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09B1 -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09B1
KR101724609B1 KR1020150129014A KR20150129014A KR101724609B1 KR 101724609 B1 KR101724609 B1 KR 101724609B1 KR 1020150129014 A KR1020150129014 A KR 1020150129014A KR 20150129014 A KR20150129014 A KR 20150129014A KR 101724609 B1 KR101724609 B1 KR 10172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re
mold
core mold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455A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주) 동양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이화 filed Critical (주) 동양이화
Priority to KR102015012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29C61/08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by stretch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의 확관부, 상기 확관부 양 옆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의 제1 코어 금형을 수평 방향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는 외주면에 튜브를 수용하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확관부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금형 히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열되며, 상기 코어 금형을 둘러싸는 내면에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 커버 금형; 상기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을 형합하거나 해체하기 위해서 이동시키고,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형합 후 고정하는 제1 및 제2 리프터(lifter); 및 상기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 내부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에어를 가열하는 카트리지 히터를 포함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SPIRAL TYPE HEAT SHRINKABLE TUBE}
본 발명은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력이 우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선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분이나 이물질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 튜브가 주로 사용된다. 일례로 코일스프링은 자동차 현가장치 부품의 일부로, 현재 코일 스프링이 가혹한 사용 조건에 견딜 수 있게 보호용 튜브를 장착,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는 절개된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고, 코일스프링에 장착 후, 틈을 접착하여 사용되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절개된 틈 사이로 노면에서 발생되는 흙, 모래, 자갈과 같은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가 일어나고, 이처럼 보호튜브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코일스프링의 신장과 압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보호튜브와 코일스프링의 사이로 확산되므로, 코일스프링의 도장을 손상시켜 부식을 유발하거나, 코일스프링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코일스프링 외경과 유사한 내경을 가지는 무절개형 튜브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한 문제 및 코일스프링에 튜브를 장착할 때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열수축 후 코일스프링에 완전 밀착할 수 있는 열수축 튜브를 도입하고자 하나, 종래의 열수축 튜브는 직선 형태로, 나선형의 코일스프링에 장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열수축 튜브를 나선형으로 만들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의 경우에는 보다 견고하게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는데, 제조 과정에서 이러한 접착제 성분이 훼손되지 않아서 나선형 코일스프링에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장착 후에도 코일스프링과 보호튜브가 이격되어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금속 선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 스프링에 장착이 용이하고, 장착 후 이물질의 침투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 보호튜브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중앙의 확관부, 상기 확관부 양 옆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의 제1 및 제2 코어 금형을 수평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는 외주면에 튜브를 수용하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확관부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내장된 금형 히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가열되며 내면에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 커버 금형; 상기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을 형합하거나 해체하기 위해서 이동시키고,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형합 후 고정하는 제1 및 제2 리프터(lifter); 및 상기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 내부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에어를 가열하는 카트리지 히터를 포함하고;
제1 코어 권취부에서 튜브가 제1 코어 금형에 권취된 후 확관부로 이송되고, 확관부에서 확관된 후 확관된 튜브가 다시 제1코어 권취부로 이송되며, 제1코어에서 확관이 진행되는 동안 제2 코어 권취부에서는 튜브가 제2 코어 금형에 권취되며, 제1코어 권취부에서 확관된 튜브가 제1코어 권취부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2 코어 권취부의 튜브는 확관부로 이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나선형 열수축 튜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 코어 권취부의 제1 코어 금형의 나선형 튜브 수용홈에 튜브를 권취하는 단계: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을 확관부로 이송 후 제1 및 제2 리프터에 의해서 제1 커버 금형과 제2 커버 금형을 형합 및 고정하고, 상기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 내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확관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확관된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을 확관부로부터 제1코어 권취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튜브가 권취된 제2코어 금형이 확관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코어 금형에 대한 튜브의 권취와 확관부에서의 확관 과정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어, 