42)를 통해 벌크 화물을 고르게 퍼지도록 배송용 본선(50)에 선적시켜 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 야적물 선적 시스템은선적용 바지선(40)의 제2가변컨베이어(41)가 벌크 화물의 적재 및 이재를 위한 매 단계마다 양단부가 교번적으로 승강운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선적시간과 선적비용이 증가하여 선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적용 바지선(40)의 제2가변컨베이어(41)는 그 가변운동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선적시간과 선적비용이 증가하여 선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적용 바지선(40)의 제2가변컨베이어(41)에서는 선단부에 360도 회전하도록 구비된 슈트(42)를 통해 벌크 화물을 고르게 퍼지도록 선적시켜 주는 과정에서 벌크 화물의 비산이나 분산 및 낙하 등과 같은 불안정성과 불안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통상적인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의 선적 시스템에서는 신속한 선적과정을 통하여 선적시간 단축 및 선적비용의 저감에 의해 보다 선적효율 향상시킬 수 있는 선적 방안과 대책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2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용 바지선에 선적된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에 연속적으로 선적하여 선적시간의 단축에 의한 선적비용의 감축울 통해 선적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은, 해안의 부두 야적장에 적재된 벌크 화물을 이송용 바지선과 선적용 바지선의 중계운송에 의해 배송용 본선에 선적하기 위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바지선의 포크레인에 의해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수급 받기 위한 복수의 크레인과; 상기 복수의 크레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에 배치되어 연계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상부 벨트컨베이어 및 하부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상기 배송용 본선에 분배하여 선적하도록 가변 가능한 상태로 구동 제어되는 십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와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슈트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슈트 유닛은,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와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사이에 상기 벌크 화물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송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간섭하여 낙하 경로를 변경시켜 주기 위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이송통로 상에 구비되는 유도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 벨트컨베이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분리되어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제 2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부재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부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과 타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각각 가이드하도록 하향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 패널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유도 패널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와 대향되는 하우징 측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유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도 패널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가이드되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2차적으로 간섭하여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낙하되도록 가이드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도 패널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통로 구조를 가지도록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십로더는 제어부에 연결된 복수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승강 구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배송용 본선의 흘수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흘수 정보의 입력에 따라 연계하여 상기 액튜에이터를 승강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벌크 화물의 선적상태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가변 구동되도록 운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따르면,이송용 바지선에 선적된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에 연속적으로 선적하여 선적시간의 단축에 의한 선적비용의 감축을 통해 선적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 야적물 선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 야적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의 가변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선적용 바지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탑재되는 컨베이이어의 슈트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탑재되는 컨베이이어의 슈트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탑재되는 십로더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탑재되는 십로더의 벌크 화물 선적과정을 예시해 보인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300)은, 해안가 부두 야적장(100)의 벌크 화물을 선적하여 이송해 오는 이송용 바지선(200)의 접안 정박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용 바지선(200)에 선적된 벌크 화물을 상기 부두 야적장(200)으로부터 이격된 해상에 정박되어 있는 배송용 본선(400)으로 중계하여 선적하기 위한 복수의 선적용 이송유닛이 탑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적용 이송유닛은 복수의 크레인(310)과 호퍼(320)및 벨트컨베이어(330)와 십로더(shiploder)(340)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310)은 상기 이송용 바지선(200)의 포크레인(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단위 공급량으로 수급 받아 상기 호퍼(32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호퍼(320)는 상기 크레인(310)으로부터 공급되는 벌크 화물이 충전되도록 수용한 상태에서 공급구의 직하방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330)에 벌크 화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벨트컨베이어(330)는 예컨대 지그재그 상태로 서로 다른 레벨에 배치되는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차형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벨트컨베이어(331)는 끝단부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벨트(332a)의 중심선에 이르도록 상방에 부상된 상태로 중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320)에서 공급되는 벌크 화물은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 의해 이송되면서 끝단부에 이르러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낙하되도록 전달된다.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는 벨트(332a)의 양측 가장자리가 예컨대 롤러 등에 의해 지지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어 벨트(332a)의 횡단면이 예를 들어 "V" 또는 "U" 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슈트 유닛(340)이 구비된다.
