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443B1 -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443B1
KR101719443B1 KR1020157023337A KR20157023337A KR101719443B1 KR 101719443 B1 KR101719443 B1 KR 101719443B1 KR 1020157023337 A KR1020157023337 A KR 1020157023337A KR 20157023337 A KR20157023337 A KR 20157023337A KR 101719443 B1 KR101719443 B1 KR 10171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imulator
master cylinder
brake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009A (ko
Inventor
마사키 미스노우
료헤이 마루오
치하루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86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driver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8Pressure-maintaining arrangements, e.g. for replenishing the master cylinder chamber with fluid from a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60T8/368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modulator unit on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4)와,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어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구비하고,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BRAKE DEVICE AND BRAKE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브레이크 장치(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서는, 차량 탑재시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가 마스터 실린더의 수평 방향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663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상측으로부터 본 브레이크 장치의 점유 면적이 비교적 커지기 때문에,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차량 탑재시에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가 연직 방향으로(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액추에이터(8)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를 실현하는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은, 전동기에 의해 회생 제동력을 발생 가능한 전동 차량이다. 전동 차량으로는, 예컨대, 차륜을 구동하는 원동기로서 엔진(내연 기관) 외에 전동식 모터(제너레이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차나, 모터(제너레이터)만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동계(브레이크 시스템)는, 차량의 각 차륜에 브레이크 액압을 부여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이다. 차량의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캘리퍼)는, 제동 조작 액압이나 제어 액압의 공급을 받아 브레이크 작동 액압(휠 실린더 액압)을 발생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장치(1)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 가능한 전동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8)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1)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작동하고, 제동 조작 액압으로서의 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발생한다. 액추에이터(8)는, 브레이크 장치(1)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브레이크 조작 상태 또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휠 실린더 액압(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한다.
도 1∼도 9는,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장치(1)의 전체를 각 방향으로부터 도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직교 좌표계를 형성한다. 브레이크 장치(1)를 차량에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마스터 실린더(4)가 작동하는 축 방향)으로 x축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장치(1)가 차량에 설치될 때,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기 때문에, x축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이 된다. 차량 전방(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조작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4)의 피스톤(41)이 스트로크하는 방향)을 x축 정방향으로 한다. 차량의 폭 방향(좌우 방향 내지 가로 방향)으로 y축을 형성하고, 차량 후방(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을 y축 정방향으로 한다. 차량의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z축을 형성하고, 차량 상측(마스터 실린더(4)에 대하여 리저버 탱크(3)가 설치되는 쪽)을 z축 정방향으로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장치(1)를 x축 부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브레이크 장치(1)를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브레이크 장치(1)를 z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4는 브레이크 장치(1)를 z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하면도이다. 도 5는 브레이크 장치(1)를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브레이크 장치(1)를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브레이크 장치(1)를 x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8은 브레이크 장치(1)를 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9는 브레이크 장치(1)를 마스터 실린더(4)의 축심을 통과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도 7을, 도 7의 A-A 선으로 파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을 도시한다.
브레이크 장치(1)는, 푸시 로드(2)와, 리저버 탱크(3)와,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구비하고 있다. 즉, 브레이크 장치(1)는, 마스터 실린더(4)를 내장한 마스터 실린더 유닛이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2계통(프라이머리 P 계통 및 세컨더리 S 계통)의 브레이크 배관을 갖고 있다. 이하, 각 계통에 대응하여 설치된 부재나 구조에는 그 부호의 말미에 첨자 P, S를 붙여 구별한다. 푸시 로드(2)는, 클레비스(2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의 입력을 받는 입력 부재(브레이크 조작 부재)이다. 푸시 로드(2)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동하여 x축 방향으로 작동한다.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조작에 따라 x축 정방향으로 스트로크한다. 푸시 로드(2)의 x축 정방향 끝은, 마스터 실린더(4)의 피스톤(41P)에 접촉하고 있다(도 9 참조). 푸시 로드(2)는, 브레이크 페달에 입력된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아, 이것을 x축 방향의 추진력으로서 마스터 실린더(4)에 전달한다. 푸시 로드(2)의 x축 정방향측의 외주에는, 플랜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 로드(2)의 x축 정방향 끝에는, x축 정방향측의 선단이 볼록 구면(球面)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 부재(22)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장치(1)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저감하기 위한 배력 장치(브레이크 부스터)로서, 브레이크 페달과 마스터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의 엔진이 발생하는 흡기압(부압)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형식의 것(마스터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리저버 탱크(3)는,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브레이크액원이고, 마스터 실린더(4)나 액추에이터(8)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한다. 리저버 탱크(3)는, 공급구(30)와, 보급구(31P, 31S)와, 보급구(32a, 32b)를 갖고 있다. 공급구(30)는, 리저버 탱크(3)의 x축 정방향측에서 z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개구되어 있고, 덮개(3a)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급구(31P, 31S)는, x축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리저버 탱크(3)의 z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어 마스터 실린더(4)측으로 개구된다. 보급구(31P)는 보급구(31S)보다 x축 부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보급구(32a, 32b)는, 보급구(31P)보다 x축 부방향측에 형성되어 있고, 리저버 탱크(3)의 y축 방향 양측면으로 개구된다. 리저버 탱크(3)의 z축 부방향측으로서 보급구(31P, 31S) 사이에는, 체결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35)에는, 리저버 탱크(3)를 마스터 실린더(4)에 고정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 탱크(3) 내에는, z축 부방향측의 저면으로부터 z축 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장의 구획판(33a, 33b)이 설치되어 있다. 2장의 구획판(33a, 33b)에 의해, 리저버 탱크(3) 안은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x축 정방향측의 영역에는 보급구(31S)가, x축 부방향측의 영역에는 보급구(32a, 32b)가, 이들 2개의 영역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는 보급구(31P)가, 형성되어 있다. 보급구(31S), 보급구(32a, 32b), 보급구(31P)는, 각각 개구부를 갖고 있다. 구획판(33)은, 예컨대 차량이 기울거나 가감속하거나 해도 각 영역에 브레이크액을 저류하고, 이에 따라 각 보급구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의 보급을 가능하게 한다. 보급구(32a)에는, 배관 부착부(320a)가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배관 부착부(320a)에는, 브레이크 배관(71)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배관 부착부(320a)는, 리저버 탱크(3)의 x축 부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의 외면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고, 도중에 x축 정방향측으로 절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배관(71)이 부착되는 배관 부착부(320a)의 선단은,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된다. 보급구(32b)에는, 배관 부착부(320b)가 접속되어 있다(도 2 참조). 배관 부착부(320b)에는, 다른 브레이크 배관의 일단이 부착된다. 배관 부착부(320b)는, 리저버 탱크(3)의 x축 부방향측 또한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의 외면으로부터 y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고, 도중에 x축 정방향측으로 절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배관이 부착되는 배관 부착부(320b)의 선단은,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된다.
