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36B1 -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36B1
KR102006936B1 KR1020160142828A KR20160142828A KR102006936B1 KR 102006936 B1 KR102006936 B1 KR 102006936B1 KR 1020160142828 A KR1020160142828 A KR 1020160142828A KR 20160142828 A KR20160142828 A KR 20160142828A KR 102006936 B1 KR102006936 B1 KR 10200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hem
coupled
motor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103A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2016014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61M37/0084Tattoo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quid feed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61M2205/10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recipro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결합되는 니들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는, 회전되는 축을 갖는 모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타측에 끼움부가 형성된 구동측 키; 상기 구동측 키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외면에 가이드턱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축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모터고정판; 상기 구동측 키에 결합되어 모터의 축과 동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켐; 상기 회전축 켐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유닛과 결합되는 종동켐;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며, 상기 회전축 켐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볼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니들의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구동부의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됨으로써 문신 시술시 니들의 전후진 동작을 반복 수행하더라도 파손이나 변형이 없고 정확한 위치에 대한 시술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시술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skin treatment}
본 발명은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니들을 고속으로 왕복시키면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tattoo)이라 함은 피부에 상처를 만들고 색소 등을 고의로 넣어서 그림이나 문자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문신의 어원은 포리네시아계의 상처(마크의 뜻)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신은 처음에는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도구들로 피부를 눌러 찍거나 뚫어 흠집을 내고 그 흠집을 염료로 채워 피부에 지울수 없는 흔적을 남기는 방법으로 행해졌으나, 오늘날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자침을 직선 왕복운동시켜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문신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444139호에는 베벨기어를 채용한 문신기구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문신기구는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140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신 시술시 니들의 전후진 동작을 반복 수행하더라도 파손이나 변형이 없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피부시술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결합되는 니들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는, 회전되는 축을 갖는 모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타측에 끼움부가 형성된 구동측 키; 상기 구동측 키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외면에 가이드턱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축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모터고정판; 상기 구동측 키에 결합되어 모터의 축과 동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켐; 상기 회전축 켐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비스듬히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유닛과 결합되는 종동켐;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며, 상기 회전축 켐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볼베어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들의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구동부의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됨으로써 문신 시술시 니들의 전후진 동작을 반복 수행하더라도 파손이나 변형이 없고 정확한 위치에 대한 시술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대한 약물의 주입이 촉진될 수 있고, MTS 니들로 피부에 구멍을 내서 약물의 흡수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 이외에도 명시하지 않은 효과가 부수적으로 발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니들유닛'을 나타낸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구동부'의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용 핸드피스에서 '니들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기는, 스위치가 구비된 전원공급부(100)와,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되는 모터(3)와, 상기 모터(3)의 회전에 연동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부(T) 및 구동부(T)에 결합되는 니들유닛(N)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T)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2); 하우징(2) 내에 결합되며, 회전되는 축(32)을 갖는 모터(3); 모터(3)의 축(32)에 결합되며 타측에 끼움부(42)가 형성된 구동측 키(4); 상기 구동측 키(4)가 삽입되는 통공(52)이 형성되고, 통공(52)의 외면에 가이드턱(54)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3)의 축(32)이 상기 통공(52)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모터고정판(5); 상기 구동측 키(4)에 결합되어 모터(3)의 축(32)과 동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켐(6); 상기 회전축 켐(6)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안내홈(72)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유닛(N)과 결합되는 종동켐(7); 상기 안내홈(72)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며, 상기 회전축 켐(6)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볼베어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상술한 모터(3), 구동측 키(4), 모터고정판(5), 회전축 켐(6), 종동켐(7)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다.
하우징(2)의 내부에 상,하덮개(82,84)가 조립되어 결합된다.
상,하덮개(82,84) 각각은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종동켐(7)의 샤프트(74)가 삽입되는 반원관체(83)가 형성된다.
