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158U - 점멸기함 - Google Patents

점멸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158U
KR20090010158U KR2020080004361U KR20080004361U KR20090010158U KR 20090010158 U KR20090010158 U KR 20090010158U KR 2020080004361 U KR2020080004361 U KR 2020080004361U KR 20080004361 U KR20080004361 U KR 20080004361U KR 20090010158 U KR20090010158 U KR 200900101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er
cover
main body
contac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대
이성숙
Original Assignee
김용대
이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이성숙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2020080004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158U/ko
Publication of KR20090010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1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투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에 관한 것이다.
점멸기함.

Description

점멸기함{Switch Box}
본 고안은 점멸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안등, 가로등, 공원등 및 광장등 등의 옥외조명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점멸기의 점멸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등, 가로등, 공원등 및 광장등 등의 옥외조명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점멸기가 설치되는 점멸기함은 전봇대 등의 기둥과 같은 외부 건축물에 주로 부착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 설치되는 설치환경으로 인하여 종래 점멸기함의 경우에는 외부의 기후적 요인에 대하여 매우 취약한 구조적 약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강우량이 많은 여름 우기 등에는 점멸기함 내부에 다량의 물기가 침투하여, 이로 인해 점멸기에 오동작 내지는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점멸기함 내부에 일정 크기의 송풍구 등의 구멍을 뚫어 침투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생각해 볼 수는 있지만, 이 경우에는 이미 침투한 물을 빠져나 가게만 하는 이차적인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에 물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근원적인 수단은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미 물이 침투하였기 때문에 점멸기에 있어 일정수준의 고장 위험은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보안등 점멸기함에 장착되는 점멸기는 전자장치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전기배선과 접속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점멸기함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전기배선이 도입되는 전선투입구가 점멸기함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점멸기가 전기배선과 연결되어 일단 장착되게 되면, 이후 점멸기에 고장 등이 발생하거나 수리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전기배선으로부터 점멸기 또는 점멸기함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기후적 요인, 특히 강우, 강설 등으로 인한 물기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멸기의 오동작 내지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점멸기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장착된 점멸기의 수리 또는 점검이 필요하여 점멸기 또는 점멸기함을 외부 전기배선으로부터 탈거 또는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점멸기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선투입부가 삽입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전선투입부에는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전선투입부에는 분할되게 설치되는 분할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분할판은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접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함은 외부의 기후적 요인, 특히 강우, 강설 등으로 인한 물기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멸기의 오동작 내지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점멸기함은 내부에 장착된 점멸기의 수리 또는 점검이 필요하여 점멸기 또는 점멸기함을 외부 전기배선으로부터 탈거 또는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 보안등 점멸기가 장착된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점멸기함의 평면도, 도 4는 점멸기함에서 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의 정면도, 도 5는 점멸기함에서 커버가 열려있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은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에 결합되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투입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100)는 상기 본체(200)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10); 및 상기 접촉부재(110)가 안착되는 안착홈(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전선투입부(210)가 삽입되는 안내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투입부(210)에는 상기 안내부(220)에 삽입되는 안내홈(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선투입부(210)에는 분할되게 설치되는 분할판(212)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은 커버(100)와 본 체(200)를 포함한다. 커버(100)는 본체(200)와 후크부재(230)에 의하여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는 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투입부(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전선투입부(210)는 본체(200)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20)에 삽입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전선투입부(210)에는 상기 안내부(220)가 삽입되는 안내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투입부(210)는 안내부(220)가 안내홈(2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200)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전선투입부(210)에는 분할되게 설치되는 분할판(212)이 구비되어 있는데, 외부로부터의 전기배선은 이 분할판(212)을 통하여 전선투입부(210)에 투입되어 점멸기함 내부에 있는 점멸기(500)에 접속된다. 분할판(212)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로부터의 전기배선의 투입시 상기 전선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선투입부(210)가 본체(2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점멸기함 내부에 장착된 점멸기의 수리 또는 점검이 필요하여 점멸기 또는 점멸기함을 외부 전기배선으로부터 탈거 또는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선투입부(210)를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편리하게 그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종래에는 전선투입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점멸기 또는 점멸기함을 외부 전기배선으로부터 탈거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굵은 전기배선을 힘겹게 구부려서 전선투입부로부터 빼내거나 전기배선을 절단해야만 하는 불 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점멸기의 수리 또는 점검이 필요한 경우 전선투입부(210)를 본체(20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기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작업상의 불편함없이도 작업자가 상기의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는, 커버(10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200)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접촉부재(110)는 커버(100)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120)에 안착된다.
이 접촉부재(110)는 본체(200)와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서는 접촉부재(110)가 본체(200)와 밀착되도록 접촉됨으로써, 폭우나 폭설이 내리는 등의 외부 환경이 있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의 물기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 장착된 점멸기의 오동작 내지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촉부재(110)는 탄성 재질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콘 재질의 경우에는 본원력이 뛰어나고 밀착력 및 방수력이 매우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실리콘 재질의 경우에는 일반 고무재질에 비하여 본원력 및 밀착력 등이 더 우수하기 때문에,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오랜 시간이 경과한다고 하더라도 재질의 복원력이 유지되어 밀착력 및 방수력이 오랜 기간 유지되는 이점이 있 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은 외부로부터의 물기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점멸기의 오동작 내지는 고장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 보안등 점멸기가 장착된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서 커버가 닫혀있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멸기함에서 커버가 열려있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버 110 : 접촉부재
120 : 안착홈
200 : 본체 210 : 전선투입부
211 : 안내홈 212 : 분할판
220 : 안내부 230 : 후크부재
500 : 점멸기