마스터 실린더(4)는,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액압(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발생하는 제1 브레이크 액압 발생원이다. 마스터 실린더(4)는, 도면 밖의 유로(油路)(브레이크 배관)를 통해, 휠 실린더에 접속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액압은, 상기 유로를 통해 휠 실린더에 공급되고, 휠 실린더 액압(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킨다. 마스터 실린더(4)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실린더)(40)과, 피스톤(41)과, 코일 스프링(42)을 갖고 있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은, 본체부(40a)와, 플랜지부(40b)와, 끼워맞춤부(40c)를 갖고 있다. 본체부(40a)는, 일단측(x축 정방향측)이 폐색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0b)는, 본체부(40a)의 x축 부방향측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40b)의 y축 방향 양측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40d, 40e)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40d, 40e)는, 본체부(40a)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부(40c)는, 플랜지부(40b)의 x축 부방향측에 인접하고 있고, 플랜지부(40b)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부(40c)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시일 홈(401) 내에는 시일 부재(402)가 설치된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내부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구멍(400)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00)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x축 부방향측으로 개구된다. 마스터 실린더(4)는, 소위 탠덤형이고, 구멍(400) 내에는 2개의 피스톤(41P, 41S)이 x축 방향으로 작동(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P 계통의 피스톤(41P)의 x축 부방향측에는 오목 구면 형상의 받이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410)에는, 푸시 로드(2)(접촉 부재(22))의 볼록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x축 정방향 끝이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푸시 로드(2)는, 받이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S 계통의 피스톤(41S)은, 프리피스톤이고, 피스톤(41P)의 x축 정방향측에 설치된다. 각 피스톤(41p, 41s)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411p, 411s)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피스톤(41p, 41s)에는, 오목부(411p, 411s)의 내주면과 각 피스톤(41p, 41s)의 외주면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412p, 412s)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에는, 토출 포트(44p, 44s)와 보급 포트(45p, 45s)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토출 포트(44p, 44s)와, 보급 포트(45p, 45s)는, 구멍(400)의 내주면으로 개구된다. 토출 포트(44p, 44s)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y축 부방향측의 측면으로 개구되고(도 2 참조), 브레이크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액추에이터(8)(도 10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포트(44p, 44s)는, 액추에이터(8)를 통해 휠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P 계통의 토출 포트(44P)는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외의 다른 토출 포트(44P)(도 1 참조)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y축 정방향측의 측면으로 개구된다. 이 y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는 토출 포트(44P)는, 브레이크 배관(70)을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에 접속되어 있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주실(54))와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급 포트(45p, 45s)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z축 정방향측의 상면으로 개구되고, 리저버 탱크(3)에 접속하여 이것과 연통한다. 리저버 탱크(3)의 보급구(31P, 31S)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상면의 (보급 포트(45)가 개구되는) 오목부(48P, 48S)에 시일 부재(34P, 34S)를 통해 끼워 맞춰져, 각각 보급 포트(45P, 45S)에 연통하고 있다. 즉, 리저버 탱크(3)는, 마스터 실린더(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4)는, 리저버 탱크(3)로부터 보급구(31P, 31S) 및 보급 포트(45P, 45S)를 통해, 브레이크액이 보급된다.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z축 정방향 끝으로서, 오목부(48P, 48S) 사이에는, 체결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49)에는, 리저버 탱크(3)를 고정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49)와 리저버 탱크(3)의 체결부(35)에 핀(도시하지 않음)이 삽입 관통되어, 핀을 통해 리저버 탱크(3)의 체결부(35)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의 체결부(49)에 체결됨으로써, 리저버 탱크(3)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에 대하여 고정된다.
구멍(400)의 내주면에는, 단면이 컵형인 시일 부재(46P, 46S, 47P, 47S)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46P, 47P)는, 보급 포트(45P)의 개구를 x축 방향에서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46S, 47S)는, 보급 포트(45S)의 개구를 x축 방향에서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46P, 46S, 47P, 47S)의 내주측(립부)은 각 피스톤(41P,S)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시일 부재(46P, 46S, 47P, 47S)는, 구멍(400)의 내주와 피스톤(41P,S)의 외주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규제한다. P 계통의 시일 부재(46P)는, 보급 포트(45P)로부터 x축 부방향측(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외부)으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S 계통의 시일 부재(46S)는, 보급 포트(45S)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시일 부재(47P, 47S)는, 각각 보급 포트(45P, 45S)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내부(구멍(400))에는, P 계통의 액압실(43P)과 S 계통의 액압실(43S)을 구비하는 액압실(43)이 구획되어 있다. 양피스톤(41P, 41S) 사이(시일 부재(47P, 46S)에 의해 시일되는 영역)에는, P 계통의 액압실(43P)이 구획되어 있다. 피스톤(41S)과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바닥부 사이(시일 부재(47S)에 의해 시일되는 영역)에는, S 계통의 액압실(43S)이 구획되어 있다. 각 액압실(43P, 43S) 내에는, 각각, 피스톤(41P, 41S)의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42P, 42S)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각 액압실(43P, 43S)에는, 각각 토출 포트(44P, 44S)가 개구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되고 있지 않은 상태(푸시 로드(2)의 플랜지부(21)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스토퍼부(507)에 접촉한 상태)에서, 각 피스톤(41P, 41S)은 가장 x축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각 피스톤(41P, 41S)의 연통 구멍(412P, 412S)은, 각각 시일 부재(47P, 47S)보다 x축 부방향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보급 포트(45P, 45S)는, 각각 연통 구멍(412P, 412S)을 통해, 각 피스톤(41P, 41S)의 오목부(411P, 411S)의 내주측, 즉 액압실(43P, 43S)에 연통한다. 구멍(400) 안을 x축 방향으로 피스톤(41P, 41S)이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액압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푸시 로드(2)의 x축 정방향의 추진력이 피스톤(41P)에 전달된다. 각 피스톤(41P, 41S)이 x축 정방향측으로 스트로크하면, 각 액압실(43P, 43S)의 용적이 축소된다. 연통 구멍(412P, 412S)이 각각 시일 부재(47P, 47S)보다 x축 정방향측에 위치하게 되면, 시일 부재(47P, 47S)에 의해, 연통 구멍(412P, 412S)을 통한 각 액압실(43P, 43S)로부터 보급 포트(45P, 45S)(리저버 탱크(3))로의 연통이 차단되고, 각 액압실(43P, 43S) 내에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액압(마스터 실린더 액압)이 발생한다. 또, 양액압실(43P, 43S)에는 대략 동일한 액압이 발생한다. 각 액압실(43P, 43S)로부터 토출 포트(44P, 44S)를 통해 액추에이터(8)(휠 실린더)를 향해 브레이크액(마스터 실린더 액압)이 공급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의 의사(擬似)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조작 반력 발생원이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유로(브레이크 배관(70))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4)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로(브레이크 배관(71))를 통해 리저버 탱크(3)에 접속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과, 반력 피스톤(51)과, 코일 스프링(52)을 갖고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은, 본체부(50a)와 접속부(50b)와 플랜지부(50c)를 일체로 갖고 있다.
본체부(50a)는, 단차식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이고, 대직경의 원통부(50d)와 소직경의 원통부(50e)와 플랜지부(50f)를 일체로 갖고 있다. 소직경의 원통부(50e)는, 대직경의 원통부(50d)의 x축 정방향측에, 이 원통부(50d)와 대략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0f)는, 소직경의 원통부(50e)의 x축 정방향측에, 이 원통부(50e)와 대략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50e)에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 내의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배출용 블리더(57)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배출용 블리더(57)는, 원통부(50e)의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의 외주면으로부터 y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0f)(하기 체결부(50g, 50h)를 제외한 본체)의 외경은, 원통부(50e)의 외경보다 크고, 원통부(50d)의 외경보다 작다.
플랜지부(50f)의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50g)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0f)의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50h)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50g, 50h)는, 본체부(50a)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50g)의 볼트 구멍과 체결부(50h)의 볼트 구멍에 볼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50a)의 내부에는, 제1 축방향 구멍(501)과, 제2 축방향 구멍(502)과, 밸브 장착 구멍(503)과, 유로(55)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방향 구멍(501)은, 대직경의 원통부(50d)의 내주측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방향 구멍(502)은, 제1 축방향 구멍(501)보다 소직경으로서, 소직경의 원통부(50e)의 내주측에, 제1 축방향 구멍(501)에 연속하여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50d)의 x축 정방향측의 바닥부로 개구된다. 제2 축방향 구멍(502)의 x축 정방향 끝 또한 z축 정방향 끝에는, 에어 배출용 블리더(57)의 유로가 개구된다. 본체부(50a)의 일단(제2 축방향 구멍(502)의 x축 정방향 끝)측은 폐색되고, 타단(제1 축방향 구멍(501)의 x축 부방향 끝)측은 개구되어 있다.
밸브 장착 구멍(503)은, 플랜지부(50f) 및 원통부(50e)의 내주측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50f)의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된다. 밸브 장착 구멍(503)은, x축 정방향측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을 향함에 따라 소직경이 되는 단차 형상이다. 밸브 장착 구멍(503)의 x축 부방향 끝과 제2 축방향 구멍(502)의 x축 정방향 끝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55)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축방향 구멍(501, 502)과, 밸브 장착 구멍(503)과, 유로(55)는, 대략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0d)의 z축 정방향측으로서 y축 정방향측에는, 제1 축방향 구멍(501)에 연통하는 접속 포트(58)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포트(58)에는, 배관 부착부(580)가 접속되어 있다. 배관 부착부(580)에는, 브레이크 배관(71)의 타단이 부착된다. 배관 부착부(580)는, 원통부(50d)의 약간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의 외면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고, 도중에 x축 정방향측으로 절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배관(71)이 부착되는 배관 부착부(580)의 선단은,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된다.