상기 슈트 유닛(340)은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사이에 벌크 화물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341)과, 상기 하우징(341)의 이송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간섭하여 낙하 경로를 변경시켜 주기 위한 1쌍의 가이드부재(342)(343)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342)(343)에 의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342)(34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41)의 이송통로 상에 구비되는 유도 패널(344a)(34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42)(343)는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분리되어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 342와 343은 각각 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 342와 343의 하방 경사각도를 다르게 설치한 구성은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과 타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각각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벨트(332a) 영역 내부에 낙하시켜 주도록 가이드하여 외측으로 분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도 패널(344a)(344b)중 어느 하나의 유도 패널 344b는 상기 가이드부재 343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341)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유도 패널 344a는 상기 가이드부재 342와 대향되는 하우징(341) 측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 패널 344a 및 344b는 각각 하우징(34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 342와 343에 의해 1차적으로 가이드되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2차적으로 간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 패널(344a)(344b)은 상기 가이드부재(342)(343)에 의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벨트(332a)의 오목한 중심부로 모이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십로더(350)는 제어부(353)에 연결된 복수의 액튜에이터(352a)(352b)에 의해 승강 구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53)는 배송용 본선(400)의 흘수(draft/吃水) 계측기(354)에서 측정되는 흘수 정보의 입력에 따라 연계하여 상기 액튜에이터(352a)(352b)를 승강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흘수 계측기(354)는 배송용 본선(400)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별도의 흘수 계측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십로더(350)는 배송용 본선(400)의 벌크 화물의 선적상태에 따른 흘수 변화에 대응하여 벌크 화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최적 상태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가변 가능하게 운전 제어된다.
즉, 상기 배송용 본선(400)의 벌크 화물의 선적상태에 따라 상기 흘수 계측기(354)에 의해 수득된 흘수 정보를 상기 제어부(353)에 입력하게 되면, 그 흘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353)는 미리 입력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액튜에이터(352a)(352b)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십로더(350)는 배송용 본선(400)의 벌크 화물의 선적상태에 따른 흘수 변화에 대응하여 벌크 화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최적 상태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가변 가능하게 운전 제어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십로더(350)는 배송용 본선(400)에 벌크 화물이 선적되는 상태에 따라 예를 들면, 틸팅(tilting) 및 스위벨(swibell) 등과 같이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가변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운전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의 선적작업을 위한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300)에 따르면, 해안의 부두 야적장(100)에 적재된 벌크 화물을 이송용 바지선(200)과 선적용 바지선(300)의 중계운송에 의해 배송용 본선(400)에 선적하기 위하여, 상기 부두 야적장(100)으로부터 이격된 외항 해상에 정박되어 있는 배송용 본선(400)에 접안된 상태로 정박된다.
상기 이송용 바지선(200)과 선적용 바지선(300)의 접안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차를 두고 각각의 개별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부두 야적장(100)의 벌크 화물은 포크레인(미도시)에 의해 상기 이송용 바지선(200)에 선적되고, 벌크 화물의 선적이 완료된 이송용 바지선(200)이 선적용 바지선(300)에 접안된 상태로 정박된다.
상기 이송용 바지선(200)에 선적된 벌크 화물은 이송용 바지선(200)에 탑재된 포크레인(미도시)에 의해 선적용 바지선(300)의 크레인(310)에 이송 공급된다.
상기 선적용 바지선(300)에 탑재된 크레인(310)은 정량의 공급단위로 벌크 화물을 수급받아 호퍼(320)에 반복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크레인(310)의 반복적인 이송작업에 의해 벌크 화물이 충전된 호퍼(320)에서는 공급구의 직하방에 배치된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 연속적으로 벌크 화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벌크 화물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중첩부에 낙하되도록 전달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사이에 구비된 슈트 유닛(340)의 가이드부재(342)(343)에 의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은 상기 가이드부재(342)(343)의 하방에 마련된 유도 패널(344a)(344b)에 의해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안정된 상태로 이송 공급된다.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전달된 벌크 화물은 십로더(340)에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되고, 상기 십로더(350)는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서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400)에 연속적으로 선적하게 된다.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벌크 화물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중첩부에 낙하되도록 전달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사이에 구비된 슈트 유닛(340)의 가이드부재(342)(343)에 의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은 상기 가이드부재(342)(343)의 하방에 마련된 유도 패널(344)에 의해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안정된 상태로 이송 공급된다.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전달된 벌크 화물은 십로더(340)에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되고, 상기 십로더(350)는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서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배송용 본선(400)에 연속적으로 선적하게 된다.
