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594A - 해상 환적 부유설비 - Google Patents

해상 환적 부유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594A
KR20130050594A KR1020110115744A KR20110115744A KR20130050594A KR 20130050594 A KR20130050594 A KR 20130050594A KR 1020110115744 A KR1020110115744 A KR 1020110115744A KR 20110115744 A KR20110115744 A KR 20110115744A KR 20130050594 A KR20130050594 A KR 2013005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hip
transshipment
hull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일
천무성
문성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주)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주)
Priority to KR102011011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594A/ko
Publication of KR2013005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 여건으로 대형선이 접안하지 못하는 부두에서 화물 또는 재화를 부선에서 모선으로 환적하기 위한 해상 환적 부유설비로서,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가 구비되고, 상기 선체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이 위치하며, 상기 부선이 위치하는 선체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의 화물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가 제공함으로써,
선체의 높이가 낮은 부선과 선체의 높이가 높은 모선의 사이에 위치하여 환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호퍼장치와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선수부에 바우 스러스터를 설치하여, 모선 또는 부선과 계류 시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해상 환적 부유설비{Floating Transshipment Facility Barge}
본 발명은 해상 환적 부유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만 여건으로 대형선이 접안하지 못하는 부두에서 화물 또는 재화를 부선에서 모선으로 환적하기 위한 해상 환적 부유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벌크선 및 모든 선종에 있어서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선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는데, 2015년 완공 예정인 파나마 운하의 증설로 13,000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이 출현하고 있으며, 3년 내 200여척의 초대형 컨테이너선들이 운항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해상운송시장이 초대형 선박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는 점은 2008년 현재 우리나라가 수주한 10,000TEU 이상급 컨테이너선의 잔량만 170척에 이른다는 사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에 따라 기존 항만보다 혁신적으로 증가된 항만 생산성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항만시설이 미래 항만 경쟁력의 결정적 요인이 될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부산항은 이미 동북아시아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 중 상당 부분을 점유하고 있어 점유율을 더 높이기는 어려우며, 전체 환적 물동량은 중국 항만들의 확장 추세로 인해 정체된 구조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
또한,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서해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한중일 3국 중 물동량이 가장 작으며,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인근 싱가폴, 상해, 홍콩항 대비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서해권의 거점 항만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문제는 기존 컨테이너 부두의 수심이 얕고, 크레인 등 하역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대형 컨테이너선의 수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화물 선적의 경우, 하역 설비 및 부두 여건 제한으로 인해 대형 선박이 화물작업을 한번에 완료하지 못하고, 부두에서 부분 선적한 후 외항으로 이동하여 부선(Barge)으로 싣고 온 화물을 선박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적작업을 마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화물 하역의 경우, 화물을 싣고 온 대형선박이 부두에 바로 접안하지 못하고, 외항에서 선박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부선(Barge)으로 부분 하역을 한 후, 부두에 접안하여 나머지 하역작업을 마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화물 선적 및 하역작업을 부두에서 완료하지 못하고, 선박이 다른 장소 또는 외항으로 이동이 불가피 하고,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용부두 외의 외항 등 다른 장소에서 화물 선적 및 하역작업을 수행할 경우, 노후 또는 낮은 성능의 장비를 이용하게 됨에 따라 작업 효율이 떨어져 선적 시간이 증가하며, 이는 체선의 요인이 되어 항비의 증가 및 본선의 운항 효율성이 저하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097588호의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은 해상에 부유하며, 컨테이너가 선적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부유구조체와, 부유구조체의 내부에 컨테이너선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도록 마련되는 수용부와, 부유구조체에 컨테이너선이 도킹되도록 마련되는 도킹부와, 도킹부에 의해 도킹된 컨테이너선과 부유구조체간에 컨테이너를 선적시키도록 부유구조체에 마련되는 크레인을 포함함에 따라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을 해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항만시설이 항로 수심 및 부두수심확보 문제를 해결하여 컨테이너선이 터미널에 접안하는 회수를 줄일 수 있고, 화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초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대규모 설비로서, 설치비용의 부담 및 설비 운용의 어려움을 갖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가 구비되고, 상기 선체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적재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이 위치하며, 상기 부선이 위치하는 선체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의 화물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체의 높이가 낮은 부선과 선체의 높이가 높은 모선의 사이에 위치하여 환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호퍼장치와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선수부에 바우 스러스터를 설치하여, 모선 또는 부선과 계류 시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체의 기동성이 뛰어나 선적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본선의 체선 요인을 