브레이크 배관(71)은, 강관이 아니라,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플렉시블한 배관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배관(71)은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아 U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배관(71)은, 리저버 탱크(3)의 배관 부착부(320a)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고,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어 개구되는) 토출 포트(44P)를 그 내주측으로 에워싸듯이 z축 부방향측으로 구부러진 후, x축 부방향측으로 다시 꺾여, 배관 부착부(580)에 부착된다. 제1 축방향 구멍(501)은, 브레이크 배관(71)을 통해, 리저버 탱크(3)의 보급구(32a)에 접속되어, 리저버 탱크(3)에 연통한다. 원통부(50e)와 플랜지부(50f)의 경계 부위의 y축 정방향측에는, 접속 포트(59)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포트(59)는, 밸브 장착 구멍(503)에 연통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배관(70)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4)의 y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는 토출 포트(44P)에 접속되어, 마스터 실린더(4)(액압실(43P))에 연통한다. 브레이크 배관(70)은, 브레이크 배관(71)보다 소직경 또한 고강성의 배관(예컨대 강관)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배관(70)은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배관(70)은, 마스터 실린더(4)의 y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는 토출 포트(44P)로부터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고, 브레이크 배관(71)을 내주측으로 에워싸듯이 y축 부방향측으로 다시 꺾여, 접속 포트(59)에 접속된다.
접속부(50b)는, 본체부(50a)(원통부(50d))의 z축 정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0b)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이다. 접속부(50b)의 y축 방향 양측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50i, 50j)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부(50i, 50j)를 포함하는) 접속부(50b)의 외주면은,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체결부(40d, 40e)를 포함하는) 플랜지부(40b)의 외주면과 형상 및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저버 탱크(3)의 배관 부착부(320a)는, 접속부(50b)(체결부(50i))의 y축 정방향 끝가장자리보다 y축 부방향측에 위치한다(체결부(50i)보다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리저버 탱크(3)의 배관 부착부(320b)는, 접속부(50b)(체결부(50j))의 y축 부방향 끝가장자리보다 y축 정방향측에 위치한다(체결부(50j)보다 y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에어 배출용 블리더(57)의 y축 부방향측의 선단은, 접속부(50b)(체결부(50j))의 y축 부방향 끝가장자리보다 y축 정방향측에 위치한다(체결부(50j)보다 y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0b)의 내부에는, 제1 축방향 구멍(504)과, 제2 축방향 구멍(505)과, 제3 축방향 구멍(50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방향 구멍(504)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50b)의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된다. 제1 축방향 구멍(504)의 직경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끼워맞춤부(40c)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방향 구멍(505)은, 제1 축방향 구멍(504)보다 소직경으로서, 제1 축방향 구멍(504)에 연속하여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축방향 구멍(506)은, 제2 축방향 구멍(505)보다 소직경으로서, 제2 축방향 구멍(505)에 연속하여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x축 부방향측(차량 부착면(508)측)으로 개구된다. 축방향 구멍(504∼506)은 대략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50i, 50j)는, 구멍(504∼506)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0b)의 x축 부방향측의 바닥부에는, 제3 축방향 구멍(506)을 둘러싸도록 스토퍼부(507)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507)의 x축 정방향측의 면은, 푸시 로드(2)의 플랜지부(21)의 x축 부방향측의 면과 대략 평행한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21)의 x축 부방향측의 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0c)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x축 부방향측에, yz 평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넓어지는 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0c)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랜지이다. 플랜지부(50c)는,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과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그 4 모서리에 각각 스터드축(고정구로서의 스터드 볼트)(509)이 x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50c)의 y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본체부(50a)(축방향 구멍(501) 등)의 축심 및 접속부(50b)(축방향 구멍(504) 등)의 축심이 위치한다. 플랜지부(50c)의 z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접속부(50b)의 축심이 위치한다. 플랜지부(50c)의 z축 부방향측의 단부보다 약간 하측(z축 부방향측)에, 본체부(50a)의 축심이 위치한다(도 7 참조).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은, 본체부(50a)의 폭(y축 방향 치수)보다 크고,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본체부(40a)의 폭(y축 방향 치수)보다 크며, 또한 리저버 탱크(3)의 폭(y축 방향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은, 접속부(50b) 내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플랜지부(40b)의 폭(y축 방향 치수)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0b)의 y축 방향 양끝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체결부(50i, 50j)의 외주연과, 플랜지부(40b)의 y축 방향 양끝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체결부(40d, 40e)의 외주연은, 플랜지부(50c)의 y축 방향 양끝 가장자리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대략 동일한 y축 방향 위치에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50c)의 높이(z축 방향 치수)는, 접속부(50b)의 높이(z축 방향 치수)보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플랜지부(40b))의 높이(z축 방향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본체부(50a)의 제2 축방향 구멍(502) 내에는, 반력 피스톤(51)이 x축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력 피스톤(51)은, 제2 축방향 구멍(502)의 x축 부방향 끝으로부터 제1 축방향 구멍(501)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축방향 구멍(501) 내로 돌출되는 반력 피스톤(51)의 x축 부방향 끝에는, 스프링 리테이너(512)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리테이너(512)는, 제1 축방향 구멍(501) 안을 반력 피스톤(51)과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력 피스톤(51)의 외주에는 시일 홈(510)이 형성되어 있고, 시일 홈(510)에는 시일 부재(511)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511)는, 제2 축방향 구멍(502)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1 축방향 구멍(501)의 x축 부방향측의 개구에는, 이 개구를 폐색하는 판형의 스프링 리테이너(5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리테이너(53)의 외주에는, 시일 부재(532)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532)가 제1 축방향 구멍(501)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제1 축방향 구멍(501)의 상기 개구가 액밀로 밀봉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반력 피스톤(51)에 의해 주실(54)과 부실(56)이 구획되어 있다. 제2 축방향 구멍(502) 내로서 반력 피스톤(51)보다 x축 정방향측에 주실(54)이 구획되어 있다. 제1 축방향 구멍(501) 내로서 반력 피스톤(51)보다 x축 부방향측에 부실(56)이 구획되어 있다. 주실(54)과 부실(56)의 연통은, 시일 부재(511)에 의해 억제된다. 주실(54)에는, 유로(55)와 에어 배출용 블리더(57)의 유로가 항상 개구된다.
부실(56) 내에는, 반력 피스톤(51)의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2)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2)은, 반력 피스톤(51)을 주실(54)의 측(주실(54)의 용적을 축소하고, 부실(56)의 용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항상 압박하는 탄성 부재이다. 코일 스프링(52)의 x축 정방향 끝은 스프링 리테이너(512)의 외주측에 접촉하여 유지되고, 코일 스프링(52)의 x축 부방향 끝은 스프링 리테이너(53)의 외주측에 접촉하여 유지된다. 스프링 리테이너(53)의 코일 스프링(52)보다 내주측의 부위에는,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30)에는, 탄성 부재(531)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531)는, 스프링 리테이너(53)보다 x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 부재(531)는, 스프링 리테이너(512)의 코일 스프링(52)보다 내주측의 부위에 위치 결정되고, x축 방향에서 스프링 리테이너(512)의 내주측의 부위와 대향하고 있다. 반력 피스톤(51)(스프링 리테이너(512))의 x축 부방향측으로의 이동량이 소정 이상이 되면, 탄성 부재(531)는, 스프링 리테이너(512)의 상기 내주측의 부위에 접촉하고,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반력 피스톤(51)의 x축 부방향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탄성 부재(531)는, 그 이동을 규제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로서 기능한다.
