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213B1 -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 Google Patents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213B1
KR102344213B1 KR1020210061857A KR20210061857A KR102344213B1 KR 102344213 B1 KR102344213 B1 KR 102344213B1 KR 1020210061857 A KR1020210061857 A KR 1020210061857A KR 20210061857 A KR20210061857 A KR 20210061857A KR 102344213 B1 KR102344213 B1 KR 10234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tribution box
panels
earthquak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호
Original Assignee
문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호 filed Critical 문현호
Priority to KR102021006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부재(100); 상호 분할된 한 쌍의 측부 판넬(200); 측부 판넬(200)들 사이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분전함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전후 판넬(300); 측부 판넬(200) 및 전후 판넬(300)의 하측에서 조립되어 분전함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부재(600); 한 쌍의 전후 판넬(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400); 및 한 쌍의 전후 판넬(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500);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OUTDOOR ASSEMBLED DISTRIBUTION SWITCHBOARD BOX WITH EARTHQUAKE-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분전함은 재단된 철판을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분전함은 용접부분의 국부적인 가열이 판재를 변형시켜 형상이 뒤틀리고, 왜곡됨으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며, 양산되지 못하고 수작업으로 생산성이 떨어짐으로 인하여 생산단가가 높아져 제품 단가의 상승을 유발한다.
또한, 옥외용(예: 가로등용, 신호등용) 분전함을 용접으로 때워서 붙이는 제작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가 달라져서 제품규격이 정밀하지 못하고, 관리 측면에서도 노후나 파손부위의 부분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체를 폐기하는데, 이에 따른 환경오염과 비용의 낭비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에는 분전함의 유통 과정에서 완제품으로 보관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보관장소의 제약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접방식으로 제작된 분전함은 용접 불량 및 노후화에 따라 틈새가 발생 되는데, 특히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 수분이 침투하여 분전함 내부로 유입되어 예컨대, 분전함 내부에 전기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누전으로 인하여 차단기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옥외용 분전함은 도로변에 설치됨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들로 인한 진동이나 지진, 장마, 강풍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단순히 노면에서 일정높이 이상의 건축구조물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와 같은 충격이나 진동을 대비하고 있으나 일정 레벨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손상이 발생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강화된 내진 기능을 갖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7579호(2016.09.19)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노면 및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으로부터 보다 완벽하게 내부 전기 시설을 보호할 수 있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분전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부재와, 상호 분할된 한 쌍의 측부 판넬과, 측부 판넬들 사이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분전함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전후 판넬과, 측부 판넬 및 전후 판넬의 하측에서 조립되어 분전함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부재와, 한 쌍의 전후 판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 및 한 쌍의 전후 판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옥외용 분전함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따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조립식 구조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내구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함체를 보호할 수 있고, 바닥과 함체의 측부와 상부를 모두 보호할 수 있어 지진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분전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분전 함체의 분해 도면이다.
도 3은 측부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전후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측부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후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어 프레임과 전후 판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하부 부재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내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내진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내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이용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분전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분전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분전함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넬(30)과, 베이스 판넬(30)에서 직립된 지지 부재(20)와, 지지 부재(20)에 의해 전기장치를 수용하는 분전 함체(10)를 포함한다.
분전 함체(10)는 복수의 판넬들이 나사 및/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 치구들에 의해 조립되어 내부에 차단기 및 기타 전기의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전기 장치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다.
지지 부재(20)는,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로서 설명하자면, 베이스 판넬(30)로부터 직립 된 기둥으로서 분전 함체(10)를 지지한다.
