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68B1 -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2168B1 KR102062168B1 KR1020190041161A KR20190041161A KR102062168B1 KR 102062168 B1 KR102062168 B1 KR 102062168B1 KR 1020190041161 A KR1020190041161 A KR 1020190041161A KR 20190041161 A KR20190041161 A KR 20190041161A KR 102062168 B1 KR102062168 B1 KR 102062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mounting
- pressure
- cylindrical body
- mounting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형 분전반으로서, 상면부에 개구부(H1)가 형성된 통형상체(110);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기 위한 마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형상체(110)는 일측면에 내부로 연통되는 삽입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삽입부(112)를 통해 상기 통형상체(11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며, 상기 통형상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된 마감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패널(140)이 장착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장착패널(120)들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장착형 분전반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대한 효율적인 관찰 및 취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예: 기둥형 대상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장착형 분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대한 효율적인 관찰 및 취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예: 기둥형 대상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장착형 분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대한 효율적인 관찰 및 취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예: 기둥형 대상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기기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분전 유니트들 간에 서로 른 케이스에 설치된다. 서로 다른 분전 유니트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케이스의 설치로 설비수의 증가 및 작업공간의 축소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분전반 자체의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찰하고 그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술 개발이 등한시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내부 상태의 파악이 용이하지 못하여 일부분을 관찰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부분을 모두 분리해야 하는 취급상의 비효율적인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분전반의 설치 장소가 다양해지는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평면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한 분전반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전반의 관리 보수 및 설치 등 전반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대한 효율적인 관찰 및 취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예: 기둥형 대상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착형 분전반의 제작방법(S100)으로서, 상면부에 개구부(H1)가 형성된 통형상체(110)를 제작하는 단계(S110);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기 위한 마감수단을 제작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도록 상기 마감수단을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통형상체(110)는 일측면에 내부로 연통되는 삽입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삽입부(112)를 통해 상기 통형상체(11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며, 상기 통형상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된 마감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패널(140)이 장착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장착패널(120)들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대한 효율적인 관찰 및 취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예: 기둥형 대상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현 분전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1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1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현 분전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장착형 분전반의 제작방법(S100)으로서, 상면부에 개구부(H1)가 형성된 통형상체(110)를 제작하는 단계(S110);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기 위한 마감수단을 제작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도록 상기 마감수단을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통형상체(110)는 일측면에 내부로 연통되는 삽입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삽입부(112)를 통해 상기 통형상체(11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한다. 상기 통형상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된 마감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패널(140)이 장착된다.
상기 마감수단은,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장착패널(120)들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패널(120)은, 일측 최외곽의 제1 장착패널(121)과, 타측 최외곽의 제4 장착패널(124)과, 상기 제1 장착패널(121)과 상기 제4 장착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장착패널(122)과 제3 장착패널(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패널(121)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분전반의 내벽에 삽입되고 타측인 제1 삽입단(1211)는 상기 제2 장착패널(122)의 일측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2 장착패널(122)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패널(121)의 상기 제1 삽입단(1211)와 삽입되고, 타측인 제2 삽입단(1221)는 상기 제3 장착패널(123)의 일측에 삽입 결속된다.
상기 제3 장착패널(123)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3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장착패널(122)의 상기 제2 삽입단(1221)과 삽입되고, 타측인 제3 삽입단(1231)은 상기 제4 장착패널(124)의 일측에 삽입 결속된다.
상기 제4 장착패널(124)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4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3 장착패널(123)의 상기 제3 삽입단(1231)와 삽입되고 타측인 제4 삽입부(112)는 상기 분전반의 내벽에 삽입된다.
상기 통형상체(110)는, 상기 제1 장착패널(121) 내지 상기 제4 장착패널(124)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삽입부(112)를 통해 일측면에 장착되는 가압패널(1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널(140)은,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가 관찰되는 투명 패널로 구비된다.
상기 통형상체(110)는, 일측면에 상기 가압패널(140)의 장착을 위하여 외부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각각 통공부(H3)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장착부(131)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널(140)은, 상기 통형상체(110)의 길이방향 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131)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장착부(131)는,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외부측과 내부측 방향간에 진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가압패널(140)이 상기 통공부(H3)에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전진된 상태인 전진모드와, 상기 통공부(H3)에 삽입된 상기 가압패널(140)을 상기 통형상체(110) 내부측으로 가압하여 고정 장착되도록 상기 통형상체(110)로 후퇴된 상태인 후진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을 생략하며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패널(140)은, 일측의 제1 가압패널(141)과,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연동수단(142), 제2 연동수단(143) 및 제3 연동수단(144)을 매개로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연동되며 상기 장착패널(120)과 가압 접촉하는 제2 가압패널(14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은, 상기 장착부(131)의 상기 전진모드 상태에서 상기 통공부(H3)에 위치되며, 상기 장착부(131)의 상기 후진모드 상태에서 상기 통공부(H3)에 위치된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은 상기 장착패널(120)과의 접촉에 기반하여 상호 인접하도록 유동된다.