마스터 실린더 유닛으로서의 브레이크 장치(1)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내장한 밸브 유닛이기도 하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 가능하게 설치된, 항상 폐쇄된(비통전 상태로 밸브 폐쇄되는) 시뮬레이터 차단 밸브이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본체부(50a))에 형성된 밸브 장착 구멍(503)에 장착된다. 밸브 장착 구멍(503)이 개구되는 본체부(50a)(플랜지부(50f))의 x축 정방향측의 면은, 밸브 부착면을 구성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주실(54)은, 유로(55)를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에 접속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유로(브레이크 배관(70))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4)의 액압실(43P)에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솔레노이드(61)와, 밸브 보디(62)와, 아마추어(63)와, 플런저(64)와, 코일 스프링(65)과, 밸브 시트 부재(66)와, 복수의 유로 구성 부재를 갖고 있다. 솔레노이드(61)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본체부(50a)의 x축 정방향 끝에서의 플랜지부(50f)(체결부(50g, 50h))에 볼트로 체결된다. 아마추어(63)는, 솔레노이드(61)의 내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솔레노이드(61)에 통전됨으로써 전자력(자기 흡인력)을 발생한다. 솔레노이드(61)의 x축 정방향 끝에는,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는 커넥터부(610)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610)에는, 솔레노이드(6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배선(하니스)이 접속된다. 밸브 보디(62)는, 비자성체의 중공의 실린더이고, 아마추어(63)의 외주에 끼워 맞추도록 고정 설치되고, 아마추어(63)의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플런저(64)는, 밸브 보디(62) 안을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플런저(64)의 x축 부방향측의 선단에는, 구형의 밸브체(640)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640)는 x축 방향으로 작동한다. 코일 스프링(65)은, 아마추어(63)와 플런저(64) 사이에 압축 상태로 설치되고, 플런저(64)를 x축 부방향측으로 항상 압박한다. 밸브 시트 부재(66)는, 본체부(50a)의 밸브 장착 구멍(503)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66)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고, 그 x축 정방향측의 바닥부에는 밸브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리피스(660)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밸브 시트의 중앙 부위로 개구된다. 플런저(64)가 아마추어(63)의 전자력(x축 정방향측으로의 흡인력)에 의해 구동되고, 밸브체(640)가 오리피스(660)를 개폐함으로써, 오리피스(660)를 포함하는 유로(하기 시뮬레이터 유로)의 연통 상태가 제어된다.
유로 구성 부재는, 보디로서의 제1 부재(67)와, 필터로서의 제2, 제3 부재(68, 69)와, 시일 부재(60)를 갖고 있다. 제1 부재(67)는, 밸브 장착 구멍(503)의 x축 정방향측의 개구부에 플랜지에 의해 고정되는 중공 부재이다. 제1 부재(67)의 내주측에는 밸브 시트 부재(66)가 고정 설치되고, 제1 부재(67)의 내주와 밸브 시트 부재(66)의 외주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2 부재(68)는, 제1 부재(67)의 x축 부방향측에 고정되는 링형의 필터 부재이다. 제2 부재(68)의 내주측에는 밸브 시트 부재(66)가 설치되고, 제2 부재(68)의 내주와 밸브 시트 부재(66)의 외주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3 부재(69)는, 밸브 장착 구멍(503)의 x축 부방향측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디스크형의 필터 부재(시일 부재(60)의 리테이너)이고, 그 내주측에는 밸브 시트 부재(66)가 설치된다. 시일 부재(60)는, 시일 부재(46) 등과 동일한 단면 컵형의 시일 부재이고, 제2 부재(68)와 제3 부재(69) 사이에 설치된다. 시일 부재(60)의 내주측에는 밸브 시트 부재(66)가 고정 설치된다. 시일 부재(60)의 내주와 밸브 시트 부재(66)의 외주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시일 부재(60)의 외주측의 립부는, x축 정방향측으로 개방되도록 밸브 장착 구멍(503)의 내주면에 접한다. 시일 부재(60)(립부)와 밸브 장착 구멍(503)의 내주면 사이의 브레이크액의 유통은, 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의 흐름만 허용되고, 역방향의 흐름이 억제된다.
밸브 장착 구멍(503)의 내주에서의 제2 부재(68)와 시일 부재(60) 사이에는, 접속 포트(59)가 개구되어 있다. 밸브 장착 구멍(503)의 x축 부방향측의 바닥부에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주실(54)에 연통하는 유로(55)가 개구되어 있다. 접속 포트(59)는, 밸브 시트 부재(66)의 외주와 제1, 제2 부재(67, 68)의 내주 사이의 유로, 및 제1 부재(67)의 x축 정방향 끝에 형성된 오목부를 통해, 오리피스(660)에 연통하고 있다. 오리피스(660)는, 밸브 시트 부재(66)의 내주측에 형성된 유로(661)를 통해 유로(55)에 연통하고 있다. 이상의 경로에 의해, 액압실(43P)과 주실(54)을 접속하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에 의해 연통·차단이 전환되는 시뮬레이터 유로가 구성된다.
즉,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주실(54)은, 유로(55),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 및 브레이크 배관(70)을 통해 액압실(43P)과 연통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부실(56)은, 브레이크 배관(71)을 통해 리저버 탱크(3)에 접속되어 있다. 부실(56)은 리저버 탱크(3)와 항상 연통하고, 저압(대기압)에 해방되어 있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배압실을 구성한다. 또, 부실(56)을 리저버 탱크(3)에 접속하지 않고, 저압(대기압)에 직접 해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밸브 개방시,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4)(액압실(43P))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시뮬레이터 유로를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내부(주실(54))에 유입된다. 이 브레이크액에 의해, 구멍(502) 안을 축 방향으로 반력 피스톤(51)이 작동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반력을 의사적으로 생성하고, 이것을 브레이크 페달에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통전됨으로써 밸브 개방하여 시뮬레이터 유로를 연통시킨다. 마스터 실린더 액압이, 시뮬레이터 유로를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주실(54)에 작용한다. 주실(54)에서의 반력 피스톤(51)의 수압면에 소정 이상의 유압(마스터 실린더 액압)이 작용하면, 이 압력에 의해 반력 피스톤(51)이 코일 스프링(52)을 압축하면서 부실(56)측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주실(54)의 용적이 확대되고, 마스터 실린더(4)(액압실(43P))로부터 시뮬레이터 유로를 통해 주실(54)에 브레이크액이 유입된다. 또한, 부실(56)로부터 브레이크 배관(71)을 통해 리저버 탱크(3)로 브레이크액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면(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하면),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브레이크액을 흡입함으로써 페달 스트로크를 창출하고, 휠 실린더의 액 강성을 모의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감을 재현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전기에 코일 스프링(52)만이 압축되고 있는 동안에는, 스프링 상수가 낮고, 페달 반력의 증가 구배가 낮다.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후기에 코일 스프링(52)에 더하여 탄성 부재(531)가 압축되고 있는 동안에는, 스프링 상수가 높고, 페달 반력의 증가 구배가 높다. 이들 스프링 상수를 조정함으로써, 페달 답입감이 예컨대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와 동일해지도록 설정한다. 또, 운전자가 브레이크 조작을 종료하고(브레이크 페달을 복귀시키고), 주실(54) 내의 압력이 소정 미만으로 감소하면,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탄성력)에 의해 반력 피스톤(51)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 제3 부재(69)에, 그 내주와 x축 정방향 단부면을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유로를 통해, 유로(55)가, 시일 부재(60)의 x축 부방향측에 연통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시뮬레이터 유로에 병렬로 설치되고, 시일 부재(60)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규제되는 바이패스 유로가 구성된다. 시일 부재(6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주실(54)로부터 마스터 실린더(4)의 액압실(43P)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주실(54) 내에 브레이크액이 유입된 상태에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폐고장(폐쇄한 상태로 고착)한 경우에도, 주실(54)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4)측으로 브레이크액을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브레이크 장치(1)의 부착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고정된다. 각 하우징(40, 50)은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각 하우징(40, 50)은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합면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합면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끼워맞춤부(40c)의 외주면과, 플랜지부(40b)의 x축 부방향 단부면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접속부(50b)의 제1 축방향 구멍(504)의 내주면과, (제1 축방향 구멍(504)이 개구되는) 접속부(50b)의 x축 정방향 단부면을 구비한다. 이 접합면은, 소켓 조인트로서 기능하는 소켓부(끼워맞춤부(40c)의 외주면 및 제1 축방향 구멍(504)의 내주면)를 구비한다. 즉,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접속부(50b))의 일부분을 오목하게 하고, 이것에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돌출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양하우징(40, 50)을 접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제1 축방향 구멍(504)에,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끼워맞춤부(40c)를 삽입하여, 양자를 끼워 맞춘다. 양자를 x축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플랜지부(40b)의 x축 부방향 단부면은, 접속부(50b)의 x축 정방향 단부면에 접촉한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플랜지부(40b))의 체결부(40d, 40e)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접속부(50b))의 체결부(50i, 50j)에 볼트(10)가 삽입 관통되어, 체결부(40d, 40e)와 체결부(50i, 50j)가 체결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이 일체적으로 체결 고정된다. 또, 끼워맞춤부(40c)에 설치된 시일 부재(402)가, 제1 축방향 구멍(504)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제1 축방향 구멍(504)의 상기 개구가 액밀로 밀봉된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은, 그 끼워맞춤부(40c)의 내주측에, 끼워맞춤부(40c)보다 x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 중 끼워맞춤부(40c)보다 x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제1 축방향 구멍(504) 내에 수용된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구멍(400)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41P)은, 제2 축방향 구멍(505) 내에 수용된다.
