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65B1 -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65B1
KR101400965B1 KR20120038140A KR20120038140A KR101400965B1 KR 101400965 B1 KR101400965 B1 KR 101400965B1 KR 20120038140 A KR20120038140 A KR 20120038140A KR 20120038140 A KR20120038140 A KR 20120038140A KR 101400965 B1 KR101400965 B1 KR 10140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edle
housing
needle uni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3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095A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3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9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액체주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액체주입장치는 피부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바늘을 구비한 바늘유닛; 상기 바늘유닛이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내에서 회전운동 및 직선왕복운동을 동시에 행하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용 액체주입장치{LIQUID INJECTING APPARATUS FOR HUMAN'S SKIN}
본 발명은 피부용 액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액체(문신용 잉크 또는 액체형 약품 등)을 피부로 스며들도록 바늘로 피부를 반복적으로 찌르면서 동시에 소량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액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용 액체주입장치는 예를 들면, 피부에 니들유닛의 문신용 색소를 침투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환부에 도포한 액체나 겔(gel) 상태의 약품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체주입장치는 상기 바늘을 전후진 가동하도록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가동유닛을 구비한다. 이 경우 가동유닛은 구동모터로부터 인가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바늘을 전후진 왕복 구동시킨다. 또한, 종래의 액체주입장치는 세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선단에 일회용으로 제작되는 바늘을 포함하는 일회용 바늘유닛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액체주입장치는 구동모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을 바늘로 전달하기 위한 가동유닛의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구조 상 회전 밸런스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액체주입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액체주입작업하는 내내 손에 큰 힘을 주어 액체주입장치의 진동을 최소화해야 했다. 따라서 작업 피로도가 상승하게 되고 피부에 원활한 액체 주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동유닛을 이루는 각 부품 간에 마찰에 따른 진동은 물론 이에 따른 큰 소음이 발생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액체주입장치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실내에 설치된 별도의 조명에 의지하여 액체주입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조명이 어두울 경우 액제 주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못했다.
또한,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을 이용하는 경우 시술이 이루어지는 피부 상에 액체주입장치에 의해 그림자가 나타나는 데, 이러한 그림자는 예를 들어 문신 시술을 하는 경우 정밀한 작업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액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소정의 액체를 주입할 때 피부를 조명을 할 수 있는 조명유닛을 구비한 액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바늘을 구비한 바늘유닛; 상기 바늘유닛이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내에서 회전운동 및 직선왕복운동을 동시에 행하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는 상호 연결 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의 각 단부에 의해 나선형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나선형 홈을 따라 습동하는 캠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캠돌기와 상기 캠홈 간에는 구름베어링이 배치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돌기가 일주면에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늘유닛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장유닛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몸통부에 후단부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1 연결부재 간 연결부분과,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2 연결부재 간 연결부분에 각각 구름베어링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제1 가이드부재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늘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바늘유닛의 몸체를 통해 상기 바늘유닛의 전방을 향해 빛을 발하는 조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하우징 선단부 내측에 환 형상으로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명유닛과 상기 바늘유닛 사이에 상기 조명유닛에서 발하는 빛을 상기 바늘유닛으로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가이드부는 내주면을 따라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광원은 LE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플렉시블(flexible) 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캠돌기가 몸통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인접하게 형성됨에 따라, 몸통부 회전 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최소화하여 회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캠돌기와 나선형 캠홈 사이에 구름 베어링을 설치하고, 가동유닛의 각 연결부분에 각각 구름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연결부분에서 발행하는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바늘유닛의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외부 조명에 의해 액체주입작업이 이루어지는 피부 상에 그림자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실내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원활한 액체주입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장치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Ⅲ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가동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장치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액체주입장치(1)는 바늘유닛(10), 조명유닛(20), 하우징(30), 제1 및 제2 가이드부(40,50), 가동유닛(60) 및 구동모터(70)을 포함한다.
바늘유닛(10)은 하우징(30) 선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1), 바늘(13) 및 바늘지지구(15)를 포함한다.