품질이 우수한 코일형 또는 나선형의 열수축 튜브를 제조하면서도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고온의 압축공기로 튜브를 확관시키기 때문에 스팀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튜브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의 수분과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작업자의 화상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여 작업안전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와 같은 일정한 피치를 갖는 코일형 또는 나선형의 선재에, 튜브를 내면에 접착제가 도포 확관된 상태로 제조한 후, 코일스프링에 장착 후 가열에 의해 열수축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에의 장착은 간편하면서도 코일스프링에 대한 이물질 또는 수분의 침투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고성능의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확관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코어 금형과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코어 금형과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이 형합된 상태의 개략도 및 일부결절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측면개략도 및 확관을 위한 열팽창 과정의 제어 계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확관부의 측면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카트리지 히터의 개략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 튜브는 가열시키면 직경이나 길이가 수축되는 성질을 갖는 튜브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튜브’와 ‘열수축 튜브’는 서로 혼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는 예를 들어, 나선형인 자동차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코일스프링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코일스프링에 대응되는 피치와 직경을 갖는 나선형의 확관된 튜브로 제조되고, 코일스프링에 장착 후에 열수축되어 코일스프링에 견고하게 접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의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는, 중앙의 확관부(100), 상기 확관부 양 옆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200, 300) 및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200, 300)의 각각의 코어 금형(210, 310)을 수평 방향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200, 300)는 외주면에 튜브를 수용하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211)이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 금형(210)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확관부(10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내장된 금형 히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가열되며, 내면에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121)이 형성된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 상기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과 연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을 형합하거나 해체하기 위해서 이동시키고,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의 형합 후 고정하는 제1 및 제2 리프터(lifter) (140, 140‘) 및 상기 코어 금형(210)에 권취된 튜브 내부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에어를 가열하는 카트리지 히터(150)를 포함한다.
제1 코어 권취부(200)에서 열수축 튜브가 제1 코어 금형(210)에 권취된 후, 열수축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이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400)에 의해서
확관부(100)로 이송되고, 확관부(100)에서 확관된 후 확관된 튜브가 다시 제1코어 권취부(200)로 이송되며, 제1코어에서 확관이 진행되는 동안 제2 코어 권취부(300)에서는 튜브가 제2 코어 금형에 권취되며, 제1코어 권취부(200)에서 확관된 튜브가 제1코어 권취부(200)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2 코어 권취부(300)의 튜브는 확관부(100)로 이송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400)는 상기 코어 금형을 지지하는 베이스(410); 상기 코어 금형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420); 및 상기 코어 금형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400)는 확관 대상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210)을 확관부(100)로 이동시키거나, 확관이 완료된 튜브를 제1코어 권취부(200)로 복귀시킨다. 상기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 (400)의 동작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 금형(120)과 제2 커버 금형(130)은 종방향으로 상하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거나, 횡방향으로 좌우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의 튜브가 권취된 코어 금형을 둘러싸는 내면에는 나선형 튜브 수용홈(121, 131)이 각각 형성되고, 코어 금형(210)의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외주면에도 튜브 수용홈(121)이 형성된다. 나선형의 열수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서 확관 이전 또는 확관 중에 나선형으로 성형을 하여야 한다. 제1 커버 금형(120)과 제2 커버 금형(130)의 튜브 수용홈(121, 131)과 코어 금형의 튜브 수용홈(211) 사이에 튜브가 수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버 금형(120)과 제2 커버 금형(130)은 금형 내부에 내장된 금형 히터(125)에 의해서 전기적인 방식으로 가열되고, 상기 코어 금형(210)의 내부에는 코어 금형 히터(215)가 내장되기 때문에, 튜브 수용홈(121, 131)과 코어 금형의 튜브 수용홈(211) 사이에 튜브가 수용된 후 확관되는 과정에서 튜브에 열을 전달하여 손쉽게 나선형의 튜브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확관부(100)는 상기 코어 금형(210)에 튜브를 감거나 역회전에 의해서 풀기 위한 모터(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60)는 코어 금형(210)과 연결되어 코어 금형에 튜브를 권취하기 위해 코어 금형을 회전시키고, 확관된 튜브를 분리하기 위해 역회전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 금형(210)의 끝단부 측면에는 튜브 내에 확관을 위한 핫 에어 또는 냉각용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주입 밸브 연결부(18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 금형의 대향하는 끝단부 측면에는 순환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출구 밸브 연결부(190)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내부에는 금형 히터(125)가 내장되어 금형 자체가 가열되고, 코어 금형(210)의 내부에도 코어 금형 히터(215)가 내장되어 코어 금형 자체를 가열한다.
