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093B1 -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Google Patents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8093B1 KR101718093B1 KR1020160080467A KR20160080467A KR101718093B1 KR 101718093 B1 KR101718093 B1 KR 101718093B1 KR 1020160080467 A KR1020160080467 A KR 1020160080467A KR 20160080467 A KR20160080467 A KR 20160080467A KR 101718093 B1 KR101718093 B1 KR 101718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grip
- present
- fixing portion
- semi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그립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그립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적어도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고정부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영구 화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심된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곡선을 표현하기 용이하며, 시술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반영구 화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눈썹 등에 문신 효과를 나타내 색을 강조하는 반영구 화장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영구 화장법은 지속효과가 뛰어나 매일 반복되는 화장에 따른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피시술자의 미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반영구 화장법의 시술을 위한 반영구 화장기구의 경우, 전단에 칼날이 고정된 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종래의 반영구 화장기구는 칼날이 화장기구의 중심에 고정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시술자가 바디를 그립한 상태에서 움직임의 자유도가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곡선 등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술자가 화장기구와 함께 팔 전체를 이동시켜야만 했으며, 이는 시술자의 손목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시술자의 손목 근육에 변형이 발생하는 등 직업병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방법은 숙련자라 하더라도 정밀한 표현이 어려우며, 시술 시 의도치 않은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시술자의 손목 부담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피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시술 실패 확률을 줄이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반영구 화장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곡선 등 자유로운 표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영구 화장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그립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그립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적어도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고정부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일부가 상기 바디부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그립부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횡 방향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둘레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일부는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측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그립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의 측 방향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블레이드가 고정부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므로, 시술자의 손목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시술자의 편의성 증대에 따라 정밀한 시술이 가능한 것은 물론, 피시술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직선뿐 아니라 곡선 등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어 표현 기법을 다양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에 있어서, 블레이드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에 있어서, 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에 있어서, 블레이드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에 있어서, 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100)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100)에 있어서, 블레이드(150)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100)는 바디부(110)와, 그립부(120)와, 고정부(130)와, 블레이드(15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100)는 전체적으로 펜과 같은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시술자는 이를 그립하여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블레이드(150)가 돌출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상기 블레이드(150)의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에는 그립부(120)가 결합된다. 상기 그립부(120)와 상기 바디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그립부(120)와 상기 바디부(110)는 연결부(140)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바디부(110) 및 상기 그립부(120)의 내측에 끼워지며, 일부가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그립부(120)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부(14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바디부(110)와 상기 그립부(12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120)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고정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져 고정된 형태를 가지며, 특히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122)을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그립부(120)의 내측에 결합되되, 둘레 중 일부는 상기 그립부(120)와 갭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끼움홈(122)은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22)에는 상기 블레이드(15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끼움홈(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적어도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50)는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120)를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반영구 화장기구(100) 전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종래의 반영구 화장기구는 칼날이 화장기구의 중심에 고정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이 반영구 화장기구를 회전시키더라도 칼날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뿐 본원발명의 블레이드(150)와 같이 원호를 그리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반영구 화장기구는 곡선 등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술자가 화장기구와 함께 팔 전체를 이동시켜야만 했으며, 이는 시술자의 손목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는 반면, 본원발명은 블레이드(150)가 고정부(130)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므로, 시술자의 손목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곡선 등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어 표현 기법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100)에 있어서, 고정부(13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그립부(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영역(134)과, 상기 그립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1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0)의 전단부, 즉 상기 돌출영역(132)은 전방으로 갈수록 횡 방향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둘레에 경사면(13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돌출영역(132)이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은, 시술 시 반영구 화장기구(100)를 기울여 사용할 경우 의도치 않게 상기 고정부(130)가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경사면(133)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의도적으로 접촉시킬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133)을 피봇점으로 하여 반영구 화장기구(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122)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130)의 외주면 일부는, 평탄면(135)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면(135)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끼움홈(122)이 상기 블레이드(150)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블레이드(150)의 삽입 방향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특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150)는 어느 면이 상기 평탄면(135)과 대향되더라도 관계 없이 