Claims (12)

  1.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선투입부가 삽입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투입부에는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투입부에는 분할되게 설치되는 분할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9.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접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함.
KR2020080004361U 2008-04-02 2008-04-02 점멸기함 KR200900101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361U KR20090010158U (ko) 2008-04-02 2008-04-02 점멸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361U KR20090010158U (ko) 2008-04-02 2008-04-02 점멸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158U true KR20090010158U (ko) 2009-10-07

Family

ID=4153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361U KR20090010158U (ko) 2008-04-02 2008-04-02 점멸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15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44A (ko) * 2018-02-27 2019-09-04 이종권 비콘을 구비하는 지상배전함
KR102062167B1 (ko) * 2019-04-09 2020-01-03 이인석 장착형 분전반
KR102062168B1 (ko) * 2019-04-09 2020-01-03 이인석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44A (ko) * 2018-02-27 2019-09-04 이종권 비콘을 구비하는 지상배전함
KR102062167B1 (ko) * 2019-04-09 2020-01-03 이인석 장착형 분전반
KR102062168B1 (ko) * 2019-04-09 2020-01-03 이인석 장착형 분전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848Y1 (ko) 도어락 보호케이스
WO2008136447A1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体
KR20090010158U (ko) 점멸기함
KR101048027B1 (ko) 옥외소화전 안전표시커버
KR100711835B1 (ko) 가로등의 침수시 기기보호를 위한 누전방지장치
KR20090020665A (ko) 가로등 누전 경보장치
JP2011091979A (ja) 電源ユニット及び電源ユニット付きポール
KR20070083133A (ko) 가로등의 누전 방지 장치
KR101631471B1 (ko) 등주용 배전반장치
JP2012094326A (ja) コンセント
CN209150557U (zh) 配电箱
KR200262716Y1 (ko) 가로등 등주의 배선시설 장치부 덮개
KR20100102343A (ko) 도로용 경계석
KR100708008B1 (ko)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US20100271216A1 (en) Outdoor rain fog detector switch gear
KR10096789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CN203038475U (zh) 一种嵌入式组合安装结构的交通信号灯
KR100573221B1 (ko) Led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용 방수·방폭 조명장치
KR200382486Y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20140002036U (ko) 간판 방수 구조
KR101588453B1 (ko)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광섬유 시인장치
CN218863994U (zh) 一种工程车用车灯罩
KR102541872B1 (ko) 개선된 결합부재를 가지는 보안등 점멸기 케이스
CN209374945U (zh) 一种配电箱安全防水门
CN203932713U (zh) 一种电力刀闸机构箱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