베이스 판넬(30)은 금속재질의 판넬로서 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20)와 베이스 판넬(30)은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서 사업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베이스 판넬(30) 및 지지 부재(2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대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분전 함체(10)는 도로를 주행하는 대형 차량에 의해 발생되어 노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 지진이나 강풍과 같은 환경적인 용인으로부터 내부장치 및 분전 함체(10)의 찌그러짐이나 이탈, 찢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내진부(630)(도 11 참조)와 제2 내진부(640)(도 12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전 함체(10)는 조립식으로 복수의 판넬로 분리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되어 현장에서 조립 가능하다. 여기서 분전 함체(10)는 외부에서의 수분의 침투와,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끼움식 구조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구조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분전 함체(10)의 분해 도면, 도 3은 측부 판넬(200)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전후 판넬(300)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어 프레임(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분전 함체(10)는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부재(100)와, 상호 분할된 한 쌍의 측부 판넬(200)과, 측부 판넬(200)을 끼움시켜 전후면을 이루는 전후 판넬(300)과,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부재(600)와, 전후 판넬(300)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400)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100)는 편평한 상부판(110)과, 상부판(110)의 각 변에서 하향 되는 상부 벽면(1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부재(100)는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 중 적어도 하나와 나사 또는 볼트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100)는 복수의 체결공(130)을 더 포함한다.
측부 판넬(200)은 상호 이격되어 전후 판넬(300)이 각각 조립되어 양 측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측부 판넬(200)은 직립된 측부판(210)과, 측부판(210)의 양끝단에서 절곡되어 전후판(310)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측부 절곡단(220)과, 측부 판넬(200)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절곡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판(210)은 분전 함체(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직립 된다.
측부 절곡단(220)은 측부판(210)의 양측 변에서 전후 판넬(300)측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측부 절곡단(220)은 후술되는 전후판(310)의 끼움홈(330)에 끼움될 수 있다. 이때, 측부 절곡단(220)은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고 하향 연장되는 제1 측부단(221)과, 제1 측부단(22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2 측부단(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부단(221) 및 제2 측부단(222)은 측부판(210)의 일면에서 하향 연장형성되되, 측부판(210)의 측변과 이격된 공간(211)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이격된 공간(211)은 전후 판넬(300)의 단부에 밀착되는 영역이다.
하부 절곡단(230)은 측부판(210)의 하단에서 절곡된다. 여기서 하부 절곡단(230)은 하부 부재(600)의 상면과 조합되어 분전 함체(10)의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전후 판넬(300)은 측부 판넬(200) 사이에 전면과 후면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후 판넬(300)은 직립된 전후판(310)과, 전후판(310)의 양측 단부에서 내향된 끼움홈(330)과, 전후판(310)의 중심부에서 관통되는 개구창(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판(310)은 직립 판재로 이루어져 측부 판넬(200) 사이에서 분전 함체(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판(310)은 후술되는 도어 프레임(400)의 체결을 위하여 관통된 복수의 삽입홀(311)과, 도어 프레임(40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40)이 연통되는 고정단(31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311)은 복수로서 전후판(310)의 전면과 후면을 연통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홀(311)은 도어 프레임(400)이 끼움식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개구창(320)의 외측을 이루는 전후판에서 복수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고정단(312)은 전후판(310)의 후면에서 삽입홀(311)을 중심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고정단(312)의 중심부는 고정수단(440)이 연통 및 체결될 수 나사홀(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창(320)은 전후판(310)의 중심부에서 도어 프레임(400)의 형상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개구 형성된다.
끼움홈(330)은 전후판(310)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서 측부 판넬(200)의 제1측부단(221)과 제2측부단(222)이 끼움된다. 여기서 끼움홈(330)은 측부 절곡단(220)의 형성에 일치되도록 내향된 깊이에 차이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움홈(330)은 측부 절곡단(220)의 제1 측부단(221)이 끼움될 수 있는 폭을 갖는 제1홈(331)과, 제2 측부단(222)이 끼움되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제2홈(3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홈(331)은 전후판(310)의 상측 단부에서 하향 되도록 연장되어 측부 절곡단(220)의 제1 측부단(221)을 수용한다.
제2홈(332)은 제1홈(331)의 하측 단부에서 전후판(3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2홈(332)은 제1홈(331)의 하측에서 연장된다.
