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65B1 -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 Google Patents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65B1
KR101720765B1 KR1020150030498A KR20150030498A KR101720765B1 KR 101720765 B1 KR101720765 B1 KR 101720765B1 KR 1020150030498 A KR1020150030498 A KR 1020150030498A KR 20150030498 A KR20150030498 A KR 20150030498A KR 101720765 B1 KR101720765 B1 KR 10172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plate
jaws
assembl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579A (ko
Inventor
염정아
Original Assignee
아이티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엘(주) filed Critical 아이티엘(주)
Priority to KR102015003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은, 지주의 상부에 안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이 상기 측판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턱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이 상기 측판의 하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상턱과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하턱을 포함하는 함체와, 상기 측판 및 상기 상턱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측판 및 상기 상턱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ASSEMBLY TYPE BRANCH BOX FOR OUTDOOR}
본 발명은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분전함을 부분품으로 모듈화하여 옥외의 필요한 장소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이 용이한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분전함은 재단된 철판을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으로 제작되는 분전함은 용접부분의 국부적인 가열이 판재를 변형시켜 형상이 뒤틀리고, 왜곡됨으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며, 양산되지 못하고 수작업으로 생산성이 떨어짐으로 인하여 생산단가가 높아져서 제품단가의 상승을 유발한다.
옥외용(예:가로등용) 분전함을 용접으로 때워서 붙이는 제작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가 달라져서 제품규격이 정밀하지 못하고, 관리 측면에서도 노후나 파손부위의 부분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체를 폐기하는데, 이에 따른 환경오염과 비용의 낭비가 발생된다.
또한, 완성된 분전함을 유통함에 있어서도, 완제품으로 보관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보관장소의 제약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접방식으로 제작된 분전함은 용접 불량 및 노후화에 따라 틈새가 발생되는데, 특히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여 분전함 내부로 유입되어 예컨대, 분전함 내부에 전기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누전으로 인하여 차단기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6095호(발명의 명칭: 분전함, 공개일자:2014년 10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함을 부분품으로 모듈화하여 옥외의 필요한 장소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이 용이한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분전함이 조립식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종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용접개소를 생략할 수 있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함체에 방수구조를 구비하여 함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과 같은 감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은, 지주의 상부에 안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판의 상부에 각각 조립되는 상턱과, 상기 상턱과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판의 하부에 각각 조립되는 하턱과, 상기 함체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함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을 포함하는 함체를 구성하되,
상기 측판은, 그 하부에 서로 마주보는 측판을 향하여 절곡되는 좌판이 각각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상턱과 하턱이 각각 조립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에 대해 상기 상턱과 상기 하턱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상하방수턱이 구성되고,
상기 상턱의 하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상하방수턱의 상부와 연속되게 조립되는 제1수평방수턱이 구성되고,
상기 하턱의 상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상하방수턱의 하부와 연속되게 조립되는 제2수평방수턱이 구성되고,
상기 도어는, 그 내측에 상기 도어에 의한 상기 개구의 밀폐시 상기 제1수평방수턱, 제2수평방수턱 및 상하방수턱을 덮는 절곡턱과, 그 타측에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락킹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절곡턱과 상기 제1수평방수턱, 제2수평방수턱 및 상하방수턱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절곡턱과 상기 제1수평방수턱, 제2수평방수턱 및 상하방수턱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하턱은, 상기 측판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측판의 하부를 감싸는 하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전함을 부분품으로 모듈화하여 옥외의 필요한 장소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분전함이 조립식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종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용접개소를 생략할 수 있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함체에 방수구조를 구비하여 함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과 같은 감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측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상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상턱의 2가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하턱의 2가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하턱의 또 다른 모습들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도어의 정면과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측판과 상턱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측판과 상턱이 결합되어 방수구조를 이루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이 지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측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상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상턱의 2가지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하턱의 2가지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하턱의 또 다른 모습들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도어의 정면과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측판과 상턱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의 측판과 상턱이 결합되어 방수구조를 이루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이 지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은, 함체(100)와 상판(200) 및 도어(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100)는 측판(110), 상턱(120), 하턱(130)이 조립되어 대체로 관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이러한 함체(100)의 내부에는 분전반(미도시)과 같은 전자기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식성의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함체(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상부에 안착되되, 하부가 개구되어 하부의 개구를 통해 지중으로부터 케이블(미도시)이 함체(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함체(100)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턱(130)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판(140)이 조립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하턱(130)과 하판(140)은 모두 측판(110)과 조립될 수 있다.