상기 제1 가압패널(141)은, 마주하는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제1 영역과의 이격거리를 감지도록 상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감지부(1411)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제2 영역과의 이격거리를 감지도록 하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감지부(1412)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제3 영역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 감지부(1411)와 상기 제2 감지부(1412) 사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 감지부(14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부 내지 상기 제3 감지부는 각각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이격거리정보 값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대비하여 일정 값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가압패널(141)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감지부(1411)의 알림신호에 기반하여 발광되는 제1 발광부(1414)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감지부(1412)의 알림신호에 기반하여 발광되는 제2 발광부(1415)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감지부(1413)의 알림신호에 기반하여 발광되는 제3 발광부(1416)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은,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1 연동수단(142)을 매개로 연동되는 제2-1 가압패널(1451)과,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연동수단(143)을 매개로 연동되는 제2-2 가압패널(1452)과, 상기 제2-1 가압패널(1451) 및 상기 제2-2 가압패널(145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3 연동수단(144)을 매개로 연동되는 제2-3 가압패널(1453)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제2-1 가압패널(1451) 내지 상기 제2-3 가압패널(14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가압 접촉되는 것인 접촉된다. 상기 장착부(131)는, 상기 통형상체(110)에 연동되는 연장부(1311)와, 상기 연장부(1311)와 연동되며, 상기 통공부(H3)가 형성되어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압패널(140)을 수용하는 파지부(1312)를 포함한다.
상기 각 장착부(131)에 구비되는 상기 파지부(1312)는 상기 전진모드 시 상기 연장부(1311)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일정하게 회전하여 상기 가압패널(140)을 비틀림힘으로 가압 고정한다.
도 11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로 개시되는 구성들은 도 2에 따른 장착형 분전반의 구성들에 추가될 수 있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통형상체(110)와 접촉 대상부(P) 간에 완충 작용 및 고정력 보강이 되도록 상기 통형상체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가변모듈(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형상체(110)는 후면부가 내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변모듈(150)은 상기 통형상체(110)의 후면부에 대응하여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변모듈(150)은, 상기 통형상체(110)와 유동모듈(160)을 매개로 연동되며, 상기 유동모듈(160)은, 상기 가변모듈(150)에 구비되는 제1 유동모듈(161)과, 상기 가변모듈(150)에 구비되는 제2 유동모듈(162)과, 상기 가변모듈(150)에 구비되는 제3 유동모듈(163)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모듈(150)은, 상기 제2 유동모듈(162)과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을 통하여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기 접촉 대상부(P)의 외주면 둘레부에 밀착된다. 상기 가변모듈(150)은, 상기 제1 유동모듈(161)이 구비되는 제1 가변모듈(151)과, 상기 제2 유동모듈(162)이 구비되는 제2 가변모듈(152)과,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이 구비되는 제3 가변모듈(1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변모듈(151) 내지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호 연동 결속된다.
상기 제2 가변모듈(152) 및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기 제2 유동모듈(162) 및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의 가압에 기반하여 상기 접촉 대상부(P)에 가압 접촉되며,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은, 상기 제2 가변모듈(152) 및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의 상기 접촉 대상부(P)에 대한 밀착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동모듈(161)의 가압에 기반하여 상기 접촉 대상부(P)에 1차 가압 접촉 상태가 되며, 상기 1차 가압 접촉 상태에서 중앙부의 제1 영역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일정한 회전 조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접촉 대상부(P)에 2차 가압 접촉 상태가 된다.
