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06B1 -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06B1
KR101718806B1 KR1020150056296A KR20150056296A KR101718806B1 KR 101718806 B1 KR101718806 B1 KR 101718806B1 KR 1020150056296 A KR1020150056296 A KR 1020150056296A KR 20150056296 A KR20150056296 A KR 20150056296A KR 101718806 B1 KR101718806 B1 KR 101718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passenger
image
passengers
stop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110A (ko
Inventor
조봉관
박기준
이영수
박평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테크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테크빌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06B1/ko
Priority to US15/527,709 priority patent/US10457306B2/en
Priority to PCT/KR2015/014063 priority patent/WO2016171370A1/ko
Publication of KR2016012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1Obstacl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3Recognition of crowd images, e.g. recognition of crowd conges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승객 검지 장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운행 관제 서버 및 상기 운행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CALCULATION SERVER FOR PLATFORM STOP TIME OF TRAI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때, 카메라를 통해서 얻어진 영상을 이용하여 역사 내의 열차 탑승을 대기 승객 인원수 및 열차 내의 하차고객 인원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인원수에 따라 열차의 정차시간을 조정하는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철도인 국철, 지하철, 전철 등의 열차가 역의 승강장에 도착하면, 열차는 출입문(PSD; Platform Screen Door)을 열고 정해진 시간만큼 정차한 후 출입문을 닫고 출발하게 된다. 이때, 역에서 승객의 승/하자 및 열차의 운행시간 조정을 위해서 역의 승강장에 멈춰 있는 정차시간이라 하고, 정차시간은 열차의 운행스케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차 운행관리 시스템은 열차의 출입문 자동개폐 및 열차운행을 자동제어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ATO, Automatic Train Operating System, 이하 ATO라 한다.)에 열차운행스케줄에 있는 정차시간을 전송하고, ATO는 열차운행스케줄에 있는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차시간을 관리하게 된다.
다만, 모든 역이 동일한 정차시간을 가질 수 없고, 동일한 역이라 하더라도 매번 동일한 정차시간을 가질 수 없다. 환승역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역은 필연적으로 정차시간이 길어지며, 출퇴근시간에는 유동인구의 증가로 인해 정차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즉, 승객의 안전을 위해 유동인구의 변화를 고려하여 정차시간을 관리해야 하고, 현재 플랫폼 및 열차에 승/하차 승객이 많은 경우 열차의 기관사는 수동으로 열차의 정차시간을 결정하고, 열차의 출발을 판단한다.
하지만, 열차가 무인운전으로 운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기관사의 판단이 존재하지 않고, 정해진 정차시간에 따라 열차의 출입문이 개폐되며, 열차가 출발되기 때문에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래서, 플랫폼 및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수에 따라 정차시간을 결정하고, 열차의 출발을 판단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56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장 내의 승객 인원을 분석하여 승차시간을 조절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 서버 및 자동 운행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각 역에서의 정차시간을 관리하여 중앙관제실에서 열차 간격 조절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 및 자동 운행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은,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승객 검지 장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운행 관제 서버 및 상기 운행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방향으로 역사 또는 열차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승객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개찰구, 계단, 승강장 통로 또는 열차의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고, 승객 검지 장치는, 생성한 상기 제 1 이미지를 병합하고, 병합한 상기 제 1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승객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제 1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1 카메라와 열차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하고,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분석하여 승차하는 승객 인원수와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계산하며, 운행 관제 서버는 상기 승차하는 승객 인원수와 상기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열차 내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승객 검지 장치는, 생성한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검지 장치는,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의 머리수를 측정하여 승객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승강장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이미지에서 승강장의 넓이를 측정하며, 상기 승강장의 넓이와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장 내의 상기 승객 비율을 계산하고, 운행 관제 서버는, 상기 계산된 승객 비율을 이용하여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역사에 상기 열차가 진입시 상기 역사 내의 승객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검지 장치는, 운행 관제 서버에서 열차의 역사 진입시간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ATO장치는, 수신된 적정 정차시간과 승객의 승하차 완료시간이 동일한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운행 관제 서버에 상기 승객의 승하차 완료시간을 송신하고, 운행 관제 서버는, 수신한 상기 승객의 승하차 완료시간과 판단된 상기 승객 인원수를 통계화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관관계에 관한 식을 생성하며, 상기 상관관계에 관한 식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검지 장치는, 촬상장치, 근접 감지 센서, 변위 감지 센서, 회전 감지 센서, 속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하중 감지 센서, 가시광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전자파 센서, 열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승객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은,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는 단계, 운행관제서버가 열차의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를 승객검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 1 카메라가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1 이미지 획득하는 단계, 제 2 카메라가 상기 열차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2 이미지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ATO장치로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및 ATO장치가 지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역사의 