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330B1 -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330B1
KR101057330B1 KR1020110054899A KR20110054899A KR101057330B1 KR 101057330 B1 KR101057330 B1 KR 101057330B1 KR 1020110054899 A KR1020110054899 A KR 1020110054899A KR 20110054899 A KR20110054899 A KR 20110054899A KR 101057330 B1 KR101057330 B1 KR 10105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ead ring
mold
roll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선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정밀(주) filed Critical 선진정밀(주)
Priority to KR102011005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12Rim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29C2053/362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for making h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1Vibration dampening equipment, e.g. 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스프링튜브 제조방법은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구성을 보강하여 완충력이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시 압축공기의 하중집중 및 반복 절곡에 의한 스프링 튜브의 단부 손상을 방지하여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튜브관준비단계, 비드링형성단계, 비드링결합단계, 확장단계, 융착성형단계로 이루어지고, 이때 스프링튜브 제조장치는 비드링형성부(100), 비드링결합부(200), 확장부(300), 압착성형부(4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튜브관의 양단에 와이어가 내설된 비드링이 끼움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비드링에 의해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구성이 강화되어 사용중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하는 완충력에 의한 스프링 튜브 단부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주행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spring tube and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륜의 상하진동을 완화 흡수하기 위해 현가장치로 사용되는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튜브는 공기 압축력에 의해 차륜의 상하진동을 완화 흡수하는 현가장치의 일종으로서, 스프링튜브의 특성상 공기압력을 조절하여 차량의 하중 변화 및 운행조건에 맞추어 완충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승용차에서 고하중 차량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스프링튜브는 상하부가 개방된 고무튜브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개방부는 차체프레임의 하우징상에 삽입설치되고, 하부 개방부는 차륜이 설치된 하우징상에 삽입고정되어 내부공기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밀봉고정된다. 그러나 운행 중 상하로 반복 작용하는 차량의 하중으로 인해 압축공기의 압력이 스프링튜브의 상하 개방부로 집중되어 스프링튜브의 상하 단부가 터지거나 늘어나 기밀성이 저하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스프링 튜브를 살펴보면, U.S. Pat. No. 4,564,177호 및 U.S. Pat. No. 4,688,774호, U.S. Pat. No.4,796,870에서 스프링튜브의 양단부를 차체 및 차륜프레임의 하우징상에 띠형 클램프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스프링 튜브에 의해 상하 완충작용이 반복작용하는 중에 클램프에 의해 체결된 스프링 튜브의 단부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즉, 클램프는 체결강도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경질의 금속을 포함하는 스프링 튜브와 이원계 재질의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완충력이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시 클램프와 스프링튜브사이의 마찰로 인해 스프링 튜브의 단부가 쉽게 찢어지거나 마찰부에 국부적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되고, 주행중 미세구멍이 순간적인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차체프레임 및 차륜프레임에 체결되는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구성을 보강하여 완충력이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시 압축공기의 하중집중 및 반복 절곡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여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양단이 개방된 튜브관(T)를 준비하는 단계(S1); 복수의 와이어(W)를 고무코팅하여 링형상으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튜브관(T) 양단에 비드링(R)을 끼우고, 튜브관(T) 단부가 비드링(R)을 감싸도록 절곡하는 단계(S3); 상기 비드링(R)이 끼움결합된 튜브관(T)의 양단부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단계(S4); 상기 튜브관(T)과 비드링(R)을 일체로 융착성형하는 단계(S5);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튜브관(T) 양단에 비드링(R)을 끼우고 융착성형하여 스프링튜브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와이어(W) 외주면에 고무를 코팅하는 피복기(110)와, 고무가 코팅된 와이어(W)를 링형태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는 권취롤러(10)가 구비되는 