개선하여 운항 효율성 및 물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도 및 용량에 부합한 최적의 설계로 크기가 작아 설비 및 운용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항만 여건으로 대형선이 접안하지 못하는 부두에서 화물 또는 재화를 부선에서 모선으로 환적하기 위한 해상 환적 부유설비로서,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가 구비되고, 상기 선체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적재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이 위치하며, 상기 부선이 위치하는 선체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의 화물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장치, 호퍼장치, 컨베이어장치 및 로더장치가 선체에 복수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상주자 및 작업자들의 편의를 위한 거주구역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뱃머리를 빨리 돌릴 때, 조종을 쉽게 하는 보조 장치인 바우스러스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예인 시 안정된 항로를 유지하기 하기 위하여 선미에 스케그(skeg)구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는 거친 날씨에도 선박의 부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미에 계선장치(Mooring Arrangement)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더는 다양한 크기의 선박에서도 지정된 화물의 선적 위치에 적정하게 하역하기 위해 길이 조절과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가 구비되고, 상기 선체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이 위치하며, 상기 부선이 위치하는 선체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의 화물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가 제공함으로써,
선체의 높이가 낮은 부선과 선체의 높이가 높은 모선의 사이에 위치하여 환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호퍼장치와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선수부에 바우 스러스터를 설치하여, 모선 또는 부선과 계류 시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의 기동성이 뛰어나 선적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본선의 체선 요인을 개선하여 운항 효율성 및 물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용도 및 용량에 부합한 최적의 설계로 크기가 작아 설비 및 운용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선적작업 전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선적작업 후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선적작업 전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선적작업 후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환적 부유설비(100)는 항만 여건으로 대형선이 접안하지 못하는 부두에서 화물 또는 재화를 부선(200)에서 모선(300)으로 환적하기 위한 부유 설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1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선체(110)는 선수부에 상주자 및 작업자들의 편의를 위한 거주구역(111)을 배치하게 되며, 상기 선체(110)의 선수부에는 뱃머리를 빨리 돌릴 때, 조종을 쉽게 하는 보조 장치인 바우스러스터(Bow Thruster)를 더 설치함으로써, 모선(300) 또는 부선(200)과 계류 시 위치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선적 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거주구역(111)은 작업구역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분진 등의 화물에 의한 상주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체(110)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200)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30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선(200)이 위치하는 선체(110)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200)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120)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120)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크레인장치(120)는 부선(200)에 실려있는 화물을 집게나 버켓 등을 이용해 들어올려 호퍼장치(130)가 있는 곳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130)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14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장치는 호퍼장치(130)의 하부 게이트를 통해 토출되는 화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호퍼장치(130)와 컨베이어장치(140)를 통해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140)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300)의 화물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150)가 설치된다.
상기 로더장치(150)는 크레인과 유사한 설비이나, 고공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길게 연장된 로더를 회동시켜 모선(300)의 화물창에 화물이 투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크레인장치(120), 호퍼장치(130), 컨베이어장치(140) 및 로더장치(150)가 선체(11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주구역(111)을 선수부에 배치함으로써 화물작업 시 유해 물질의 거주구역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구역(111) 최상부의 중앙 제어실을 갖추어 환적 설비를 중앙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체(110) 선미에 스케그(Skeg)구조 및 계선장치(Mooring Arrangement)를 설치함으로써, 예인 시나 거친날씨에도 항로유지 및 선박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가 구비되고, 상기 선체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이 위치하며, 상기 부선이 위치하는 선체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의 화물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가 제공함으로써,
선체의 높이가 낮은 부선과 선체의 높이가 높은 모선의 사이에 위치하여 환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호퍼장치와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선수부에 바우 스러스터를 설치하여, 모선 또는 부선과 계류 시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의 기동성이 뛰어나 선적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본선의 체선 요인을 개선하여 운항 효율성 및 물류비용을 절감하게 되며, 용도 및 용량에 부합한 최적의 설계로 크기가 작아 설비 및 운용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부유설비
110: 선체
111: 거주구역
120: 크레인장치
130: 호퍼장치
140: 컨베이어장치
150: 로더장치
200: 부선
300: 모선

