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050B1 - 문신장치 - Google Patents

문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050B1
KR100923050B1 KR1020080057202A KR20080057202A KR100923050B1 KR 100923050 B1 KR100923050 B1 KR 100923050B1 KR 1020080057202 A KR1020080057202 A KR 1020080057202A KR 20080057202 A KR20080057202 A KR 20080057202A KR 100923050 B1 KR100923050 B1 KR 10092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needle
tattoo
cam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이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대 filed Critical 이종대
Priority to KR102008005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61M37/0084Tattoo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quid feed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Abstract

본 발명은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신바늘의 노출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하이동수단은 문신바늘의 노출 왕복을 구동하는 캠과, 캠링크가 상하 점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캠링크가 관체이면서 그 외부는 충격흡수 가능한 진동방지관을 결합시켜 문신바늘이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정확한 문신과 일정한 바늘 노출을 유도하여 문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신장치,문신바늘길이조절,진동흡수

Description

문신장치{tattoo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신바늘의 노출 길이를 일정하도록 하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하이동수단은 문신바늘의 노출 왕복을 구동하는 캠과, 캠링크가 상하 점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캠링크가 관체이면서 그 외부는 충격흡수 가능한 진동방지관을 결합시켜 문신바늘이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정확한 문신과 일정한 바늘 노출을 유도하여 문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tattoo)이라 함은 피부에 상처를 만들고 색소 등을 고의로 넣어서 그림이나 문자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문신의 어원은 포리네시아계의 상처(마크의 뜻)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신은 처음에는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도구들로 피부를 눌러 찍거나 뚫어 흠집을 내고 그 흠집을 염료로 채워 피부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기는 방법으로 행해졌으나, 오늘날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자침을 직선 왕복운동시켜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문신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종래의 문신기구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로, 문신장치(3)는 외부를 구성하는 상·하부 케이스(3-2, 3-4), 상부 케이스(3-2)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6), 경사각이 있는 캠면(3-8a)이 형성되는 구동모터(3-6)의 구동축(3-8), 하부 케이스(3-4)의 내측에 힌지(4a)에 의해 설치되어 구동축(3-8)의 회전에 따른 캠면(3-8a)에 의해 좌우로 일정범위 회전되는 회전바(4),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단(4-2a)이 회전바(4)의 일단과 힌지(4-2b)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바(4)의 좌우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직동바(4-2) 및 직동바(4-2)의 타단에 결합되어 인체의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문신바늘(4-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문신장치(3)는 구동모터(3-6)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3-8)이 회전하게 되면 캠면(3-8a)의 높고 낮은 면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회전바(4)는 좌우로 일정범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직동바(4-2)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여 문신바늘(4-4)을 하부 케이스(3-4) 하단의 출입구(3-4a)를 통해 출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신장치는 직동바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바가 구성되어 회전바의 회전과 직동바의 직선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진동이 심하게 발생 되어 