한편, 브레이크 장치(1)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브레이크 장치(1))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차량 부착면(508)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 부착면(508)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x축 부방향측의 면을 구비하고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x축 부방향측의 면은, 플랜지부(50c)의 x축 부방향측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은, 스터드축(509)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차체의 대시 패널(플로어 패널)의 하부(지표측부)의 x축 정방향측에 체결 고정된다. 대시 패널은, 엔진룸(내지 주행용 모터 등의 파워 유닛이 설치되는 모터룸. 이하, 간단히 엔진룸이라고 함)과 차실을 구획하는 차체측의 격벽 부재이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은, 스터드축(509)에 나사 결합 혹은 삽입되는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플랜지부(50c)와 대시 패널 사이에 약간의 x축 방향 간극이 형성되면서, 4개의 고정점에서 대시 패널에 고정된다. 플랜지부(50c)의 크기(x축 방향의 두께, y축 방향의 폭, z축 방향의 높이)는,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에 대한 부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는 정도로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고정되는 점에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통해 차량에 고정되게 된다. 브레이크 장치(1)가 대시 패널에 고정된 상태에서, 푸시 로드(2)의 x축 부방향측이 대시 패널을 관통하여 차실 내(x축 부방향측)로 돌출된다. 마스터 실린더(4)나 리저버 탱크(3),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 등이 엔진룸 내의 차체 전방측(x축 정방향측)에 설치된다. 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스토퍼부(507)의 일부는, 차량 부착면(508)보다 x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걸림부에 부츠(2a)가 부착되어 푸시 로드(2)를 덮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은, 스터드축(509)에 의해 대시 패널에 리지드하게(탄성체를 개재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푸시 로드(2))에 입력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력(답력)에 대하여 양호한 반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마스터 실린더(4)의 피스톤(41)에 브레이크 조작력이 적절히 전달되고, 브레이크 조작력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 액압이 발생한다. 다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탄성체를 개재하여 대시 패널에 고정해도 좋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장치(1)의 배치에 관해 설명한다. z축 방향에서 보면,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차량 탑재시에 상하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연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차량 탑재시에 위에서부터 리저버 탱크(3), 마스터 실린더(4),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순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리저버 탱크(3)는 마스터 실린더(4)의 상측에 배치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이 서로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 탑재시에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축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의 위치가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시에,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리저버 탱크(3)의 y축 방향 중심과, 마스터 실린더(4)의 축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이, z축에 평행한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 탑재시에, 리저버 탱크(3)와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범위가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리저버 탱크(3)와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연직 방향에서 투영한 면적이 최소가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본체부(40a))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본체부(50a))는, 리저버 탱크(3)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배관(70, 7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저버 탱크(3),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전체의 높이(z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브레이크 배관(71)은 리저버 탱크(3)보다 z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브레이크 배관(70)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보다 z축 부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y축 방향에서 보면, 브레이크 장치(1)의 각 부재나 구조체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플랜지부(50c)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체결부(40d, 40e)를 포함하는 플랜지부(40b) 등)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체결부(50i, 50j)를 포함하는 접속부(50b) 등)는,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배관(71)은,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배관(71)은 xz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배관(71)(의 y축 정방향 끝)은 플랜지부(50c)의 y축 정방향 끝가장자리보다 y축 부방향측에 위치한다(플랜지부(50c)보다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 한쪽(x축 정방향측)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밸브체(640)(플런저(64))의 작동 방향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반력 피스톤(51)의 작동 방향이, 대략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밸브 장착 구멍(503))의 중심축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축방향 구멍(501, 502))의 중심축과 대략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서로 축 방향에서 중첩되는 범위가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x축 방향에서 투영한 면적이 최소가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체결부(50g, 50h)를 포함하는 플랜지부(50f)나 솔레노이드(61) 등)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본체부(50a))의 폭(y축 방향 치수) 및 높이(z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4)와 중첩되도록,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서로 병렬로(축 방향이 서로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축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의 위치가 된다. 차량 탑재시에,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4)의 축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축이, z축으로 평행한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범위가 최대가 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체결부(50g, 50h)를 포함하는 플랜지부(50f)나 솔레노이드(61) 등)는,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본체부(40a))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x축 방향에서 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x축 부방향 끝, 구체적으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본체부(50a)의 x축 부방향 끝은, 플랜지부(50c)까지 연장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x축 정방향 끝, 구체적으로는 커넥터부(610)를 제외한 솔레노이드(61)의 x축 정방향 끝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x축 정방향 단부면보다 x축 부방향측에 위치한다(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보다 x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저버 탱크(3)의 x축 정방향 끝과 마스터 실린더(4)의 x축 정방향 끝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커넥터부(610))의 x축 정방향 끝은, 서로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에 있다. 브레이크 배관(7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길이(x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브레이크 배관(71)(의 x축 정방향 끝)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x축 정방향 단부면보다 x축 부방향측에 위치한다(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보다 x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1)를 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마스터 실린더(4),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 및 브레이크 배관(71)(의 z축 부방향측의 대부분)은, 플랜지부(50c)의 뒤에 있어 보이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1)를 z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플랜지부(40b)의 일부를 제외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접속부(50b)의 일부와 플랜지부(50c) 등을 제외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리저버 탱크(3)의 뒤에 있어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1)를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브레이크 배관(71)의 z축 부방향측의 일부 및 브레이크 배관(70)의 일부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보이는 것을 제외하면,) 브레이크 배관(70, 71)은, 리저버 탱크(3), 마스터 실린더(4)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뒤에 있어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액추에이터(8)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액추에이터(8)를 x축 부방향측 또한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액추에이터(8)는, 마스터 실린더(4) 및 리저버 탱크(3)로부터 브레이크액의 공급을 받아,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과는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 가능한 제2 브레이크 액압 발생원이다. 액추에이터(8)는, 각 차륜의 휠 실린더와 마스터 실린더(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각 휠 실린더에 마스터 실린더 액압 또는 스스로 발생시킨 제어 액압을 개별로 공급 가능한 액압 제어 유닛이다. 액추에이터(8)는, 액압 유닛(8a)과, 액압 유닛(8a)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전자 제어 유닛(ECU))(8b)를 구비하고 있다. 액압 유닛(8a)과 컨트롤러(8b)는 일체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액압 유닛(8a)은, 제어 액압을 발생하기 위한 액압 기기로서, 액압 발생원인 펌프와, 하우징(80) 내에 형성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복수의 제어 밸브(전자 밸브)를 갖고 있다. 액압 유닛(8a)(하우징(80))에는,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8c)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액압 유닛(8a)의 구체적인 액압 회로 구성에 관해서는, 공지된 액압 유닛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액압 유닛(8a)에는, 유로의 소정 부위의 액압(마스터 실린더 액압 등)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검출치는 컨트롤러(8b)에 입력된다. 컨트롤러(8b)는, 입력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액압 유닛(8a)의 각 기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으로부터 독립하여 각 휠 실린더의 액압을 제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액압 유닛(8a)은,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브레이크 장치(1)에 접속된다. 액압 유닛(8a)은, 예컨대, 브레이크 장치(1)의 하측에, 도 10의 x축 등의 방향이 도 1의 x축 등의 방향과 각각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시스템 전체의 연직 방향(차량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을 적게 하여,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액압 유닛(8a)의 하우징(80)은, 댐퍼(8d) 및 브래킷(8e)을 통해 차체측(엔진룸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다. 하우징(80)의 상측에는, 하우징(80) 내에 형성된 유로의 개구부로서, P 계통 및 S 계통의 마스터 실린더 포트(81)나, 4개의 휠 실린더 포트(82)가 설치되어 있다. P 계통의 마스터 실린더 포트(81P)는,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4)의 P 계통의 (y축 부방향측의) 토출 포트(44P)에 접속되어, 액압실(43P)에 연통한다. S 계통의 마스터 실린더 포트(81S)는, 다른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4)의 S 계통의 토출 포트(44S)에 접속되어, 액압실(43S)에 연통한다. 각 휠 실린더 포트(82)는, 각각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각 휠 실린더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80)의 다른 포트는,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리저버 탱크(3)의 보급구(32b)에 접속되어, 리저버 탱크(3)에 연통한다.