여기서 끼움홈(330)은 다양한 실시예로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끼움홈(330)은 제1 측부단(221)과 제2 측부단(222)의 위치에 따라 제1홈(331)과 제2홈(33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측부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전후 판넬(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부 절곡단(220)과 제1홈(331)과 제2홈(332)은 엇갈린 비대칭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측부 판넬(20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절곡단(220)은 제1 측부단(221)이 상측, 제2 측부단(222)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마주보는 위치의 다른 측부 판넬(200)에서 측부 절곡단(220')은 상측에 제2 측부단(222'), 하측에 제1 측부단(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전후 판넬(300)은 위와 같은 측부 판넬(200)의 엇갈림 비대칭 구조에 일치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서 제1홈(331, 331')과 제2홈(332, 332')의 위치를 엇갈림 비대칭 구조로서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측부 판넬(200)의 제1 측부단(221)과 제2 측부단(222)이 끼움되는 제1홈(331)과 제2홈(332)은 상하 방향으로 순차 형성되고, 제2측부 판넬(200)의 제2 측부단(222')이 끼움되는 제2홈(332')을 상측, 제2측부 판넬(200)의 제1 측부단(221')이 끼움되는 제1홈(331')을 하측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간의 결합구조를 상호 엇갈림 비대칭 구조로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후 판넬(300)과 측부 판넬(200)간의 조립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400)은 개구창(3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개구창(320)을 개폐하는 도어(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 판넬(300)의 외면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도어 프레임(400)은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어 프레임과 전후 판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프레임(400)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410)와, 프레임 본체(410)에 의해 구획된 빈공간으로 이루는 프레임 개구(420)와, 프레임 본체(410)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프레임 연결단(430)을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410)는 프레임 개구(420)를 구획하도록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프레임 본체(410)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의 끝단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내측에 프레임 개구(420)를 구획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단(430)은 프레임 본체(410)의 후면에서 돌출되며, 중심부에 고정수단(440)이 연통될 수 있도록 나사홀(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연결단(430)은 전후 판넬(300)의 삽입홀(311)을 통해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단(312) 사이로 인출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 연결단(430)과 한 쌍의 고정단(312)은 동일한 고정수단(440)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도어 프레임(400)은 한 쌍의 전후판(310)에 모두 체결되거나, 어느 하나에만 체결될 수 있다. 이는 분전함의 용도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하부 부재(600)는 전후 판넬(300)과 측부 판넬(200)의 하부로 조립되어 분전 함체(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하부 부재(600)의 설명은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하부 부재를 도시한 분해 도면, 도 10은 제1 내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부재(600)는 측부 판넬(200)에 결합되는 바닥 함체(610)와, 바닥 함체(610)를 밀폐시키는 하부 커버(620)와, 지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및/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내진부(630)를 포함한다.
바닥 함체(610)는 편평한 평면을 이루는 바닥판(611)의 각 변에서 직립된 복수의 벽면(6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 함체(610)는 바닥판(611)에서 제1 내진부(630)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613)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 함체(610)의 직립된 벽면(612)은 측부 판넬(200)과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나사공(612a)이 포함된다.
또한, 바닥 함체(610)는 직립된 벽면의 내측에서 하부 커버(6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단(614)이 형성된다. 지지단(614)은 관통되는 나사공(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620)는 바닥 함체(610)의 내측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분전함의 바닥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 커버(620)는 바닥 함체(610)의 상면에 체결되어 밀폐시키는 커버판(621)과, 커버판(62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높이 보상판(622)을 포함한다.
커버판(621)은 바닥 함체(610)의 상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편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판(621)은 바닥 함체(610)의 상면에 나사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공(621a)이 포함될 수 있다. 커버판(621)의 나사공(621a)은 바닥 함체(610)의 지지단(614)에 형성된 나사공(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과 일치한다.
즉, 커버판(621)은 바닥 함체(610)의 지지단(614)에 설치되고, 이후 연통되는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바닥 함체(610)의 상면에 고정된다.
