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43B1 -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43B1
KR102054943B1 KR1020180063726A KR20180063726A KR102054943B1 KR 102054943 B1 KR102054943 B1 KR 102054943B1 KR 1020180063726 A KR1020180063726 A KR 1020180063726A KR 20180063726 A KR20180063726 A KR 20180063726A KR 102054943 B1 KR102054943 B1 KR 10205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nozzle
semi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489A (ko
Inventor
김관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드
Priority to KR102018006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4Heating or coolin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는, 구리(copper)로 이루어져서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설치하여 자체에 인가되는 열을 상기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제1 선단부 부근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 결합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제2 선단부 부근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설치되어서,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에 열을 인가하는 발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용 노즐 외주면과의 접촉을 견고히 하여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발열코일의 고장 발생시에 해당 발열코일만을 용이하게 수리케 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Nozzle Heater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발열코일의 고장 발생시에 해당 발열코일만을 용이하게 수리케 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는 용융상태의 수지를 노즐을 통해 금형에 주입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기계장치로서, 용융된 수지의 주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노즐에 열을 가함으로써 노즐 내에서의 용융된 수지의 흐름을 원활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노즐을 가열하기 위한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0735호(발명의 명칭: 사출성형기용 히터 및 히터 성형방법, 공개일자: 2004년 1월 7일)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사출성형기용 히터는, 사출 성형기의 가열 대상물의 외면에 일면이 접촉되는 길이재의 열전도성 소재로서 관형태를 갖는 히트 파이프와, 상기 히트 파이프의 외면에 용융 상태로 분사된 뒤 고열로 열처리되어 고체화된 절연 세라믹 내층과, 상기 절연 세라믹 내층이 형성된 히트 파이프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선되고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을 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외면에 용융상태로 분사된 뒤 고열로 열처리되어 고체화되며 열선을 공기와 차단하는 절연 세라믹 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히트 파이프의 외면에 형성된 세라믹 내층 및 외층 사이에 열선을 설치함으로써 사출성형기용 히터를 구성하고, 해당 히터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설치하되, 해당 히터의 히트 파이프 내에 사출성형기용 노즐을 삽입하여서 해당 히터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설치하고, 해당 히터의 열선에 의해 발생된 열을 히터 파이프를 통해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출성형기용 노즐을 가열하였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기용 히터는 자체의 히트 파이프와 사출성형기용 노즐 외주면 사이의 접촉이 미흡함에 기인하여 열전도 효율이 저하되고, 자체 열선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열선 만을 수리하지 못하고 히터 전체를 교체해야 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출성형기용 노즐 외주면과의 접촉을 견고히 하여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발열코일의 고장 발생시에 해당 발열코일만을 용이하게 수리케 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리(copper)로 이루어져서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설치하여 자체에 인가되는 열을 상기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제1 선단부 부근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 결합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제2 선단부 부근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설치되어서,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에 열을 인가하는 발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와의 결합시에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상기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밀착시켜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열코일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공급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곡률반경은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반경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성형기용 노즐 외주면과의 접촉을 견고히 하여 사출성형기용 노즐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발열코일의 고장 발생시에 해당 발열코일만을 용이하게 수리케 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 제1 및 제2 결합부재(220a, 220b) 및 발열코일(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는 열전도율이 양호한 구리(copper)로 이루어져서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제1 결합부재(220a)는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1 선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제2 결합부재(220b)는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2 선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결합부재(220a, 220b)는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는 스냅링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와의 결합시에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밀착시켜 고정한다.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1 선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제1 결합부재(220a)를 결합하면 제1 결합부재(220a)가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1 선단부 부근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2 선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제2 결합부재(220b)를 결합하면 제2 결합부재(220b)가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2 선단부 부근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는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발열코일(230)은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설치되어서, 전력공급단(23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에 열을 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에 의해 열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에 전도시켜서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을 가열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은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아서 금형에 주입한다. 이처럼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이 용융된 수지를 금형에 원활하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에 히터를 설치하여 가열한다.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곡률반경은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반경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는 서로 마주보게 합체시키는 경우에 원통형을 이루는데, 이처럼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원통형으로 합체시켰을 때의 내경은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에 히터를 설치하기 위해서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접촉시켜 놓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1 선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제1 결합부재(220a)를 결합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2 선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제2 결합부재(220b)를 결합하면, 제1 결합부재(220a)는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1 선단부 부근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고, 제2 결합부재(220b)는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제2 선단부 부근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에따라,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는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부재(220a, 220b)에 의해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설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외주면에 발열코일(230)을 권선하여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를 견고하게 밀착시켜 설치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 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의 외주면에 발열코일(230)을 권선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전력공급단(231)을 통해 발열코일(230)에 전력을 공급하면 발열코일(230)이 발열하여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에 인가한다. 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는 발열코일(230)로부터 인가되는 열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전도시켜서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을 가열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210a, 210b)가 제1 및 제2 결합부재(220a, 220b)에 의해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열코일(230)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의 외주면에 원활히 전달할 수 있어 사출성형기용 노즐(100)에 대한 열전도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는 사용중에 발열코일(23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히터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발열코일(230)만을 제거하고서 새로운 발열코일(230)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출성형기용 노즐
210a; 제1 반원통형 열전부재
210b;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
220a; 제1 결합부재
220b; 제2 결합부재
230; 발열코일
231; 전력공급단