비드링형성부(100); 상기 비드링형성부(100)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관(T) 내부에 삽입되는 표본금형(20)과, 표본금형(20) 양단에 위치되어 비드링(R)이 끼움결합되도록 튜브관(T) 단부를 압축하는 압축와이어(22)가 구비되는 비드링결합부(200); 상기 비드링결합부(200) 일단에 배치되고, 원추형 밀편(32)과 미끄럼운동되어 방사형으로 확장이송되면서 비드링(R)이 끼움결합된 튜브관(T) 단부를 확관하도록 분할금형(30)이 구비되는 확장부(300); 상기 확장부(300) 일단에 구비되고, 튜브관(T) 내측에 수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40)와, 튜브관(T)이 수용되는 성형실(42a)이 구비되는 금형본체(42)와, 금형본체(42)의 성형실(42a) 입구를 개폐하고, 일측에 튜브관(T)의 단부와 끼움결합되는 위치고정돌기(44a)가 형성되는 금형도어(44)가 구비되는 압착성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10)는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의 중심으로 복수의 장공(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2)과, 각각의 장공(12a)을 타고 확장ㆍ축소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금형(14)과, 실린더(C)의 작동에 의해 롤러금형(14)사이로 인입되어 롤러금형(14)을 확장하는 원추형 밀편(16)과, 어느 일측 롤러금형(14)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회전판(12)상에 고정되고, 롤러금형(14)의 확장이송에 의해 초기 진입하는 와이어(W)의 단부를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1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링결합부(200)는 지지축(20a)을 중심으로 테이블(21)상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표본금형(20)과, 표본금형(20)의 양단부에 1~2회 권취된 상태로 양단부가 역회전방지롤러(23)에 권취되는 압축와이어(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본금형(20)은 일측에 고정브라켓(20b)과 다른 일측에 유동브라켓(20c)이 구비되는 지지축(20a)과, 지지축(20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방사형으로 분할되고, 양단부가 고정브라켓(20b)과 유동브라켓(20c)에 삽입고정되는 복수의 분할금형(20A)이 구비되고, 복수의 분할금형(20A)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하는 분할금형(20A)대비 소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튜브관의 양단에 와이어가 내설된 비드링이 끼움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비드링에 의해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구성이 강화되어 사용중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하는 완충력에 의한 스프링 튜브 단부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주행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장치의 비드링형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장치의 비드링형성부의 권취롤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장치의 비드링형성부의 권취롤러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비드링결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비드링결합부의 작동구조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비드링결합부의 금형분리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확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압착성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략도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스프링튜브 제조방법은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구성을 보강하여 완충력이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시 압축공기의 하중집중 및 반복 절곡에 의한 스프링 튜브의 단부 손상을 방지하여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튜브관준비단계, 비드링형성단계, 비드링결합단계, 확장단계, 융착성형단계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각 제조단계별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는 내용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튜브관 준비단계(S1)
본 발명에 따른 튜브관 준비단계(S1)는 양단이 개방된 튜브관(T)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튜브관(T)은 고무시트지 및 코드토핑지를 선택적으로 배치/적층한 상태로 권취하고, 이를 고온에서 융착성형하여 양단이 개방된 튜브형태로 성형하여 준비된다.
이때 튜브관(T)은 내측고무 시트지 및 45도 각도로 배치된 코드토핑지, -45도 각도로 배치된 코드토핑지, 외측고무스트지가 순차적으로 적층 권취되고, 이때 각각 코드토핑지에 내설된 코드사가 서로 교체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함은 물론 전체적으로 팽창율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2. 비드링 형성단계(S2)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 형성단계(S2)는 복수의 와이어(W)를 고무코팅하여 링형상으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와이어(W)는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공급되는 중에 외주면에 고무가 코팅되고, 고무가 코팅된 와이어(W)는 권취롤러(10)에 수회 권취된 상태로 고무와 함께 고형화되어 링형태의 비드링(R)을 형성한다.
이때 와이어(W)는 고무와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외주면에 약품(고무와의 접착력을 높이는 통상의 약품)이 도포됨은 물론 온풍기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고무코팅작업이 수행된다.