문신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신바늘의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노출되는 바늘의 정도가 다른 것을 모델별로 별도로 구비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동바의 직동을 가능토록 하는 기술이 국내특허등록 제 10-0789398호로 개발되었으나, 직동을 구동하는 캠 유닛의 구조가 복잡하고, 캠유닛의 캠 작용에 연동하여 왕복 운동하는 링크가 조인트 기능과 캠팔로우를 일체로 구성되어 링크의 직경이 커져서 구동 출력이 증가하고 내부 진동을 여전히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033421호로 알려진 기술이 있으나, 이는 문신바늘 구동용 캠팔로우와 캠이 상호 점접축으로 작동하는 구조로, 캠이 캠팔로우를 밀어서 문신바늘이 피부에 박히도록 하고, 피부에서 문신기로 복귀할 때는 캠팔로우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하여 복귀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문신받는 사람의 피부 강도에 따라서 문신바늘의 작용이 달라진다. 즉, 피부가 부드러운 사람은 문신바늘의 운동력이 상대적으로 강해져서 피부에 깊이 박히고, 피부의 강도가 강한 근육질 남성의 경우는 문신바늘이 피부에 박혀서 잘 빠지지 않아 문신이 어렵고 문신 상태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신바늘의 노출길이를 일정하게 반복 가능토록 하는 문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신바늘의 왕복운동을 가능토록 연동하는 링크의 구동을 하도록 캠판의 표면 테두리에 만곡형 만곡댐을 상하로 돌출시키고, 돌출된 상하 만곡댐에 링크가 상하 점접촉으로 캠 작용하여 소음을 줄이며, 상하 이동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사용성을 극대화시킨 문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신바늘을 왕복운동시키도록 연동하는 링크의 몸통은 작은 관체로하고, 그 외면은 진동흡수 및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진동방지관을 동축으로 끼워 진동력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고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문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늘슬라이더와 링크를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는 조인트를 후크 결합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시에는 사용상 문제가 없고, 조립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도록 한 문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문신장치용 바늘카트리지와 연게하여 문신바늘을 구동시키는 링크를 상하 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하이동수단은 왕복운동용 캠 기능의 캠판 테두리에 캠판 표면보다 상하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하 만곡댐을 두고, 상하 만곡댐의 상하에서 상하 점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동시에 연동하는 캠링크를 통하여, 상기 링크가 일정하게 상하운동을 하도록하여 캠 작용에 따른 소음을 극소화시키고, 상하 점접촉으로 캠 작용하여 정확한 문신바늘의 왕복운동을 가능토록 한다.
삭제
또한, 본원발명은 문신바늘을 왕복운동시키도록 연동하는 링크의 몸통은 작은 관체로, 상부는 결합 및 분리를 가능토록 바늘슬라이더 하단과 후크 결합하는 조인트를 주고, 하부는 캠링크와 힌지로 결합하고, 몸통 외면은 진동흡수 및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진동방지관을 동축으로 끼우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바늘슬라이더와 링크를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는 조인트를 바늘슬라이더의 하단에 있는 걸림후크가 안치되는 조인트공과, 바늘슬라이더를 90도 회전할 때만 결합하도록 하는 후크공을 두는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문신바늘의 왕복운동을 가능토록 캠판의 테두리에 만곡형 상하 만곡댐을 두어, 링크가 상하 점접촉으로 캠 작용하여 소음을 줄이며, 문신바늘의 정확한 왕복운동을 가능토록 한다.
삭제
문신바늘을 왕복운동시키도록 연동하는 링크의 몸통은 작은 관체로하고, 그 외면은 진동흡수 및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진동방지관을 동축으로 끼워 진동력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고 직선 왕복운동을 가능토록 하며,
바늘슬라이더와 링크를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는 조인트를 후크 결합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시에는 사용상 문제가 없고, 조립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바늘카트리지에 문신잉크 대신 약물을 주입한 경우 피부표면을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주입기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 문신바늘(60)을 가지는 바늘카트리지(50)는 상부케이스(12)와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고,
상부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3)는 상부케이스(12)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자전하는 자전너트(71)를 가지는 침조절수단(70)을 설치한다.