삽입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100)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고정부(130)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는 그립부(120)를 그립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150)를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시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상기 그립부(120)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축회전되어 원 궤적을 그리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을 축으로 하여 상기 블레이드(1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직선뿐 아니라 곡선 등과 같은 표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기 블레이드(150)에 걸림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15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23)가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151)는 상기 블레이드(150)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블레이드(150)를 상기 끼움홈(122)에 삽입하여 끝까지 밀어 넣을 경우, 상기 그립부(120)의 걸림돌기(123)가 상기 블레이드(150)의 걸림부(151)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50)가 상기 끼움홈(12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23) 및 상기 걸림부(151)의 형태는 본 실시예 의외의 형태로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화장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블레이드(150)에 걸림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15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23)가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152)는 상기 블레이드(150)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150)의 측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120)는 상기 고정부(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120)를 상기 고정부(13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돌기(123) 역시 상기 고정부(130)에 대해 상대 위치가 변화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블레이드(150)를 상기 끼움홈(12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120)를 상기 고정부(130)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123)가 상기 걸림부(152)의 개구된 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억지끼움 방식이 아닌 결합 방식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150)와 상기 걸림돌기(123) 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반영구 화장기구 110: 바디부
120: 그립부 122: 끼움홈
123: 걸림돌기 130: 고정부
132: 돌출영역 133: 경사면
134: 삽입영역 135: 평탄면
140: 연결부 150: 블레이드
151, 152: 걸림부
120: 그립부 122: 끼움홈
123: 걸림돌기 130: 고정부
132: 돌출영역 133: 경사면
134: 삽입영역 135: 평탄면
140: 연결부 150: 블레이드
151, 152: 걸림부
Claims (6)
-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그립부(120);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122)을 형성하는 고정부(130); 및
상기 끼움홈(122)에 끼워져 고정되며, 적어도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150);
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122)은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반영구 화장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그립부(12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0)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횡 방향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둘레에 경사면(133)을 형성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끼움홈(122)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일부는 평탄면(135)을 형성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50)에는 걸림부(151, 152)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151, 15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23)가 형성된 반영구 화장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51, 152)는 상기 블레이드(150)의 측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그립부(120)는 상기 고정부(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3)는 상기 그립부(120)와 상기 고정부(130)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151, 152)의 측 방향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반영구 화장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467A KR101718093B1 (ko) | 2016-06-27 | 2016-06-27 |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467A KR101718093B1 (ko) | 2016-06-27 | 2016-06-27 |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8093B1 true KR101718093B1 (ko) | 2017-03-20 |
Family
ID=5850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0467A KR101718093B1 (ko) | 2016-06-27 | 2016-06-27 |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809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288A (ko) * | 2018-09-21 | 2020-03-31 | 윤형 | 피부 시술용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
KR20200042157A (ko) * | 2018-10-15 | 2020-04-23 | 윤형 | 피부 시술 장치 |
KR20200124507A (ko) * | 2019-04-24 | 2020-11-03 |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 특수 메이크업 용 엠보 니들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2737A (ko) | 1988-08-17 | 1990-03-23 | 멩-쳉창 | 눈썹문신기계 |
JP3141107U (ja) * | 2008-01-16 | 2008-04-24 | 秀治 八木 | 手彫り入れ墨刺針用固定器具 |
KR100923050B1 (ko) * | 2008-06-18 | 2009-10-22 | 이종대 | 문신장치 |
KR20100083886A (ko) * | 2009-01-15 | 2010-07-23 | 김향희 |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기구 |
KR100978561B1 (ko) * | 2010-05-18 | 2010-08-27 | 신용균 |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
-
2016
- 2016-06-27 KR KR1020160080467A patent/KR1017180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2737A (ko) | 1988-08-17 | 1990-03-23 | 멩-쳉창 | 눈썹문신기계 |
JP3141107U (ja) * | 2008-01-16 | 2008-04-24 | 秀治 八木 | 手彫り入れ墨刺針用固定器具 |
KR100923050B1 (ko) * | 2008-06-18 | 2009-10-22 | 이종대 | 문신장치 |
KR20100083886A (ko) * | 2009-01-15 | 2010-07-23 | 김향희 |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기구 |
KR100978561B1 (ko) * | 2010-05-18 | 2010-08-27 | 신용균 |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288A (ko) * | 2018-09-21 | 2020-03-31 | 윤형 | 피부 시술용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
KR102170519B1 (ko) * | 2018-09-21 | 2020-10-27 | 윤형 | 피부 시술용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
KR20200042157A (ko) * | 2018-10-15 | 2020-04-23 | 윤형 | 피부 시술 장치 |
KR102170517B1 (ko) * | 2018-10-15 | 2020-10-27 | 윤형 | 피부 시술 장치 |
KR20200124507A (ko) * | 2019-04-24 | 2020-11-03 |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 특수 메이크업 용 엠보 니들 |
KR102260818B1 (ko) * | 2019-04-24 | 2021-06-07 |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 특수 메이크업 용 엠보 니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8093B1 (ko) |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 |
JP5145113B2 (ja) |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 | |
JP2007530171A5 (ko) | ||
US20140202489A1 (en) | Pinless hair grip with hidden spring | |
KR20180073325A (ko) | 그립커버와 자중을 이용한 탄성 조절 기능이 있는 반영구 문신 성형 화장기구 | |
JP2021507481A (ja) | 伸縮式レバーアセンブリを備えるコネクタ | |
EP1353579B1 (en) | Hair ornament with a resilient attaching clip | |
US7044141B2 (en) | Hair clip | |
KR200462506Y1 (ko) | 마스카라 도포기 | |
KR200456686Y1 (ko) | 화장품용기의 캡 | |
KR101718092B1 (ko) | 축회전식 반영구 화장기구 | |
JP3200296U (ja) | 指掛け部を備えた着脱歯ブラシ | |
KR102147267B1 (ko) | 어시스트 암 장치 | |
JP4058025B2 (ja) | 化粧用具 | |
JPH0231062Y2 (ko) | ||
JP2009050708A (ja) | 歯間ブラシ | |
JP6817885B2 (ja) | 繰出容器 | |
KR101788832B1 (ko) | 헤어브러시 | |
JP3132093U (ja) | 化粧用筆 | |
KR20170090745A (ko) | 화장 붓 | |
JP3219471U (ja) | マッサージ器 | |
JP2001158197A (ja) | 繰出し式の筆記具または化粧具 | |
JP3172104U (ja) | 綿棒軸および綿棒軸収納容器 | |
JP7291465B2 (ja) | 美容器 | |
JP3200212U (ja) | 二つの指掛け部を備えた歯ブラ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