적어도 일부는 개찰구, 계단, 승강장, 승강장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제 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는 획득된 복수의 제 1 이미지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로 구성된 상기 제 1 카메라는, 획득되는 상기 제 1 이미지 각각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의 제 1 이미지를 병합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제 1 이미지 각각의 겹쳐진 일부가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획득된 제 1 이미지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열차 내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생성한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기능, 운행관제서버가 열차의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를 승객검지장치로 전송하는 기능, 제 1 카메라가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1 이미지 획득하는 기능, 제 2 카메라가 상기 열차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2 이미지 획득하는 기능,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ATO장치로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전송하는 기능 및 ATO장치가 지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은 역사 내의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승객 검지 장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운행 관제 서버 및 상기 운행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를 포함하되,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하며, 상기 운행 관제 서버는, 상기 제 1 열차의 제 1 적정 정차시간 및 상기 제 2 열차의 제 2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적정 정차시간이 상기 제 2 적정 정차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제 2 적정 정차시간을 상기 제 1 적정 정차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은,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하는 단계,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로 열차 진입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카메라가 각각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3 이미지 및 제 4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3 이미지 및 상기 제 4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과 상기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의 동일여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2 적정 정차시간을 상기 제 1 적정 정차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하는 기능,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로 열차 진입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카메라가 각각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3 이미지 및 제 4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3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2 이미지 및 상기 제 4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과 상기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의 동일여부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2 적정 정차시간을 상기 제 1 적정 정차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열차의 정차시간을 자동 산출하는 운행 관제 서버는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계산된 승객 인원수를 수신하고,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기반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에 상기 적정 정차시간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승객 인원수는,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역사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 또는 열차의 내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승객 인원수는,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미지를 병합하고, 분석하여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적정 정차시간은,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강장의 넓이와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계산한 상기 승강장 내의 승객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의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를 상기 승객 검지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상기 승객 인원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장 내의 승객 인원을 분석하여 승차시간을 조절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 서버 및 자동 운행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역에서의 정차시간을 관리하여 중앙관제실에서 열차 간격 조절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 및 자동 운행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역의 열차 정차시간의 관리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역사에 위치된 승강장 감시 카메라 설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승강장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개찰구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승강장 계단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열차 내부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열차 운행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적용될 수 있는, 열차 운행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열차운행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열차의 운행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관리를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그 중 ATO의 경우, 열차의 출입문 자동개폐 및 열차운행을 자동제어하는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이며, 스케줄 상 정해진 열차 정차시간에 따라 ATO가 동작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의 ATO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관제서버로부터 열차 정차시간을 통신받고, 수신된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ATO장치를 이용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은 운행관제서버에서 일괄적으로 보내준 정차시간에 따라 열차의 운행을 관리하게 되고, 승/하차 승객인원 및 유동인구에 대해 고려가 없으며,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수동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열차가 무인운전으로 운행되는 경우, 승객의 안전보장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자동으로 플랫폼 및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수에 따라 정차시간을 결정하고, 열차의 출발을 판단하는 열차 자동 운행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사 및 승강장에 도착하는 열차 내에 존재하는 승객을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에서 승객인원수를 판단하며, 판단된 승객인원수를 바탕으로 승객 안전에 필요한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여 ATO에 전달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발명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검토하여 보면, 본 발명인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운행관제 서버(100), 복수의 역사 관리 시스템(200), 역 통합 네트워크(300), ATS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역사 관리 시스템(200)은 카메라(210), 승객검지장치(220), ATO장치(230), 지상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운행관제 서버(100)는 열차의 운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열차의 운행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관제 서버(100)는 각 역사내의 승객 점유율과 가중치 및 열차 운행 스케줄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역사내의 시간대별 승객수와 열차 승하차 시간, 계산된 적정 정차시간 및 실제 정차시간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게다가, 계산된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과 승객의 열차 승하차 시간이 다른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승객의 승하차 완료 시간과 판단된 승객 인원수의 상관관계를 통계화할 수 있다. 