상기 제2 유동모듈(162)과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은 틸트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제2 가변모듈(152) 및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기 접촉 대상부(P)를 파지하도록 틸트 동작으로 구동된다. 상기 접촉 대상부(P)는 바 형상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유동모듈(162) 및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은, 상기 통형상체(110)에서 상기 제1 유동모듈(161)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변모듈(152) 및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로부터 일정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162) 및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의 유동에 기반하여 유동된다.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은, 일측에 상기 제2 가변모듈(152)이 진퇴 유동 및 틸트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제1 결속부(1512)와, 타측에 상기 제3 가변모듈(153)가 진퇴 유동 및 틸트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제2 결속부(151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가변모듈(152)과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기 설치 대상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회전방식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가공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 대상부에 접촉하여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돌기가 상기 설치 대상부를 일정 깊이 관통하여 상기 설치 대상부에 대한 결속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가공돌기는, 상기 제2 가변모듈(152) 및 상기 제3 가변모듈(153) 각각의 상기 접촉면에서 길이방향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설치 대상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각기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설치 대상부에 대한 결속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가공돌기는, 상기 제2 가변모듈(152) 측에 구비되는 제2 가공돌기(1521)와 상기 제3 가변모듈(153) 측에 구비되는 제3 가공돌기(1522)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가공돌기(1521)와 상기 제3 가공돌기(1522)는, 상기 설치 대상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호 간을 향하여 근접하도록 제1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상호 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2 가변모듈(152) 및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의 상기 설치 대상부에 대한 결속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공돌기들 사이에 서브 가공돌기(ST)를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 가공돌기(ST) 상기 가공돌기들의 관통 이전에 대상부를 관통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상기 가공돌기들이 대상부를 관통한 뒤 상기 서브 가공돌기가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가변모듈(151)과 상기 제2 가변모듈(1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변모듈(151)과 상기 제2 가변모듈(152) 상호 간의 충돌 방지하고 상기 제2 가변모듈(152)의 유동 시 가속도 부여를 위한 제1 연개모듈(170)과, 상기 제1 가변모듈(151)과 상기 제3 가변모듈(1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변모듈(151)과 상기 제3 가변모듈(153) 상호 간의 충돌 방지하고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의 유동 시 가속도 부여를 위한 제2 연개모듈(1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개모듈(170)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1 접촉부(171)와, 상기 제2 가변모듈(152)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2 접촉부(172)와, 상기 제1-1 접촉부(171) 및 상기 제1-2 접촉부(172)를 연개시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반탄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개모듈(180)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1 접촉부(181)와,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2 접촉부(182)와, 상기 제2-1 접촉부(181) 및 상기 제2-2 접촉부(182)를 연개시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2 반탄부(18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변모듈(152)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을 향하는 내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1 접촉부(171)와 상기 제1-2 접촉부의 수축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완충되고, 상기 제1 가변모듈(151)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1 접촉부(171)와 상기 제1-2 접촉부(172)의 이완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가속되며,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을 향하는 내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2-1 접촉부(181)와 상기 제2-2 접촉부의 수축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완충되고, 상기 제1 가변모듈(151)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2-1 접촉부(181)와 상기 제2-2 접촉부(182)의 이완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가속된다.
상기 제1 연개모듈(170)은, 상기 제1 반탄부(173)에 제1 버퍼부(19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변모듈(152)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을 향하는 내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1 접촉부(171)와 상기 제1-2 접촉부가 상기 제1 버퍼부(191)를 매개로 하는 수축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완충되고, 상기 제1 가변모듈(151)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1 접촉부(171)와 상기 제1-2 접촉부(172)의 상기 제1 버퍼부(191)로 부터의 이완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가속되며, 상기 제2 연개모듈(180)은, 상기 제2 반탄부(183)에 제2 버퍼부(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은, 상기 제1 가변모듈(151)을 향하는 내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2-1 접촉부(181)와 상기 제2-2 접촉부가 상기 제2 버퍼부(201)를 매개로 하는 수축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완충되고, 상기 제1 가변모듈(151)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2-1 접촉부(181)와 상기 제2-2 접촉부(182)의 상기 제2 버퍼부(201)로 부터의 이완동작에 기반하여 유동력이 가속되며, 상기 제1 버퍼부(191)와 상기 제2 버퍼부(201)는 내부가 탄성부재로 구비되고 외주면은 일정 두께의 완충소재(예: 메모리폼 소재 등)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모듈(161) 내지 상기 제3 유동모듈(163)은, 상기 통형상체(110)에서 일정하게 출몰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버퍼부(191)는, 하부에 제1 플랜지형 버퍼부(192)가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결속부(1512)와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몰동작에 따라 상기 제1 결속부(1512)의 접촉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2 버퍼부(201)는, 하부에 제2 플랜지형 버퍼부(202)가 구비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결속부(1513)와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몰동작에 따라 상기 제2 결속부(1513)의 접촉을 완충시키되, 상기 제1 플랜지형 버퍼부(192)는
상기 제1 버퍼부(191)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1 접촉부(171)와 상기 제1-2 접촉부(17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가능하다.