몸체(11)는 조명유닛(20)으로부터 발하는 빛을 몸체(11)의 전체로 균일하게 투과시키는 도광부재(Light Guide Member)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몸체(1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몸체(11)는 조명유닛(20)에서 발하는 빛을 바늘(13)을 통해 액체가 주입되는 피부를 지속적으로 비추어 주는 것은 물론, 바늘(13)의 후방에서 피부를 향해 직접 조명되므로 그늘이 생기지 않아, 액체 주입이 용이하다.
또한, 몸체(11)는 내측에 액체(예를 들면, 문신용 잉크 또는 의약 주사액 등)를 장입하는 챔버(11a)를 구비한다.
바늘(13)은 바늘지지구(15)에 의해 후단부가 고정되고 선단부는 몸체(11) 내부로 인입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돌출되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몸체(11)의 챔버(11a)에 장입된 액체를 몸체(11)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바늘(13)이 액체 토출작용과 함께 피부를 찌르면 이때, 바늘(13) 외주를 따라 흘러 내리는 액체가 순간적으로 피부로 스며든다.
조명유닛(20)은 인쇄회로기판(21) 및 다수의 광원(23)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1)은 하우징(30) 제1 부분(31)의 내측을 따라 환 형상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flexible) PCB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광원(23)은 인쇄회로기판(21)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LED로 이루어진다.
한편, 다수의 광원(23)에서 발하는 빛을 바늘유닛(10)의 몸체(11)로 안내되도록 바늘유닛(10)과 조명유닛(20) 사이에는 광가이드부(31a)가 형성된다. 상기 광가이드부(31a)는 하우징(30)의 제1 부분(31)의 내측의 선단부를 따라 마련되며, 광가이드부(31a)의 내주면을 따라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이 형성된다.
하우징(3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부분(31), 제2 부분(3) 및 조절너트(3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분(31,33)은 조절너트(35)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며 동시에 전체적인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너트(3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늘(13)이 몸체(1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부분(31)은 내측에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유닛(20)이 배치되고, 아울러 바늘유닛(10)과 가동유닛(60)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유닛(32)이 관통 배치된다. 또한 제1 부분(31)은 내측 후단부에 제1 가이드부재(40)의 선단부가 지지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제2 부분(33)은 내측에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가 고정 설치되고, 제2 가이드부재(50) 일측에 구동모터(70)가 배치된다. 또한 제2 부분(33)은 후단부에 캡부(37)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캡부(37)는 내측에 전원케이블(39)을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모터(38)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부(38)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액체주입장치(1)가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내부에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구비하여 외부 전원 없이 작동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배터리 및 외부 전원 겸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는 내측에 설치되는 가동부재(60)가 회전과 동시에 직선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는 하우징(30) 내에 회전되는 않는 상태로 삽입되며,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가이드부재(40)는 후단부에 한 쌍의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재(50)는 선단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홈(4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5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나선형 캠홈(G)을 형성한다. 상기 나선형 캠홈(G)은 가동유닛(60)의 몸통부(6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몸통부(61)의 캠돌기(63)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나선형 캠경사부(43,5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부재(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에서 각각 나선형 캠경사부(43,53)를 가공한 후 이를 형합시켜 캠홈(G)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단일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캠홈(G)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공면이 단차 없이 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캠돌기(63)와 캠홈(G) 간의 접촉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부재(50)는 외주에 제2 가이드부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직선홈(55)이 형성된다. 이 직선홈(55)은 제2 가이드부재(5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우징(30)의 제2 부분(33) 내측에 돌출된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미도시)가 각각 삽입된다.
가동유닛(60)은 몸통부(61), 제1 연결부재(68) 및 제2 연결부재(69)를 포함한다.
몸통부(61)는 회전 중심이 대략 구동모터(70)의 구동축(71)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외주에는 캠돌기(63)가 몸통부(6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돌출된다.
캠돌기(6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에는 원통형 구름베어링(B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캠돌기(63)는 몸통부(61)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인접하게 설정됨에 따라 몸통부(61) 회전 시 발생하는 관성모멘트를 최소화하여 몸통부(61)의 회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유닛(60) 동작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피부에 액체주입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몸통부(61)는 선단부에 제1 연결부재(68)와 결합되는 제1 결합구(65)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제2 연결부재(69)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67)가 각각 결합된다.