또한 통계화된 상관관계를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 계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운행관제 서버(100)는 열차의 운행 속도, 열차의 간격조정, 열차의 운행상태와 같은 열차의 운행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운행관제 서버(100)는 승객 비율로부터 각 역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하고, 각 역에 적정 정차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역사 관리 시스템(200)은 각 역마다 승객인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카메라(210), 승객 검지장치(220), ATO장치(230), 지상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0)의 설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검토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역사에 위치된 승강장 감시 카메라 설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승강장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개찰구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승강장 계단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열차 내부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카메라(210)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데이터를 발생한다. 처리된 영상데이터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카메라(210)는 역의 승강장(500) 천장 일부에 위치될 수 있고, 승객 인원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한 승강장(500)에는 복수의 카메라(210)가 위치되어 각각 기설정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210)는 편성된 열차의 량 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210)는 역사의 개찰구(510)를 촬영할 수 있으며, 역사에 위치된 승강장 계단(520)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210)는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1000)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210)는 열차(1000)의 출입문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카메라(210) 사이에 일부가 겹치도록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승객 검지장치(220)로 전송될 수 있다.
승객 검지장치(220)는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승강장(500)내의 승객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승객 검지장치(220)는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형태를 분석하여 승객을 판단하고, 판단된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승객 검지장치(220)는 일반적으로 승객 인원수 계산을 승객의 머리형태, 얼굴형태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검지장치(220)는 열차(1000)내의 승객의 얼굴, 머리형태를 기반으로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열차(1000)내의 승객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하차하는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카메라(210)가 복수인 경우, 승객 검지장치(220)는 복수의 카메라(210) 각각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취합하여 승강장(500)내의 승객 전원의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이미지 일부가 겹치는 경우, 승객 검지장치(220)는 겹쳐지는 이미지 일부를 판단하고, 해당 이미지를 합치는 방법을 통해 정확한 승객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승객 검지 장치는(220)는 촬상장치를 통해 승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근접한 물체의 반복된 횟수 또는 현재 감지된 구분된 수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변위 감지 센서 또는 회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개찰구 또는 승강장 계단 등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물체에 따라 회전 또는 변위가 발생하는 횟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속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가시광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전자파 센서, 열센서, 초음파 센서를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승객의 인원수를 판단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 외 하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무게를 중심으로 하여 인원수를 판단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ATO장치(230)는 수신된 열차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열차의 운행 제어에는 열차의 속도, 열차의 정차시간, 열차의 출입문 제어, 열차의 출발 제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지상장치(240)는 ATO장치(230)의 제어에 따라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지상장치(240)는 열차의 정치, 출발, 열차의 출입문 개폐의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역 통합 네트워크(300)는 각 역마다 설치되고, 열차의 운행 제어를 위하여 신호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이다.
역 통합 네트워크(300)는 카메라(210), 승객 검지장치(220), ATO장치(230), 지상장치(240)간의 신호가 교환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역 통합 네트워크(300)는 각 역 상호간을 연결할 수 있고, 각 역간에 신호가 교환될 수 있다.
한편, ATS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ATS네트워크(400)는 운행관제 서버(100), 승객 검지 장치(220), 지상장치(240) 사이의 신호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ATS네트워크(400)는 역 통합 네트워크(300)와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의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열차를 자동제어하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작용>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검토하여 본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열차 운행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의 자동산출은 승강장(500)에 열차가 진입(S110)하게 됨으로서 시작된다.
열차가 승강장(500)에 진입하게 되면, 운행관제서버(100)가 승객검지장치(220)로 상기 열차의 진입정보를 전송(S120)하게 된다. 이때, 운행관제서버(100)는 ATS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승객검지장치로 열차의 진입시기 정보를 전송한다.