도 1과 도 9에서 측판(110)과 상하턱(120, 130)이 조립됨에 있어서 측판(110) 또는 상하턱(120, 130)에 연장된 날개를 겹쳐 볼트조립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연결부재(20)를 통하여 동일하게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바닥면에는 함체(100) 내부에 구비된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하턱 사이에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지만, 도 6에 도시된 관통홀(141)이 형성된 하판(140)이 하턱(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판(140)에 형성된 관통홀(141)을 통해 케이블이 함체(10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측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110)은 베이스판(111)과 한 쌍의 절곡판(112)을 포함하는데, 베이스판(111)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측판(110)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좌판(114)이형성되어 지주의 상부에 안착되며, 절곡판(112)은 양측에서 베이스판(111)의 길이(상하)방향에서 일측을 향하여 각각 절곡된다.
상기와 같은 절곡판(112)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턱(120)과 하턱(130)이 각각 조립되는데, 한 쌍의 하턱(130)에는 하부에 마주보는 하턱(13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좌판(132)가 형성되며, 베이스판(111)으로부터 절곡된 제1좌판(114)과 마찬가지로 지주의 상부에 안착하여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측판(11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부재이며, 이러한 한 쌍의 측판(110) 사이에는 한 쌍의 상턱(120)과 한 쌍의 하턱(130)이 설치된다.
상기 상턱(120)과 하턱(130)은 한 쌍의 측판(1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양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측판(11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함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0), 상턱(120) 및 하턱(130)이 조립됨으로 인하여 양측에 개구(10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101)는 후술할 도어(300)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상술한 측판(110), 상턱(120), 하턱(130)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방수턱들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방수턱들은 대체로 "ㄱ"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개구(101) 둘레의 외부를 대체로 "ㅁ"자 형상으로 둘러쌓아 우수가 개구(101)를 통해 함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곡판(11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턱(120)과 하턱(130)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상하방수턱(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턱(12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수평방수턱(1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수평방수턱(121)의 양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수턱(113)의 상부와 연속되게 조립되어 우수가 제1수평방수턱(121)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하방수턱(1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턱(130)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수평방수턱(13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수평방수턱(131)의 양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수턱(113)의 하부와 연속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개구(101)의 둘레를 둘러 쌓는 방수턱들은 도어(300)의 절곡턱(33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는데, 이러한 도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판(110), 상턱(120), 하턱(130)이 조립되면서 형성되는 개구(10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300)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0)가 구비되어 함체(1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101)를 개폐하는데, 상기 회전부재(310)는 예컨대, 경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0)의 타측에는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수단(32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락킹수단(320)은 도어(300)의 외부에서 키(key)를 매개로 작동되어 측판(110)의 내주면에서 회전되면서 선택적으로 도어(300)가 개구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도어(300)의 내측에는 절곡턱(3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곡턱(3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턱(12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제1수평방수턱(121)의 외부를 덮어 우수가 제1수평방수턱(121)의 내부로 최소한으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절곡턱(330)이 제1수평방수턱(121)을 덮음으로 인하여 개구(101)로 우수가 침투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곡턱(330)은 상하방수턱(113)과 제2수평방수턱(131)의 외부를 덮는 것도 바람직한데, 상하방수턱(113)을 절곡턱(330)으로 덮는 경우, 제1수평방수턱(121)을 따라 이동되는 우수가 측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하방수턱(113)과 제2수평방수턱(131)을 절곡턱(330)으로 덮는 것은 측면과 하방으로부터 살수되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방수턱들과 도어 사이로부터 분전함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에 대하여 보다 강화된 수분 침투 방지단계를 적용하기 위하여 방수패킹(30)을 형성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도어(300)의 회전방향을 우측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좌우측 모두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어(300)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턱(330)과 하부에 형성된 절곡턱(330)의 형상은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부의 절곡턱(330)이 통일되면, 도어(300)의 설치위치 및 도어의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제1수평방수턱(121)과 제2수평방수턱(131)의 크기 및 