도 4 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인트 결합 전의 요부 분해도, 도 6 은 도 4의 B-B 선 단면도, 도 7 은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도 6 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 예로는 문신바늘(60)과 이를 구동하는 바늘슬라이더(53)를 가진 바늘카트리지(50)와,
바늘카트리지(50)에 결합하여 바늘카트리지(50)의 바늘 슬라이더(53)를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하는 링크(30)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스(12)와,
상부케이스(12)와 결합하고 링크(30)의 왕복운동용 캠판(25)을 가지는 상하이동수단(20)과 캠구동용 모터(17)를 가지는 하부케이스(13)를 포함하고;
상부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3)를 결합하고 상부케이스(12)의 결합 길이를 나사로 조절하여 인출문신바늘(60)의 길이를 조절하는 침조절수단(70); 및
침조절수단(70)을 이루는 자전너트(71)가 자전 가능한 자전홈(14-2)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3)와 결합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2) 및 하부케이스(13) 내면에 안치되어 링크(30)를 지지하는 중간케이스(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문신장치용 바늘카트리지(50)와 연계하여 문신바늘(60)을 구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삭제
삭제
상하이동수단(20)은 왕복운동용 캠 기능의 캠판(25) 테두리에 캠판(25)표면보다 상하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하 만곡댐(25-1),
상기 상하 만곡댐(25-1)과 상하 점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상하로 안치되어 상하 만곡댐(25-1) 표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캠링크(23),
상기 캠링크(2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안내홈(22)을 내면에 가지며 하부케이스(13) 및 중간케이스(14)에 내장된 고정관(2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캠링크(23)의 예로는 상하 만곡댐(25-1) 상하 점접촉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상부링크바(23-3)와 하부링크바(23-2);
상기 상하부링크바(23-3)(23-2)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각 형의 링크기둥(23-1);
상기 상부링크바(23-3)에 돌출되어 상기 링크(30)의 하단과 끼움 결합하는 힌지(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기둥(23-1)은 사각기둥이나 타원기둥과 같이 상하이동만 가능하고 자전은 불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함이 좋다. (23-5)는 캠판(25)의 에지가 안치되는 상하부링크바(23-3)(23-2) 사이의 공간이다.
상기 바늘카트리지(50)는 링크(30)와 결합하는 바늘슬라이더(53)를 가지며;링크(30)에는 슬라이더(53)와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후크 결합하는 조인트(31)를 형성하며;
링크(30)는 몸통이 중공관체이며;
링크(30)의 외측과 중간케이스(14) 사이에는 상하직진운동안내용 진동방지관(40)을 안치시키고;
진동방지관(40) 외면과 중간케이스(14) 내면은 진동방지 및 슬립방지를 위해 진동방지 패킹(41)으로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상기 조인트(31)는 도 5 및 도 9 와 같이 바늘 슬라이더(53) 하단에 양 옆으로 돌출한 걸림후크(55)가 수용되는 장방향 조인트장공(31-1)과,
조인트장공(31-1) 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바늘슬라이더(53)와 함께 걸림후크(55)가 90도 회전시 끼움 결합되는 후크공(31-2)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링크(30) 하단부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슬릿(30-1)으로 링크(30) 측 벽(30-3)이 나란하게 대향 되고;
대향 측벽(30-3)에는 힌지(23-4)가 끼움 결합되는 힌지홈(30-2)을 형성한다(도 5, 도 7, 도 9).
상기 침조절수단(70)은 중간케이스(14) 외면에서 자전너트(71)와 동축상으로 나사 결합된 내부너트(73)를 더 포함하고;
내부너트(73)의 하단은 자전너트(71)의 자전 및 정 위치 유지용 스토퍼(73-1)를 외향 돌출하고;
상기 내부너트(73)와 자전너트(71) 사이의 공간(71-1)에는 상부케이스(12)의 후단(12b)의 조절나사부(12-1)가 자전너트(71)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한다(도 8).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조립할 때는 스프링(54)과 함께 노출된 바늘슬라이더(53)의 하단인 걸림후크(55)가 도 5 상태에서 조인트공(31-1)을 향하여 하강하고, 하강이 완료되면 카트리지몸체(51)를 90도 회전시키면 걸림후크(55)가 후크공(31-2)에 끼움 상태로 도 8과 같이 후크 결합한다. 