승객검지장치(220)가 열차의 진입시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승객검지장치(220)는 카메라(210)가 역사 내의 승강장(500), 개찰구(510), 계단(520) 및 역사에 진입하는 열차(1000)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획득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카메라(210)는 역사 내의 승강장(500), 개찰구(510), 계단(520) 및 역사에 진입하는 열차(1000)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획득(S130)한다.
카메라(210)가 이미지를 획득한 후, 승객검지장치(220)가 획득된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S140)한다. 승객 검지장치(220)는 일반적으로 승객 인원수 계산을 승객의 머리형태, 얼굴형태를 기반으로 인원 수 및 승객의 진행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한 후, 승객검지장치(220)는 판단된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S150)한다. 이때, 승객검지장치(220)는 이미지에서 형태를 분석하여 승강장에 진입하는 승객,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 및 열차에서 하차하는 승객을 판단하고, 판단된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카메라(210)가 복수인 경우, 승객 검지장치(220)는 복수의 카메라(210) 각각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취합하여 승강장(500)내의 승객 전원의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이미지 일부가 겹치는 경우, 승객검지 장치(220)는 겹쳐지는 이미지 일부를 판단하고, 해당 이미지를 합치는 방법을 통해 정확한 승객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승객의 인원수가 판단된 후, 승객검지장치(220)는 계산된 인원수를 운행관제서버(100)로 전송(S160)한다. 이때 승객검지장치(220)는 ATS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운행관제서버(100)로 계산된 인원수가 전송된 후, 운행관제서버(100)는 계산된 인원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 계산(S170)한다. 이때, 미리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승강장(500)에 존재하는 승객의 수와 승강장(500)의 넓이 비율, 열차(1000)에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의 인원수와 이에 매칭된 열차의 정차시간 정보로 해당 역에 도착하는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자동으로 산출한다.
운행관제서버(100)에서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계산한 후, 운행관제서버(100)에서 ATO장치(230)로 계산된 적정 정차시간을 전송(S180)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정자시간은 ATS네트워크를 이용하여 ATO장치(230)로 전송된다.
ATO장치(230)가 계산된 적정 정차시간을 전송받은 후, ATO장치(230)가 지상장치(240)를 이용하여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S190)한다. 즉, ATO장치(230)가 열차의 출입문 제어, 열차의 출발을 지상장치(240)를 이용하여 제어하게 된다.
<열차간격 유지>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열차간격을 유지하는 방법을 검토하여 본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일례에 적용될 수 있는, 열차 운행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열차간격을 유지하는 방법은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S210)하는 단계로 시작된다.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시, 운행관제서버에서 제 1 역 및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로 열차 진입시기 정보를 전송(S220)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운행관제서버(100)는 ATS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승객검지장치로 열차의 진입시기 정보를 전송한다.
제 1 역 및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220)가 열차의 진입시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승객검지장치(220)는 카메라(210)가 역사 내의 승강장(500), 개찰구(510), 계단(520) 및 역사에 진입하는 열차(1000)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획득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카메라(210)는 역사 내의 승강장(500), 개찰구(510), 계단(520) 및 역사에 진입하는 열차(1000)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획득(S230)한다.
카메라(210)가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 1 역 및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220)가 획득된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S240)한다. 승객 검지장치(220)는 일반적으로 승객 인원수 계산을 승객의 머리형태, 얼굴형태를 기반으로 인원 수 및 승객의 진행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한 후, 제 1 역 및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220)는 판단된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S250)한다. 이때, 승객검지장치(220)는 이미지에서 형태를 분석하여 승강장에 진입하는 승객,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 및 열차에서 하차하는 승객을 판단하고, 판단된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카메라(210)가 복수인 경우, 승객 검지장치(220)는 복수의 카메라(210) 각각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취합하여 승강장(500)내의 승객 전원의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이미지 일부가 겹치는 경우, 승객 검지장치(220)는 겹쳐지는 이미지 일부를 판단하고, 해당 이미지를 합치는 방법을 통해 정확한 승객 인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승객의 인원수가 판단된 후, 제 1 역 및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220)는 계산된 인원수를 운행관제서버(100)로 전송(S260)한다. 이때 승객검지장치(220)는 ATS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운행관제서버(100)로 계산된 인원수가 전송된 후, 운행관제서버(100)는 계산된 인원수를 이용하여 제 1 열차 및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 계산(S270)한다. 이때, 미리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승강장(500)에 존재하는 승객의 수와 승강장(500)의 넓이 비율, 열차(1000)에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의 인원수와 이에 매칭된 열차의 정차시간 정보로 해당 역에 도착하는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자동으로 산출한다.