3. 비드링 결합단계(S3)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 결합단계(S3)는 튜브관(T) 양단에 비드링(R)을 끼우고, 튜브관(T) 단부가 비드링(R)을 감싸도록 절곡하는 단계이다. 비드링(R)을 튜브관(T) 단부에 끼움결합하되, 이때 비드링(R)의 내경이 튜브관(T)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튜브관(T)의 단부 외경이 축소되도록 강제로 압축한 후 비드링(R)을 끼우고, 이어서 튜브관(T)의 단부를 절곡하여 비드링(R)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이에 후술하는 융착성형단계(S5)를 통하여 비드링(R)과 튜브관(T)이 일체로 성형시, 비드링(R)이 튜브관(T)에 인서트몰딩된 형태로 코드사에 의해 감싸지도록 견고하게 성형됨에 따라 사용중 비드링(R)이 이탈되거나 융착부 경계부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4. 튜브관 확장단계(S4)
본 발명에 따른 튜브관 확장단계(S4)는 비드링(R)이 끼움결합된 튜브관(T)의 양단부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비드링 결합단계(S3)에서 비드링을 끼움결합하기 위해 튜브관(T)의 단부 외경이 축소되도록 압축 가압함에 따라 비드링(R)이 위치된 튜브관(T)의 내경이 불규칙한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주름이 형성되는바, 튜브관 확장단계(S4)는 변형되거나 주름이 형성되는 튜브관(T)의 단부 내주면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가압하여 튜브관(T)과 비드링(R)사이의 밀착성을 높임은 물론 튜브관(T) 내주면을 진원으로 형성시켜 후술하는 융착성형단계(S5)에서의 성형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5. 융착성형단계(S5)
본 발명에 따른 융착성형단계(S5)는 상기 튜브관(T)과 비드링(R)을 일체로 융착성형하는 단계(S5)이다. 상기 튜브관 확장단계(S4)를 거친 튜브관(T)을 금형장치에 투입하고, 고온(예컨대, 150도 ~200도의 스팀공급)으로 가열하면 튜브관(T)과 비드링(R)의 고무성분이 일체로 융착성형 되어 단일의 스프링튜브가 형성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장치의 비드링형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비드링결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확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튜브 제조방치의 압착성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스프링튜브 제조방법으로 튜브관(T) 양단에 비드링(R)을 끼우고 융착성형하여 스프링튜브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때 스프링튜브 제조장치는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구성을 보강하여 완충력이 상하방향으로 반복작용시 압축공기의 하중집중 및 반복 절곡에 의한 스프링 튜브의 단부 손상을 방지하여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드링형성부(100), 비드링결합부(200), 확장부(300), 압착성형부(4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형성부(100)는 복수개의 와이어(W) 외주면에 고무를 코팅하는 피복기(110)와, 고무가 코팅된 와이어(W)를 링형태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는 권취롤러(10)가 구비된다.
와이어(W)는 복수의 공급릴을 통하여 공급되고, 정렬롤러를 거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이송되며, 이송되는 중에 피복기(110)를 통하여 외주면에 고무가 코팅된다. 피복기(110)는 일측에 고무소재를 주입하여 용융시킨 상태로 출력하는 압출기형태로 구비되고, 압출기의 노즐 상에 고무를 정량코팅하기 위한 금형이 구비된다.
그리고, 와이어(W)가 피복기(110)를 통하여 고무가 코팅된 상태로 권취롤러(10)상으로 공급되면, 권취롤러(10)가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와이어를 링형태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10)는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의 중심으로 복수의 장공(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2)과, 각각의 장공(12a)을 타고 확장ㆍ축소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금형(14)과, 실린더(C)의 작동에 의해 롤러금형(14)사이로 인입되어 롤러금형(14)을 확장하는 원추형 밀편(16)과, 어느 일측 롤러금형(14)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회전판(12)상에 고정되고, 롤러금형(14)의 확장이송에 의해 초기 진입하는 와이어(W)의 단부를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18)이 구비된다.
이에 원추형 밀편(16)의 전진작동에 의해 복수개의 롤러금형(14)이 방사형으로 확장된 상태로 와이어(W)를 권취하고, 권취가 완료되면 원추형 밀편(16)의 후퇴작동에 의해 복수개의 롤러금형(14)이 축소되면서 비드링(R)이 권취롤러(10)상에서 간편하게 취출된다.