도 5 는 후크결합 전의 상태이고, 카트리지몸체(51)를 90도 회전시키면(회전하는 수단은 통상의 기술이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기에 구체적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의 점선상태로 걸림후크(55)가 바늘슬라이더(53)와 함께 회전하면서, 후크공(31-2)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문신바늘(60)의 인출 길이는 일정하기에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케이스(12)와 이에 결합된 바늘카트리지(50)는 침조절수단(70)에 의하여 그 길이가 조절된다. 이는 노출되는 문신바늘(60)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어나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가능토록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자전너트(71)를 푸는 방향으로 돌리면, 조절나사부(12-1)가 풀리면서 자전하는 자전너트(71)의 이동 대신 상부케이 스(12)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노출되는 문신바늘(60)의 노출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자전너트(71)를 이용하여 나사를 잠그는 방향으로 돌리면 자전하는 자전너트(71)에 대하여 상부케이스(12)가 당김 작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노출되는 문신바늘(6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문신하는 부위에 따라, 피부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 가능토록 작용한다. 따라서 문신바늘(60)의 노출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 가능토록 함으로써, 하나의 문신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모델을 겸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한편, 본원발명은 캠판(25)의 테두리에 캠판(25) 표면보다 상하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하 만곡댐(25-1)을 두고, 이를 상하에서 상부링크바(23-2) 및 하부링크바(23-2)로 상하 점 접촉 상태로 구동하고, 이를 하나의 캠링크(23)를 통해 동시에 상하 운동하고, 이러한 상하 운동은 왕복운동으로 링크(30)를 통하여 바늘슬라이더(53) 및 문신바늘(60)로 인가함으로써, 모터(17)의 부하가 줄어들어 소비전력이 줄어들고 소음도 없게 되고, 문신바늘(60)의 정확한 상하이동을 가능토록 하며 사용자의 피부로 문신바늘(60)의 침투 깊이를 일정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덜 아프면서도 일정한 문신을 가능토록 한다. 이는 기존에 스프링의 힘으로 피부에 박힌 문신바늘을 빼내는 방식이 아니라 캠판(25) 하부에서 하부링크바(23-2)에 의하여 문신바늘(60)이 피부로 들어가는 힘을 받고, 상부에서 상부링크바(23-3)에 의하여 문신바늘(60)이 정확하게 피부에서 나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피부에서 느끼는 통증이 감소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캠링크(23)는 사각형이나 타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항상 회전 없이 상하로만 이동하여 안정적이며, 조립성을 좋게 한다.
아울러 상부링크바(23-3)의 상단 양측에는 도 8 과 같이 힌지(23-4)가 노출되고, 이 힌지(23-4)는 슬릿(30-1)으로 구분되는 측벽(30-3)의 힌지홈(30-2)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측벽(30-3)과 힌지(23-4)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상하 작용토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부링크바(23-3)는 같은 크기의 슬릿(30-1)에 끼워지고, 조립시에는 이 슬릿(30-1)을 약간 벌려 힌지홈(30-2)에 힌지(23-4)가 결합되도록 한다. 결국, 일단 조립된 힌지(23-4)는 그대로 있고, 상부링크바(23-3)는 슬릿(30-1) 내면에 닿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중에는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작용을 지속하게 된다.
한편, 본원발명은 링크(30)의 몸통을 작은 직경의 관체로 하고 그 주변을 동 축의 진동방지판(40)을 끼우고, 진동방지판(40)은 진동방지패킹(41)을 통하여 중간케이스(14) 내면이 슬립방지 및 진동 흡수 상태로 결합작용하여, 링크(30)의 직진운동을 가능 토록함과 동시에 충격진동을 진동방지판(40)과 진동방지패킹(41)을 통하여 이중으로 흡수토록 함으로써 진동력이 상부케이스까지 전달하는 것을 막아주어 사용하는 자의 사용 감을 극대화시키며, 진동에 따른 소음을 없애준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 및 분해의 편리를 위하여 중간케이스(14)에는 내부너트고정나사부(14-1)를 두어 자전너트(71)와 동축으로 상호 조립토록 함과 동시에, 내부너트(73)에는 스토퍼(73-1)를 돌출시켜 자전홈(14-2)에 안치된 자전너트(71)의 상부케이스(12) 측으로의 이동을 차단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분해시 자전너트(71)를 풀어서 상부케이스(12)를 먼저 분리시키고, 내부너트(73)를 풀어서 자전너트(71)를 중간케이스(14)에서 분리시키도록 하여 분해 및 조립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아울러 상부케이스(12)의 후단(12a)이 내부너트(73)와 자전너트(71)사이의 공간(71-1)에 오도록 하여 조절나사부(12-1)로 나사 조임 결합하여 상부케이스(12)의 내측 및 외측면에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력을 극대화시킨다.