컨트롤러(8b)는, 마스터 실린더(4)와는 별개로, 바꿔 말하면 브레이크 장치(1)(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8b)에는, 하니스가 접속되는 커넥터(83)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와 컨트롤러(8b)는, 하니스를 통해 접속된다. 컨트롤러(8b)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페달 스트로크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검출치와, 펌프의 토출압이나 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검출치와, 차량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컨트롤러(8b)는, 이들 검출치나 정보에 기초하여, 내장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액압 유닛(8a)의 각 전자 밸브의 개폐나 모터의 회전수(펌프의 토출량)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력을 저감하기 위한 배력 제어나, 제동에 의한 차륜의 슬립을 억제(록 경향을 완화)하기 위한 안티록 브레이크 제어(ABS)나, 차량의 사이드 슬립 등을 억제하여 차량 거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VDC나 ESC라는 차량 거동 제어)나, 선행차 추종 제어 등의 자동 브레이크 제어나, 회생 브레이크와 협조하여 목표 감속도(목표 제동력)를 달성하기 위한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등을 실현한다. 예컨대, 배력 제어에서는,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 액압에 대하여, 액압 유닛(8a)을 구동하여(펌프의 토출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어시스트 액압을 가압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 액압보다 높은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한다.
액압 유닛(8a)이 비작동인 상태에서는, 마스터 실린더(4)의 액압실(43)과 각 차륜의 휠 실린더가 연통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답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마스터 실린더 액압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발생한다(답력 브레이크).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조작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4)의 각 계통의 액압실(43)로부터 (액압 유닛(8a) 내의 유로를 경유하여) 각 휠 실린더를 향해 브레이크액이 공급된다(증압시). 즉,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 액압이 그대로 휠 실린더에 공급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이 복귀되면, 각 휠 실린더로부터 (액압 유닛(8a) 내의 유로를 경유하여) 마스터 실린더(4)를 향해 브레이크액이 복귀된다(감압시). 이 때, 시뮬레이터 유로 상에 설치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비통전 상태가 되어 밸브 폐쇄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4)(액압실(43P))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주실(54))의 연통이 차단된다.
한편, 액압 유닛(8a)이 작동한 상태에서는, 마스터 실린더(4)의 액압실(43)과 각 휠 실린더의 연통을 차단하면서, 펌프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액압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위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구성하여, 배력 제어나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통전 상태가 되어 밸브 개방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4)(액압실(43P))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주실(54))가 연통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면(브레이크 페달을 답입 또는 복귀시키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을 흡배(吸排)하여, 페달 스트로크를 창출한다. 컨트롤러(8b)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작동(통전 상태)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8b)는,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액압 컨트롤러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통합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전자의 액압 컨트롤러에 후자의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장치(1)와 액추에이터(8)는 별개로(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장치(브레이크 장치(1), 액추에이터(8))의 범용성이 높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상이한 차종에도 적용하기 쉽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1)와 액추에이터(8)를 일체로 설치한 경우에 비교하여,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장치의 차량에서의 설치 스페이스는 한정되어 있는 바,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1)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액추에이터(8)가 마스터 실린더 액압보다 높은 휠 실린더 액압을 발생시켜 브레이크 조작력을 저감하는 배력 제어를 실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브레이크 장치(1)와는 별개로 설치된 휠 실린더 액압 제어 수단으로서의 액추에이터(8)를 배력 장치로서도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배력 장치, 예컨대 차량의 엔진이 발생하는 흡기압(부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조작력을 배력하는 마스터백을 생략 가능하다. 또한, 입력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장치(1)에, 축압 수단(어큐뮬레이터)이나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조작력을 배력하는 부스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브레이크 시스템 전체를 간소화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적용성이 높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하면서, 차량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백의 설치에 필요했던 스페이스에 브레이크 장치(1)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8)를 배력 장치로서도 기능시키는 대신에, 링크 기구를 이용한 링크식이나,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한 전동식(액압식)의 배력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장치(1)(브레이크 시스템)는, 회생 제동력을 발생 가능한 차량에 적합하지만, 그 이외의 차량(엔진만을 구동원으로 하는 비전동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브레이크 장치(1)에서는, 리저버 탱크(3)와,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일체적으로(하나의 마스터 실린더 유닛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저버 탱크(3)와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 사이를 접속하는 유로를 단축화할 수 있다. 또한, 리저버 탱크(3)와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로서의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함으로써, 이것을 상이한 차종에 탑재하기 쉬워, 범용성이 높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마스터 실린더는, 탑재되는 차량의 차격(車格)에 따라 베리에이션이 있다. 만일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공통의 하우징을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 마스터 실린더의 베리에이션마다 상기 공통의 하우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브레이크 장치를 상이한 차종(차격)에 적용하기 어려워, 유용이 곤란하고, 범용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브레이크 장치(1)에서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을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고정했다. 즉, 브레이크 장치(1)의 조립 전에는,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별개이고(각각에 고유의 하우징(40, 50)을 갖고 있고) 서로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조립시에 서로의 하우징(40, 50)을 일체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1)를 완성시킨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4)의 베리에이션마다 브레이크 장치(1) 전체의 하우징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4)를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상이한 차종(차격)에 대한 범용성이 높다. 말하자면,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모듈화하여, 탑재하는 차종(차격)에 따라 각 모듈(4, 5)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기존 제품의 유용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대하여, 탑재되는 차량의 차격에 따른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차량에 적합한 브레이크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은, 소켓부를 구비한 접합면(끼워맞춤부(40c)의 외주면 등)에 의해 접합(소켓 접합)하여,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기존의(범용) 마스터 실린더의 유용이 보다 용이해진다. 예컨대,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의 하우징에 원래 구비된 어떠한 돌출부(본 실시예에서는 x축 부방향측의 끼워맞춤부(40c))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제1 축방향 구멍(504))을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형성하여, 양자를 소켓 접합시키면,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4)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은, 차량 부착면(508)을 구비하고, 차량 부착면(508)에 의해 차량에 부착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통해 용이하게 마스터 실린더(4)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차량에 부착할 수 있다. 다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이 아니라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을 차량에 부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러나, 이 경우, (범용성 향상을 위해)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형상을 가능한 한 변경하지 않고, 차량에 부착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고정하고자 하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접합할 수 있는 적당한 부위가 한정된다. 즉, 마스터 실린더(4)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면서, (차량에 부착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을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차량에 부착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대한 제약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보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 쪽이 적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 쪽을 차량에 부착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4)를 차량에 부착하도록 하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을 접합할 수 있는 부위를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실린더(4)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면서, 마스터 실린더(4)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용이하게 차량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 쪽을 차량에 부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 쪽을 차량에 부착한 경우에 비교하여,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 쪽을 차량에 부착하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접합하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부위로서, 기존의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에 원래 구비된 차량 부착부(본 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부(40c))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차량 부착부(끼워맞춤부(40c))는 어느 정도 규격화되어 있다. 이 규격화된 차량 부착부(끼워맞춤부(40c))에 따른 오목 형상을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형성하면, 이것을 범용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임의의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에 대하여 상기 범용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유용이 용이해진다.