높이 보상판(622)은 커버판(6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판넬이 추가 적층되어 분전함의 바닥면을 이룬다. 여기서 높이 보상판(622)은 커버판(621)의 상면에 놓여지는 측부 판넬(200) 및 전후판(310)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적층 또는 상향 단차된 일체형의 판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부 판넬(200)의 하부 절곡단(230)은 커버판(621)의 상면에 놓인다. 하부 절곡단(230)은 커버판(621)의 상면에 놓임에 따라 분전함체의 바닥면의 높이가 고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발명은 커버판(621)의 상면에 단차를 이루는 높이 보상판(622)을 구성함에 따라 높이차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분전 함체(10)의 바닥면은 고르고 편평한 면으로 조립될 수 있다.
커버판(621)의 상면은 하부 절곡단(230)과 전후 판넬(300)의 하단이 놓여지는 영역이 구성되고, 하부 절곡단(230)의 두께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높이 보상판(622)이 그 외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내진부(63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바닥함체를 통해 분전 함체(10)로 진동이 전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내진부(630)는 복수의 스프링(632)과, 각 스프링(632)을 수용하도록 커버판(621)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수용 하우징(631)과, 스프링(632)에 탄성 지지되는 제1 고정볼트(635)와, 제1 고정볼트(635)에 체결되는 체결판(633)과, 커버판(621)을 지지하는 제2 고정볼트(636)와, 제2 고정볼트(636)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수단(6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볼트(635)는 바닥판(611)의 하측에서 인입되어 수용 하우징(63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제1 고정볼트(635)는 그 끝단이 수용 하우징(631)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2 고정볼트(636)는 바닥판(611)의 하측에서 인입되어 볼트 체결수단(634)에 체결된다. 여기서 제2 고정볼트(63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볼트 체결수단(634) 역시 이와 동일한 숫자가 적용될 수 있다.
수용 하우징(631)은 커버판(621)의 하면에서 복수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 하우징(631)은 내측에 스프링(632)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룬다.
체결판(633)은 수용 하우징(631)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체결판(633)은 바닥 함체(610)의 바닥판(611)을 통하여 삽입되는 제1 고정볼트(635)의 외면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체결판(633)은 중심부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제1 고정볼트(635)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1 고정볼트(635)는 하측에서 인입되면서 체결판(633)에 체결되고, 이때, 체결판(633)은 제1 고정볼트(635)의 외면에 체결되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승강 되면서 스프링(632)을 압축한다.
즉, 체결판(633)은 제1 고정볼트(635)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승강되면서 스프링(632)을 압축할 수 있다.
이때, 수용 하우징(631)은 내면에서 체결판(633)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는 지진으로 인한 강한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 하측에서 진동이 가해지면 그 힘에 의해 부러질 수 있을 정도의 두께 및/또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하자면, 제1 고정볼트(635)는 그 끝단이 수용 하우징(631)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체결판(633)을 통해 스프링(632)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스프링(632)은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면 커버판(62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체결판(633)은 제1 고정볼트(635)를 통해 설정된 강도 이상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 스토퍼가 부러짐에 따라 이전보다 강한 탄성력을 통해 커버판(62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지진이나 강풍으로 인한 충격의 정도에 따라서 커버판(621)을 지지하는 탄성력이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고정볼트(635) 및 스프링(632)의 결합관계는 지진 등이 발생 될 경우에 제2 고정볼트(636)로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을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고정볼트(635)와 스프링(632)은 제2 고정볼트(636)가 부러짐 또는 휘어지더라도 바닥 함체(6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하부 부재(600)의 내진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1 내진부(630) 외에 지진이나 노면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분전 함체(10) 내에 제2 내진부를 더 구비한다.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2 내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내진부(640)는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의 판스프링(641)과, 판스프링(641)들을 연결하는 스프링 연결수단(642)과, 판스프링(641)을 분전 함체(10)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수단(643)과, 분전 함체(10)의 벽면들을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시트(650)를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641)들은 복수가 겹쳐진 상태이되, 상호 이격되어 분전 함체(10)의 벽면(예를 들면, 측부판(210))에서 상부 부재(100)의 상부판(110) 하면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판스프링(641)들은 상호 이격되어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프링 연결수단(642)에 의해 연결된다.