또,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해 복수개의 롤러금형(14)이 확장이송시 어느 일측의 롤러금형(14)이 고정편(18)과 맞물리면서 클램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와이어(W)를 권취시 초기 진입되는 와이어(W)의 단부가 롤러금형(14)과 고정편(18)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권취롤러(10)가 회전하여 와이어(W)가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W)와 권취롤러(10)사이의 미끄러짐현상으로 인해 와이어(W)의 권취횟수 불량 및 와이어(W)의 상하적층간격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드링결합부(200)는 비드링형성부(100)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관(T) 내부에 삽입되는 표본금형(20)과, 표본금형(20) 양단에 위치되어 비드링(R)이 끼움결합되도록 튜브관(T) 단부를 압축하는 압축와이어(22)가 구비된다. 비드링결합부(200)는 지지축(20a)을 중심으로 테이블(21)상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표본금형(20)과, 표본금형(20)의 양단부에 1~2회 권취된 상태로 양단부가 역회전방지롤러(23)에 권취되는 압축와이어(22)가 구비된다.
테이블(21)은 표본금형의 지지축이 회동가능하게 안착지지되도록 한 쌍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표본금형의 중심으로 양측 위치에 역회전방지롤러(23)가 와이어(W)의 단부를 권취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역회전방지롤러(23)는 기어와 스톱퍼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스톱퍼가 역회전방지롤러(23)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은 차단하고, 스톱퍼를 기어와 이격된 위치로 선회시 고정력이 해제되어 역회전방지롤러(23)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비된다.
이에 튜브관(T) 내부에 표본금형(20)을 삽입설치하고 압축와이어(22)를 당기면, 튜브관(T)의 단부가 표본금형(20)의 형상을 따라 축소되고, 축소된 튜브관(T) 단부에 상기 비드링(R)을 끼움결합하고 압축와이어(22)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비드링(R) 끼움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표본금형(20)은 일측에 고정브라켓(20b)과 다른 일측에 유동브라켓(20c)이 구비되는 지지축(20a)과, 지지축(20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방사형으로 분할되고, 양단부가 고정브라켓(20b)과 유동브라켓(20c)에 삽입고정되는 복수의 분할금형(20A)이 구비되고, 복수의 분할금형(20A)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하는 분할금형(20A) 대비 소폭으로 형성된다.
즉, 표본금형(20)은 분할형성된 다수의 분할금형(20A)의 조립체로 형성되고, 분할금형(20A)은 고정브라켓(20b)과 유동브라켓(20c)에 의해 형상이 유지된다. 이에 상기 비드링(R)의 끼움결합이 완료된 후 튜브관(T)의 단부 직경이 축소더라도 유동브라켓(20c)을 분리 후 소폭으로 제작된 분할금형(20A)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튜브관(T) 내측에 위치된 표본금형(20)을 모두 분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300)는 비드링결합부(200) 일단에 배치되고, 원추형 밀편(32)과 미끄럼운동되어 방사형으로 확장이송되면서 비드링(R)이 끼움결합된 튜브관(T) 단부를 확관하도록 분할금형(30)이 구비된다.
분할금형(30)은 원형의 금형을 등각 분할하여 형성되고, 저면에 원추형 밀편(32)과 미끄럼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에 원추형 밀편(32)이 승강이송시 경사면을 통하여 미끄럼운동에 의해 분할금형(30)이 방사형으로 확장이송되고, 원추형 밀편(32)이 하강이송시 축소이송된다. 이때 각각의 분할금형(30)은 확장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이 작용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되어 원추형 밀편(32)이 하강이송시 분할금형(30)이 원위치로 자동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착성형부(400)는 확장부(300) 일단에 구비되고, 튜브관(T) 내측에 수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40)와, 튜브관(T)이 수용되는 성형실(42a)이 구비되는 금형본체(42)와, 금형본체(42)의 성형실(42a) 입구를 개폐하고, 일측에 튜브관(T)의 단부와 끼움결합되는 위치고정돌기(44a)가 형성되는 금형도어(44)가 구비된다.
이때, 팽창튜브(40)는 일측에 외부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이때 주입구는 성형실(42a) 일측에 개방된 관통홀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팽창튜브(40)가 내설된 튜브관(T)을 성형실(42a) 내부에 수용시 주입구는 관통홀을 통하여 금형본체(42)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공기를 주입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성형실(42a) 입구는 금형도어(44)에 의해 마감되되, 금형도어(44)는 금형본체(42)상에서 일단이 힌지를 축으로 선회되고 다른 일단이 금형본체(42)상에 잠금/해제되는 도어프레임상에 미끄럼운동되도록 설치되고, 도어프레임상에 구비되는 가압볼트의 회전력에 의해 전후위치조절된다. 이에 금형도어(44)가 금형본체(42)의 성형실(42a) 입구를 마감한 상태로 가압볼트의 회전력에 의해 전진이송되어 성형실(42a) 입구에 밀착됨에 따라 금형본체(42)와 금형도어(44)사이의 기밀성이 고도로 유지된다.