제 1 열차 및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 계산한 후, 운행관제서버(100)는 제 1 열차 및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의 동일여부를 판단(S280)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는 열차간격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정차시간의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 1 열차 및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의 동일여부를 판단 후, 운행관제서버가 제 1 열차 또는 제 2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긴시간으로 조정(S290)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승객이 열차에 탑승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정 정차시간 중 긴시간으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열차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이 자동 산출될 수 있고, 승객의 수만큼 열차가 충분한 적정 정차시간을 확보하도록 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무인 운전이 이루어지는 열차에 필수적인 기능이 될 수 있다.
또한, 열차의 적정 정차시간을 미리 계산하고, 조정하여 열차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객의 비율에 따라 산출된 적정 정차시간이 지났는데도, 승객들이 계속 타고 내리는 상황이 되면, 열차에서 자동으로 정차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정시간 동안 열차의 출발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열차의 운행 관제실에서 이 상황을 판단하여 수동으로 열차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승강장 정차 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시디롬, 메모리, ROM, EEPROM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운행관제서버,
200 : 역사 관리 시스템,
210 : 카메라,
220 : 승객검지장치,
230 : ATO장치,
240 : 지상장치,
300 : 역 통합 네트워크,
400 : ATS네트워크,
500 : 승강장,
510 : 개찰구,
520 : 역사 내 계단,
1000 : 열차.

Claims (26)

  1.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승객 검지 장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운행 관제 서버; 및
    상기 운행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역사 또는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승객 인원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는 개찰구, 계단, 승강장 통로 또는 열차의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역사 또는 상기 열차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생성한 상기 이미지를 병합하고, 병합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승객 인원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제 1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열차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분석하여 승차하는 승객 인원수와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계산하며,
    상기 운행 관제 서버는 상기 승차하는 승객 인원수와 상기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열차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생성한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수를 계산하고,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이미지에서 승객의 머리수를 측정하여 상기 승객 인원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승강장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이미지에서 승강장의 넓이를 측정하고, 상기 승강장의 넓이와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장 내의 상기 승객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운행 관제 서버는, 상기 계산된 승객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정차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 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역사에 상기 열차가 진입시 상기 역사 내의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운행 관제 서버에서 상기 역사에 상기 열차가 진입하는 시간 정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O장치는,
    수신된 상기 정차시간과 승객의 승하차 완료시간이 동일한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운행 관제 서버에 상기 승객의 승하차 완료시간을 송신
    하고,
    상기 운행 관제 서버는 ,
    수신한 상기 승객의 승하차 완료시간과 판단된 상기 승객 인원수를 통계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관관계에 관한 식을 생성하며,
    상기 상관관계에 관한 식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촬상장치, 근접 감지 센서, 변위 감지 센서, 회전 감지 센서, 속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하중 감지 센서, 가시광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전자파 센서, 열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13.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는 단계;
    운행관제서버가 열차의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를 승객검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 1 카메라가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1이미지 획득하는 단계;
    제 2 카메라가 상기 열차의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2 이미지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 2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열차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생성한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ATO장치로 상기 정차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및
    ATO장치가 지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는 개찰구, 계단, 승강장, 승강장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는
    획득된 복수의 제 1 이미지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로 구성된 상기 제 1 카메라는,
    획득되는 상기 제 1 이미지 각각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의 제 1 이미지를 병합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제 1 이미지 각각의 겹쳐진 일부가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획득된 제 1 이미지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


  17. 삭제
  18.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기능;
    운행관제서버가 열차의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를 승객검지장치로 전송하는 기능;
    제 1 카메라가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1이미지 획득하는 기능;
    제 2 카메라가 상기 열차의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제 2 이미지획득하는 기능;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상기 제 2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열차 내부를 촬영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생성한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ATO장치로 상기 정차시간을 전송하는 기능; 및
    ATO장치가 지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기능;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기록매체.