한편, 공정 시간을 추가로 단축하기 위해서 확관 후 냉각 단계에서 코어 금형(210, 310)과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을 보다 빨리 냉각시키기 위해서, 코어 금형(210, 310)과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130)의 내부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유로(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냉각 후 튜브를 분리하고, 다시 튜브를 권취해서 확관부로 이송해야하기 때문에, 냉각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는 확관 시에는 압축공기를 카트리지 히터(150)에서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의 핫 에어를 튜브 내로 공급하고, 냉각 시에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150)를 바이패스하고 튜브 내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3-방향 제어 밸브(3-way control valve)(17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 제어 밸브(170)는 압축 공기를 외부로부터 공급 받아서 가열을 위해 카트리지 히터(150)에 공급한다. 상기 3-방향 제어 밸브(170)의 개폐 작동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 히터(150)는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 공급구(151); 압축공기 가열을 위한 열이 전달되는 열전달 파이프(152); 상기 열 전달 파이프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압축 공기가 가열을 위해 유동되는 에어 유동 유로(153); 및 가열된 핫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단으로 적층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압축 공기를 높은 온도로 일정하게 가열하는 것은 어려운데, 상기 카트리지 히터(150)를 사용할 경우 튜브의 확관에 필요한 충분한 음압을 갖는 핫 에어를 100도 내지 300도 정도의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카트리지 히터(150)에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핫 에어는 제1 코어 금형(210) 둘레에 감긴 튜브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확관 완료 후 냉각 시에는 가열되지 않은 압축 공기가 튜브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속한 냉각을 위해 액화질소 등이 공급될 수도 있다. 핫 에어 대신에 핫 스팀으로 확관시킬 경우에는 스팀이 누설되는 경우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작업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핫 에어로 확관시키는 경우에는 이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는 일례로 자동차 현가장치용 보호튜브로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보호튜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선형으로 제작되고, 장착의 편의를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직경 보다 약 0.5 mm 이상 큰 직경을 갖는 크기의 튜브로 제작된 후, 코일스프링에 끼우고나서 열수축에 의해 코일스프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열수축 튜브의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경우에는 더더욱 확실하게 코일스프링에 열수축 보호튜브를 고정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에 확관된 튜브를 끼우면 코일스프링보다 튜브의 내경이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장착 후 튜브에 열이 가해지면 열수축에 의해 코일스프링에 튜브가 밀착고정되어 튜브의 비틀림이나 이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술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를 이용한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열수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 단계로서 열수축 특성을 갖는 재료를 준비한다. 특히 이러한 튜브의 제작 시에 선택적으로 튜브의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방법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에 의해서 나선형 열수축 튜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 코어 권취부(200)의 제1 코어 금형(210)의 나선형 튜브 수용홈(211)에 튜브를 권취하는 단계: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210)을 확관부(100)로 이송 후 제1 및 제2 리프터(140, 140‘)에 의해서 제1 커버 금형(120)과 제2 커버 금형(130)을 튜브가 권취된 코어 금형 (210) 둘레로 형합 및 고정하고, 상기 제1 코어 금형(210)에 권취된 튜브 내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확관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확관된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210)을 확관부(100)로부터 제1 코어 권취부(200)로 이송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확관 대상 튜브는 제1 코어 권취부(200)에서 제1 코어 금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튜브 수용홈(211)을 따라서 권취된다. 튜브가 상기 제1 코어 금형(210)에 권취되면, 확관부(100)로 이송된다. 확관부(200)에서는 튜브가 권취된 상기 제1 코어 금형(210)의 양쪽에 제1 및 제2 리프터(140, 140‘)에 의해서 제1 커버 금형(120) 및 제2 커버금형(130)을 이동시켜 제1 커버 금형(120) 및 제2 커버금형(130)에 형성된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121, 131)을 맞추어 형합한다.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을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210) 둘레로 형합하고 나서, 제1 및 제2 리프터(140, 140')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한다. 3-방향 제어 밸브(170)를 개방하여 카트리지 히터(15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확관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로 균일하게 가열한 후, 제1 코어 금형(210)에 권취된 튜브의 내부로 핫 에어를 공급하여 튜브를 열팽창시킨다. 튜브를 목적으로 하는 크기로 열팽창에 의해서 확관시킨 후, 카트리지 히터 쪽의 3-방향 제어 밸브(170)를 폐쇄하고, 가열되지 않은 압축 공기 또는 액체 질소와 같은 냉매를 확관된 튜브의 내부 및/또는 코어 금형과 커버 금형에 공급하여 확관된 튜브를 냉각시킨다.