또, 금형도어(44)의 내주면에 튜브관(T)의 단부와 끼움결합되는 위치고정돌기(44a)가 형성된다. 위치고정돌기(44a)는 스프링 튜브의 단부 내경사이즈를 고려하여 공차가공되고, 성형실에 수용된 튜브관(T)이 위치고정돌기(44a)와 끼움결합된 상태로 위치고정됨에 따라 성형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튜브관(T)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튜브관(T) 단부의 내경이 정밀하게 성형된다.
한편, 성형실(42a) 내주면에는 금형본체(42)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공기빼기홀이 다수개소에 형성되고, 공기빼기홀은 팽창튜브(40)의 팽창력이 작용시 튜브관(T)의 외주면과 성형실(42a) 내주면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잔류공기로 인한 성형불량이 방지된다.
100 : 비드링성형부 200 : 비드링결합부
300 : 확장부 400 : 압착성형부

Claims (5)

  1. 양단이 개방된 튜브관(T)를 준비하는 단계(S1);
    복수의 와이어(W)를 고무코팅하여 링형상으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튜브관(T) 양단에 비드링(R)을 끼우고, 튜브관(T) 단부가 비드링(R)을 감싸도록 절곡하는 단계(S3);
    상기 비드링(R)이 끼움결합된 튜브관(T)의 양단부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단계(S4);
    상기 튜브관(T)과 비드링(R)을 일체로 융착성형하는 단계(S5);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2. 튜브관(T) 양단에 비드링(R)을 끼우고 융착성형하여 스프링튜브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와이어(W) 외주면에 고무를 코팅하는 피복기(110)와, 고무가 코팅된 와이어(W)를 링형태로 권취하여 비드링(R)을 형성하는 권취롤러(10)가 구비되는 비드링형성부(100);
    상기 비드링형성부(100)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관(T) 내부에 삽입되는 표본금형(20)과, 표본금형(20) 양단에 위치되어 비드링(R)이 끼움결합되도록 튜브관(T) 단부를 압축하는 압축와이어(22)가 구비되는 비드링결합부(200);
    상기 비드링결합부(200) 일단에 배치되고, 원추형 밀편(32)과 미끄럼운동되어 방사형으로 확장이송되면서 비드링(R)이 끼움결합된 튜브관(T) 단부를 확관하도록 분할금형(30)이 구비되는 확장부(300);
    상기 확장부(300) 일단에 구비되고, 튜브관(T) 내측에 수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튜브(40)와, 튜브관(T)이 수용되는 성형실(42a)이 구비되는 금형본체(42)와, 금형본체(42)의 성형실(42a) 입구를 개폐하고, 일측에 튜브관(T)의 단부와 끼움결합되는 위치고정돌기(44a)가 형성되는 금형도어(44)가 구비되는 압착성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튜브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10)는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의 중심으로 복수의 장공(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2)과, 각각의 장공(12a)을 타고 확장ㆍ축소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금형(14)과, 실린더(C)의 작동에 의해 롤러금형(14)사이로 인입되어 롤러금형(14)을 확장하는 원추형 밀편(16)과, 어느 일측 롤러금형(14)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회전판(12)상에 고정되고, 롤러금형(14)의 확장이송에 의해 초기 진입하는 와이어(W)의 단부를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1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튜브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링결합부(200)는 지지축(20a)을 중심으로 테이블(21)상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표본금형(20)과, 표본금형(20)의 양단부에 1~2회 권취된 상태로 양단부가 역회전방지롤러(23)에 권취되는 압축와이어(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튜브 제조장치.