상기 제2 플랜지형 버퍼부(202)는, 상기 제2 버퍼부(201)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1 접촉부(181)와 상기 제2-2 접촉부(18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가능하다.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마감수단에 의하여 노출된 내부 영역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내부가 관찰되는 투명 패널로 구비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변모듈(152)과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의 각 단부에는 굴착모듈(DM)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변모듈(152)과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이 대상물(예: 바 형상체 , 지주 등)의 표면을 관통하여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상기 제2 가변모듈(152)과 상기 제3 가변모듈(153)의 회동 동작을 가미하여 관통 과정은 물론 관통 이후에 결속을 조절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를 기반으로 상호 간에 복합적으로 선택 조합하여 적용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사항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통형상체
112 : 삽입부
131 : 장착부
140 : 가압패널
112 : 삽입부
131 : 장착부
140 : 가압패널
Claims (10)
- 장착형 분전반의 제작방법(S100)으로서,
상면부에 개구부(H1)가 형성된 통형상체(110)를 제작하는 단계(S110);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기 위한 투명재질의 마감수단을 제작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통형상체(110)의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도록 상기 마감수단을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통형상체(110)는 일측면에 내부로 연통되는 삽입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삽입부(112)를 통해 상기 통형상체(11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H1)를 차단하며, 상기 통형상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통형상체(110)에 장착된 마감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패널(140)이 장착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별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여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장착패널(120)들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장착패널(120)은, 일측 최외곽의 제1 장착패널(121)과, 타측 최외곽의 제4 장착패널(124)과, 상기 제1 장착패널(121)과 상기 제4 장착패널(124)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장착패널(122)과 제3 장착패널(1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패널(121)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분전반의 내벽에 삽입되고 타측인 제1 삽입단(1211)는 상기 제2 장착패널(122)의 일측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2 장착패널(122)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패널(121)의 상기 제1 삽입단(1211)와 삽입되고, 타측인 제2 삽입단(1221)는 상기 제3 장착패널(123)의 일측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3 장착패널(123)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3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장착패널(122)의 상기 제2 삽입단(1221)과 삽입되고, 타측인 제3 삽입단(1231)은 상기 제4 장착패널(124)의 일측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4 장착패널(124)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4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3 장착패널(123)의 상기 제3 삽입단(1231)와 삽입되고 타측인 제4 삽입부(112)는 상기 분전반의 내벽에 삽입되며,
상기 통형상체(110)는, 상기 제1 장착패널(121) 내지 상기 제4 장착패널(124)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삽입부(112)를 통해 일측면에 장착되는 가압패널(1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널(140)은,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가 관찰되는 투명 패널로 구비되며,
상기 통형상체(110)는, 일측면에 상기 가압패널(140)의 장착을 위하여 외부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각각 통공부(H3)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장착부(131)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널(140)은, 상기 통형상체(110)의 길이방향 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131)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131)는,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외부측과 내부측 방향간에 진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가압패널(140)이 상기 통공부(H3)에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통형상체(110)로부터 전진된 상태인 전진모드와, 상기 통공부(H3)에 삽입된 상기 가압패널(140)을 상기 통형상체(110) 내부측으로 가압하여 고정 장착되도록 상기 통형상체(110)로 후퇴된 상태인 후진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가압패널(140)은, 일측의 제1 가압패널(141)과,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제1 연동수단(142), 제2 연동수단(143) 및 제3 연동수단(144)을 매개로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연동되며 상기 장착패널(120)과 가압 접촉하는 제2 가압패널(14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은, 상기 장착부(131)의 상기 전진모드 상태에서 상기 통공부(H3)에 위치되며, 상기 장착부(131)의 상기 후진모드 상태에서 상기 통공부(H3)에 위치된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은 상기 장착패널(120)과의 접촉에 기반하여 상호 인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1 가압패널(141)은, 마주하는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제1 영역과의 이격거리를 감지도록 