상기 확관된 튜브가 권취된 제1 코어 금형(210)을 확관부(100)로부터 제1코어 권취부(200)로 이송함과 동시에 튜브가 권취된 제2코어 금형(310)이 확관부(100)로 이송된다. 이때 제1 코어 권취부(200)에서 확관된 튜브가 분리되고, 다시 확관하기 위한 튜브가 권취된다. 확관부(100)에서 확관된 제2 코어 금형(310)에 권취된 튜브는 다시 제2 코어 권취부(300)로 이송되고, 동시에 제1 코어 금형(210)은 확관부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코어 금형에 튜브를 감는 공정과 확관부에서 확관하는 공정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튜브가 확관되는 동안에 제1 및 제2 커버 금형(120, 130)의 내부 가열에 의해서 튜브를 일차적으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되는 코어 금형(210)과의 접촉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금형 자체를 가열함으로써 확관 공정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하고, 튜브가 균일하게 확관되어 품질이 우수한 튜브를 수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확관부 125: 금형 히터
120: 제1 커버 금형 121: 나선형 튜브수용홈
130: 제2 커버 금형 131: 나선형 튜브수용홈
140: 제1 리프터 140‘제2 리프터
150: 카트리지 히터 160: 모터
170: 3-방향 제어 밸브 180: 에어 주입 밸브 연결부
190: 에어 출구 밸브 연결부 200: 제1 코어 권취부
210: 제1 코어 금형 211: 나선형 튜브수용홈
215: 코어 금형 히터 300: 제2 코어 권취부
310: 제2 코어 금형 400: 코어금형 슬라이딩부

Claims (10)

  1. 중앙의 확관부, 상기 확관부 양 옆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의 각각의 코어 금형을 수평 방향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어 권취부는 외주면에 튜브를 수용하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 금형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확관부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내장된 금형 히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열되며, 상기 코어 금형을 둘러싸는 내면에는 나선형의 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 커버 금형; 상기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을 형합하거나 해체하기 위해서 이동시키고,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형합 후 고정하는 제1 및 제2 리프터(lifter); 및 상기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 내부에 확관을 위한 고온의 압축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에어를 가열하는 카트리지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금형의 끝단부 측면에는 튜브 내에 확관을 위한 핫 에어 또는 냉각용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 밸브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커버 금형의 끝단부 측면에는 순환된 에어를 배출하는 출구 밸브 연결부가 설치되며, 및
    제1 코어 권취부에서 튜브가 코어 금형에 권취된 후 확관부로 이송되고, 확관부에서 확관된 후 확관된 튜브가 다시 제1 코어 권취부로 이송되며, 확관부에서 확관이 진행되는 동안 제2 코어 권취부에서는 새로운 튜브가 코어 금형에 권취되며, 확관된 튜브가 제1코어 권취부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2 코어 권취부에서 권취된 튜브는 확관부로 이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 슬라이딩부는 상기 코어금형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코어 금형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 및 상기 코어 금형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상기 코어 금형에 튜브를 감거나 역회전에 의해서 풀기 위한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확관 시에는 압축공기를 카트리지 히터에서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의 핫 에어를 튜브 내로 공급하고, 냉각 시에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를 바이패스하고 튜브 내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3-방향 제어 밸브(3-way control val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 공급구; 압축공기 가열을 위한 열이 전달되는 열전달 파이프; 상기 열 전달 파이프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압축 공기가 가열을 위해 유동되는 에어 유동 유로; 및
    가열된 핫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과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내부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유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8. 제1항의 장치에 의해서 나선형 열수축 튜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 코어 권취부의 코어 금형의 나선형 튜브 수용홈에 튜브를 권취하는 단계:
    튜브가 권취된 코어 금형을 확관부로 이송 후 제1 및 제2 리프터에 의해서 제1 커버 금형과 제2 커버 금형을 튜브가 권취된 코어 금형 둘레로 형합 및 고정하고, 상기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 내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확관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관된 튜브가 권취된 코어 금형을 확관부로부터 제1코어 권취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제2 코어 권취부에서 새로운 튜브가 권취된 코어 금형이 확관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확관 시에는 카트리지 히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확관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로 균일하게 가열한 후,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의 내부로 핫 에어를 공급하여 튜브를 열팽창시키고, 확관 완료 후에는, 가열되지 않은 압축 공기 또는 냉매를 확관된 튜브의 내부 또는 코어 금형과 커버 금형에 공급하여 확관된 튜브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코어 금형에 권취된 튜브가 확관부에서 확관되는 동안에 제2 코어 권취부에서는 새로운 튜브가 다른 코어 금형에 권취되고, 확관부에서 확관된 튜브가 제1 코어 권취부로 이송될 때, 새로운 튜브가 권취된 상기 코어 금형은 확관부로 자동 이송되어 확관되며, 확관이 완료된 코어 금형은 다시 제2 코어 권취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튜브가 확관되는 동안에 제1 및 제2 커버 금형의 내부 가열에 의해서 튜브를 일차적으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되는 코어 금형과의 접촉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방법.