본 발명은 문신을 위한 문신잉크를 문신바늘을 통하여 피부에 주입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바늘카트리지에 문신잉크 대신 약물을 주입한 경우 피부를 통한 주사액이나 다이어트약물 주입을 위한 용도나, 부분마취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문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 의 사용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인트 결합 전의 요부 분해도,.
도 6 은 도 4 의 B-B 선 단면도,
도 7 은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8 은 도 5 의 요부 확대도,
도 9 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상부케이스 12-1;조절나사부 12a;선단 12b;후단 13;하부케이스 14;중간케이스 14-1;내부너트 고정나사부 14-2;자전홈 15;케이블캡 17;모터 20;상하이동수단 21;고정관 22;상하안내홈 23;캠링크 23-1;링크기둥 23-2;하부링크바 23-3;상부링크바 23-4;힌지 25;캠판 25-1;상하 만곡댐 30;링크 30-1;슬릿 30-2;힌지홈 31;조인트 31-1;조인트장공 31-2;후크공 40;진동방지관 41;진동방지패킹 50;바늘카트리지 51;카트리지몸체 51a;후단 52;잉크저장부 53;슬라이더 54;스프링 55;걸림후크 55-1;스토퍼

Claims (7)

  1. 삭제
  2. 문신장치용 바늘카트리지와 연계하여 문신바늘을 구동시키는 링크(30)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하이동수단은 왕복운동용 캠 기능의 캠판(25) 테두리에 캠판(25)표면보다 상하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하 만곡댐(25-1),
    상기 상하 만곡댐(25-1)과 상하 점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상하로 안치되어 상하 만곡댐(25-1) 표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캠링크(23),
    상기 캠링크(2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안내홈(22)을 내면에 가지며 하부케이스(13) 및 중간케이스(14)에 내장된 고정관(21)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캠링크(23)는 상하 만곡댐(25-1)의 상하 점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상부링크바(23-3)와 하부링크바(23-2);
    상기 상하부링크바(23-3)(23-2)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각 형의 링크기둥(23-1);
    상기 상부링크바(23-3)에 돌출되어 상기 링크(30)의 하단과 끼움 결합하는 힌지(2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바늘카트리지(50)는 링크(30)와 결합하는 바늘 슬라이더(53)를 가지며;
    링크(30)에는 바늘슬라이더(53)와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후크 결합하는 조인트(31)를 형성하며;
    링크(30)는 몸통이 중공관체이며;
    링크(30)의 외측과 중간케이스(14) 사이에는 상하직진운동안내용 진동방지관(40)을 안치시키고;
    진동방지관(40) 외면과 중간케이스(14) 내면은 진동방지 및 슬립방지를 위해 진동방지 패킹(41)으로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조인트(31)는 바늘 슬라이더(53) 하단에 양 옆으로 돌출한 걸림후크(55)가 수용되는 장방향 조인트장공(31-1)과,
    조인트장공(31-1) 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바늘슬라이더(53)와 함께 걸림후크(55)가 90도 회전시 끼움 결합되는 후크공(31-2)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링크(30) 하단부는 슬릿(30-1)으로 링크(30) 측벽(30-3)이 나란하게 대향 되고;
    대향 측벽(30-3)에는 힌지(23-4)가 끼움 결합되는 힌지홈(30-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7. 삭제
KR1020080057202A 2008-06-18 2008-06-18 문신장치 KR10092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202A KR100923050B1 (ko) 2008-06-18 2008-06-18 문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202A KR100923050B1 (ko) 2008-06-18 2008-06-18 문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745A Division KR20090131673A (ko) 2009-09-11 2009-09-11 문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050B1 true KR100923050B1 (ko) 2009-10-22

Family