제1 결합구(65)는 제1 연결부재(68)과 결합되는 부분에 구름베어링(B2)(바람직하게는 실린더타입 롤러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어, 제1 연결부재(68)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아울러 진동 및 소음을 최소할 수 있다.
제2 결합구(67)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67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장공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홈(67a)은 제2 연결부재(69)의 연결핀(69a)의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캠돌기(63)가 나선형 캠홈(G)을 따라 캠돌기(63)가 이동할 때, 함께 회전하는 몸통부(61) 및 제2 결합구(67)는 전후로 소정 거리만큼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68)는 바늘유닛(10)의 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재(32)의 후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연결부재(68)는 제1 가이드부재(40)의 내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홈(4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68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68)는 몸통부(61)와 함께 작동하되, 회전하지 않고 다만, 제1 가이드부재(40)의 내측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제2 연결부재(69)는 결합홈(69b)에 구동모터(70)의 구동축(71)이 결합되며, 구동축(71)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2 연결부재(69)는 제2 연결부재()의 직각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연결핀(69a)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핀(69a)의 양단에는 각각 구름베어링(B3)(바람직하게는, 실린더타입 롤러 베어링)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연결핀(69a)과 제2 결합구(67)의 한 쌍의 가이드홈(67a)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동버튼(38a)을 통해 구동모터(70)를 온(on)시키면 제2 연결부재(69)가 일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회전한다.
제2 연결부재(69)의 회전에 따라, 가동유닛(60)의 몸통부(61)와 제1 및 제2 결합구(65,67)는 제2 연결부재(69)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캠돌기(63)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캠홈(G)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캠돌기(63)가 나선형 캠홈(G)을 따라 이동하면서, 몸통부(61)와 제1 및 제2 결합구(65,67)는 회전과 동시에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0,50)의 내측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제1 연결부재(68)는 제1 결합구(65)와 연동하여 제1 가이드부재(40) 내측에서 회전하지 않고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제1 연결부재(68)로부터 연장부재(32)로 전달된 구동력은 바늘유닛(10)으로 전달되어, 바늘유닛(10)의 바늘지지구(15)와 바늘(13)은 직선왕복운동하고, 이에 따라 바늘(13)은 피부를 반복적으로 찌른다. 이때 바늘유닛(10)의 챔버()로부터 바늘(13)의 외주면을 따라 배출되는 액체가 피부로 스며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캠돌기(63)가 몸통부(6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인접하게 형성됨에 따라, 몸통부(61) 회전 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최소화하여 회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캠돌기(63)와 나선형 캠홈(G) 사이에 구름 베어링(B1)을 설치하고, 가동유닛(60)의 각 연결부분에 각각 구름 베어링(B2,B3)을 설치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조명유닛(20)을 통해 바늘유닛(10) 전방으로 빛을 조명을 함으로써, 액체 주입이 이루어지는 피부를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액체주입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바늘유닛(10)의 후방에 조명유닛(20)을 배치하여 다수의 광원(23)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바늘유닛(10)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액체 주입이 이루어지는 피부를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조명으로 인해 시술이 이루어지는 피부 상에 그림자가 나타나는 방지함으로써 정밀한 시술(예를 들면, 문신 시술)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액체주입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바늘유닛 11: 몸체
13: 바늘 20: 조명유닛
21: 인쇄회로기판 23: 광원
30: 하우징 31: 제1 부분
32: 연장유닛 33: 제2 부분
40: 제1 가이드부재 43,53: 나선형 캠경사부
50: 제2 가이드부재 60: 가동유닛
61: 몸통부 63: 캠돌기
65: 제1 결합구 67: 제2 결합구
68: 제1 연결부재 69: 제2 연결부재
70: 구동모터 B1-B3: 구름베어링
G: 나선형 캠홈

Claims (12)

  1. 피부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바늘을 구비한 바늘유닛;
    상기 바늘유닛이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내에서 회전운동 및 직선왕복운동을 동시에 행하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는 상호 연결 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의 각 단부에 의해 나선형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나선형 홈을 따라 습동하는 캠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와 상기 캠홈 간에는 구름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돌기가 일주면에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늘유닛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장유닛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몸통부에 후단부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1 연결부재 간 연결부분과,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2 연결부재 간 연결부분에 각각 구름베어링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제1 가이드부재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바늘유닛의 몸체를 통해 상기 바늘유닛의 전방을 향해 빛을 발하는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하우징 선단부 내측에 환 형상으로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명유닛과 상기 바늘유닛 사이에 상기 조명유닛에서 발하는 빛을 상기 바늘유닛으로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는 내주면을 따라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플렉시블(flexible) 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장치.