스프링 연결수단(642)은, 예를 들면, 볼트식 장치로서 복수의 판스프링(641)들을 관통하여 상호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로 고정한다.
스프링 고정수단(643)은 판스프링(641)들의 양측 끝단을 관통하여 측부 판넬(200)에 고정시킨다. 스프링 고정수단(643)은 하나 이상으로서 상부 부재(100) 및 측부 판넬(200)을 연통하여 판스프링(641)들의 한쪽 끝단을 고정 시킨다.
보강시트(650)는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 및 상부판(1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접착되는 섬유 및/또는 금속 재질의 시트이다. 예를 들면, 보강시트(650)는 접착액이 도포되는 글라스 파이버 시트로서 측부 판넬(200)의 내면 또는 상부판(110)의 하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은 보강시트(650)는 측부판(210) 및 상부판(110)의 일면에 접착됨에 따라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측부판(210)과 상부판(110)등은 이동 중 또는 시공 후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판 자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보강시트(650)는 상술한 얇은 접착시트임에 따라 섬유재질의 시트임에 따라 매우 경량화된 소재이다. 따라서 보강시트(650)는 중량을 증가하지 않은 대신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넬(30)에서 직립된 지지 부재(20)에 의해 분전 함체(10)가 고정 및 지지 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분전 함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판넬로 분리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되어 현장에서 조립 가능하다.
즉, 분전 함체(10)는 상부 부재(100)와, 상호 분할된 한 쌍의 측부 판넬(200)과, 측부 판넬(200)을 끼움시켜 전후면을 이루는 전후 판넬(300)과,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부재(600)와, 전후 판넬(300)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400)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500)가 분해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송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들의 일면(예를 들면, 측부판(210)의 내면, 상부판(110)의 하면, 전후판(310)의 내면)에는 보강시트(650)가 접착된 상태이다. 또는 보강시트(650)는 조립과 동시에 접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측부판(210)이 양 끝단에서 절곡된 측부 절곡단(220)을 전후판(310)의 끼움홈(330)에 삽입한 뒤에 전후판(310)의 삽입홀(311)을 통하여 볼트 또는 나사를 삽입하여 전후 판넬(300)의 양측에 각각 측부 판넬(200)을 조립한다.
또는, 작업자는 도어 프레임(400)을 전후판(310)의 일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프레임 본체(410)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프레임 연결단(430)을 삽입홀(311)로 삽입시켜 전후판(310)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단(312)들 사이로 인출시킨 후 고정수단(440)을 연통시켜 도어 프레임(400)을 조립한다.
또한, 작업자는 이와 같이 도어 프레임(400)과 전후 판넬(300)간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어(500)를 설치할 수 있다. 도어(500)는 투명창 또는 기타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고정 장치 및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 또는 그 이전에 하부 부재(600)의 조립을 진행할 수 있다.
하부 부재(600)는 바닥 함체(610)의 내측으로 하부 커버(620)를 인입한 뒤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1 내진부(630)의 제1 고정볼트(635)는 바닥판(611)에서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커버판(621)의 하면에 형성된 볼트 체결수단(634)에 체결된다.
또한, 제2 고정볼트(636)는 바닥판(611)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된 수용 하우징(631)의 내측ㅇ로 인입되어 체결판(633)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판(633)은 수용 하우징(631)의 내측에서 스프링(632)을 지지한다. 즉, 제2 고정볼트(636)는 체결판(633)이 외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수용 하우징(631)의 상단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하부 부재(600)는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이 커버판(621)의 상면으로 조립된다. 이때,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은 바닥 함체(610)의 직립된 벽면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고정수단(440)이 연통되면서 바닥 함체(610)에 조립된다.