KR1020150129014A 2015-09-11 2015-09-11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72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14A KR101724609B1 (ko) 2015-09-11 2015-09-11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14A KR101724609B1 (ko) 2015-09-11 2015-09-11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55A KR20170031455A (ko) 2017-03-21
KR101724609B1 true KR101724609B1 (ko) 2017-04-07

Family

ID=5850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014A KR101724609B1 (ko) 2015-09-11 2015-09-11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330B1 (ko) * 2011-06-08 2011-08-17 선진정밀(주)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KR101104696B1 (ko) * 2011-09-30 2012-01-17 주식회사 한경콤포넌트 무역 자동차 현가장치용 수축 튜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축 튜브 제조방법
KR101315747B1 (ko) 2011-12-16 2013-10-08 (주) 동양이화 자동차의 서스펜션 코일스프링용 보호튜브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959B2 (ja) * 1992-06-30 1996-06-12 平河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電源コ―ド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330B1 (ko) * 2011-06-08 2011-08-17 선진정밀(주)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KR101104696B1 (ko) * 2011-09-30 2012-01-17 주식회사 한경콤포넌트 무역 자동차 현가장치용 수축 튜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축 튜브 제조방법
KR101315747B1 (ko) 2011-12-16 2013-10-08 (주) 동양이화 자동차의 서스펜션 코일스프링용 보호튜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55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240B1 (ko) 분할 고정자 세그먼트 제조 방법
CN111066233B (zh) 冷却装置制造方法及利用其的电机壳体冷却装置
JP5467774B2 (ja) タイヤ加硫機
EP1724090B1 (en) Injection nozzle with a thermal shrou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226423B1 (ko)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DK154799B (da) Svejsemuffe til termoplastiske materialer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samme
CN104114350A (zh) 热塑性树脂件的焊接装置、焊接方法及焊接装置用的按压单元
CN105359394A (zh) 定子加热装置以及定子加热方法
JP6914533B2 (ja) 樹脂モールド方法、治具、及び樹脂モールド装置
CN104216081B (zh) 一种深海光缆挤塑分支接头盒及其安装工艺
BR112016011182B1 (pt) método e sistema para revestir uma junta de campo de uma tubulação e instalação de produção de tubulação
BR112016009570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revestir junta de campo de tubo
US3776794A (en) Reinforced flexible ho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24609B1 (ko)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00036553A (ko)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에어컨용 와이분지관 및 그 제조방법
US20200009772A1 (en) Devi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onent formed of a plurality of moldings made of plastic and welded together
KR102172809B1 (ko) 연장 부재를 교차결합 또는 가황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218417A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pairing insulated cable which has been damaged or joined
KR20190026174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JP5182019B2 (ja) スプライス部保護構造の製造方法及びスプライス部保護構造の製造装置
EP2580511B1 (en) Shrink sleeve for joining insulated pipes
US3754845A (en) Apparatus for splicing jacketed cable
KR101089621B1 (ko) 상하수용 이음관 제조용 금형,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음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4943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KR102412177B1 (ko) 라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