  19. 역사 및 상기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 내의 승객 인원수를 판단하는 승객 검지장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운행 관제 서버; 및
    상기 운행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차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를 포함하되,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하며,
    상기 운행 관제 서버는,
    상기 제 1 열차의 제 1 정차시간 및 상기 제 2 열차의 제 2 정차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정차시간이 상기 제 2 정차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제 2 정차시간을 상기 제 1 정차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열차 내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생성한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시스템.
  20.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하는 단계;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로 열차 진입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카메라가 각각 상기 제 1 역 및 제 2역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1 이미지 및 제 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3 이미지 및 제 4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3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2 이미지 및 상기 제 4 이미지에서 승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판단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열차의 정차시간과 상기 제 2 열차의 정차시간의 동일여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2 정차시간을 상기 제 1 정차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승객 검지 장치가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
  21. 열차의 정차시간 자동 산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역에 제 1 열차가 진입하고, 제 2 역에 제 2 열차가 진입하는 기능;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로 열차 진입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카메라가 각각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역 역사의 적어도 일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1 이미지 및 제 2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제 1 열차 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제 1 열차및 상기 제 2 열차 내부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촬영하여 각각 제 3 이미지 및 제 4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3 이미지에서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상기 제 2 이미지 및 상기 제 4 이미지에서승객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판단된 상기 승객의인원수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제 1 역 및 상기 제 2 역의 승객검지장치가 각각 계산된 상기 승객의인원수를 상기 운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계산된 상기 승객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열차및 상기 제 2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1 열차의 정차시간과 상기 제 2 열차의 정차시간의 동일여부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운행관제서버가 상기 제 2 정차시간을 상기 제 1 정차시간과 일치 하도록 조정하는 기능;
    상기 승객 검지 장치가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기록매체.
  22. 열차의 정차시간을 자동산출하는 운행 관제 서버에 있어서,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계산된 승객 인원수를 수신하고,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정차시간을 기반하여 상기 열차의 정차시간을 제어하는 ATO장치에 상기 정차시간을 송신하며,
    상기 승객 검지 장치는 상기 승객의 안면방향을 이용하여 역사에 하차하는 승객 인원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관제 서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인원수는,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역사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 또는 상기 열차의 내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관제 서버.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인원수는,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미지를 병합하고, 분석하여 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관제 서버.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시간은,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승강장의 넓이와 상기 승객 인원수를 이용하여 계산한 상기 승강장 내의 승객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관제 서버.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를 상기 승객 검지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승강장 진입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승객 검지 장치로부터 상기 승객 인원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관제 서버.
KR1020150056296A 2015-04-22 2015-04-22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718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296A KR101718806B1 (ko) 2015-04-22 2015-04-22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15/527,709 US10457306B2 (en) 2015-04-22 2015-12-22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platform dwell time of train
PCT/KR2015/014063 WO2016171370A1 (ko) 2015-04-22 2015-12-22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296A KR101718806B1 (ko) 2015-04-22 2015-04-22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10A KR20160126110A (ko) 2016-11-02
KR101718806B1 true KR101718806B1 (ko) 2017-04-05

Family

ID=5714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296A KR101718806B1 (ko) 2015-04-22 2015-04-22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57306B2 (ko)
KR (1) KR101718806B1 (ko)
WO (1) WO2016171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3437A (ja) * 2016-12-07 2018-06-1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