형상도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턱(330)에 의해 외부에서 함체(100)의 내부로의 접근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전자기기들은 밀폐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310)는 절곡턱(330)과 방수턱들(제1수평방수턱(121), 제2수평방수턱(131) 및 상하방수턱(1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어(3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회전부재(310)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00)은 함체(100)의 상부를 밀폐하는 역할의 부재로서, 이러한 상판(200)은 함체(100)의 상부에서 측판(110)과 상턱(120)의 외주면을 접하여 겹쳐 둘러싸여서 함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여 함체(100)의 내부로 우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판(200)은 측판(110)과 상턱(120)의 상부에서 볼트를 매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되는 볼트는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가 납작하고 회전을 방지하는 근각볼트(미도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함체
200-상판
300-도어

Claims (8)

  1. 지주의 상부에 안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판의 상부에 각각 조립되는 상턱과, 상기 상턱과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판의 하부에 각각 조립되는 하턱과, 함체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함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의 외주면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을 포함하는 함체를 구성하되,
    상기 측판은, 그 하부에 서로 마주보는 측판을 향하여 절곡되는 좌판이 각각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상턱과 하턱이 각각 조립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에 대해 상기 상턱과 상기 하턱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상하방수턱이 구성되고,
    상기 상턱의 하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상하방수턱의 상부와 연속되게 조립되는 제1수평방수턱이 구성되고,
    상기 하턱의 상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상하방수턱의 하부와 연속되게 조립되는 제2수평방수턱이 구성되고,
    상기 도어는, 그 내측에 상기 도어에 의한 상기 개구의 밀폐시 상기 제1수평방수턱, 제2수평방수턱 및 상하방수턱을 덮는 절곡턱과, 그 타측에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락킹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절곡턱과 상기 제1수평방수턱, 제2수평방수턱 및 상하방수턱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절곡턱과 상기 제1수평방수턱, 제2수평방수턱 및 상하방수턱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턱은,
    상기 측판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측판의 하부를 감싸는 하판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20150030498A 2015-03-04 2015-03-04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172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98A KR101720765B1 (ko) 2015-03-04 2015-03-04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98A KR101720765B1 (ko) 2015-03-04 2015-03-04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79A KR20160107579A (ko) 2016-09-19
KR101720765B1 true KR101720765B1 (ko) 2017-04-10

Family

ID=5710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98A KR101720765B1 (ko) 2015-03-04 2015-03-04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168B1 (ko) * 2019-04-09 2020-01-03 이인석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KR102344213B1 (ko) 2021-05-13 2021-12-27 문현호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709A (ja) 1998-08-28 2000-03-14 Nissin Electric Co Ltd 屋外形配電盤の防水装置
JP2001339815A (ja) * 2000-05-29 2001-12-07 Fujitekki:Kk 組立式箱
JP2008166601A (ja) * 2006-12-28 2008-07-17 Kawamura Electric Inc 電気機器収納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709A (ja) 1998-08-28 2000-03-14 Nissin Electric Co Ltd 屋外形配電盤の防水装置
JP2001339815A (ja) * 2000-05-29 2001-12-07 Fujitekki:Kk 組立式箱
JP2008166601A (ja) * 2006-12-28 2008-07-17 Kawamura Electric Inc 電気機器収納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79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511A (en) Control box with a frame structure
KR101256985B1 (ko) 수동형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US9603269B2 (en) Modular enclos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720765B1 (ko)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1830875B1 (ko) Cctv 카메라를 위한 제어함체의 결합구조
US9276346B1 (en) Gasketless flip lid for a flanged power inlet receptacle
CN202889848U (zh) 一种户外通信设备及电力传输设备的防水拼装机柜
KR101784654B1 (ko) 반지상 개폐기 및 그 설치방법
JP2011093542A (ja) 屋外用アルミニウム製収納箱
WO2016062184A1 (zh) 一种用于室外机柜的防盗固定装置
KR101841839B1 (ko) 조립식 전장박스
KR200459285Y1 (ko) 옥외 설치용 함체 및 그 옥외 설치용 함체에 사용된 함체 보호 커버
CN105182027A (zh) 一种电表计量箱
CN204086626U (zh) 光缆分纤箱的密封防盗结构
JP5680250B1 (ja) 化粧部材
KR20150001076U (ko) 지붕판넬 어셈블리
JP2020036408A (ja) 仮送電装置
CN210577206U (zh) 一种安防设备的安装箱
CN205544490U (zh) 一种一体式车用充电桩
JP6824692B2 (ja) キャビネットカバー体
GB2500435A (en) Double-insulated isolation and distribution box for railway signalling allowing part shutdown for live working
JP3165940U (ja) 地中電線路用埋設ボックスの止水構造
JP5645680B2 (ja) 工作機械に据え付ける制御盤用防水性筺体
KR200457709Y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102167900B1 (ko) 지중저압분전함 및 지중저압분전함을 설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