  5. 제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표본금형(20)은 일측에 고정브라켓(20b)과 다른 일측에 유동브라켓(20c)이 구비되는 지지축(20a)과, 지지축(20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방사형으로 분할되고, 양단부가 고정브라켓(20b)과 유동브라켓(20c)에 삽입고정되는 복수의 분할금형(20A)이 구비되고, 복수의 분할금형(20A)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하는 분할금형(20A)대비 소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튜브 제조장치.
KR1020110054899A 2011-06-08 2011-06-08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KR10105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899A KR101057330B1 (ko) 2011-06-08 2011-06-08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899A KR101057330B1 (ko) 2011-06-08 2011-06-08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330B1 true KR101057330B1 (ko) 2011-08-17

Family

ID=4493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899A KR101057330B1 (ko) 2011-06-08 2011-06-08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12B1 (ko) 2012-06-21 2013-12-10 선진정밀(주) 테이퍼형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확장장치
KR20170031455A (ko) * 2015-09-11 2017-03-21 (주) 동양이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30099946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고산테크 튜브 확관 및 슬리브 삽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656B2 (ja) 1996-09-03 2005-07-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7331288A (ja) 2006-06-16 2007-12-27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ビ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KR100959364B1 (ko) 2009-12-30 2010-05-24 선진정밀(주) 에어 현가장치의 스프링튜브 융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656B2 (ja) 1996-09-03 2005-07-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7331288A (ja) 2006-06-16 2007-12-27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ビ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KR100959364B1 (ko) 2009-12-30 2010-05-24 선진정밀(주) 에어 현가장치의 스프링튜브 융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12B1 (ko) 2012-06-21 2013-12-10 선진정밀(주) 테이퍼형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확장장치
KR20170031455A (ko) * 2015-09-11 2017-03-21 (주) 동양이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724609B1 (ko) * 2015-09-11 2017-04-07 (주) 동양이화 나선형 열수축 튜브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30099946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고산테크 튜브 확관 및 슬리브 삽입 장치
KR102622084B1 (ko) 2021-12-28 2024-01-09 주식회사 고산테크 튜브 확관 및 슬리브 삽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330B1 (ko)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US11633984B2 (en)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rubber, modified rubber, and bulletproof and puncture resistant tire
EP2503178B1 (fr) Membrane pour suspension secondaire à air de véhicule terrestre ou ferroviaire,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suspension et véhicule l'incorporant
ITMI20110721A1 (it) Processo e appara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KR101330872B1 (ko) 타이어 내 자동폭발 방지용 예비 타이어
EP3325283B1 (fr) Pneumatique comprenant des éléments de renfort sous forme de bandelettes multicouches
ITMI942605A1 (it) Pneumatico ad elevata curvatura trasversale particolarmente per ruote di motoveicoli
KR101860449B1 (ko) 엘라스토머 반제품 생산을 위해 압출기의 가열을 제어하는 방법
RU2656474C1 (ru) Барабан для сборки шин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16512479A (ja) グリーン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117002B (zh) 一种轮胎反包胶囊的制备方法
EP3186096B1 (en) Improved tire belt construction
EP3277867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de renfort pour pneumatique
KR101471314B1 (ko) 타이어 캡 플라이 스트립의 제조 방법
ITMO20120225A1 (it) Macchina decoratrice in particolare per la decorazione di prodotti ceramici e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 nastro per decorare tali prodotti ceramici
CN203269142U (zh) 钢球锁紧式气张轴
EP0518759B1 (fr) Perfectionnements aux anneaux limiteurs des supports élastiques et à leurs procédés de fabrication
EP3233456B1 (fr) Moule et procédé pour la vulcanisation d'un adaptateur annulaire de pneumatique sur une jante
CN102877249A (zh) 动力辅助防止中边压力不均匀的纺织染压辊
CN206031210U (zh) 一种汽车遮物帘
CN205602772U (zh) 一种可同时对多卷带进行压料的自动卷带压料设备
KR101338412B1 (ko) 테이퍼형 스프링튜브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확장장치
US2020003160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flexible spring members for gas spring assemblies
FR2858784A1 (fr) Manchon d'impression sans fin, de type multicouche, comprenant une couche d'impression, une couche compressible et une couche de rigidification circonferentielle.
CN109436382A (zh) 一种锁销类分离弹簧拉紧机构、分离装置及分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