FR3059967B1 (fr) * 2016-12-12 2019-01-25 Poma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vehicules tractes par un cable
EP3598259B1 (en) * 2018-07-19 2021-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9017885B (zh) * 2018-08-17 2023-06-06 湖南大学 一种动态自动重组车列方法和系统
CN109711299A (zh) * 2018-12-17 2019-05-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辆客流统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649418A (zh) 2019-01-29 2019-04-19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列车运行控制方法和系统
CN110893870B (zh) * 2019-06-20 2021-11-05 朱来清 自适应时长调整方法
WO2021033809A1 (ko) * 2019-08-22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688738A (zh) * 2020-01-02 2020-09-22 刘素青 地铁车厢车门动态控制平台及方法
JP7368299B2 (ja) * 2020-04-02 2023-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交通システム、運行管理装置、および、運行管理方法
US20220097746A1 (en) * 2020-09-30 2022-03-31 Siemens Mobility, Inc. Monitoring of barrier gates at level crossings
KR20230041920A (ko) * 2021-09-17 2023-03-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운행 지연을 해소하기 위한 실시간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15056828B (zh) * 2022-05-13 2024-03-29 卡斯柯信号有限公司 一种列车运行间隔智能测试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899A (ja) * 2012-09-12 2014-03-27 Saxa Inc 監視システム、撮影装置及びデータ管理装置
JP2014144754A (ja) * 2013-01-30 2014-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動列車運転装置
JP2014233989A (ja) * 2013-05-30 2014-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方法、車両、車両交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300A (en) * 1980-10-08 1982-11-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Vehicle train routing apparatus and method
US5364047A (en) * 1993-04-02 1994-11-15 General Railway Signal Corporation Automatic vehicle control and location system
DE19649280B4 (de) * 1996-11-28 2004-01-29 Rauch, Jürgen, Dr.-I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eiten von Individuenströmen
US7188057B2 (en) * 2002-08-02 2007-03-06 Kennebe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simulating and analyzing transportation systems
US6876907B2 (en) * 2003-07-16 2005-04-05 Alcatel Remote restart for an on-board train controller
JP5271772B2 (ja) * 2009-03-30 2013-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行制御方法および車上制御装置
KR101011950B1 (ko) 2010-06-29 2011-01-31 (주)정은테크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KR101066562B1 (ko) 2011-02-15 2011-09-21 지에스네오텍(주)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
US20130344802A1 (en) * 2012-06-26 2013-12-26 Dave Gordon Armour System and method for multi-tier automatic transit system updating
CN104969274B (zh) 2013-02-01 2017-03-08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行驶控制装置和行驶控制系统
US20150066558A1 (en) * 2013-08-29 2015-03-05 Thales Canada Inc. Context aware command and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899A (ja) * 2012-09-12 2014-03-27 Saxa Inc 監視システム、撮影装置及びデータ管理装置
JP2014144754A (ja) * 2013-01-30 2014-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動列車運転装置
JP2014233989A (ja) * 2013-05-30 2014-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方法、車両、車両交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7306B2 (en) 2019-10-29
KR20160126110A (ko) 2016-11-02
US20180354535A1 (en) 2018-12-13
WO2016171370A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06B1 (ko)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10953901B2 (en) Train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train operation control method
EP25415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flow of passengers on a platform
CN109311622B (zh) 电梯系统以及轿厢呼叫估计方法
JP5748468B2 (ja) ホーム状況検知装置
KR102109647B1 (ko) 딥러닝을 이용한 대중교통수단의 승하차 계수 시스템 및 방법
US7099754B2 (en) Signal safety method, signal safety apparatus and signal safety system
WO2017169068A1 (ja) 列車降車人数予測システム、混雑可視化・評価システム、および乗車可能人数算出システム
JP2018002037A (ja) 混雑率予想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6168876A (ja) 混雑予測装置及び混雑予測方法
KR101066562B1 (ko)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20190015868A (ko) 철도 승강장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101999289B1 (ko) 스크린도어 표시 제어 장치
KR102217424B1 (ko) 자율주행 대용량 간선 급행버스의 승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류장 지원시스템
JP2009199109A (ja) 新交通システムとその乗降者管理方法
JP2013052738A (ja) 駆け込み乗車検知装置
EP3936408B1 (en) Train monitoring system
US20230245461A1 (en)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situation notification system, situation notification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JPH08244612A (ja) 駆け込み乗車監視装置
KR101089114B1 (ko) 승강장 영상정보를 이용한 열차비상정지용 차상 제어 시스템
KR101071206B1 (ko) 승강장 영상정보를 이용한 열차비상정지용 연동역 제어 시스템
KR102513532B1 (ko) 리모컨을 통한 스크린 도어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682A (ko) 전철 승강장 안전장치
JP7281550B2 (ja) 列車監視システム及び列車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