아울러, 측부 판넬(200) 및 전후 판넬(300)은 커버판(621)의 상면에서 높이 보상판(622)과 단차가 형성된 영역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커버판(621) 및 높이 보상판(622)으로 이루어진 분전 함체(10)의 바닥면은 높이 차가 발생 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내진부(640)는 상부 부재(100)의 조립 이전에 측부판(210) 및 상부판(110)의 하면 사이에 연장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진부(640)는 측부판(210)과 전후판(310) 사이로 연장되도록 설치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옥외용 분전함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보강시트(650)와, 전후 판넬(300) 및 측부 판넬(200)간의 끼움식 구조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내진부(630)와 제2 내진부(640)를 구비함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로 인해 지면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강풍 및 지진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내부 전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분전 함체 20 : 지지 부재
30 : 베이스 판넬 100 : 상부 부재
110 : 상부판 120 : 상부 벽면
200 : 측부 판넬 210 : 측부판
220 : 측부 절곡단 221, 221' : 제1 측부단
222, 222' : 제2 측부단 230 : 하부 절곡단
300 : 전후 판넬 310 : 전후판
311 : 삽입홀 312 : 고정단
320 : 개구창 330 : 끼움홈
331, 331' : 제1홈 332, 332' : 제2홈
400 : 도어 프레임 410 : 프레임 본체
420 : 프레임 개구 430 : 프레임 연결단
440 : 고정수단 500 : 도어
600 : 하부 부재 610 : 바닥 함체
611 : 바닥판 612 : 바닥 벽면
613 : 관통홀 620 : 하부 커버
621 : 커버판 622 : 높이 보상판
630 : 제1 내진부 631 : 수용 하우징
632 : 스프링 633 : 체결판
634 : 볼트 체결수단 635 : 제1 고정볼트
636 : 제2 고정볼트 640 : 제2 내진부
641 : 판스프링

Claims (9)

  1.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부재(100);
    상호 분할된 한 쌍의 측부 판넬(200);
    측부 판넬(200)들 사이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분전함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전후 판넬(300);
    측부 판넬(200) 및 전후 판넬(300)의 하측에서 조립되어 분전함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부재(600);
    한 쌍의 전후 판넬(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400); 및
    한 쌍의 전후 판넬(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500);를 포함하고,
    측부 판넬(200)은
    직립되어 분전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판(210);
    측부판(210)의 양 끝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절곡단(220); 및
    측부판(210)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하부 부재(600)의 상면에 체결되는 하부 절곡단(230); 을 포함하고,
    측부 절곡단(220)은
    하향 연장되는 제1 측부단(221)과, 제1 측부단(22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측부단(222); 을 포함하고,
    전후 판넬(300)은
    직립되어 도어 프레임(400)이 체결되는 일면에서 관통된 개구창(320)이 형성되는 전후판(310); 및
    전후판(310)의 양측 단부에서 내향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측부 절곡단(220)의 끝단이 끼움되는 끼움홈(330); 을 포함하고,
    끼움홈(330)은
    양측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1 측부단(221)이 끼움되는 제1홈(331)과, 제1홈(33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내향되어 제2 측부단(222)이 끼움되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제2홈(332); 을 포함하고,
    전후판(310)은
    일면에서 개구창(320)을 중심으로 이격 및 관통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311); 및
    반대면에서 삽입홀(311)을 중심으로 이격되도록 돌출된 한 쌍으로서 중심부에 고정수단(440)이 연통되는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단(312); 을 포함하고,
    도어 프레임(400)은
    개구창(320)이 노출되도록 전후판(310)의 일면에 체결되는 프레임 본체(410)의 후면에서 삽입홀(311)에 삽입되어 반대면에서 한 쌍의 고정단(312) 사이로 인출되고, 고정수단(440)이 연통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 연결단(430); 을 포함하고,
    하부 부재(600)는
    바닥면에서 측부 판넬 및 전후판이 접촉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이 상향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향 단차 형성된 높이 보상판(622);을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부재(600)는
    바닥판(611)의 각변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바닥 함체(610);
    바닥 함체(610)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하부 커버(620); 및
    바닥판(611)을 연통하여 하부 커버(62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내진부(630); 를 포함하고,
    제1 내진부(630)는
    하부 커버(620)의 하면에서 고정되는 볼트 체결수단(634);
    하부 커버(620)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고, 내측에 스프링(632)이 수용되는 수용 하우징(631);
    바닥 함체(610)의 바닥면을 통하여 수용 하우징(63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 고정볼트(635);
    수용 하우징(631)의 내측에서 제1 고정볼트(635)의 외면에 체결되어 스프링(632)을 지지하는 체결판(633); 및