Claims (4)

  1. 구리(copper)로 이루어져서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설치하여 자체에 인가되는 열을 상기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제1 선단부 부근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 결합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제2 선단부 부근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설치되어서,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에 열을 인가하는 발열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는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와의 결합시에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상기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스냅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코일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공급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형 열전부재의 곡률반경은 사출성형기용 노즐의 반경과 일치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KR1020180063726A 2018-06-01 2018-06-01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KR102054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26A KR102054943B1 (ko) 2018-06-01 2018-06-01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26A KR102054943B1 (ko) 2018-06-01 2018-06-01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89A KR20190137489A (ko) 2019-12-11
KR102054943B1 true KR102054943B1 (ko) 2019-12-12

Family

ID=6900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26A KR102054943B1 (ko) 2018-06-01 2018-06-01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179B1 (ko) 2019-10-31 2020-10-20 주식회사 온코빅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헤테로 고리 치환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156B2 (ja) * 1996-08-15 2001-09-17 ヤマハ株式会社 自動伴奏パターン発生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330B1 (ko) * 1999-12-10 2005-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사출성형용 액체주입 노즐
JP3209156U (ja) * 2016-11-18 2017-03-09 雄史 山田 射出成形機用ノズルヒー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156B2 (ja) * 1996-08-15 2001-09-17 ヤマハ株式会社 自動伴奏パターン発生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89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97566A (ja) 加熱されるノズル本体セグメント及び加熱されないノズル本体セグメントを有するノズル本体を備えたノズル
KR102054943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히터
CN108701910B (zh) 用于密封导线连接上的触点的方法和装置
JPS6212437B2 (ko)
JPS6340993B2 (ko)
KR970002299B1 (ko) 사출성형기용 히터
JP2019509010A5 (ko)
EP1413418B1 (en) Apparatus for heating injection molding fluid
KR102211294B1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KR101797719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기구
CN102788219A (zh) 一种塑料管道连接用电热熔塑料管件及其生产方法
US5645874A (en) Multiple gate injection nozzle
KR102193936B1 (ko) 합성수지관 연결 방법 및 그 연결 구조
JP6318435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の補強装置
KR102015096B1 (ko) 휴대형 열 수축 튜브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 수축 튜브 성형 방법
JPWO2021149832A5 (ko)
KR20170052915A (ko) 발열 와이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 와이어
JP2016033391A (ja) 樹脂管と樹脂継手の接続方法および配管ユニット
JP2005132088A (ja) ノズル及び取外し自在で交換自在の加熱装置を備えたノズ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7356509B2 (ja) 電気融着継手および接続方法
JP3203692B2 (ja) プラスチック製電熱融着継手の製造方法
CN210484958U (zh) 一种感应热熔管连接接头
CN216329894U (zh) 自紧式加热器及加热结构
CN108194719A (zh) 一种缠绕管的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JP2011079278A (ja) 樹脂成形品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