각각의 반원관체(83)의 내주면에는 키홈(832)이 길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종동켐(7)의 샤프트(74)의 외주면에는 키(741)가 길게 형성됨으로서 종동켐(7)의 샤프트(74)와 상,하덮개(82,84)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측 키(4)의 끼움부(42)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구동측 키(4)의 타측에는 모터(3)의 축(32)이 억지끼움되는 장착공(4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 켐(6)의 일단에 형성된 키홈(832)도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측 키(4)의 끼움부(42)가 회전축 켐(6)의 키홈(832)에 억지끼움됨으로써 구동측 키(4)와 모터고정판(5)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켐(6)의 양단부에 구동측 베어링(R1,R2)이 각기 결합된다. 이후 구동측 베어링(R1,R2)이 내주면에 안착되도록 상,하덮개(82,84)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 켐(6)의 외주면에 회전축 덮개(9)가 결합되어 볼베어링(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 켐(6)의 벽면에는 볼베어링(8)이 삽입되도록 베어링 안착공(64)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안착공(64)은 볼베어링(8)이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볼베어링(8)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좀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 켐(6)의 외측에 회전축 덮개(9)가 결합됨으로서 볼베어링(8)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볼베어링(8)의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또는 베어링 안착공(64)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외측의 직경이 내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서 볼베어링(8)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보장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상기 종동켐(7)은 일측에는 외주면에 비스듬히 안내홈(72)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안내홈(72)은 한줄 또는 다수줄로 형성되며, 나선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홈(72)에는 볼베어링(8)이 삽입된 채 롤링작동되면서 종동켐(7)을 일측으로 밀거나 타측으로 밀어주는 구동 궤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 켐(6)이 회전되면, 볼베어링(8)을 동반 회전시키게 되고, 볼베어링(8)은 안내홈(72)을 타고 롤링작동되므로 종동켐(7)을 밀거나 당기는 작동, 즉 왕복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종동켐(7)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74)가 형성된다. 샤프트(7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덮개(82,84)의 반원관체(83)에 결합되어 상,하덮개(82,84)의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덮개(82,84)의 회전은 종동켐(7)의 왕복 간격이 2~3mm의 작은 범위이므로 매우 작은 각도 내에서 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종동켐(7)의 샤프트(74)에 니들유닛(N)이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수단으로는 자석을 이용한 자착이나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을 이용한 자착 방식을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유닛(N)의 니들로드(502)의 단부에 자착될 수 있는 철 소재의 마그네트 커버(510)가 형성된다.
니들로드(502)와 종동켐(7)의 샤프트(7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30)가 구비된다.
연결부재(530)는 양측에 끼움공(531,532)이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533)이 형성된 연결부재(530)가 구비되어, 상기 니들로드(502) 및 마그네트 커버(510)가 연결부재(530)의 일측 끼움공(531)에 끼워진다.
그리고 연결부재(530)의 타측 끼움공(532)에 자석(540)이 삽입되고, 종동켐(7)의 샤프트(74)의 단부가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자석(540)의 자착력에 의해 니들로드(502)의 마그네트 커버(510)가 자착됨으로써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53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마찰력에 의해 니들로드(502) 및 마그네트 커버(510), 샤프트(74)와의 결합력이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를 온 시키면, 전원이 모터에 인가되어 모터(3)가 회전된다. 모터(3)의 축(32)이 회전되면 구동측 키(4)를 회전시키고, 이에 종동되어 회전축 켐(6)이 회전된다.
회전축 켐(6)의 내부에 형성된 볼베어링(8)이 종동켐(7)의 안내홈(72)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종동켐(7)의 샤프트(74)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어 왕복운동이 수행된다.