    바닥 함체(610)의 바닥면을 연통하여 볼트 체결수단(634)에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636); 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부 판넬(200)과 전후 판넬(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글라스 파이버 시트(Glass fiber sheet)가 접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9.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부 커버(620)는
    측부 판넬(200)의 하부 절곡단(230)이 놓여지는 커버판(621); 및
    커버판(621)의 상면에서 측부 판넬(200)의 하부 절곡단(230)의 높이차를 보상할 수 있는 두께로서 커버판(621)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는 높이 보상판(622); 을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20210061857A 2021-05-13 2021-05-13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234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57A KR102344213B1 (ko) 2021-05-13 2021-05-13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57A KR102344213B1 (ko) 2021-05-13 2021-05-13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213B1 true KR102344213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857A KR102344213B1 (ko) 2021-05-13 2021-05-13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7672A (zh) * 2023-10-23 2023-11-24 福建易安居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式无功补偿配电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695A (ja) * 2003-05-14 2004-12-09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平面埋め込み型対話端末
JP2007166717A (ja) * 2005-12-09 2007-06-28 Kawamura Electric Inc 電気機器収納箱
KR200478412Y1 (ko) * 2014-04-30 2015-10-06 주식회사 광명전기 분전반용 케이스 조립체
KR101601803B1 (ko) * 2015-05-04 2016-03-10 주식회사 리폼테크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20160107579A (ko) 2015-03-04 2016-09-19 아이티엘(주)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695A (ja) * 2003-05-14 2004-12-09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平面埋め込み型対話端末
JP2007166717A (ja) * 2005-12-09 2007-06-28 Kawamura Electric Inc 電気機器収納箱
KR200478412Y1 (ko) * 2014-04-30 2015-10-06 주식회사 광명전기 분전반용 케이스 조립체
KR20160107579A (ko) 2015-03-04 2016-09-19 아이티엘(주)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1601803B1 (ko) * 2015-05-04 2016-03-10 주식회사 리폼테크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7672A (zh) * 2023-10-23 2023-11-24 福建易安居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式无功补偿配电箱
CN117117672B (zh) * 2023-10-23 2023-12-22 福建易安居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式无功补偿配电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491B1 (ko) Psd 조립체 모듈
KR102344213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KR102013453B1 (ko)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KR100861341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20130004037U (ko) 후크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200465927Y1 (ko) 투명 방음벽
KR10103987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CN113823200B (zh) 一种装饰用立体灯箱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71306B1 (ko)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 없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0005348A (ko)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085965B1 (ko) 시공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138606B1 (ko) 좌굴방지 기능을 구비한 제진 장치
KR100913340B1 (ko) 투명방음판넬의 투명판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1119831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115043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20050046439A (ko) 조립식 건축용 모듈의 체결구
KR102265837B1 (ko) 상부 프레임 탈착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음과 흡음 복합형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과 유지보수 방법
KR100979552B1 (ko) 방음벽용 방음판 체결장치
KR102654896B1 (ko) 하중전이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의 시공과 보수 방법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KR102158538B1 (ko) 접철형 구조를 갖는 전면 보수 방음벽 구조
CN216341308U (zh) 一种抗震型装配式板房
CN212897940U (zh) 一种立柱结构、立柱、围栏立柱、连接件、组件、围栏系统、建筑物、区域
KR102401650B1 (ko)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