상기 십로더(350)는 도 7 및 도 8에 예시적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배송용 본선(400)에 벌크 화물의 적재량이 늘어남에 따라 흘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353)가 입력된 정보와 제어 정보를 토대로 액튜에이터(353)(354)의 승강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벌크 화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최적 상태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로 가변 가능하게 운전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십로더(350)는 배송용 본선(400)의 어느 일측에 벌크 화물의 적재량이 늘어남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변 가능하게 운전 제어되면서 벌크 화물의 적재장소를 변경하여 선적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닌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부두 야적장 110 : 포크레인
200 : 이송용 바지선 300 : 선적용 바지선
310 : 크레인 320 : 호퍼
330 : 벨트 컨베이어 331 : 상부 벨트컨베이어
332 : 하부 벨트컨베이어 340 : 슈트 유닛
341 : 하우징 342 : 가이드부재
343 : 가이드부재 344a, 344b : 유도패널
350 : 십로더 352a, 352b : 액튜에이터
353 : 제어부 354 : 흘수 계측기
400 : 배송용 본선

Claims (6)

  1. 해안의 부두 야적장에 적재된 벌크 화물을 이송용 바지선과 선적용 바지선의 중계운송에 의해 배송용 본선에 선적하기 위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바지선의 포크레인에 의해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수급 받기 위한 복수의 크레인과;
    상기 복수의 크레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벌크 화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에 배치되어 연계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상부 벨트컨베이어 및 하부 벨트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벌크 화물을 상기 배송용 본선에 분배하여 선적하도록 가변 가능한 상태로 구동 제어되는 십로더;를 포함하되,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의 끝단부가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의 벨트(332a)의 중심선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벌크화물이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331)에 의해 이송된 후 끝단부에 이르러 하부 벨트컨베이어(332)에 낙하되도록 배치된 구조로서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와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슈트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슈트 유닛은,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와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사이에 상기 벌크 화물의 이송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송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벨트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간섭하여 낙하 경로를 변경시켜 주기 위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이송통로 상에 구비되는 유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 벨트컨베이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분리되어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제 2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부재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부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과 타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각각 가이드하도록 하향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는 상부 벨트컨베이어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가이드하며, 제 2 가이드부재는 상부 벨트컨베이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각각 가이드하여, 상부 벨트컨베이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벌크 화물과 타측에서 낙하되는 벌크 화물을 각각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영역 내부에 낙하시켜 줌으로써 외측으로 분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유도 패널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유도 패널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와 대향되는 하우징 측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유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도 패널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가이드되어 낙하 경로가 변경된 벌크 화물을 2차적으로 간섭하여 상기 하부 벨트컨베이어에 낙하되도록 가이드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도 패널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통로 구조를 가지도록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십로더는 제어부에 연결된 복수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승강 구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배송용 본선의 흘수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흘수 정보의 입력에 따라 연계하여 상기 액튜에이터를 승강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벌크 화물의 선적상태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가변 구동되도록 운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34466A 2014-10-06 2014-10-06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KR10172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66A KR101725138B1 (ko) 2014-10-06 2014-10-06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66A KR101725138B1 (ko) 2014-10-06 2014-10-06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50A KR20160041150A (ko) 2016-04-18
KR101725138B1 true KR101725138B1 (ko) 2017-04-11

Family

ID=5591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466A KR101725138B1 (ko) 2014-10-06 2014-10-06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925B (zh) * 2020-11-25 2022-05-10 中科瑞启机器人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物流用货物装载的机械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7173A (ja) * 2012-01-20 2013-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ルク貨物積み替え方法、バルク貨物積み替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162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루프몰딩의 마운팅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루프 패널
KR101037222B1 (ko) 2010-09-30 2011-05-26 주식회사 천도 이송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시스템
KR101225780B1 (ko) * 2011-06-29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50594A (ko) * 2011-11-08 2013-05-16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주) 해상 환적 부유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7173A (ja) * 2012-01-20 2013-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ルク貨物積み替え方法、バルク貨物積み替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50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5041B (zh) 可全方位装货系统
RU2007104336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а
CN105658516A (zh) 用于货船的绑扎桥
KR101652697B1 (ko)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의 벌크 화물 선적방법
WO2012106771A2 (en) Port infrastructure system
KR101652695B1 (ko)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
KR101725138B1 (ko)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KR101328193B1 (ko)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JP2009067278A (ja) 粉粒体運搬船
JPH06255799A (ja) ばら物荷役設備
EP2931594A1 (en) Production support and storage vessel
WO2017091860A1 (en) Super shallow draft bulk carrier
KR101621238B1 (ko)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 선적방법
KR20160052818A (ko) 벌크 화물 선적용 바지선의 컨베이어벨트 슈트장치
EP0980328B1 (en) Shiploader system
CA1056324A (en) Ship loading system
KR20160084352A (ko) 벌크 화물 선적용 바지선의 컨베이어벨트 슈트장치
KR101192602B1 (ko) 컨테이너 운송 장치 및 운송 방법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192601B1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CN207061370U (zh) 基于连体趸船的散状物料水上装卸装置
US20030215310A1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CN102869591A (zh) 散装货物的处理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