또, 조립 전에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를 별개로 한 것에 따라, 양자를 접속하는 유로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배관(70, 7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저버 탱크(3)의 배관 부착부(320a)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접속 포트(58)를, 브레이크 장치(1)의 동일한 측면(y축 정방향측)에 설치한 것에 의해, 브레이크 배관(71)을 단축하면서, 브레이크 배관(71)의 접속 작업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배관(70)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각 브레이크 배관 중, 적어도 고압이 작용하지 않는 브레이크 배관(71)을, 플렉시블한 재질(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했다. 따라서, 브레이크 배관(71)을 강관으로서 구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브레이크 배관(71)의 레이아웃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가 일체적으로 배치된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차량 탑재시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가 마스터 실린더의 수평 방향 위치에(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내지, 수평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본 브레이크 장치의 점유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브레이크 장치(1)에서는, 차량 탑재시에,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상하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장치(1)의 투영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엔진룸 내에서 브레이크 장치(1)가 차지하는 영역(점유 면적)을 저감하여,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 탑재성 및 엔진룸 내에서의 레이아웃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룸 내에 브레이크 장치(1)를 설치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룸 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마스터백의 설치에 필요했던 스페이스(마스터백을 제외함으로써 생긴 스페이스)에 중첩시켜 브레이크 장치(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별도 형성할 필요성이 낮아진다. 또,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범위가 있으면 되지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절반 이상이 마스터 실린더(4)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마스터 실린더(4)의 바로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에서 양자가 중첩되는 면적을 크게 했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서로 중첩(마스터 실린더(4)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양자(4, 5)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 방향(길이 방향)에서 중첩되도록 양자(4, 5)를 배치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치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의 축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경우,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의 상기 점유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길이 방향)을 맞추고 있다(일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양축 방향이 서로 어긋나 있는(양축 사이에 각도가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마스터 실린더(4)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전체를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으로부터 투영한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마스터 실린더(4)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 내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치수(마스터 실린더(4)의 축직(軸直) 방향에서의 장치 전체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전체를 마스터 실린더(4)의 축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로서 양자(4, 5)의 축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마스터 실린더(4)의 축직 방향에서의 장치 전체의 치수를 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도록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병렬로(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4)의 축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양자(4, 5)가 중첩되는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마스터 실린더(4)의 축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이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 것에 의해, 양자(4, 5)가 중첩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의 상기 점유 면적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가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는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했기 때문에, 이들 전체의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을 최소로 하여, 상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접속부(50b)의 일부와 플랜지부(50c) 등을 제외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윤곽 내에 들어간다. (플랜지부(40b)의 일부를 제외한) 마스터 실린더(4)는 리저버 탱크(3)의 윤곽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1)의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플랜지부(40b),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접속부(50b), 배관 부착부(320), 및 브레이크 배관(70, 71)을 제외하고,) 리저버 탱크(3)의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과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의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밸브체(640)(플런저(64))의 작동 방향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반력 피스톤(51)의 작동 방향이 대략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양축 방향이 서로 어긋나 있는(양축 사이에 각도가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전체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으로부터의 투영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 내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치수(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직 방향에서의 장치 전체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경우,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엔진룸 내에서 브레이크 장치(1)가 차지하는 영역(점유 면적)을 저감하여,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을 맞춤으로써, 결과적으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축 방향을 맞추는(서로 대략 평행으로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1)의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점유 면적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축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전체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으로부터의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양자(5, 6)가 중첩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고, 상기 투영 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x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 방향(길이 방향)에서 중첩되도록 양자(4, 6)를 배치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치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4)의 축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경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의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점유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범위가 있으면 되지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절반 이상이 마스터 실린더(4)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4, 6)가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는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고,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을 최소로 한 것에 의해, 상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마스터 실린더(4)(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윤곽 내에 들어간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커넥터부(610))의 x축 정방향 끝은, 리저버 탱크(3) 및 마스터 실린더(4)의 x축 정방향 끝과, x축 방향에 관해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의 상하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하우징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하우징을 일체화한 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의 전체를 보다 소형화하여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자(5, 6)를 접속하기 위한 구조나 브레이크 배관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하고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페일 세이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b)는, 브레이크 장치(1)와는 별개로 구성되고, 하니스를 통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와 컨트롤러(8b)를 일체로 설치한 경우에 비교하여,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하여, 브레이크 장치(1)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액압 컨트롤러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컨트롤러(8b)로서 통합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1)의 레이아웃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4),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브레이크 장치(1)(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가로 방향(바꿔 말하면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마스터 실린더(4)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 탑재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엔진룸 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마스터백의 설치에 필요했던 스페이스(마스터백을 제외함으로써 생긴 스페이스) 내에 대략 들어가도록 브레이크 장치(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별도 형성할 필요성이 낮아진다.
또한, 리저버 탱크(3)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배관(71)은,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가로 방향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 탑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의 체결부(40d)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의 체결부(50i)는,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되면서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간다. 체결부(40d, 50i)의 상하의 스페이스에 각각 배관 부착부(320a, 580)가 배치되어 있다. 배관 부착부(320a, 580)는 모두 (y축 정방향측이 아니라) x축 정방향측으로 개구되도록 절곡됨과 동시에,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관 부착부(320a, 580)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배관(71)은, 체결부(40d, 50i) 및 토출 포트(44P)를 우회하는 U자형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들 체결부(40d) 등과의 간섭을 배제하면서, 브레이크 배관(71)이 플랜지부(50c)의 폭(y축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간다. 브레이크 배관(71)이 플랜지부(50c)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엔진룸 내에서의 브레이크 배관(71)과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배관(71)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브레이크 배관(71)을 플렉시블한 재질(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 그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에 배치되고, 리저버 탱크(3)는 마스터 실린더(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차량 탑재시에 위에서부터 리저버 탱크(3), 마스터 실린더(4),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순서가 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1)의 에어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에 대한 부착시나 메인터넌스(브레이크액 교환)시에, 브레이크 장치(1) 내의 에어(공기)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행한다. 시뮬레이터 유로 중,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보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측(주실(54)을 포함함)에 관해서는, 에어를, 에어 배출용 블리더(57)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블리더(57)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주실(54)(원통부(50e))의 z축 정방향측, 즉 에어가 머물기 쉬운 상측의 부위로 개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시뮬레이터 유로 중,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보다 마스터 실린더(4)측에 관해서는, 에어는, 브레이크 배관(70)을 경유하여 마스터 실린더(4)(액압실(43P)) 및 리저버 탱크(3)(공급구(3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에 배치되고, 리저버 탱크(3)는 마스터 실린더(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거품)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브레이크 배관(70) 등을 통해 리저버 탱크(3)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에어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의 효과]
이하, 실시예 1로부터 파악되는 발명과 그 효과를 열거한다.
(1)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4)와,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어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구비하고,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측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장치(1)의 투영 면적을 저감하여,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4)에 브레이크액을 공급 가능한 리저버 탱크(3)를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마스터 실린더(4)의 하측에 배치되고, 리저버 탱크(3)는 마스터 실린더(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반력 피스톤(51)(피스톤)을 구비하고,
마스터 실린더(4)의 축 방향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의 축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축 방향을 맞춤으로써, 상측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장치(1)의 투영 면적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4)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5)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는 연직 방향으로(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4)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6)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50c)(플랜지)를 구비하고,
마스터 실린더(4)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플랜지부(50c)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가로 방향에서의 브레이크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차량 탑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7)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3)와,
리저버 탱크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배관(71)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배관은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8)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4)는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50)을 구비하고,
각 하우징은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9)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 가능한 마스터 실린더(4)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고, 유입된 브레이크액에 의해 반력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를 구비하고,
차량 탑재시에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가 상기 축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10)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 내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3)를 구비하고,
차량 탑재시에 위에서부터 리저버 탱크, 마스터 실린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순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11)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2)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밸브체(640)를 갖고,
상기 밸브체의 작동 방향과 반력 피스톤의 작동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13)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반력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14)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합면을 구비하고,
접합면은 소켓부를 구비한다.
(15) 상기한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랜지를 구비하고,
마스터 실린더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고정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16)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배관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배관은 고정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17) 브레이크 조작 상태 또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8)와,
액추에이터(8)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브레이크 장치(1)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브레이크 장치(1)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4)와,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어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b)를 구비하고,
마스터 실린더(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5)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되고,
컨트롤러(8b)는 마스터 실린더(4)와는 별개로 구성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6)와 컨트롤러(8b)는 하니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1)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컨트롤러(8b)를 마스터 실린더(4)와는 별개로 한 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하여,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8)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액압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상기 액압 컨트롤러에 포함되어 있다.