결국 종동켐(7)의 샤프트(74)에 결합된 연결부재(530) 및 그에 자착된 니들유닛(N)이 왕복운동하게 됨으로써 피부에 대한 약물 주입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하우징 3 : 모터
4 : 구동측 키 5 : 모터고정판
6 : 회전축 켐 7 : 종동켐
8 : 볼베어링 9 : 회전축 덮개
72 : 안내홈 82,84 : 상,하덮개

Claims (6)

  1.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결합되는 니들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타측에 끼움부가 형성된 구동측 키;
    상기 구동측 키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외면에 가이드턱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축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모터고정판;
    상기 구동측 키에 결합되어 모터의 축과 동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켐;
    상기 회전축 켐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유닛과 결합되며 일측에 샤프트가 형성된 종동켐;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며, 상기 회전축 켐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볼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축과 모터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덮개가 조립되어 결합되며,
    상,하덮개 각각은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일측에는 종동켐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반원관체가 형성되며,
    각각의 반원관체의 내주면에는 키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종동켐의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키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종동켐의 샤프트와 상,하덮개는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켐을 일측으로 밀거나 타측으로 밀어주는 구동 궤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이 비스듬히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한줄 또는 다수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키의 끼움부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켐의 일단에 형성된 키홈도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부가 키홈에 억지끼움되어 구동측 키와 모터고정판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켐의 양단부에 구동측 베어링이 각기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켐의 외주면에 회전축 덮개가 결합되어 볼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켐의 벽면에는 볼베어링이 삽입되도록 베어링 안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6. 삭제
KR1020160142828A 2016-10-31 2016-10-31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200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28A KR102006936B1 (ko) 2016-10-31 2016-10-31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28A KR102006936B1 (ko) 2016-10-31 2016-10-31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03A KR20180047103A (ko) 2018-05-10
KR102006936B1 true KR102006936B1 (ko) 2019-08-02

Family

ID=6218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828A KR102006936B1 (ko) 2016-10-31 2016-10-31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15B1 (ko) * 2007-03-27 2008-05-22 한국기계연구원 Lcd기판의 감광막제거설비와 이를 이용한감광막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64957A1 (en) * 2019-12-09 2021-06-17 Carson HILL Variable frequency waveform tattoo needle mechanism
KR102626556B1 (ko) * 2021-09-09 2024-01-19 주식회사 엘림텍 시술깊이를 조절하는 하이푸 핸드피스
KR102626557B1 (ko) * 2021-09-09 2024-01-19 주식회사 엘림텍 전동식 시술깊이를 조절하는 하이푸 핸드피스
KR102540151B1 (ko) * 2022-07-18 2023-06-02 김동현 센서형 문신 핸드피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617B1 (ko) * 2015-11-10 2016-02-12 권승열 반영구 화장 및 문신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전후 왕복이동시키는 다목적 멀티 니들 구동 머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03Y1 (ko) 2010-07-13 2012-07-13 (주) 디엔에이치디포 문신기구
KR101400965B1 (ko) * 2012-04-12 2014-05-29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617B1 (ko) * 2015-11-10 2016-02-12 권승열 반영구 화장 및 문신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전후 왕복이동시키는 다목적 멀티 니들 구동 머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15B1 (ko) * 2007-03-27 2008-05-22 한국기계연구원 Lcd기판의 감광막제거설비와 이를 이용한감광막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03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936B1 (ko)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1040379B1 (ko)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US9060801B1 (en) Reciprocating rotary arthroscopic surgical instrument
KR100789398B1 (ko) 문신장치
KR100922138B1 (ko)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KR100444139B1 (ko) 문신기구
EP1731103B1 (en) Needle assembly with removable depth stop
US8828001B2 (en) Bone drill and methods of treatment
KR101623202B1 (ko) 문신장치
EP2633882A1 (en) Module for use in skin surgery
US7340980B2 (en) Tattoo machine
KR101395099B1 (ko) 피부시술장치
US11173293B2 (en) Hand-holdable tattoo device
KR101765241B1 (ko) 피부 시술장치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CN2899718Y (zh) 环转式骨髓穿刺针
KR102042176B1 (ko) 피부표시기
DE19836376A1 (de)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Permanent-Make-up
WO2012060328A1 (ja) 医療用デバイス
CN110432971A (zh) 一种骨科用克氏针推进器
CN201906168U (zh) 自动器械治疗按摩棒
KR102672062B1 (ko) 피부 문신용 장치
KR101484589B1 (ko) 니들장치
CN104739457A (zh) 电动骨活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