ID=4156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202A KR100923050B1 (ko) 2008-06-18 2008-06-18 문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0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64Y1 (ko) 2010-04-23 2012-07-02 메이-치-나 신옌 씨오., 엘티디. 눈썹 자수 기계
KR101262222B1 (ko) 2011-05-27 2013-05-15 이종대 피부자극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피부마사지장치
KR101718093B1 (ko) * 2016-06-27 2017-03-20 손정희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CN107374757A (zh) * 2017-08-29 2017-11-24 孙艳平 一种口腔手术用拔牙钳
KR20180054159A (ko)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파이룩스 피부자극 겸용 문신용 니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1290A (en) 1994-08-15 1998-04-21 Te-Shih Huang Eyebrow tattooing tool
KR100444139B1 (ko) * 2002-04-10 2004-08-11 이상호 문신기구
US20050010236A1 (en) 2003-07-08 2005-01-13 Tilo Frister Apparatus for applying a tattoo or permanent make-up
KR100789398B1 (ko) 2006-08-11 2007-12-28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1290A (en) 1994-08-15 1998-04-21 Te-Shih Huang Eyebrow tattooing tool
KR100444139B1 (ko) * 2002-04-10 2004-08-11 이상호 문신기구
US20050010236A1 (en) 2003-07-08 2005-01-13 Tilo Frister Apparatus for applying a tattoo or permanent make-up
KR100789398B1 (ko) 2006-08-11 2007-12-28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64Y1 (ko) 2010-04-23 2012-07-02 메이-치-나 신옌 씨오., 엘티디. 눈썹 자수 기계
KR101262222B1 (ko) 2011-05-27 2013-05-15 이종대 피부자극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피부마사지장치
KR101718093B1 (ko) * 2016-06-27 2017-03-20 손정희 편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반영구 화장기구
KR20180054159A (ko)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파이룩스 피부자극 겸용 문신용 니들
CN107374757A (zh) * 2017-08-29 2017-11-24 孙艳平 一种口腔手术用拔牙钳
CN107374757B (zh) * 2017-08-29 2019-07-09 徐州安紫齿科技术有限公司 一种口腔手术用拔牙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777B1 (ko) 문신장치
KR100923050B1 (ko) 문신장치
KR100444139B1 (ko) 문신기구
KR20090131673A (ko) 문신장치
US20060020283A1 (en) Device for local puncturing of skin
EP2420265A2 (en) Needle unit and dermatolog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using same
CN101945681B (zh) 具有笔式针组件的医用注射器
EP1764125B1 (de) System aus Insertionskopf und Inserter
EP3403687B1 (en) Module for use in skin surgery
KR100789398B1 (ko) 문신장치
EP1968681B1 (de) Insertionskopf mit griff
DE102004026806B4 (de) Katheterkopf mit bewegbarem Konnektor
WO2006070961A3 (en) Pedicle screw and device for injecting bone cement into bone
KR101913544B1 (ko) 장전이 용이한 무동력 주사량조절 주사장치
KR200466691Y1 (ko) 피부 시술용 모듈
US20170173319A1 (en) Rotary tattoo machine and return spring
KR102006936B1 (ko)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1593639B1 (ko) 반영구 화장 및 문신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구비한 교체형 니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다목적 멀티 니들 구동 머신장치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ATE376855T1 (de) Tätowiergerät
KR200272313Y1 (ko) 만년스탬프의 홀더 결합구조
CN211214948U (zh) 一种纹身装置
CN202105309U (zh) 一种美容护肤导入头
US9364395B2 (en) Cartridge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