Claims (7)

  1. 항만 여건으로 대형선이 접안하지 못하는 부두에서 화물 또는 재화를 부선(200)에서 모선(300)으로 환적하기 위한 해상 환적 부유설비로서,
    해상에서의 운항이 가능한 선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선체(110)의 일측에 육지의 항만으로부터 화물 또는 재화를 운반하는 부선(200)이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모선(300)이 위치하며,
    상기 부선(200)이 위치하는 선체(110)의 일측 선상에는 부선(200)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장치(120)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크레인장치(120)로부터 화물이 이송되는 호퍼장치(130)가 설치되며,
    상기 선상에는 호퍼장치(130)로 이송된 화물을 컨베이어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140)가 설치되고,
    상기 선상에는 컨베이어장치(140)로부터 운반된 화물을 모선(300)의 화물 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더장치(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장치(120), 호퍼장치(130), 컨베이어장치(140) 및 로더장치(150)가 선체(110)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10)의 선수부에 상주자 및 작업자들의 편의를 위한 거주구역(111)을 배치하고, 상기 거주구역(111)의 최상부에는 환적 설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실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10)의 선수부에 뱃머리를 빨리 돌릴 때, 조종을 쉽게 하는 보조 장치인 바우스러스터(Bow Thruster)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10)의 예인 시 안정된 항로를 유지하기 하기 위하여 선미에 스케그(skeg)구조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10)는 거친 날씨에도 선박의 부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미에 계선장치(Mooring Arrangement)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다양한 크기의 선박에서도 지정된 화물의 선적 위치에 적정하게 하역하기 위해 길이 조절과 회동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환적 부유설비.









KR1020110115744A 2011-11-08 2011-11-08 해상 환적 부유설비 KR20130050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44A KR20130050594A (ko) 2011-11-08 2011-11-08 해상 환적 부유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44A KR20130050594A (ko) 2011-11-08 2011-11-08 해상 환적 부유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94A true KR20130050594A (ko) 2013-05-16

Family

ID=4866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744A KR20130050594A (ko) 2011-11-08 2011-11-08 해상 환적 부유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05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152A (ko) * 2014-10-06 2016-04-18 유틸테크 주식회사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
KR20160041150A (ko) * 2014-10-06 2016-04-18 유틸테크 주식회사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152A (ko) * 2014-10-06 2016-04-18 유틸테크 주식회사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
KR20160041150A (ko) * 2014-10-06 2016-04-18 유틸테크 주식회사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3610B (zh) 一种采用半潜船运输船舶的方法
CN101508328A (zh) 用于海上运输系统的移动式港口
CN110239674B (zh) 可移动串联式浮动液货过驳海工平台及过驳方法
CN101112944A (zh) 浮式卸船设备
KR102214432B1 (ko) 생산 지원 및 저장 선박
KR20130050594A (ko) 해상 환적 부유설비
KR20180088900A (ko) 매우 얕은 흘수 벌크선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CN103787096A (zh) 船舶大舱货物装卸装置
CN103010414A (zh) 散货船、散货船卸货装置及其散货船卸货系统的使用方法
WO2010098537A3 (ko)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KR101068662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US6863484B2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102530195A (zh) 船底卸货船、船底卸货装置、散货船港口卸货装置和工艺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JPH06144357A (ja) 粉体貨物を荷役輸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202193464U (zh) 浮式趸船散货装船系统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CN201056432Y (zh) 浮式卸船设备
CN104590501A (zh) 基于物资储运平台实现岛礁环境开发建设的方法及其平台
KR20210051841A (ko) 무인 예인장치
KR20100123452A (ko)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CN217416036U (zh) 一种可自动变换船舶位置的卸货系统
KR101136095B1 (ko)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