(19)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반력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20)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축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공통의 하우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일체적이 아니라 별개로(예컨대 공간적으로 근접하면서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도, 차량 탑재시에 마스터 실린더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연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40)(끼워맞춤부(40c))의 x축 부방향 끝과 푸시 로드(2)의 플랜지부(21) 사이(피스톤(41P)의 외주)에, 댐퍼로서의 스프링(접시 스프링 등)(23)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스프링(23)의 x축 부방향 끝에 플랜지부(21)가 접촉하게 되고, 스프링(23)은, 플랜지부(21)에 의해 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압축된다. 압축 변형하는 스프링(23)은, 푸시 로드(2)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에 반력을 부여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을 조정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 조작량의 전영역에서 바람직한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액추에이터(8)를 배력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대신에, 링크 기구를 이용한 링크식 배력 장치를 브레이크 페달과 클레비스(20) 사이에 설치한 경우를 상정한다. 링크 기구의 특성을, 차량 탑재시의 제약 조건하에서 소정의 배력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하고자 하면, 브레이크 조작 후기의 페달 스트로크 영역에서 레버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등, 바람직한 브레이크 특성(답력과 스트로크와 감속도의 관계)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스프링(23)을 설치하면, 스프링(23)이 브레이크 조작 후기에 압축됨으로써 페달 반력을 증가시키고, 답력을 감쇠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페달 조작량의 전영역에서 바람직한 브레이크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가지의 실시형태만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신규 교시나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시의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원은, 2013년 5월 24일자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0963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3년 5월 24일자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09634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전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적으로 받아들여진다.
1 : 브레이크 장치 3 : 리저버 탱크
4 : 마스터 실린더 5 :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50c : 플랜지부(플랜지) 51 : 반력 피스톤(피스톤)
6 :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
8 : 액추에이터 8b : 컨트롤러

Claims (21)

  1.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가지며,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어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擬似)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한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이며,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부착할 때의 차량 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중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 브레이크액을 공급 가능한 리저버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저버 탱크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축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연직 방향으로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상기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리저버 탱크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배관은 상기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각 하우징은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9.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가지며,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 가능한 마스터 실린더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고, 유입된 브레이크액에 의해 반력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차량 탑재시에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가 상기 축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상기 반력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이며,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부착할 때의 차량 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중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를 구비하고,
    차량 탑재시에 위에서부터 상기 리저버 탱크, 상기 마스터 실린더,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순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는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의 작동 방향과 상기 반력 피스톤의 작동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수용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면은 소켓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상기 고정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리저버 탱크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배관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배관은 고정 플랜지의 폭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7. 브레이크 조작 상태 또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가지며,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어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에 대한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차량 탑재시에 연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일체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밸브와 상기 컨트롤러는 하니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반력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이며,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부착할 때의 차량 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중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액압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액압 컨트롤러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축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1.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을 가지며,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리저버 탱크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을 압송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압송된 브레이크액이 유입되어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와 상기 리저버 탱크 사이에,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의 축선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의 길이 방향의 축선이 평행이 되도록, 상기 마스터 실린더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는 내부에 브레이크액이 유입되면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을 수용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이며,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부착할 때의 차량 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중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하우징 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0157023337A 2013-05-24 2014-05-21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19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9634A JP6115943B2 (ja) 2013-05-24 2013-05-24 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JP-P-2013-109634 2013-05-24
PCT/JP2014/063421 WO2014189066A1 (ja) 2013-05-24 2014-05-21 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09A KR20150112009A (ko) 2015-10-06
KR101719443B1 true KR101719443B1 (ko) 2017-03-23

Family

ID=5193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337A KR101719443B1 (ko) 2013-05-24 2014-05-21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02108B2 (ko)
JP (1) JP6115943B2 (ko)
KR (1) KR101719443B1 (ko)
CN (3) CN108515953A (ko)
DE (1) DE112014002556T5 (ko)
WO (1) WO2014189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5952B2 (ja) * 2015-11-20 2019-07-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6575025B2 (ja) * 2016-06-17 2019-09-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US10668908B2 (en) * 2017-11-14 2020-06-02 Robert Bosch Gmbh Brake fluid reservoir
USD870618S1 (en) * 2017-11-17 2019-12-24 Global Horizons Enterprises Llc Canister
JP7143806B2 (ja) * 2019-04-03 2022-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N112277906B (zh) * 2019-12-31 2022-06-10 京西重工(上海)有限公司 踏板制动组件
DE102021202553A1 (de) * 2021-03-10 2022-09-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gerät mit einer Simulatoreinheit
USD973105S1 (en) 2022-06-02 2022-12-20 Joe R. Granatelli Automobile vacuum pump canis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295A (ja) * 1999-11-24 2001-08-07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車両用液圧ブレーキ装置
JP2005104334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2007176276A (ja) * 2005-12-27 2007-07-12 Hitachi Ltd タンデム型マスタシリン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379A (en) 1979-11-06 1982-04-27 Societe Anonyme Francaise Du Ferodo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braking circuit
JP2516773B2 (ja) * 1987-07-31 1996-07-24 日信工業 株式会社 タンデム型マスタシリンダ
DE4430168B4 (de) * 1994-08-25 2004-12-02 Robert Bosch Gmbh Fahrzeugbremsanlage
GB2305478B (en) * 1995-09-26 1999-05-12 Delphi France Automotive Sys Brake system
WO1999039956A1 (de) * 1998-02-07 1999-08-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 regelbares bremsbetätigungssystem
DE19822411A1 (de) * 1998-02-07 1999-08-12 Itt Mfg Enterprises Inc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 regelbares Bremsbetätigungssystem
US6464307B1 (en) * 1999-11-24 2002-10-15 Sumitomo (Sei) Brake Systems, Inc. Automotive hydraulic pressure brake system
JP2005104333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4589015B2 (ja) * 2004-02-26 2010-12-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4380512B2 (ja) 2004-11-30 2009-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758225B2 (ja) * 2005-12-27 2011-08-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2007203891A (ja) * 2006-02-02 2007-08-16 Hitachi Ltd ソレノイドバルブおよび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2008238834A (ja) * 2007-03-24 2008-10-09 Hitachi Ltd ブレーキ制御装置
JP5126238B2 (ja) * 2009-05-25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動操作装置
KR101327205B1 (ko) * 2009-12-01 2013-11-11 주식회사 만도 하이브리드 제동장치
CN201597497U (zh) * 2010-02-12 2010-10-06 陕西同力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桥梁运输车
CN201777241U (zh) * 2010-08-19 2011-03-30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机动车制动液储液罐
JP5364077B2 (ja) 2010-11-17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の入力装置
CN103221281B (zh) 2010-11-17 2016-01-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制动系统的输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295A (ja) * 1999-11-24 2001-08-07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車両用液圧ブレーキ装置
JP2005104334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2007176276A (ja) * 2005-12-27 2007-07-12 Hitachi Ltd タンデム型マスタシリン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5943B2 (ja) 2017-04-19
CN108515953A (zh) 2018-09-11
CN105073525B (zh) 2018-06-29
KR20150112009A (ko) 2015-10-06
WO2014189066A1 (ja) 2014-11-27
US20160031425A1 (en) 2016-02-04
DE112014002556T5 (de) 2016-02-11
US10202108B2 (en) 2019-02-12
JP2014227097A (ja) 2014-12-08
CN108340897A (zh) 2018-07-31
CN105073525A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443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84583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US9302664B2 (en) Vehicle brake system
US8812210B2 (en) Vehicle brake system
JP6616487B2 (ja) ブレーキ装置
JP5200092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入力装置
JP6461388B2 (ja) ブレーキ装置
JP6288881B2 (ja) ブレーキ装置
JP7112467B2 (ja) ブレーキ装置
JP7112462B2 (ja) ブレーキ装置
JP7321332B2 (ja) ブレーキ装置
JP6770628B2 (ja) ブレーキ装置
JP6794561B2 (ja) ブレーキ装置
JP6650013B2 (ja) ブレーキ装置
JP6437068B2 (ja) ブレーキ装置
JP6214069B2 (ja) ブレーキ装置
JP5537391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入力装置
JP2012106634A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の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