KR20120038140A 2012-04-12 2012-04-12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10140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8140A KR101400965B1 (ko) 2012-04-12 2012-04-12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8140A KR101400965B1 (ko) 2012-04-12 2012-04-12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095A KR20130116095A (ko) 2013-10-23
KR101400965B1 true KR101400965B1 (ko) 2014-05-29

Family

ID=4963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38140A KR101400965B1 (ko) 2012-04-12 2012-04-12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124B1 (ko) * 2017-09-15 2018-04-04 박용택 문신장치
KR101937145B1 (ko) 2017-04-18 2019-01-10 박용택 문신장치용 바늘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78B1 (ko) 2014-04-25 2015-04-07 주식회사 라온 마이크로니들 구동장치
US11260209B2 (en) 2016-08-24 2022-03-01 Fk Irons Inc. Pen style microneedling machine apparatus
KR102006936B1 (ko) * 2016-10-31 2019-08-02 이승준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1901657B1 (ko) * 2016-11-16 2018-09-28 봄텍전자 주식회사 액체공급 롤러장치
US11400268B2 (en) 2018-10-11 2022-08-02 Fk Irons Inc. Electromagnetically driven tattoo machine and system
USD1025357S1 (en) 2021-09-30 2024-04-30 Fk Irons Inc. Tattoo machine
KR102439098B1 (ko) * 2022-06-09 2022-09-01 주식회사 메디칼큐브 수술용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50B1 (ko) 2010-04-06 2010-1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주입장치
KR20110009428A (ko) * 2009-07-22 2011-01-28 방시열 피부 시술 장치
KR20110125813A (ko) * 2010-05-14 2011-11-22 김근식 니들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28A (ko) * 2009-07-22 2011-01-28 방시열 피부 시술 장치
KR101001050B1 (ko) 2010-04-06 2010-1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주입장치
KR20110125813A (ko) * 2010-05-14 2011-11-22 김근식 니들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145B1 (ko) 2017-04-18 2019-01-10 박용택 문신장치용 바늘유닛
KR101831124B1 (ko) * 2017-09-15 2018-04-04 박용택 문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095A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965B1 (ko)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US10561572B2 (en) Reciprocating stimulation device
WO2010120111A2 (ko) 니들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KR100973628B1 (ko) 피부용 복합장치
CN204017141U (zh) 一种发光的电动微针美容促渗仪
KR101705317B1 (ko) 주사기 결합식 자동약액주입장치
KR200466520Y1 (ko) 문신 장치
US20150367118A1 (en) Handheld device for repeated piercing of a human or animal skin and drive module
KR101457271B1 (ko) 피부시술장치
US20170120024A1 (en) Micro needle driving device
US20130226213A1 (en) Implanting apparatus
KR20190009995A (ko) 타투 머신
KR20170044510A (ko) 피부 시술장치
KR20180047103A (ko)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KR102042176B1 (ko) 피부표시기
KR20180013567A (ko) 자동 주사장치
US20200324098A1 (en) Drive system and drive module for a hand-held device for locally piercing of human or animal skin, and hand-held device
CN101559249A (zh) 使用具有长度可调针头的注射器的注射方法及注射装置
KR20180066512A (ko) 피부 미용 기구
KR101564431B1 (ko) 미세침 치료 장치
CN207384564U (zh) 胰岛素自动注射装置
KR101382396B1 (ko) 조명유닛을 가지는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20180066515A (ko) 피부 미용 기구
CN211050154U (zh) 一种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