상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감지부(1411)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제2 영역과의 이격거리를 감지도록 하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감지부(1412)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제3 영역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 감지부(1411)와 상기 제2 감지부(1412) 사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 감지부(14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 내지 상기 제3 감지부는 각각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의 이격거리정보 값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대비하여 일정 값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가압패널(141)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감지부(1411)의 알림신호에 기반하여 발광되는 제1 발광부(1414)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감지부(1412)의 알림신호에 기반하여 발광되는 제2 발광부(1415)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감지부(1413)의 알림신호에 기반하여 발광되는 제3 발광부(1416)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패널(145)은,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1 연동수단(142)을 매개로 연동되는 제2-1 가압패널(1451)과,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2 연동수단(143)을 매개로 연동되는 제2-2 가압패널(1452)과, 상기 제2-1 가압패널(1451) 및 상기 제2-2 가압패널(145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압패널(141)과 상기 제3 연동수단(144)을 매개로 연동되는 제2-3 가압패널(1453)을 포함하는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제2-1 가압패널(1451) 내지 상기 제2-3 가압패널(14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고 가압 접촉되는 것인 접촉되는 것인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161A KR102062168B1 (ko) | 2019-04-09 | 2019-04-09 |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161A KR102062168B1 (ko) | 2019-04-09 | 2019-04-09 |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2168B1 true KR102062168B1 (ko) | 2020-01-03 |
Family
ID=6915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161A KR102062168B1 (ko) | 2019-04-09 | 2019-04-09 |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21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2791B1 (ko) * | 2020-10-27 | 2021-11-04 | 신광산업주식회사 | 동축케이블 제조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7108U (ja) * | 1992-02-04 | 1993-09-03 |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ライド式扉を有する電気機器収納用箱体 |
KR100647089B1 (ko) | 2005-05-10 | 2006-11-23 | 우선전기(주) | 소화기를 내장한 세대분전반 |
KR20090010158U (ko) * | 2008-04-02 | 2009-10-07 | 김용대 | 점멸기함 |
KR20160107579A (ko) * | 2015-03-04 | 2016-09-19 | 아이티엘(주) |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
CN207638189U (zh) * | 2017-12-19 | 2018-07-20 | 南通市中南建工设备安装有限公司 | 一种便携式小型安全移动电箱 |
-
2019
- 2019-04-09 KR KR1020190041161A patent/KR1020621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7108U (ja) * | 1992-02-04 | 1993-09-03 |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ライド式扉を有する電気機器収納用箱体 |
KR100647089B1 (ko) | 2005-05-10 | 2006-11-23 | 우선전기(주) | 소화기를 내장한 세대분전반 |
KR20090010158U (ko) * | 2008-04-02 | 2009-10-07 | 김용대 | 점멸기함 |
KR20160107579A (ko) * | 2015-03-04 | 2016-09-19 | 아이티엘(주) | 옥외용 조립식 분전함 |
CN207638189U (zh) * | 2017-12-19 | 2018-07-20 | 南通市中南建工设备安装有限公司 | 一种便携式小型安全移动电箱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2791B1 (ko) * | 2020-10-27 | 2021-11-04 | 신광산업주식회사 | 동축케이블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2168B1 (ko) |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 |
EP2836399B1 (en) |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 |
CN109572608B (zh) | 传感器保护器和配备有其的车辆 | |
EP3114507B1 (en) | Sensor with a radiant indicator | |
KR102062167B1 (ko) | 장착형 분전반 | |
CN102013649B (zh) | 用于电缆配件基部的盖子 | |
JP4691884B2 (ja) | 遊技機 | |
JP5244055B2 (ja) | 遊技機用の制御基板収納ケース | |
CN210832715U (zh) | 防护件及具有其的冰箱 | |
JP4700433B2 (ja) | スロットマシンの筐体 | |
JP5838505B2 (ja) | 警報器 | |
KR200290508Y1 (ko) | 금형 파손 방지 구조 | |
JP2006086224A (ja) | 部材固定具及びそれを具備した電子機器 | |
ATE421619T1 (de) | Gipskartonständerwand | |
JP6994423B2 (ja) | 電装ユニット | |
EP3136694B1 (en) | Housing mount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731313B1 (ko) |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 |
JP4928395B2 (ja) | パネル装置 | |
US20150348352A1 (en) | Cash box and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with mechanical coding | |
CN109018702B (zh) | 靶材的包装方法和包装工具 | |
JP2005230273A (ja) | 遊技機 | |
KR20210025281A (ko) | 컨트롤패널조립체 | |
JP6097612B2 (ja) | 筺体挿入用治具 | |
JP2018077970A (ja) | 発光体 | |
KR102095025B1 (ko) | 송전용 전선로 보호수단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